KR20120021495A -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1495A
KR20120021495A KR1020100075218A KR20100075218A KR20120021495A KR 20120021495 A KR20120021495 A KR 20120021495A KR 1020100075218 A KR1020100075218 A KR 1020100075218A KR 20100075218 A KR20100075218 A KR 20100075218A KR 20120021495 A KR20120021495 A KR 201200214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mulsion composition
silicone
composition
type emul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봉기
김명래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21495A/ko
Publication of KR20120021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14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유상부; 및 상기 유상부 내에 분산되며 고분자량의 폴리옥시에틸렌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의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고 피부에 적용 시 실처럼 늘어나는 스트링 현상이 발생하여 감각적인 재미를 부여하고 보습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각질을 개선하여 피부에 유용한 활성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하여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Water-in-Silicone type Emulsion composition having string actio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스트링 현상을 보이는 실리콘 중 수(W/O)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의 형태는 수중유형(Oil-in-Water, O/W)과 유중수형(Water-in-Olin, W/O)으로 크게 분류된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는 외상이 물인 형태로 가벼운 사용감과 제조가 용이하고, 높은 보습 효과를 내며, 분산 안정성이 우수하여 일반적인 화장품 조성물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비교하여 친유성 타입인 유중수형 유화 화장료는 외상이 오일이기 때문에 화장의 지속성과 내수성이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으나, 탄화수소류나 에스테르류 오일의 유분감 및 왁시감 등으로 인해 사용감이 무겁고 끈적거리는 느낌이 남아 있다.
최근에는 탄화수소나 에스테르규 오일 대신에 실리콘 오일을 다량 사용하는 실리콘 중 수(Water-in-Silicone, W/S) 조성물을 제안하는 등 사용감에 대한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한 노력이 있었다(미합중국특허 제5,942,213호).
실리콘 오일은 이들의 분자량 및 구조에 의해 차이는 있으나, 탄력적이고 입체적인 특유의 구조적인 요인으로 인해 사용감이 매우 가벼우며 발림성이 좋다. 또한, 피부에 대한 퍼짐성이 우수하고 피부 자극이 거의 없으며, 뛰어난 내수성과 에몰리언트 효과를 부여해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95607호는 일반적인 광물유나 에스테르유 등을 함유하지 않고 실리콘 오일만을 이용한 실리콘 중 수(W/S: Water in Silicon) 타입의 세안용 화장료를 제안하고 있다.
최근 감각적인 재미를 부여할 수 있는 다양한 제형의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113050호는 생크림과 유사한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며, 이러한 조성물이 소비자들에게 새롭고 즐거운 소비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언급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106115호는 탄성을 가지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을 제안하면서, 상기 조성물이 피부에 자극이 없으면서 사용 후에 물로 간단히 씻어낼 수 있으며 탄성을 가져 외관상에 감각적인 재미를 줄 수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특허 제5,942,213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695607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6-0113050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7-0106115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피부 보습 효과, 피부에 대한 퍼짐성과 산뜻한 사용감 뿐만 아니라 감각적인 재미를 위해 수중유형이 아닌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고, 이를 화장료로 사용하기 위해 다각적으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수상부에 고분자량의 수용성 레진을 포함하며, 유상부에 실리콘 오일을 사용한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면서 피부에 적용 시 실처럼 늘어나는 스트링 현상이 발생하여 감각적인 재미를 부여할 수 있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보습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피부 개선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a) 실리콘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b) 상기 유상부 내에 분산되며, 폴리옥시에틸렌 레진이 수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여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의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고 피부에 적용 시 실처럼 늘어나는 스트링 현상이 발생하여 감각적인 재미를 부여하고 보습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각질을 개선하여, 피부에 유용한 활성 성분의 피부 흡수를 증진하여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의 스트링 현상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에 따른 조성물의 수분 손실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의 산뜻한 사용감과 피부에 적용 시 실처럼 늘어나는 스트링 현상이 발생하여 감각적인 재미를 동시에 가지는 제형을 구현하기 위하여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의 수상부에 고분자량의 폴리옥시에틸렌을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화 조성물을 보여주는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은
a) 실리콘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부(10); 및
b) 상기 유상부 내에 분산되며, 폴리옥시에틸렌 레진(21)이 수분산된 수상부(20)를 포함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옥시에틸렌 레진(21)은 수상부(20)에 매우 불규칙적인 형태로 분산된 구조를 갖는다.
폴리옥시에틸렌은 수용성 고분자이며 계면활성제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계면활성제로 사용할 경우 분자량이 수백?수천 수준으로 저분자량의 것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폴리옥시에틸렌 레진(21)을 사용하되, 계면활성제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높은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정 함량 범위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옥시에틸렌 레진(2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상부 내에 분산되며, 수분산되는 높은 고분자의 특성과 분자량으로 인하여 수상부에 분산 용해되어 강한 점탄성을 나타내면서 연속상에서 작은 방울로 끊어지지 않으려는 특성으로 인하여 스트링(String)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분산된 수상부가 피부 도포 시 수상부의 특성으로 인하여 수중유조성과 유사하게 실리콘 중 수 조성에서도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에 도포시 스트링 현상이 발생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레진(21)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0 이상으로, 바람직하기로 3,000,000 이상인 것, 가장 바람직하기로 평균분자량 3,500,000?4,500,000인 것을 사용한다. 만약 폴리옥시에틸렌 레진(21)의 분자량이 미비하면 스트링 현상을 발생시킬 수 없고, 반대로 너무 거대하면 물에 용해가 어려워 안정한 조성을 이룰 수 없다.
이렇게 폴리옥시에틸렌 레진(21)은 분자량이 높기 때문에 피부에 적용시 피부에서의 뭉침 현상이나 과도한 끈적임이 발생하여 외상이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이 적용되어야 하며, 특히 피부에 대한 사용감을 높일 수 있는 실리콘 중 수 유화 조성물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레진(21)은 전체 유화 조성물 내 0.3?1.0 중량%, 바람직하기로 0.3?0.6 중량%로 사용된다. 만약 사용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스트링 현상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없고, 반대로 너무 과도하게 사용하게 되면 물에 용해가 어려워 안정한 조성을 이룰 수 없고, 피부에 도포시 과도하게 끈적이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때 사용하는 물은 정제수로 전체 유화 조성물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잔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 중 수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을 높여 고분자량의 폴리옥시에틸렌 레진으로 인한 스트링 효과와 더불어 실리콘 오일에 의한 사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유상부는 피부에 적용시 사용자로 하여금 산뜻한 사용감을 갖도록 실리콘 오일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여기에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실리콘 오일로는 디메치콘, 싸이클로메치콘,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싸이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싸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싸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싸이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바람직하기로 싸이클로펜타실록산을 사용한다.
상기 실리콘 오일은 전체 조성물 내에서 15?30 중량%로 사용하며,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안정한 실리콘 중 수 유화 조성물을 이룰 수 없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함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수상부의 함량이 낮아져 끈적거림을 유발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바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계면활성제로는 레시틴(Lecithin), 폴리솔베이트 80(Polysorbate 8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Polyoxyetylene Phytosterol),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소이빈 포스포리피드(Hydrogenated Soybean Phospholipid), 피이지-10 디메치콘, 세틸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옥시에틸렌 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피이지-10 디메치콘과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전체 유화 조성물 내에서 0.5?10 중량%, 바람직하기로 1?7 중량%로 사용한다. 만약 그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유화 조성물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고, 이와 반대로 상기 범위를 초과하더라도 큰 효과상의 향상이 없으므로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사용한다.
필요에 따라 추가로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의 유상부 및 수상부에 통상의 첨가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로는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미백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중화제, pH 조절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의 선정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고, 그 함량 또한 통상의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바람직하기로, 이러한 첨가제의 함량은 전체 유화 조성물 내에서 15 중량%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예로,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이소프로필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은 전체 유화 조성물 내에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a) ⅰ) 실리콘 오일: 15?30 중량%, 및
ⅱ) 계면활성제: 0.5?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b) ⅰ) 폴리옥시에틸렌 레진: 0.3?1.0, 및
ⅱ) 물: 잔부를 포함하는 수상부로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따른다.
대표적으로,
S1) 폴리옥시에틸렌 레진과 물을 혼합하여 수상 조성을 제조하고,
S2) 실리콘 오일과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유상 조성을 제조하고,
S3) 상기 유상 조성에 수상 조성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 혼합은 필요에 따라 열을 가해 수행할 수 있으며, 균일한 혼합을 위해 호모게나이저와 같은 혼합기를 사용한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은 고분자량이 폴리옥시에틸렌 레진이 수상에 분산 안정화되고, 제형 외부의 연속상인 유상이 실리콘 오일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은 수상부 내에 존재하는 고분자량의 폴리옥시에틸렌 레진으로 인해 피부에 도포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스트링 현상이 발생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새로운 질감 및 감각적인 재미를 느끼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화 조성물을 화장료로 적용할 경우 실리콘 오일에 의해 사용자로 하여금 퍼짐성이 좋고 가벼운 느낌이 들어 산뜻한 사용감을 갖도록 한다.
또한, 피부에 도포 후 피부에 도포되어 막을 형성하여 수분을 다량 함유할 수 있으며, 수분 증발을 감소시킴으로써 온도변화, 습도저하 및 바람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하여 각질층 내 수분 부족 현상으로 인한 피부의 투명성 감소, 피부 거칠기 및 피부 윤기 저하 현상 등의 원인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피부개선에 유효한 활성성분의 피부침투를 증가시키는 특성이 있다.
동시에, 피부에 도포되어 막을 형성하여 수분의 증발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장벽 강화를 유도하여 피부 수분 유지 기능을 향상시킴으로써 피부 보습 효과 및 각질 감소 효과가 우수해지는 특성을 가지며 피부에 유용한 활성성분의 피부의 침투를 증진 시켜 피부의 기능을 개선하고 향상시켜 피부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유용성 활성 물질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핸드 크림, 아이 크림, 바디 크림, 선탠 크림, 클렌징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콘트롤 크림, 썬 크림, 에센스,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팩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 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3> 실리콘 중 수 유화 조성물의 제조
혼합기에 상기 유상부의 1?3 조성을 첨가 후 70℃에서 완전 용해시켜 유상 성분을 제조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다른 혼합기에 상기 수상부의 정제수에 5?8의 조성을 첨가 후 70℃에서 완전 용해시켜 수상 성분을 제조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상기 유상 성분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제조된 수상 성분을 천천히 적하하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5분 동안 교반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교반 후 혼합기의 온도를 30℃로 낮춰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유상부 1.싸이클로펜타실록산 21.50 21.50 21.50
2.피이지-10 디메치콘 2.50 2.50 2.50
3.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0 1.00 1.00
수상부 5.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6.글리세린 5.00 5.00 5.00
7.POE-90,000(MW 4,000,000) 0.30 0.50 1.00
8.소듐클로라이드 1.00 1.00 1.00
총 합 100.00 100.00 100.00
1: 싸이클로펜타실록산: KF 995, 신에츠사
2: 피이지-10 디메치콘: KF 6017, 신에츠사
3: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Arlacel-83, Dermacom사
< 비교예 1?5> 실리콘 중 수 유화 조성물
혼합기에 상기 유상부의 1?3 조성을 첨가 후 70℃에서 완전 용해시켜 유상 성분을 제조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다른 혼합기에 상기 수상부의 정제수에 5?8의 조성을 첨가 후 70℃에서 완전 용해시켜 수상 성분을 제조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상기 유상 성분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제조된 수상 성분을 천천히 적하하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5분 동안 교반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교반 후 혼합기의 온도를 30℃로 낮춰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유상부 1.싸이클로펜타실록산 21.50 21.50 21.50 21.50 21.50
2.피이지-10 디메치콘 2.50 2.50 2.50 2.50 2.50
3.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수상부 5.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6.글리세린 5.00 5.00 5.00 5.00 5.00
7-1.POE-90,000 (MW 4,000,000) - 0.10 2.00 - -
7-2. POE-8 (MW 400) - - - 1.00 -
7-3. POE-800 (MW 35,000) - - - - 1.00
8.소듐클로라이드 1.00 1.00 1.00 1.00 1.00
총 합 100.00 100.00 100.00 100.00 100.00
< 비교예 6> 수중유 유화 조성물
혼합기에 상기 유상부의 1?7 조성을 첨가 후 70℃에서 완전 용해시켜 유상 성분을 제조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다른 혼합기에 상기 수상부의 정제수에 8?11 의 조성을 첨가 후 70℃에서 완전 용해시켜 수상 성분을 제조하였다.
동일 온도에서 상기 유상 성분을 교반하면서, 여기에 제조된 수상 성분을 천천히 적하하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5분 동안 교반하여 유화액을 제조하였다. 여기에 첨가제로, 12 성분을 첨가하여 중화하고, 다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교반 후 혼합기의 온도를 30℃로 낮춰 유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비교예 6
유상부 1. PEG-100 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00
2.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1.00
3. 세테아릴 알코올 1.50
4. 스쿠알란 4.00
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0
6. 디메치콘 0.50
7. 싸이클로메치콘 4.00
수상부 8. 정제수 78.10
9. POE-90,000 (MW=4,000,000) 0.50
10. 글리세린 5.00
11. 카보폴-940 (카보머) 0.20
12. 트리에탄올아민 0.20
총합 100.00
( 시험예 1) 수분손실량 ( TEWL )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유화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1?3에서 제조된 유화 조성물, 비교예 1~5, 및 6에서 제조된 유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1회 도포 시 피부의 수분손실량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부 질환이 없는 20?30대 성인 남,녀 15명에게 각 유화 조성물을 왼쪽 팔 하박 내측에 도포하도록 한 후, 수분증발량기(evaporimeter)인 Tewameter를 이용하여 수분증발량을 측정하였다.
시험부위를 시험부위를 세정한 후 위치를 표시하고 시험 물질과 타겟 물질을 1회 도포하고 Tewameter를 피부에 대고 일정하게 눌러 수치를 측정한다. 이 때 주위 환경으로부터의 오차를 줄이기 위해 항온(20±2℃), 항습(50±2%) 상태를 유지하고, 수치는 각 3회 측정하여 평균치를 사용한다. 시험 물질과 타겟 물질의 도포 후 2시간, 6시간 후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피부의 수분증발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시험값은 시험결과의 평균값은 표현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실시예 1?3의 유화 조성물, 비교예 1?5와 비교예 6의 유화 조성물의 수분 손실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피부 수분량이 비교예 3과 실시예 3에서 가장 수분증발량 억제 효능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2) 사용감 관능시험
본 발명에 따른 유화 조성물의 사용감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된 유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본 시험 목적에 적합한 피험자 여성 15인을 대상으로 각각의 유화 조성물을 사용하였으며, 평가는 피험자에 의한 설문평가를 통해 제품의 피부 개선효과 및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피험자 여성에서 '만족도 매우 높음'을 5, '만족도 매우 낮음'을 1의 척도로 설문평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String 현상은 관능평가를 실시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표기하였다.
◎ : String 현상 大 ○ : String 현상 中 Ⅹ : String 현성 無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발림성 4.0 4.0 4.5 4.0 4.0 3.5 4.0 3.0 3.0
끈적임 4.0 4.5 4.5 3.0 3.0 1.5 3.0 1.0 1.0
촉촉함 3.0 4.0 4.0 4.0 3.5 3.0 3.5 3.5 4.5
자극없음 4.0 4.5 4.5 3.0 3.0 3.5 3.0 3.0 4.5
부드러움 3.5 3.5 4.5 3.5 3.5 3.0 3.5 2.5 4.0
종합만족도 3.7 4.1 4.4 3.5 3.4 2.9 3.4 2.6 3.4
String 현상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이 발림성을 비롯한 관능 항목에서 비교예 1 내지 6의 조성물보다 우수한 사용감, 즉 산뜻한 사용감을 갖게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경우 스트링 현상이 발생하였으나, 그 함량이 미비하거나 분자량이 적은 경우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비교예 6의 조성물 경우 피부에 도포시 때처럼 뭉쳐서 밀려나오는 현상이 발생하였고, 끈적임이 매우 심한 문제가 발생하였다.
( 시험예 3) 피부 개선 효과 관능 시험
본 발명에 따른 유화 조성물의 피부 건조증에 대한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예 1?3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된 유화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여성 15인을 대상으로 하여금 피부 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판단 기준>
◎: 15 명 중 10 명 이상이 촉촉함, 각질 감소 및 피부결이 매끄러워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O: 15 명 중 8 명 이상이 촉촉함, 각질 감소 및 피부결이 매끄러워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 15 명 중 5 명 이상이 촉촉함, 각질 감소 및 피부결이 매끄러워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 15 명 중 5 명 미만이 촉촉함, 각질 감소 및 피부결이 매끄러워지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함.
시료 응답자수 촉촉함 각질감소 피부결 매끄러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피부 개선 효과가 비교예의 조성에 비해 월등함을 알 수 있다.
( 시험예 4) 상안정도 평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 1?3의 유화 조성물, 비교예 1?6의 유화 조성물 각각을 25℃, 5℃, cycle, 45℃ 오븐에서 각각 1개월 보관한 후 상 안정도를 육안관찰하였다. 이때 'cycle'은 25℃, 5℃, 45℃에서 각각 6시간씩 순환하는 조건을 의미한다.
45℃ cycle 25℃ 5℃
실시예 1 Ο Ο Ο Ο
실시예 2 Ο Ο Ο Ο
실시예 3 Ο Ο Ο Ο
비교예 1 Ο Ο Ο Ο
비교예 2 Ο Ο Ο Ο
비교예 3 × × Ο
비교예 4 Ο Ο Ο Ο
비교예 5 Ο Ο Ο Ο
비교예 6 Ο Ο Ο Ο
상기 표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의 유화 조성물은 고온 및 저온에서도 분산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3의 조성물 경우 상기 시험예 2의 표 4에 제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스트링 현상은 발생하나, 고분자량을 갖는 폴리옥시에틸렌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상안정성이 불안정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화 조성물을 이용한 크림, 에센스 및 화장수 등의 다양한 제형화가 가능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은 스트링 현상이 발생하며, 끈적임과 뭉침 현상이 없는 피부 보습 및 피부결 개선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이 가능하다.
10: 유상부 20: 수상부
21: 폴리옥시에틸렌 레진

Claims (11)

  1. a) 실리콘 오일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b) 상기 유상부 내에 분산되며,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0 이상인 폴리옥시에틸렌 레진이 수분산된 수상부를 포함하여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레진은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0 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레진은 3,500,000?4,5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은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a) ⅰ) 실리콘 오일: 15?30 중량%, 및
    ⅱ) 계면활성제: 0.5?10 중량%를 포함하는 유상부와,
    b) ⅰ) 폴리옥시에틸렌 레진: 0.3?1.0, 및
    ⅱ) 물: 잔부를 포함하는 수상부로 구성되는 것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싸이클로메치콘,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싸이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싸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싸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싸이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폴리솔베이트 80, 솔비탄 스테아레이트,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피토스테롤,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소이빈 포스포리피드, 피이지-10 디메치콘, 세칠 피이지/피피지-10/1 디메치콘, 폴리옥시에틸렌 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옥시프로필렌)메틸 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폴리옥시프로필렌 메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레진은 전체 조성물 내 0.3?0.6 중량%로 함유되는 것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미백제, 방부제, 보습제, 점증제, 중화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전체 유화 조성물 내 1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실리콘 중 수 타입 유화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영양크림, 마사지 크림, 핸드 크림, 아이 크림, 바디 크림, 선탠 크림, 클렌징 크림, 메이크업 베이스 크림, 파운데이션 크림, 콘트롤 크림, 썬 크림, 에센스,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또는 팩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제형으로 제형화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075218A 2010-08-04 2010-08-04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200214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218A KR20120021495A (ko) 2010-08-04 2010-08-04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218A KR20120021495A (ko) 2010-08-04 2010-08-04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1495A true KR20120021495A (ko) 2012-03-09

Family

ID=4612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218A KR20120021495A (ko) 2010-08-04 2010-08-04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214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8457B1 (en) Cleansing cosmetic preparation
CN109843250B (zh) 自发泡型化妆料组合物及其制造方法
CA2549725A1 (en) A base composition for preparing multi-functional formulations for care and protection of the skin and hair
KR101521265B1 (ko) 투명 또는 반투명 겔 형상의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US20080241202A1 (en) Multi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Process For Preparing Said Cosmetic Composition and Cosmetic Product
KR102114084B1 (ko) 모발 및 두피케어용 트리트먼트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5658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워셔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719174B1 (ko) 라멜라 액정이 수분산된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10721097B (zh) 一种油包水凝霜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432885B1 (ko) 안티에이징 화장료 조성물
JP3543523B2 (ja) ボディ用化粧料
JP3996488B2 (ja) 乳化化粧料
JP2013189429A (ja) 水中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65321B1 (ko) 재결정 입자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75467B1 (ko)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7256624B2 (ja) ジェル状皮膚外用剤又は皮膚化粧料
KR20120021495A (ko) 스트링 현상을 갖는 실리콘 중 수(w/s) 타입 유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H10167948A (ja) 化粧料
KR102211754B1 (ko) 늘어나는 질감과 형상복원 능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46487B1 (ko) 보습력이 증진된 고분자 실리콘 겔 화장료 조성물
JP3536274B2 (ja) 皮脂コントロール化粧料
JP2004059530A (ja) 毛髪化粧料
WO2016091449A2 (de) Kombiniertes pflege- und stylingmittel mit wärmender wirkung
KR20220094711A (ko)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