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194A -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 - Google Patents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194A
KR20120020194A KR1020120016205A KR20120016205A KR20120020194A KR 20120020194 A KR20120020194 A KR 20120020194A KR 1020120016205 A KR1020120016205 A KR 1020120016205A KR 20120016205 A KR20120016205 A KR 20120016205A KR 20120020194 A KR20120020194 A KR 20120020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tick
ink
visible
stick body
direction ind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6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9116B1 (ko
Inventor
브렌트 로드니 존스
프레데릭 티. 매턴
크리스토퍼 알. 골드
브라이안 월터 아즈노에
윌리암 로렌 에머리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2002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에 사용하기 위한 잉크 스틱을 공개한다. 잉크 스틱은 상변화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의 공급 채널에 삽입하도록 구성되고, 선두 단부 및 후미 단부를 가지는 잉크 스틱 몸체와;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선두 단부와 후미 단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가시적 공급방향 지시기를 포함한다. 선두 단부는 잉크 스틱이 공급방향에서 공급 채널을 횡단할 때 후미 단부를 앞서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Solid ink stick with visual orientation indicator}
본 발명은 대체로 상변화 잉크젯 프린터 및 그러한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되는 고체 잉크 스틱에 관한 것이다.
고체 잉크 또는 상변화 잉크 프린터는 펠릿(pellet) 또는 잉크 스틱과 같은 고체 형태로서 잉크를 종래 방법으로 수용한다. 고체 잉크 펠릿 또는 잉크 스틱은 통상 프린터를 위한 잉크 로더의 삽입 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잉크 스틱은 히터조립체의 히터판을 향하여 공급기구 및/또는 중력에 의해 공급 채널을 따라 밀리거나 활주된다. 히터판은 상기 히터판에 부딪치는 고체 잉크를 녹여서 액체로 만들며 상기 액체가 기록 매체에 분사되기 위해 프린트헤드로 운반된다.
잉크 스틱의 정확한 로딩(loading) 및 공급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키잉 피처(keying features), 안내 피처, 정렬 피처, 방향(orientation) 피처 및/또는 센서 구동 피처와 같은 로딩 피처를 잉크 스틱의 외부면에 통합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상기 피처들은 잉크 스틱상의 다른 위치에 놓이는 돌기부 또는 오목부이다. 잉크 스틱들이 삽입 또는 공급되는 구멍들의 주변상에 있는 대응 키이 또는 안내소자들은, 잉크 스틱이 공급 채널에서 적절하게 정렬되어 공급되고 있음을 보장하는 동안 적절한 주변 키(key) 소자를 갖지 않는 잉크 스틱을 배제한다. 잉크 스틱의 정확한 로딩에 도움을 주기 위해 실행되고 있었던 다른 방법은 잉크 전달 시스템의 센서들과 상호작용하는 잉크 스틱의 외부면에 인코딩(encoding) 피처를 통합하는 것이다. 잉크 스틱 데이터는, 상기 피처들이 잉크 로더에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와 상호작용하여 잉크 스틱에 특정한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 또는 신호들의 코드화 패턴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피처들에 인코딩될 수 있다. 잉크 스틱에 인코딩된 잉크 스틱 데이터는 적절하게 장착된 상변화 잉크젯 인쇄 장치내의 프린트 제어기에 의해 판독되어 이미징 동작들을 제어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기는 동작들을 가능하게 하거나 불능하게 함으로써 잉크 스틱에 인코딩된 잉크 스틱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작들 또는 영향 또는 세트 동작 파라미터들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고객은 여러가지 잉크 스틱 형태의 로딩 피처에 익숙하지 않을 것이다. 그래서 고객은 잉크 스틱을 잉크 로더에 삽입하기 위한 적절한 방향을 알지 못한다. 잉크 스틱이 삽입되기 위한 정확한 방향을 향하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는 고객은 삽입 키 피처에 의해 초래된 저항을 무시하고, 공급 채널로 향하는 구멍을 통해 부정확한 방향의 잉크 스틱에 부주의로 힘을 가할 수 있다. 로딩된 잉크 스틱이 특별한 공급 채널에 대해 잘못된 색상을 가지거나 또는 잉크 스틱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상변화 잉크젯 프린터와 호환하지 않는다면, 심각한 오류 및 기능장애가 일어날 수 있다. 잉크 스틱이 특별한 공급 채널에 사용하기 위한 정확한 형태를 가질지라도, 삽입되기 전에 정확한 방향으로 놓이지 않은 잉크 스틱은 공급 채널을 따라 적절하게 공급되지 않으며 및/또는 잉크 용융기와 적절하게 결합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부정확하게 삽입된 잉크 스틱상의 인코딩(encoding) 피처가 센서와 상호작용하도록 공급 채널에 최적으로 배치되지 않게 되어서 센서의 오작동을 초래하거나 센서가 전혀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공급 제어에 도움을 주기 위해 잉크 스틱에 통합되어 있는 네스팅(nesting) 피처는 모델과 기타 이점들 사이를 구별하지만 그러한 피처들은 결코 명백한 방향 보조물(aid)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는 않다.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잉크 스틱은, 잉크 스틱을 위한 정확한 삽입방향(insertion orientation)을 프린터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지시하는 피처를 포함하도록 개발되었다. 잉크 스틱은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 안으로 향하는 삽입방향으로 삽입하도록 구성된 잉크 스틱 몸체를 포함한다. 잉크 스틱 몸체는 복수의 표면을 가진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visual orientation indicator)는 상기 복수의 표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잉크 스틱 몸체를 삽입방향으로 두기 위하여 복수의 표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표면의 방향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절한 잉크 스틱 방향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를 향해 삽입방향으로 삽입하기 위해 구성된 고체 잉크 스틱을 포함한다. 고체 잉크 스틱은 잉크 스틱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에 통합된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포함한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잉크 스틱의 삽입방향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한다. 또한 시스템은 이미징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에 배치된 상호보완적(complementary) 방향 지시기를 포함한다. 상기 상호보완적 방향 지시기는 삽입방향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마크를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에 사용하기 위한 잉크 스틱은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의 삽입 구멍을 통해 삽입방향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잉크 스틱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잉크 스틱 몸체는 선두 단부 및 후미 단부를 포함한다. 선두 단부는 삽입방향으로 있을 때 실질적으로 잉크 로더의 공급방향(feed direction)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것이고, 후미 단부는 삽입방향으로 있을 때 공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잉크 스틱 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에 형성된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잉크 스틱 몸체를 삽입방향으로 두기 위하여 잉크 스틱 몸체의 선두 단부 및 후미 단부의 방향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스틱은 잉크 전달 시스템으로 향하는 잉크 스틱의 정확한 로딩에 더 많은 도움을 주기 위해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포함한다. 잉크 스틱의 단부들의 상호보완 형상은 인접한 잉크 스틱들을 잉크 로더에 맞대기 하거나 포개어 놓는데(nesting) 용이하게 된다.
잉크 로더에 잉크 스틱들을 포개어 놓으면 잉크 스틱들 사이의 빈 공간이 최소로 되기 때문에 잉크 로더에서 하중 밀도를 최대로 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추가로, 공급 채널에서 잉크 스틱을 맞대기 하면 선두의 잉크 스틱의 경사진 연장부가 다음의 스틱의 경사면에 놓이게 되어 다음의 스틱에 의해 용융판을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잉크 스틱의 베이스 부분이 용융될 때 경사진 연장부가 공급 채널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잉크 스틱을 포개어 놓으면 인접한 잉크 스틱에 대한 하나의 잉크 스틱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잉크 스틱들이 공급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동할 때 잉크 스틱이 공급 채널에 대하여 또는 서로에 대하여 비뚤어지게 될 기회가 줄어든다. 특정한 방향 또는 공급방향을 제공하는 포개어지는 잉크 형태의 상술한 이점들은 방향 형상 목적에 보조 기능성을 추가하는 신규한 방법이다.
도 1은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블록선도.
도 2는 잉크 로더를 갖는 불완전한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부분확대 사시도.
도 3은 엠보싱된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디보싱된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의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가시적 방향 지시기의 대안 실시예를 갖는 3개의 잉크 스틱의 도면.
도 6은 잉크 스틱의 형상이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잉크 스틱의 두 실시예의 도면.
도 7은 상호보완적 방향 지시기를 포함하는 이미징 장치의 삽입장소의 실시예에 대한 도면.
본 발명의 일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을 참고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고부호는 본원 전체를 통해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도록 사용되고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프린터"는 예를 들어,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및 관련된 다기능 제품과 같은 일반적으로 재생장치를 말하고, 용어 "인쇄작업"은 예를 들어 전자제품 또는 재생하고자 하는 제품을 포함한 정보를 말한다.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 또는 하우징으로부터 프린트헤드로 전달하는 것에 대한 참고물은 용융기, 중간연결부, 튜브, 매니폴드(manifold), 및/또는 기타 구성부품 및/또는 인쇄 장치에 포함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직접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기능들을 망라하도록 계획되어 있다.
이제 도 1을 참고하면,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10)(이하 "이미징 장치"로 간략히 언급함)의 실시예에 대한 블록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미징 장치(10)는 고체 잉크 스틱을 수용하며 단계적으로 진행시키는 잉크 공급부(14)를 구비한다. 잉크 용융 유닛(18)은 잉크 스틱을 용융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액체 잉크로 만든다. 용융된 잉크는 중력, 펌프작용 또는 이들 양쪽에 의하여 프린트헤드 조립체(20)(이하 "프린트헤드"로 간략히 언급하기도 한다)로 공급된다. 이미징 장치(10)는 직접 프린터 또는 오프셋 프린터가 될 수 있다. 직접 프린터에서, 잉크는 프린트헤드(20)에 의해 기록 매체의 표면에 직접 방출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는 간접 프린터 또는 오프셋 프린터를 도시한다. 오프셋 프린터에서, 잉크는 전사면(28)에 방출되며, 상기 전사면은 드럼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지지된 무한벨트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미지 전사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압력롤러(30)가 드럼(28)상의 잉크를 향해 매체(34)를 가압하여 드럼(28)으로부터 잉크가 매체(34)로 전사되게 한다.
기계 또는 프린터(10)의 여러 서브시스템들, 구성부품들 및 기능들의 작동 및 제어는 제어기(38)에 의하여 수행된다. 제어기(38)는 예로서, 중앙처리장치(CPU), 전자기억장치, 및 디스플레이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UI)를 갖는 마이크로콘트롤러가 될 수 있다. 제어기는 스캐너 또는 컴퓨터와 같은 이미지 소스(40)와, 프린트헤드 조립체(20)와 같은 이미징 시스템 사이의 이미지 데이터 흐름을 판독하고, 포착하고, 작성하고, 관리한다. 제어기(38)는 다른 기계 서브시스템과, 기계의 인쇄동작을 포함한 기능들을 모두 또는 많은 것을 조작 및 제어하기 위한 메인 멀티태스킹 프로세서이다. 따라서 제어기는 이들 여러 가지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한다.
이제 도 2를 참고하면, 이미징 장치(10)는 작동시스템 및 구성부품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는 프레임(44)을 포함한다. 고체 잉크 전달 시스템(48)은 잉크 스틱을 로딩 스테이션(50)으로부터 용융 스테이션(54)으로 나아가게 한다. 로딩 스테이션은 키이 구멍(keyed opening: 60)들을 포함한다. 키이 구멍(60) 각각은 잉크 전달 시스템의 개별 공급 채널(58)들중 하나를 향해 접근하도록 제한한다. 키이 구멍(60)은 상기 키이 구멍(60)의 키 구조에 적합한 키 소자를 갖는 그러한 잉크 스틱만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키이 구멍(60)은 채널에 삽입된 잉크 스틱이 특별한 형태, 즉 색상, 잉크 제제 등으로 제한되도록 도와준다. 잉크 전달 시스템(48)은 잉크 스틱을 로딩 스테이션(50)으로부터 용융 스테이션(54)으로 운반하기 위해 복수의 채널 또는 슈트(chute)(58)를 포함한다. 독립된 채널(58)은 4개의 색상, 소위 청록색(cyan), 진홍색(magenta), 흑색(black) 및 노란색(yellow) 각각에 대해 사용되고 있다. 용융 스테이션(54)은 고체 잉크 스틱을 용융하여 액체 잉크를 프린트헤드 시스템(도시 안됨)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로딩 스테이션은 키이 구멍(60)을 통해 삽입방향 L로 삽입된 잉크 스틱을 수용한다. 공급 채널은 잉크 스틱을 공급방향(feed direction) F에서 로딩 스테이션으로부터 용융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 삽입방향 L과 공급방향 F는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잉크 스틱은 삽입방향 L로 삽입된 다음에 공급 채널을 따라 공급방향 F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급 채널 및 키이 구멍은 삽입방향 L과 공급방향 F가 실질적으로 평행해지도록 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잉크 스틱은 많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잉크 전달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인 잉크 스틱(100)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잉크 스틱은 하단면(138) 및 상단면(134)을 가진다. 도시된 특정 하단면(138) 및 상단면(134)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지만 다른 외형 및 상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더구나, 잉크 스틱 몸체의 표면들은 평평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서로 평행하거나 직각으로 될 필요가 없다. 또한 잉크 스틱 몸체는 횡방향 측면(140, 144) 및 단부면(148, 150)과 같은 복수의 측면 말단부(extremity)를 가진다. 측면(140, 144)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며, 또한 실질적으로 상단면(134) 및 하단면(138)에 대해 직각이다. 또한 단부면(148, 150)은 기본적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상단면 및 하단면에 대해 그리고 횡방향 측면에 대해 직각이다. 단부면(148)은 선두 단부면이고, 다른 단부면(150)은 후미 단부면이다. 잉크 스틱 몸체는 포어 몰딩(pour molding),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또는 다른 공지된 기술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잉크 스틱은 사용시 잉크 스틱의 정확한 로딩, 안내, 감지 및 지지에 도움을 주는 복수의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처들은 잉크 로더의 상호보완적 위치에 배치된 키 소자, 안내부, 지지부, 센서 등과 협동하기 위해 잉크 스틱상의 여러 위치에 배치되는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스틱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삽입 키 피처(key contour)(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성 키 피처가 로딩 스테이션(50)의 키이 구멍(60)과 협동하여 고체 잉크 전달 시스템의 삽입 구멍(60)을 통해 잉크 스틱의 삽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한다. 도 3의 잉크 스틱 실시예에서, 키 소자(154)는 잉크 스틱 몸체의 측면(140)에 형성된 수직 요부 또는 노치이다. 키이 구멍(60)의 주변에 있는 대응하는 상호보완적 키이(도시 안됨)는 키이 구멍(60)으로 들어가는 상호보완 돌출부이다. 어떤 개수 또는 어떤 형상의 키 피처라도 잉크 스틱상의 어떤 적절한 위치에 사용되어도 좋다.
프린터를 위한 각각의 색상은 특별한 색상의 잉크 스틱을 위한 독특한 단면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잉크 스틱의 외주변(outer perimeter)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키 소자들의 독특한 배치구조(arrangement)를 가질 수가 있다. 키 플레이트의 키이 구멍과 잉크 스틱의 키 형상과의 결합은 적절한 색상의 잉크 스틱만이 각 공급 채널로 삽입된다는 것을 보장한다. 한 세트의 잉크 스틱이 각 색상의 잉크 스틱을 위한 독특한 키이 및/또는 감지 피처 배치구조를 가지는 각 색상의 잉크 스틱으로 형성된다.
삽입 키 또한 프린터의 다른 모델에 대해 계획되었던 잉크 스틱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형식의 삽입 키가 특별한 모델의 프린터의 공급 채널의 모든 키이 구멍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한 모델 프린터에 대해 계획된 잉크 스틱은 대응하는 삽입 키 소자를 포함한다. 다른 치수, 형상 또는 위치의 삽입 키가 다른 모델 프린터의 공급 채널의 키이 구멍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삽입 키 피처가 잉크 스틱이 적절한 삽입방향으로 삽입된다는 것을 보장하는데 도움을 주는 반면에, 이러한 피처들은 기본적으로 삽입 키 피처가 정확한 방향으로 놓이지 않고 삽입되는 잉크 스틱을 배제하는 작용을 한다는 점에서 배타적이다. 고객이 다양한 잉크 스틱 형태의 로딩 피처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고객은 잉크 스틱을 잉크 로더에 삽입하기 위한 적절한 방향을 알지 못할 수가 있다. 잉크 스틱이 삽입을 위한 정확한 방향에 놓여 있다고 생각하는 고객은 삽입 키 피처에 의해 초래된 저항을 무시하고, 공급 채널로 향하는 구멍을 통해 부정확하게 향한 잉크 스틱에 부주의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잉크 전달 시스템으로 향하는 잉크 스틱의 정확한 로딩에 더 많은 도움을 주기 위해, 잉크 스틱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적 방향(orientation) 지시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200)는 삽입을 위한 잉크 스틱의 정확한 방향을 프린터 사용자에게 가리키기 위한 가시적 식별 마크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잉크 스틱 몸체의 상단면에 형성된 화살표 모양의 피처를 포함한다. 화살표 모양의 피처는 화살표가 잉크 스틱의 후미 단부에서 선두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가리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이 실시예에서, 잉크 전달 시스템의 키이 구멍으로 삽입되기 전에 잉크 스틱의 선두 단부가 어느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지 프린터 사용자에게 가리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프린터의 잉크 전달 시스템에서, 잉크 스틱의 선두 단부는 삽입을 위한 잉크 전달 시스템의 공급방향을 따라서 지향되도록 계획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가시적 방향(orientation) 지시기는 가시적 공급방향(feed direction) 지시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 사용자는 잉크 스틱을 삽입 구멍으로 삽입하기 전에 잉크 로더의 공급방향과 잉크 스틱상의 화살표 모양의 피처를 정렬시킴으로써 잉크 스틱을 삽입방향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의 방향 지시기(200)가 화살표로 되어 있지만, 프린터 사용자에게 방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른 기호도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가시적 방향 지시기(200A 내지 200C)의 대안 실시예를 갖는 잉크 스틱(100A 내지 100C)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및 도 4의 화살표 형태와 유사하게, 도 5의 지시기(200A 내지 200C)는 잉크 스틱의 방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 가시적 방향 지시기(200)는 사용자에게 지시기의 가시성을 강화하기 위해 잉크 스틱의 상단면의 대부분에 걸쳐 연장하고 있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200)는 프린터 사용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고 인식할 수 있는 한도내에서 어떤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200)는 잉크 스틱 몸체의 표면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지시기가 사용될 수 있다. 최고의 가시성을 위해, 가시적 방향 지시기가 잉크 스틱 몸체의 상단면에 형성된다. 가시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가시적 방향 지시기(200)가 사용자에게 3차원으로 보여지도록 수직방향의 치수와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성된 지시기는 잉크 스틱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거나 또는 인서트(inset)될 수 있다. 도 3은 잉크 스틱의 상단면상에 볼록하게 되거나 엠보싱되어 있는 지시기(200)를 도시하고 있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200)는 대안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스틱 블록의 수평 상단면으로 각인되거나 또는 디보싱(debossing)될 수 있다. 잉크 스틱의 표면상에 방향 지시기를 엠보싱 또는 디보싱하는 것의 대안으로서, 지시기는 스탬핑, 실크스크린, 페인팅, 에칭, 또는 레이저 마킹에 의해, 또는 기타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잉크 스틱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를 위한 방향을 명백하게 하는 시스템은 프린터, 특히 로더의 삽입 영역에 또는 그 부근에 방향 지시 뿐만 아니라 그림 정보 또는 기호를 갖는 잉크 스틱을 포함한다. 그러한 그림은 텍스트 및/또는 기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라벨에 기록되거나 또는 잉크 로더나 프린트 구조물 또는 부품에 볼 수 있게 만들어진 에칭, 프린팅, 엠보싱 또는 기타 다른 방법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잉크 스틱을 삽입하기 위한 정확한 방향으로 두는데 사용자에게 추가로 도움을 주는 상호보완적 정보를 포함하는 삽입 스테이션(48)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삽입 스테이션(48)의 삽입 구멍(60F, 60G, 60H, 60J)으로 삽입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4개의 잉크 스틱(100F, 100G, 100H, 100J)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스틱(100)은 각각 구멍(60)의 삽입 키(208)에 해당하는 잉크 스틱에 배치되는 삽입 키 소자(154)를 포함한다. 잉크 스틱은 로딩 스테이션(48)의 공급방향 F를 실질적으로 가리키는 각 잉크 스틱의 상단면(134)에 형성된 화살표로 이루어진 방향 지시기를 포함한다. 잉크 스틱(100)이 정확한 방향을 가지고 있음을 보장하는 것에 추가로 도움을 주기 위해, 삽입 스테이션(48)은 각 구멍(60)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호보완적 방향 지시기(204)를 포함한다. 상호보완적 방향 지시기는 프린터 조작자에게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어떤 적절한 마크, 기호 등이 될 수 있다. 잉크 스틱을 삽입하고자 시도하는 동안에, 프린터 조작자는 잉크 스틱의 상단면(134)에 형성된 화살표(200)를 각 구멍(60)에 인접하게 배치된 화살표와 정렬시킴으로써 잉크 스틱을 삽입방향으로 두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가시적 방향 지시기(200)는 한 세트에 있는 각 잉크 스틱에 대해 동일하다. 프린터를 위한 잉크 스틱의 특별한 세트 중에 속하는 잉크 스틱을 위한 유사한 형상 및 치수의 키 소자를 갖는 공통 방향 지시기를 사용하면 잉크 스틱의 제조가 용이하게 되며, 그러한 특별한 프린터를 위한 잉크 스틱의 세트에 대해 "패밀리(family)" 외양을 강화시킨다. 지시기들의 다양한 방향 지시기의 형상들 및/또는 크기들은 프린터의 다양한 모델들을 위한 잉크 스틱들의 구별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그 형상의 일부로서 잉크 스틱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잉크 스틱 몸체의 모든 부분 또는 일부분이 가시적 방향 지시기로서 기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는 잉크 스틱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잉크 스틱의 상단면(134)의 주변은 실질적으로 화살표 형상이 되어 있으며 방향을 가리키는 잉크 스틱의 선두 단부가 화살표의 "머리"가 되고 상호보완 형상의 오목부를 포함한 잉크 스틱의 후미 단부가 화살표의 "꼬리"가 되고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의 지시기와 유사하게, 프린터 사용자는 잉크 스틱을 삽입 구멍을 통해 삽입하기 전에 화살표 모양의 잉크 스틱을 잉크 로더의 공급방향과 정렬시킴으로써 잉크 스틱을 삽입방향으로 배치할 수 있다.
삽입 지시용 스틱 형상을 사용하면 추가의 이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도 6의 잉크 스틱의 선두 단부 및 후미 단부는 실질적으로 상호보완 형상이다. 잉크 스틱의 단부들의 상호보완 형상은 인접한 잉크 스틱들을 잉크 로더에 포개어 놓는데(nesting) 용이하게 된다. 잉크 스틱의 선두 및 후미 경사면에 대해 유사한 각도를 사용함으로써 인접한 잉크 스틱들을 공급 채널에서 맞대기(abut) 하거나 또는 포개어 놓을 수 있게 한다. 잉크 로더에 잉크 스틱들을 포개어 놓으면 잉크 스틱들 사이의 빈 공간이 최소로 되기 때문에 잉크 로더에서 하중 밀도를 최대로 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추가로, 공급 채널에서 잉크 스틱을 맞대기 하면 선두의 잉크 스틱의 경사진 연장부가 다음의 스틱의 경사면에 놓이게 되어 다음의 스틱에 의해 용융판을 가압하게 되고 따라서 잉크 스틱의 베이스 부분이 용융될 때 경사진 연장부가 공급 채널의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잉크 스틱을 포개어 놓으면 인접한 잉크 스틱에 대한 하나의 잉크 스틱의 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따라서 잉크 스틱들이 공급 채널의 길이를 따라 이동할 때 잉크 스틱이 공급 채널에 대하여 또는 서로에 대하여 비뚤어지게 될 기회가 줄어든다. 특정한 방향 또는 공급방향을 제공하는 포개어지는 잉크 형태의 상술한 이점들은 방향 형상 목적에 보조 기능성을 추가하는 신규한 방법이다.
10 :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 14 : 잉크 공급부
18 : 잉크 용융 유닛 20 : 프린트헤드 조립체
30 : 압력롤러 34 : 매체
38 : 제어기 44 : 프레임
50 : 로딩 스테이션 54 : 용융 스테이션
58 : 공급 채널 60 : 키이 구멍
100 : 잉크 스틱

Claims (16)

  1.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에 사용하기 위한 잉크 스틱으로서,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ink loader)의 공급 채널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잉크 스틱 몸체로서, 상기 잉크 스틱 몸체는 선두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고, 상기 선두 단부는 상기 잉크 스틱이 공급방향으로 상기 공급 채널을 횡단할 때 상기 후미 단부를 앞서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 및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기 선두 단부와 상기 후미 단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가시적 공급방향 지시기(visual feed direction indicator)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적 공급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기 후미 단부로부터 상기 선두 단부를 향하는 화살표 형상을 포함하는 잉크 스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공급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형성되는 잉크 스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공급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단면 상에 형성되는 잉크 스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의 상기 상단면 안으로 삽입되는 잉크 스틱.
  5.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에 사용하기 위한 잉크 스틱으로서,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ink loader)의 공급 채널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잉크 스틱 몸체로서, 상기 잉크 스틱 몸체는 선두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고, 상기 선두 단부는 상기 잉크 스틱이 공급방향으로 상기 공급 채널을 횡단할 때 상기 후미 단부를 앞서 진행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 및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기 선두 단부와 상기 후미 단부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가시적 공급방향 지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스틱 몸체는 복수의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복수의 표면은 일정 형상을 한정하고,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기 형상은 상기 가시적 공급방향 지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표면은 화살표 형상을 한정하고,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기 선두 단부는 상기 화살표 형상의 선두 단부에 해당하고,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기 후미 단부는 상기 화살표 형상의 후미 단부에 해당하고,
    상기 선두 단부와 상기 후미 단부는 상호보완적으로(complementarily) 형성되는 잉크 스틱.
  6.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사용자에 대한 가시적 방향 전달 시스템으로서,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 안으로 삽입방향(insertion orientation)으로 삽입하기 위해 구성된 고체 잉크 스틱으로서, 상기 고체 잉크 스틱은 상기 잉크 스틱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에 통합된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의 삽입방향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마크를 포함하는, 상기 고체 잉크 스틱; 및
    상기 이미징 장치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표면 상에 있는 상호보완적(complementary) 방향 지시기로서, 상기 상호보완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삽입방향을 가시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마크를 포함하는, 상기 상호보완적 방향 지시기를 포함하는 가시적 방향 전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후미 단부로부터 선두 단부로 향하는 화살표 형상을 포함하는 가시적 방향 전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단면 상에 형성되는 가시적 방향 전달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보완적 방향 지시기는 삽입 구멍 부근에 위치된 화살표 형상 마크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징 장치의 공급방향으로 향하는 가시적 방향 전달 시스템.
  10.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에 사용하기 위한 잉크 스틱으로서,
    삽입방향(insertion orientation)으로 상변화 잉크 이미징 장치의 잉크 로더의 삽입 구멍을 통해 수용되도록 구성된 잉크 스틱 몸체로서, 상기 잉크 스틱 몸체는 선두 단부와 후미 단부를 갖고, 상기 선두 단부는 상기 삽입방향에 있을 때 상기 잉크 로더의 공급방향으로 실질적으로 향하고, 상기 후미 단부는 상기 삽입방향에 있을 때 상기 공급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 및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 상에 형성된 가시적 방향(orientation) 지시기로서,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공급방향으로 상기 잉크 스틱 몸체를 두기 위하여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기 선두 및 후미 단부의 방향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포함하는 잉크 스틱.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기 후미 단부로부터 상기 선두 단부로 향하는 화살표 형상을 포함하는 잉크 스틱.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단면 상에 형성되는 잉크 스틱.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의 상기 상단면 안으로 삽입되는 잉크 스틱.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잉크 스틱의 상기 상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잉크 스틱.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복수의 표면은 일정 형상을 한정하고, 상기 잉크 스틱 몸체의 상기 형상은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포함하는 잉크 스틱.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적 방향 지시기는 상기 이미징 장치 상에 위치된 상호보완적 방향 지시기와 유사한 형상을 갖는 잉크 스틱.
KR1020120016205A 2007-10-03 2012-02-17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 KR1014391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906,667 2007-10-03
US11/906,667 US8016403B2 (en) 2007-10-03 2007-10-03 Solid ink stick with visual orientation indic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418A Division KR101224370B1 (ko) 2007-10-03 2008-10-01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194A true KR20120020194A (ko) 2012-03-07
KR101439116B1 KR101439116B1 (ko) 2014-09-12

Family

ID=401392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418A KR101224370B1 (ko) 2007-10-03 2008-10-01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
KR1020120016205A KR101439116B1 (ko) 2007-10-03 2012-02-17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418A KR101224370B1 (ko) 2007-10-03 2008-10-01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16403B2 (ko)
EP (1) EP2045081B1 (ko)
JP (1) JP2009090666A (ko)
KR (2) KR101224370B1 (ko)
CN (1) CN101402287A (ko)
DE (1) DE60200800141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6255B2 (en) 2010-06-02 2013-02-05 Xerox Corporation Solid ink stick with retrieval feature
US8777386B2 (en) * 2012-10-17 2014-07-15 Xerox Corporation Solid ink stick having identical identifying features on a plurality of edges
US8727478B2 (en) 2012-10-17 2014-05-20 Xerox Corporation Ink loader having optical sensors to identify solid ink sticks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5165A (en) * 1991-05-08 1992-08-04 Gantrex Limited Device for aligning and clamping a rail
JPH0632023A (ja) * 1992-07-20 1994-02-08 Tokyo Electric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H09156120A (ja) * 1995-12-05 1997-06-17 Olympus Optical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253087A (ja) 2000-01-31 2001-09-18 Hewlett Packard Co <Hp> インクジェット印刷システム用の交換式インク容器
US6857732B2 (en) 2002-04-29 2005-02-22 Xerox Corporation Visible identification of solid ink stick
US6874880B2 (en) 2002-04-29 2005-04-05 Xerox Corporation Solid ink stick with identifiable shape
US6722764B2 (en) * 2002-04-29 2004-04-20 Xerox Corporation Feed guidance and identification for ink stick
US6672716B2 (en) * 2002-04-29 2004-01-06 Xerox Corporation Multiple portion solid ink stick
US6755517B2 (en) 2002-04-29 2004-06-29 Xerox Corporation Alignment feature for solid ink stick
US20030202056A1 (en) 2002-04-29 2003-10-30 Xerox Corporation Multiple segment keying for solid ink stick feed
US7108363B2 (en) * 2002-05-30 2006-09-19 Xerox Corporation Keying elements for solid ink loader
US6719413B2 (en) * 2002-05-30 2004-04-13 Xerox Corporation Load and feed apparatus for solid ink
JP2004318569A (ja) 2003-04-17 2004-11-11 Nec Computertechno Ltd 情報端末装置
USD521065S1 (en) * 2004-11-05 2006-05-16 Xerox Corporation Ink stick for phase change ink jet printer
US7425061B2 (en) * 2005-06-09 2008-09-16 Xerox Corporation Ink consumption determination
US7753511B2 (en) * 2006-11-28 2010-07-13 Xerox Corporation Lateral anti-skewing solution for solid ink
US7802880B2 (en) 2007-03-12 2010-09-28 Xerox Corporation Solid ink stick with canted surface
US8002382B2 (en) * 2007-04-24 2011-08-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head wiping
USD586387S1 (en) * 2007-07-18 2009-02-10 Xerox Corporation Ink stick for a phase change ink jet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90666A (ja) 2009-04-30
CN101402287A (zh) 2009-04-08
EP2045081A1 (en) 2009-04-08
KR101439116B1 (ko) 2014-09-12
EP2045081B1 (en) 2010-06-02
DE602008001417D1 (de) 2010-07-15
KR20090034743A (ko) 2009-04-08
KR101224370B1 (ko) 2013-01-21
US20090091609A1 (en) 2009-04-09
US8016403B2 (en) 201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1443B2 (en) Keying feature for solid ink stick
US6857732B2 (en) Visible identification of solid ink stick
US7780284B2 (en) Digital solid ink stick identification and recognition
US7798627B2 (en) Multi-position interlocking ink stick
KR101224370B1 (ko) 가시적 방향 지시기를 갖는 고체 잉크 스틱
KR101229248B1 (ko) 변이 지시 영역을 구비한 고형 잉크 스틱
JP2007261286A (ja)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記録装置
US7857440B2 (en) Visual identification of solid ink sticks
US8025385B2 (en) Ink sticks with visually discernible feature patterns
US8651645B2 (en) Print cartridg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EP2090440B1 (en) Solid Ink Stick with Witness Mark
US7871159B2 (en) Ink loader with adjustable insertion openings
KR101939410B1 (ko) 프린터에서 고체 잉크를 이송하기 위한 시스템
KR19980047334A (ko) 칼라 색상 표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