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0119A - 셀프 튜닝 전력 증폭기에 의한 코로나 점화 - Google Patents

셀프 튜닝 전력 증폭기에 의한 코로나 점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20119A
KR20120020119A KR1020117027077A KR20117027077A KR20120020119A KR 20120020119 A KR20120020119 A KR 20120020119A KR 1020117027077 A KR1020117027077 A KR 1020117027077A KR 20117027077 A KR20117027077 A KR 20117027077A KR 20120020119 A KR20120020119 A KR 2012002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winding
igniter
power amplifier
amplifier circui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7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7972B1 (ko
Inventor
알프레드 페르뮈
케이쓰 햄프톤
Original Assignee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filed Critical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12002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0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7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7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23/00Other ign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9/00Devices providing for corona dis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23/00Other ignition
    • F02P23/04Other physical ignition means, e.g. using laser 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9/00Electric spark ignition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P9/002Control of spark intensity, intensifying, lengthening, sup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3/00Other installations
    • F02P3/01Electric spark ignition installations without subsequent energy storage, i.e. energy supplied by an electrical oscillator

Abstract

전력 증폭기 회로는 RF 트랜스포머의 출력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출력 권선의 타단부는 그라운드에 접속된 레지스터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2개의 1차 권선을 갖고 있다. 이러한 1차 권선 모두는 가변 DC 전압원에 접속된 일단부를 갖고 있다. 각 1차 권선의 타단부는 MOSFET와 같은 스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3개의 권선 모두는 코어에 감겨있다. DC 전압원으로부터 상기 스위치로 흐르는 전류는 코어에 자속을 유도한다. 전압이 2차 권선 레지스터에 생성된다. 이러한 전압은 상술된 스위치에 피드백되어 온 및 오프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고유 진동수를 측정하고 기록할 필요가 제거된다.

Description

셀프 튜닝 전력 증폭기에 의한 코로나 점화{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 등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점화하는데 사용되는 점화기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코로나 점화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셀프-튜닝 전력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6,883,507은 코로나 방전 공기/연료 점화 시스템에 사용되는 점화기를 개시하고 있다. 연소를 시작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예에 따라, 전극이 높은, 무선 주파수("RF") 전위로 충전되어 연소실내에 강한 RF 전계를 생성한다. 이러한 강한 전계에 의해 연소실내의 연료-공기 혼합물의 일부가 이온화된다. 연료-공기 가스를 이온화하는 프로세스는 유전 브레이크다운의 시작일 수 있다. 그러나, 전계는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서, 이러한 유전 브레이크다운은 플라즈마가 형성되고 전기 아크가 전극으로부터 접지된 실린더 벽 또는 피스톤으로 부딪히는 결과를 유발하는 전극 사태의 레벨까지 진행하지 않는다. 플라즈마를 유발하는 이전에 설명된 전극 사태 연쇄 반응을 생성하기에 불충분한 부분인 연료-공기의 부분만이 이온화되는 레벨에서 유지된다. 그러나, 전계는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에 충분히 강한 상태로 유지된다. 코로나 방전에서, 전극상의 일부 전하는 소량의 전류로서 그라운드로 가스를 통해 전달됨으로써 소명되거나, 이온화된 연료-공기 혼합물로부터 전극으로 흡수되거나 전극으로부터 흘러나옴으로써 소멸되지만, 전류는 매우 적고 전극에서의 전위는 아크 방전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상태로 남아 있다. 충분히 강한 전계로 인해 연소 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연료-공기 혼합물의 일부의 이온화가 유발된다. 이러한 이온화된 연료-공기 혼합물은 자체 지속되고 남아 있는 연료-공기 혼합물을 연소시키는 프레임 프론트를 형성한다.
도 1은 용량성 결합된 RF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을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극(40)이 연료-공기 혼합물에 직접 노출되도록 피드스루 절연기(71b)의 둘러싸인 유전 재료 밖으로 뻗어 있지 않기 대문에 "용량성 결합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오히려, 전극(40)은 피드스루 절연기(71b)에 의해 덮혀져 있고 피드스루 절연기의 일부를 통과하는 전극의 전계에 종속되어 연소실(50)내에 전계를 생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 일렉트로닉스 및 제1 코일 유닛(60)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트롤 일렉트로닉스 및 제1 코일 유닛(60)은 예를 들어, DC 소스로부터 150 볼트의 전압을 라인(62)을 통해 수신하는 센터 탭핑된 제1 RF 트랜스포머(20)를 포함한다. 고전력 스위치(72)가 요구되는 주파수, 예를 들어, 고전압 회로(30; 도 1 참조)의 공진 주파수에서 2개의 위상, 위상 A와 위상 B 사이의 트랜스포머(20)에 인가되는 전력을 스위칭하도록 제공된다. 150 볼트 DC 소스 역시 컨트롤 일렉트로닉스 및 제1 코일 유닛(60)내의 제어 회로에 대한 전원(74)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제어 회로 전원(74)은 보통 스텝다운 트랜스포머를 포함하여 150 볼트 DC 소스를 컨트롤 일렉트로닉스에 수용가능한 레벨, 예를 들어, 5-12 볼트까지 강하시킨다. 도 1 및 도 2의 "A"에 도시된 트랜스포머(20)로부터의 출력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2차 코일 유닛에 수용된 고전압 회로(30)에 전력을 인가하는데 사용된다.
트랜스포머(20)로부터 출력된 전류 및 전압은 포인트 A에서 검출되고 종래 신호 컨디셔널은 예를 들어, 신호로부터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73 및 75 각각에서 실행된다. 이러한 신호 컨디셔닝은 예를 들어, 액티브, 패시브 또는 디지털, 저역통과 및 대역통과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다음, 전류 및 전압 신호는 전파 정류되고 77, 79 각각에서 평균화된다. 신호 노이즈를 제거하는 전압 및 전류의 평균화는 종래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평균화되고 정류된 전류 및 전압 신호는 전류에 의해 전압을 나눔으로써 실제 임피던스를 계신하는 제산기(80)로 송신된다. 전류 및 전압 신호는 또한 고전압 회로(30)에 대한 공진 주파수인 주파수를 출력하는 위상 검출기 및 위상 잠금 루프(PLL; 78)에 전송된다. 이러한 PLL은 전압 및 전류가 동상이 되도록 출력 주파수를 조정함으로써 공진 주파수를 결정한다. 일련의 공진 회로에 대해, 공진에서 여기될 때, 전압 및 전류는 동상이다.
계산된 임피던스 및 공진 주파수는 트랜스포머(20)를 구동하기 위해 각각 계산된 듀티 사이클을 갖는 2개의 펄스 신호, 위상 A 및 위상 B를 출력하는 펄스폭 변조기(82)로 전송된다. 펄스 신호의 주파수는 PLL(78)로부터 수신된 공진 주파수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듀티 사이클은 제산기(80)로부터 수신된 임피던스 및 시스템 컨트롤러(84)로부터 수신된 임피던스 셋포인트에 기초하고 있다. 펄스폭 변조기(82)는 2개의 펄스 신호의 듀티 사이클을 조정하여 제산기(80)로부터 측정된 임피던스가 시스템 컨트롤러(84)로부터 수신된 임피던스 셋포인트와 매칭하도록 한다.
임피던스 셋포인트를 출력하는 것에 더해 시스템 컨트롤러(84)는 또한 트리거 신호 펄스를 펄스폭 변조기(82)에 전송한다. 이러한 트래거 신호 펄스는 도 1에 도시된 고전압 회로(30) 및 전극(40)의 기동을 제어하는 트랜스포머(20)의 기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트리거 신호 펄스는 도시되지 않은, 마스터 엔진 컨트롤러(86)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신호(61)에 기초하고 있다. 이러한 타이밍 신호(61)는 점화 시퀀스를 언제 시작할 지를 결정한다. 시스템 컨트롤러(84)는 이러한 타이밍 신호(61)를 수신한 후에 적합한 시퀀스의 트리거 펄스 및 임피던스 셋포인트를 펄스폭 변조기(82)에 전송한다. 이러한 정보는 펄스폭 변조기에게, 언제 발사하는지, 얼마나 많은 시간을 발사하는지, 얼마나 오래 발사하는지 및 임피던스 셋포인트를 말하고 있다. 요구되는 코로나 특성(예를 들어, 점화 시퀀스 및 임피던스 셋포인트)은 시스템 컨트롤러(84)에서 하드 코딩될 수 있거나 이러한 정보는 마스터 엔진 컨트롤러(86)로부터 신호(63)를 통해 시스템 컨트롤러(84)에 전송될 수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84)는 현대 엔진 컨트롤 및 점화 시스템에서 관례인 바와 같이, 진단 정보를 마스터 엔진 컨트롤러(86)에 전송할 수 있다. 진단 정보의 예는 전류 및 전압 신호등으로부터 결정되는 바와 같이 언더/오버 전압원, 발사 실패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증폭기 회로는 RF 트랜스포머의 출력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출력 권선의 타단부는 그라운드에 접속된 레지스터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2개의 1차 권선을 갖고 있다. 이러한 1차 권선 모두는 가변 DC 전압원에 접속된 일단부를 갖고 있다. 각 1차 권선의 타단부는 MOSFET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3개의 권선 모두는 페라이트 코어에 감겨있다. 이러한 2개의 1차 권선은 DC 전압원으로부터 MOSFET으로 흐르는 전류가 페라이트 코어에 반대 방향으로 자속을 유도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의 진동을 시작하기 위해 MOSFET중 하나는 순시 턴온되어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링잉한다. 그 결과, 모든 노이즈를 여과하고 인덕터 커패시터의 고유 진동수에서의 전압을 남기는 회로에 공급되는 전압이 2차 권선 레지스터에 발생된다. 이러한 전압은 MOSFET에 피드백되어 온 및 오프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유 진동수를 측정하고 기록할 필요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로나 점화 시스템에 대한 전력 증폭기 회로로서, 코어에 감겨진 출력 권선과 2개의 1차 권선을 갖는 RF 트랜스포머; 상기 출력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 및 상기 출력 권선의 타단부에 접속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권선에 유도된 전류는 상기 코어에 반대방향으로 자속을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라, 상기 2개의 1차 권선은 가변 DC 전압원에 접속된 일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2개의 1차 권선의 각각의 타단부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온 및 오프 타이밍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변하는 커패시턴스를 보상하기 위해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센스 권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권선은 출력 신호를 코로나 점화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RF 트랜스포머의 출력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센싱 트랜스포머를 갖고 있는, 셀프 튜닝 증폭기 회로를 구비한 코로나 점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라, 상기 출력 권선에 유도된 전류는 2차 권선을 여기시키기 위해 상기 센싱 트랜스포머에 자속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2차 권선의 단부는 코로나 점화기를 점화하기 위해, 상기 코로나 점화 시스템을 동작시키도록 상기 셀프 튜닝 증폭기 회로 구동시키는 2개의 스위치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면으로부터 코로나 점화기를 갖고 있는 연소실로 뻗은 점화기 개구를 구비한 실린더 헤드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으로서, 엔진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 및 점화기 어셈블리를 그 공진 주파수에서 구동하도록 교류 전류 및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기 어셈블리는 상기 코로나 점화기를 점화하는 내연기고나의 연소실내의 전극 크라운에 인덕터의 일단부가 파이어링 단부 어셈블리를 통해 접속된 LCR를 형성하는 인덕터, 커패시터 및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라, 상기 전력 증폭기 회로는, 코어에 감겨진 출력 권선과 2개의 1차 권선을 갖는 RF 트랜스포머; 상기 출력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 및 상기 출력 권선의 타단부에 접속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권선에 유도된 전류는 상기 코어에 반대방향으로 자속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증폭기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 회로는 상기 출력 권선과 2개의 1차 권선을 흐르는 전류를 구동하고 상기 점화기의 공진 주파수의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점화기 어셈블리는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레지스터의 레지스턴스 및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조합될 때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상기 2개의 1차 권선은 각각, 가변 DC 전압원에 접속된 일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2개의 1차 권선의 각각의 타단부가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온 및 오프 타이밍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 이러한 증폭기 회로는 변하는 커패시턴스를 보상하기 위해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센스 권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권선은 출력 신호를 코로나 점화기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여러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러한 상세한 설명에 첨부된 도면은 아래에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코로나 방전 점화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시스템에 따른 컨트롤 일렉트로닉스 및 1차 코일 유닛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프-튜닝 회로를 도시한다.
전력 증폭기 회로는 RF 트랜스포머의 출력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를 갖고 있다. 출력 권선의 타단부는 그라운드에 접속된 레지스터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2개의 1차 권선을 갖고 있다. 양측 1차 권선은 일단부가 가변 DC 전압원에 접속되어 있다. 각 1차 권선의 타단부는 MOSFET에 부착되어 있다. 3개의 권선 모두는 페라이트 코어 둘레에 감겨져 있다. 2개의 1차 권선은 DC 전압원으로부터 MOSFET에 흐르는 전류가 반대 방향으로 페라이트 코어에 자속을 유발시키도록 배열되어 있다. 회로의 진동을 개시하기 위해 MOSFET의 하나는 대략적으로 턴온되어 인덕터 및 커패시터가 링잉하도록 한다. 그 결과, 전압이 모든 노이즈를 여과하고 인덕터 커패시터의 고유 진동수에서 전압을 전압을 남기는 회로에 공급되는 2차 권선 레지스터에 생성된다. 이러한 전압은 온/오프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MOSFET에 피드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유 진동수를 측정하고 기록하는 필요가 없어진다.
도 3에 도시된 회로는 트랜스포머, 이러한 트랜스포머를 구동하는 MOSFET 및 트랜스포머의 동작 주파수를 튜닝하는 피드백 회로를 포함하고 있다. 하나의 에에서, 이러한 트랜스포머는 코어 둘레의 4개 세트의 권선을 가진 페라이트 코어를 갖고 있다. 인덕터(L1, L2)는 DC 전압원에 접속된 포인트에서 함께 결합된 1차 권선이다. 이러한 회로는 전압원 전압의 범위를 갖고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러한 실시예에서 전압은 60VDC로 설정될 것이다. 인덕터(L1, L2)의 타단부는 각각 MOSFET으로서 도시된 스위치에 접속되어 있다. 다른 타입의 스위치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되는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인덕터(L3)는 트랜스포머의 2차 또는 출력 인덕터이다. L3의 일단부는 낮은 값 저항을 통해 접속된다. 타단부는 코로나 점화기의 인덕터에 접속되어 있다. 4차 인덕터(L6)는 상이한 길이 부착 케이블의 가변 커패시턴스를 보상하기 위해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센스 인덕터이다.
점화 시스템은 3개의 서브어셈블리, 제어 회로, 전력 증폭기 및 점화 어셈블리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 회로: 이러한 회로는 시스템에게 실린더내의 코로나를 언제 개시하고 종료할질르 말해주는 엔진 컴퓨터(ECU)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회로는 전력 증폭기 트랜스포머에 무슨 전압이 인가될 지를 결정한다. 이러한 회로의 일부는 전력 증폭기 트랜스포머에 인가되는 DC 전압을 생성한다.
전력 증폭기 회로: 이러한 회로는 공진 주파수에서 점화기 어셈블리를 구동하기 위해 교류 및 전압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회로는 오실레이션을 개시하고 종료하기 위해 제어 회로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한다. 전력 증폭기 회로는 트랜스포머를 통하는 전류를 구동하는 회로 및 점화기 어셈블리의 공진 주파수를 피드백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이러한 피드백 신호는 인덕터 공진에 관한 신호, 1차 권선 전압에 관한 신호 및 2차 권선 전압에 관한 피드백 신호를 포함한다.
점화기 어셈블리: 이러한 점화기 어셈블리는 스파크 플러그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린더 헤드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어셈블리는 연소실내의 전극을 포함하는 인덕터 및 파이어링 단부 서브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이러한 점화기 어셈블리는 LCR 어셈블리로서 함께 접속된 인덕터, 커패시터 및 레지스터를 갖고 있다. 전압이 인덕터의 일단부에 인가될 때 LCR 어셈블리는 공진한다. 인덕터는 점화기의 일부이다. 인덕터의 제2 단부는 연소실내 전극 크라운에 파이어링 엔드 어셈블리를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파이어링 단부 어셈블리 및 연소실은 인덕턴스와 결합될 때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커패시턴스 및 저항을 형성한다.
또한, 엔진 컴퓨터(ECU)와 같은 디바이스는 신호를 제어 회로에 전송한다. 이러한 신호는 제어 회로에 각 점화기에서 코로나를 언제 개시하고 종료할지를 말해준다. 이러한 제어 회로는 코로나 이벤트를 개시하기 위해 낮아지는 전력 증폭기에 통상 높은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신호는 코로나가 요구되는 한 로우 상태로 머물러 있고, 코로나 이벤트를 종료하기 위해 하이 상태로 돌아간다. 이러한 신호는 Q13의 이미터인 노드 A에 인가된다. A에서의 전압의 이러한 변화는 노드 N이 하이로부터 로우로 이동하도록 한다. 노드 N은 그다음 2개의 플레이스로 전송된다.
하나의 전송지는 Q12의 콜렉터 및 Q12 및 Q7의 베이스이다. N에서의 이러한 강하로 인해 Q12 및 Q7은 턴온하여, 전류가 노드 Z로 흐르게 한다. 2차 행선지는 R13 및 노드 1을 통해 노드 R, Q9의 베이스로 브리프 전압 강하를 전송하는 C3이다. 이것은 차례로 노드 T에서의 전압을 잠시 강하시킨다. 이러한 베이스에서의 딥은 Q5를 턴온하고, 노드 Z로부터 전류를 인출하고, 노드 B를 네가티브로부터 포지티브로 상승시킨다. 이것은 Q11을 턴온하고 Q17을 턴오프하여, Q1을 턴온하고 Q2를 턴오프시킨다. 이것은 이들의 이미터들을 풀업하는데, 이러한 이미터들은 R16 및 다이오드(2)를 통해 노드 C, M1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노드 C는 네가티브로부터 포지티브로 가서 M1을 턴온시킨다. M1의 드레인은 L2에 접속되어 있고, 이것의 소스는 그라운드에 접속되어 있다. M1을 턴온함으로써 전류가 L2를 흐를 수 있고, 이러한 L2는 트랜스포머내의 페라이트를 흐르는 자속을 유도한다.
M1이 계속 온이 됨에 따라, 전류는 노드 T에서의 전압이 Q5를 셧오프하는 값으로 리턴할 때까지 L2를 도통한다. 이로 인해 노드 Z를 통해 흐르는 전류는 R11 로부터 R18로 이동되어 노드 H를 네가티브로부터 포지티브로 상승시킨다. 이것은 Q8을 턴온하고 Q20을 턴오프하고, 이는 Q4를 턴온하고 Q3를 턴오프한다. 이것은 이들의 이미터들을 풀업하고, 이들의 이미터들은 R17 및 다이오드(3)를 통해 노드(F), M4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노드 F는 네가티브로부터 포지티브로 변경되어 M4를 턴온한다. M4를 턴온함으로써 L1에 전류가 흐를게 되고, 이러한 전류는 트랜스포머내의 페라이트를 통해, L2에 의해 유발된 자속과 반대 방향으로 자속이 흐를도록 유도한다.
트랜스포머 페라이트 자속은 트랜스포머 2차 권선 L3를 통하는 전류를 생성하고, 이러한 전류는 2차 권선 L3의 양단부에 전압을 생성한다. L3의 하나의 단부는 그라운드에 부착된 R14에 접속되어 있다. L3의 타단부는 점화기 어셈블리내의 인덕터에 부착되어 있다. 점화기 LCR 어셈블리에 인가된 급변 전압은 이러한 어셈블리가 공진하도록 유도한다. R14에 전류가 흐를 때, 노드 L의 전압은 상승한다. 이러한 전압은 R15를 통해 노드 A2에 공급된다. 노드 A2로부터의 전류는 C5 및 R19에 접속된 L5를 통과한다. 이러한 컴포넌트는 밴드 갭 필터를 형성하고, 관심 범위 밖의 주파수를 제거한다. 이러한 신호는 D7 및 D8에 의해 클립핑된 후 C7을 통과하여 Q10을 구동한다. Q10이 턴온될 때, 전류는 R18을 흐르고 R11에는 흐르지 않는다. 이것은 M1을 오프 전환하고 M4를 온 전환시키고, 그 역(逆)도 같다.
상기 발명은 관련 법적 표준에 따라 설명되었으므로, 이러한 설명은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시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수의 수정 및 변형이 상기 설명을 통해 가능하다는 것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기술되기 보다 첨부된 청구범위내에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11)

  1. 코로나 점화 시스템에 대한 전력 증폭기 회로로서,
    코어에 감겨진 출력 권선과 2개의 1차 권선을 갖는 RF 트랜스포머;
    상기 출력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 및
    상기 출력 권선의 타단부에 접속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권선에 유도된 전류는 상기 코어에 반대방향으로 자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1차 권선은 가변 DC 전압원에 접속된 일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2개의 1차 권선의 각각의 타단부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에 부착되어 있어,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온 및 오프 타이밍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변하는 커패시턴스를 보상하기 위해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센스 권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권선은 출력 신호를 코로나 점화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
  4. RF 트랜스포머의 출력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센싱 트랜스포머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튜닝 증폭기 회로를 구비한 코로나 점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권선에 유도된 전류는 2차 권선을 여기시키기 위해 상기 센싱 트랜스포머에 자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튜닝 증폭기 회로를 구비한 코로나 점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권선의 단부는 코로나 점화기를 점화하기 위해, 상기 코로나 점화 시스템을 동작시키도록 상기 셀프 튜닝 증폭기 회로 구동시키는 2개의 스위치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튜닝 증폭기 회로를 구비한 코로나 점화 시스템.
  7. 상면으로부터 코로나 점화기를 갖고 있는 연소실로 뻗은 점화기 개구를 구비한 실린더 헤드를 포함하는 내연기관으로서,
    엔진 컴퓨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제어 회로; 및
    점화기 어셈블리를 그 공진 주파수에서 구동하도록 교류 전류 및 전압 신호를 생성하는 전력 증폭기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점화기 어셈블리는 상기 코로나 점화기를 점화하는 내연기고나의 연소실내의 전극 크라운에 인덕터의 일단부가 파이어링 단부 어셈블리를 통해 접속된 LCR를 형성하는 인덕터, 커패시터 및 레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증폭기 회로는,
    코어에 감겨진 출력 권선과 2개의 1차 권선을 갖는 RF 트랜스포머;
    상기 출력 권선의 일단부에 접속된 인덕터 및 커패시터; 및
    상기 출력 권선의 타단부에 접속된 레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권선에 유도된 전류는 상기 코어에 반대방향으로 자속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회로는 상기 전력 증폭기 회로에 인가되는 전압을 결정하고,
    상기 전력 증폭기 회로는 상기 출력 권선과 2개의 1차 권선을 흐르는 전류를 구동하고 상기 점화기의 공진 주파수의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점화기 어셈블리는 상기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상기 레지스터의 레지스턴스 및 상기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조합될 때 특정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1차 권선은 각각, 가변 DC 전압원에 접속된 일단부를 갖고 있고, 상기 2개의 1차 권선의 각각의 타단부가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에 부착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 온 및 오프 타이밍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11. 제10항에 있어서, 변하는 커패시턴스를 보상하기 위해 피드백 신호를 제공하는 센스 권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권선은 출력 신호를 코로나 점화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KR1020117027077A 2009-05-08 2010-05-10 셀프 튜닝 전력 증폭기에 의한 코로나 점화 KR1016579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61409P 2009-05-08 2009-05-08
US61/176,614 2009-05-08
PCT/US2010/034231 WO2010129952A2 (en) 2009-05-08 2010-05-10 Corona ignition with self-turning power amplifi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0119A true KR20120020119A (ko) 2012-03-07
KR101657972B1 KR101657972B1 (ko) 2016-09-20

Family

ID=4305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7077A KR101657972B1 (ko) 2009-05-08 2010-05-10 셀프 튜닝 전력 증폭기에 의한 코로나 점화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78902B2 (ko)
EP (1) EP2427652B1 (ko)
JP (1) JP5878114B2 (ko)
KR (1) KR101657972B1 (ko)
CN (1) CN102459863A (ko)
BR (1) BRPI1011433A2 (ko)
WO (1) WO201012995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579A (ko) * 2016-08-08 2019-04-02 테네코 인코퍼레이티드 자가-튜닝 전력증폭기를 구비한 코로나 점화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5985B2 (en) 2008-01-07 2014-01-28 Mcalister Technologies, Llc Integrated fuel injectors and igniter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US8387599B2 (en) 2008-01-07 2013-03-05 Mcaliste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reducing the formation of oxides of nitrogen during combustion in engines
US7628137B1 (en) 2008-01-07 2009-12-08 Mcalister Roy E Multifuel storage, metering and ignition system
JP5439484B2 (ja) 2008-07-23 2014-03-12 ボーグワーナ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可燃性混合物の点火
US9413314B2 (en) 2009-05-08 2016-08-09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US10170895B2 (en) 2009-05-08 2019-01-01 Tenneco Inc.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KR101364416B1 (ko) 2009-12-07 2014-02-17 맥알리스터 테크놀로지즈 엘엘씨 대형 엔진 적용에 적합한 일체식 연료 인젝터 점화기 및 연관된 이용 및 제조방법
DE102011052096B4 (de) * 2010-09-04 2019-11-28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Erregen eines HF-Schwingkreises, welcher als Bestandteil einen Zünder zum Zünden eines Brennstoff-Luft-Gemisches in einer Verbrennungskammer hat
US8726871B2 (en) * 2011-01-13 2014-05-20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rona ignition system having selective enhanced arc formation
JP5691662B2 (ja) * 2011-03-07 2015-04-01 株式会社デンソー 非熱平衡プラズマ点火装置
US8760067B2 (en) 2011-04-04 2014-06-24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rc formation in a corona discharge ignition system
US8919377B2 (en) 2011-08-12 2014-12-30 Mcalister Technologies, Llc Acoustically actuated flow valve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reed valves
DE102011053169B4 (de) * 2011-08-24 2015-03-12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HF-Zündanlage
US8752524B2 (en) 2012-11-02 2014-06-17 Mcalister Technologies, Llc Fuel injection systems with enhanced thrust
US9169814B2 (en) 2012-11-02 2015-10-27 Mcalister Technologies, Llc Systems, methods, and devices with enhanced lorentz thrust
US9169821B2 (en) 2012-11-02 2015-10-27 Mcalister Technologies, Llc Fuel injection systems with enhanced corona burst
US9200561B2 (en) 2012-11-12 2015-12-01 Mcalister Technologies, Llc Chemical fuel conditioning and activation
US9194337B2 (en) 2013-03-14 2015-11-24 Advanced Green Innovations, LLC High pressure direct injected gaseous fuel system and retrofit kit incorporating the same
WO2014149661A1 (en) * 2013-03-15 2014-09-25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DE102013108705B4 (de) * 2013-08-12 2017-04-27 Borgwarner Ludwigsburg Gmbh Koronazündsystem und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oronazündeinrichtung
DE102013111806B3 (de) * 2013-10-25 2015-01-15 Borgwarner Beru Systems Gmbh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oronazündeinrichtung und Koronazündeinrichtung
DE102013112039B4 (de) * 2013-10-31 2015-05-07 Borgwarner Ludwigsburg Gmbh Korona-Zündsystem für einen Verbrennungsmoto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Korona-Zündsystems
KR20160097339A (ko) 2013-12-12 2016-08-17 페더럴-모굴 이그니션 컴퍼니 코로나 점화 시스템 내에서의 공진 주파수 검출 방법
US9450546B2 (en) * 2014-01-27 2016-09-2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power amplification of a signal in an integrated circuit
PE20170595A1 (es) * 2014-05-16 2017-05-24 Plasma Igniter LLC Diagnostico de ambiente de combustion
JP6738806B2 (ja) 2014-10-28 2020-08-12 ノース−ウエスト ユニヴァーシティ 点火プラグ
WO2017095412A1 (en) * 2015-12-03 2017-06-0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907606B2 (en) * 2017-11-09 2021-02-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gni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3351A (ja) * 2003-01-06 2006-04-20 イータテック インク 可燃性の気体混合物に点火するための、コロナ放電を生成し持続させるための点火システムと点火方法
JP2006129669A (ja) * 2004-11-01 2006-05-18 Masakazu Ushijima 電流共振型インバータ回路と電力制御手段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1738A (en) * 1968-04-24 1970-09-29 Bendix Corp Continuous duty ignition system
US3973545A (en) * 1975-01-23 1976-08-10 Gte Laboratories Incorporated Contactless ignition system utilizing a saturable core transformer
US4291661A (en) * 1977-07-05 1981-09-29 Gerry Martin E Inductive-capacitive modulated ignition system
US4245609A (en) * 1978-12-18 1981-01-20 Gerry Martin E Modulated AC ignition system
FR2649759B1 (fr) * 1989-07-13 1994-06-10 Siemens Bendix Automotive Elec Dispositif d'allumag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FR2670829B1 (fr) * 1990-12-19 1993-04-16 Labo Ind Generateur d'allumage haute energie notamment pour turbine a gaz.
US5361737A (en) * 1992-09-30 1994-11-08 West Virginia University Radio frequency coaxial cavity resonator as an ignition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US5549795A (en) * 1994-08-25 1996-08-27 Hughes Aircraft Company Corona source for producing corona discharge and fluid waste treatment with corona discharge
JPH08223945A (ja) * 1995-02-07 1996-08-30 Sony Corp 圧電トランスの駆動回路
CN1150348A (zh) * 1995-11-15 1997-05-21 路易斯·S·凯米利 电流峰化与射频干扰抑制装置
US5636620A (en) * 1996-05-22 1997-06-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Self diagnosing ignition control
DE19840765C2 (de) * 1998-09-07 2003-03-06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integrierte Zündeinheit für die Zündung einer Brennkraftmaschine
JP2000138097A (ja) * 1998-11-02 2000-05-16 Nippon Sheet Glass Co Ltd 平面バックライト用インバータ回路
US6112730A (en) * 1999-02-26 2000-09-05 Thomas C. Marrs Ignition system with clamping circuit for use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50208442A1 (en) * 2002-03-22 2005-09-22 Rolf Heiligers Fuel combustion device
DE10243271A1 (de) * 2002-09-18 2003-12-04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m Zünden eines Luft-Kraftstoff-Gemischs in einem Verbrennungsmotor
US7202747B2 (en) * 2003-08-05 2007-04-10 Agile Materials And Technologies, Inc. Self-tuning variable impedance circuit for impedance matching of power amplifiers
FR2859831B1 (fr) 2003-09-12 2009-01-16 Renault Sa Bougie de generation de plasma.
WO2007135584A1 (en) * 2006-05-18 2007-11-29 North-West University Ignition system
JP2009017714A (ja) * 2007-07-06 2009-01-22 Sony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US8887683B2 (en) * 2008-01-31 2014-11-18 Plasma Igniter LLC Compact electromagnetic plasma ignition device
US8783220B2 (en) * 2008-01-31 2014-07-22 West Virginia University Quarter wave coaxial cavity igniter for combustion engines
US7721697B2 (en) * 2008-01-31 2010-05-25 West Virginia University Plasma generating ignition system and associated method
JP5894526B2 (ja) * 2009-05-04 2016-03-30 フェデラル−モーグル・イグニション・カンパニー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コロナ先端絶縁体
WO2011100516A2 (en) * 2010-02-12 2011-08-18 Federal-Mogul Ignition Company Intentional arcing of a corona igniter
DE102011052096B4 (de) * 2010-09-04 2019-11-28 Borgwarner Ludwigsburg Gmbh Verfahren zum Erregen eines HF-Schwingkreises, welcher als Bestandteil einen Zünder zum Zünden eines Brennstoff-Luft-Gemisches in einer Verbrennungskammer h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3351A (ja) * 2003-01-06 2006-04-20 イータテック インク 可燃性の気体混合物に点火するための、コロナ放電を生成し持続させるための点火システムと点火方法
JP2006129669A (ja) * 2004-11-01 2006-05-18 Masakazu Ushijima 電流共振型インバータ回路と電力制御手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579A (ko) * 2016-08-08 2019-04-02 테네코 인코퍼레이티드 자가-튜닝 전력증폭기를 구비한 코로나 점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7652A1 (en) 2012-03-14
KR101657972B1 (ko) 2016-09-20
US8578902B2 (en) 2013-11-12
WO2010129952A9 (en) 2011-04-21
US20100282198A1 (en) 2010-11-11
EP2427652A4 (en) 2016-10-12
JP5878114B2 (ja) 2016-03-08
WO2010129952A2 (en) 2010-11-11
EP2427652B1 (en) 2021-08-11
BRPI1011433A2 (pt) 2016-03-15
CN102459863A (zh) 2012-05-16
JP2012526241A (ja) 201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7972B1 (ko) 셀프 튜닝 전력 증폭기에 의한 코로나 점화
US9413314B2 (en)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US11050222B2 (en) Concurrent method for resonant frequency detection in corona ignition systems
US68835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sustaining a corona electric discharge for igniting a combustible gaseous mixture
JP5208194B2 (ja) 給電デバイス及び高周波式点火デバイス
WO2014149661A1 (en)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US10263397B2 (en) Active-control resonant ignition system
JP6145045B2 (ja) マルチイベントコロナ放電点火アセンブリ、ならびに制御および操作の方法
JP6035202B2 (ja) 点火装置
US20150108914A1 (en) High-frequency discharge ignition apparatus
CA2856543C (en) Active-control resonant ignition system
US10170895B2 (en) Corona ignition with self-tuning power amplifier
KR102394538B1 (ko) 자가-튜닝 전력증폭기를 구비한 코로나 점화기
US2015011433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corona ignition device and corona ignition device
US6953032B2 (en) Combustion engine and ignition circuit for a combusti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