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879A - 차량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차량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879A
KR20120019879A KR1020100083453A KR20100083453A KR20120019879A KR 20120019879 A KR20120019879 A KR 20120019879A KR 1020100083453 A KR1020100083453 A KR 1020100083453A KR 20100083453 A KR20100083453 A KR 20100083453A KR 20120019879 A KR20120019879 A KR 20120019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chambers
baffles
silenc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0399B1 (ko
Inventor
박기철
김익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3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9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배기가스의 기류음과 고주파 소음 및 저주파 소음 등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감축을 통해 중량 감소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소음기의 콤팩트화 실현이 가능하게 되며, 단열성능 향상에 의해 차량의 열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어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소음기{Muffl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주파 배기소음과 저주파 배기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부품수 감축을 통한 중량 감소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단열성능 향상을 이룩하여 열해(thermal damage)를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소음기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용 소음기는 소정 용적을 가진 밀폐된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배플을 설치하여 다수의 챔버를 형성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는 배기가스 유입파이프 및 배기가스를 소음기 하우징의 외부로 유출시키는 배기가스 배출파이프 등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성으로,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를 통해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정된 배기경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그 압력과 소음이 저감된 상태로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를 통해 소음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소음기는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와 배기가스 배출파이프 이외에 챔버를 연결하도록 설치된 중간파이프(혹은 연결파이프)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인 바, 이로 인해 부품수 증가와 중량 증가 및 원가 상승의 단점이 있고, 더 나아가 콤팩트(compact)화에 불리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음기는 단열성능이 우수하지 못하여 차량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에 의해 쉽게 손상되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모든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고주파 배기소음과 저주파 배기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으면서, 소음기 하우징에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와 배기가스 배출파이프만이 설치된 구조가 되도록 개선하여 부품수 감축을 통한 중량 감소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함과 더불어 더 나아가 콤팩트화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며, 단열성능 향상을 통해 차량의 열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소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는,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다수개의 배플과; 입구단은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전방을 관통해서 배기파이프와 연결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게 고정 설치된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와; 입구단은 상기 배플에 의해 구획된 챔버내에서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의 출구단과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후방을 관통해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배기가스 배출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2,3배플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2,3배플에 의해 제1,2,3,4챔버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전방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1,2배플을 관통해서 상기 제3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제2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2,3배플과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후방을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배플에는 상기 제2,3챔버를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4챔버에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라스 울(glass wool)이 충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는,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2,3배플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2,3배플에 의해 제1,2,3,4챔버로 구획 형성되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전방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1,2배플을 관통해서 상기 제3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제1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챔버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입구캡이 일체로 구비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2,3배플과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후방을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4챔버에는 글라스 울(glass wool)이 충진되고; 상기 제1,2,3배플에는 상기 제1,2챔버와 상기 제2,3챔버 및 상기 제3,4챔버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에서 상기 제1,2챔버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에서 상기 제2,4챔버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는,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2,3배플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2,3배플에 의해 제1,2,3,4챔버로 구획 형성되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전방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1,2,3배플을 관통해서 상기 제4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4챔버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출구캡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제1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챔버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입구캡이 일체로 구비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2,3배플과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후방을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4챔버에는 글라스 울(glass wool)이 충진되고; 상기 제1,2,3배플에는 상기 제1,2챔버와 상기 제2,3챔버 및 상기 제3,4챔버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에서 상기 제1,2,3챔버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에서 상기 제2,4챔버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소음기는, 배기가스의 기류음과 고주파 소음 및 저주파 소음 등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부품수의 감축을 통해 중량 감소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소음기의 콤팩트화 실현이 가능하게 되며, 단열성능 향상에 의해 차량의 열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어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배기가스 배출파이프의 입구단이 벨 마우스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된 소정 체적을 가진 소음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다수개의 배플과, 입구단은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전방을 관통해서 배기파이프와 연결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위치되게 고정 설치된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와, 입구단은 상기 배플에 의해 구획된 챔버내에서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의 출구단과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후방을 관통해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제1,2,3배플(21,22,23)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2,3배플(21,22,23)에 의해 제1,2,3,4챔버(11,12,13,14)로 구획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는 입구단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전방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1,2배플(21,22)을 관통해서 상기 제3챔버(13)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는 입구단이 상기 제2챔버(12)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2,3배플(22,23)과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후방을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의 출구단과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의 입구단이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배플(22)에는 상기 제2,3챔버(12,13)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22a)가 형성된다.
상기 제3챔버(13)는 헬름홀츠 공명기 역할을 하여 특정 주파수의 배기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4챔버(11,14)에는 소음기의 전방부와 후방부의 단열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열해로부터 소음기를 보호하기 위한 글라스 울(50,60;glass wool)이 각각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에서 상기 제1챔버(11)의 구간에 다수개의 타공홀(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던 배기가스의 일부는 상기 타공홀(31)을 제1챔버(11)로 배출된다.
이 결과,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를 통해서 소음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던 배기가스는 기류음이 저감되고, 동시에 상기 타공홀(31)을 통해 제1챔버(11)로 배출된 배기가스가 글라스 울(50)로 흡입됨에 따라 고주파의 배기소음이 크게 저감된다.
또한, 상기 제1배플(21)에는 상기 제1,2챔버(11,12)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21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챔버(12)내의 배기가스 일부가 상기 연결통로(21a)를 통해 상기 제1챔버(11)로 이동하여 글라스 울(50)로 흡입되는 바, 이 결과 고주파의 배기소음이 크게 저감된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에서 상기 제2챔버(12)의 구간에 다수개의 타공홀(3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를 통해서 소음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던 배기가스는 기류음이 저감되고, 동시에 상기 타공홀(32)을 통해 일부의 배기가스가 제2챔버(12)로 배출됨에 따라 저주파의 부밍소음이 크게 저감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에서 상기 제2챔버(12)의 구간에 다수개의 타공홀(4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의 입구단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압력과 속도가 감소됨에 따라 기류음이 크게 저감된다.
또한,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에서 상기 제4챔버(14)의 구간에 다수개의 타공홀(4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를 통해서 소음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던 배기가스의 일부는 상기 타공홀(42)을 제4챔버(14)로 배출된다.
이 결과,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를 통해서 소음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되던 배기가스는 기류음이 저감되고, 동시에 상기 타공홀(42)을 통해 제4챔버(14)로 배출된 배기가스가 글라스 울(60)로 흡입됨에 따라 고주파의 배기소음이 크게 저감된다.
또한, 상기 제3배플(23)에는 상기 제3,4챔버(13,14)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23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챔버(13)내의 배기가스 일부가 상기 연결통로(23a)를 통해 상기 제4챔버(14)로 이동하여 글라스 울(60)로 흡입되는 바, 이 결과 고주파의 배기소음이 크게 저감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음기는 도 2와 같이 상기 제2챔버(12)내에 위치한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의 입구단이 직경이 확장된 벨 마우스(43;bell mouth) 모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의 입구단에 형성된 벨 마우스(43)는 타공홀(41)과 함께 배기가스의 압력과 속도를 더욱 감소시킴에 따라 기류음이 한층 더 저감기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제1,2,3배플(121,122,123)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110)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2,3배플(121,122,123)에 의해 제1,2,3,4챔버(111,112,113,114)로 구획 형성되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130)는 입구단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110)의 전방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1,2배플(121,122)을 관통해서 상기 제3챔버(113)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140)는 입구단이 상기 제1챔버(111)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챔버(111)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입구캡(143)이 일체로 구비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2,3배플(122,123)과 상기 소음기 하우징(110)의 후방을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4챔버(111,114)에는 글라스 울(150,160;glass wool)이 충진되고, 상기 제1,2,3배플(121,122,123)에는 상기 제1,2챔버(111,112)와 상기 제2,3챔버(112,113) 및 상기 제3,4챔버(113,114)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121a,122a,123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130)에서 상기 제1,2챔버(111,112)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131,132)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140)에서 상기 제2,4챔버(112,114)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141,142)이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소음기는 도 4와 같이, 소음기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1,2,3배플(221,222,223)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210)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2,3배플(221,222,223)에 의해 제1,2,3,4챔버(211,212,213,214)로 구획 형성되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230)는 입구단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210)의 전방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1,2,3배플(221,222,223)을 관통해서 상기 제4챔버(214)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4챔버(214)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출구캡(234)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240)는 입구단이 상기 제1챔버(211)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챔버(211)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입구캡(243)이 일체로 구비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2,3배플(222,223)과 상기 소음기 하우징(210)의 후방을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4챔버(211,214)에는 글라스 울(250,260;glass wool)이 충진되고, 상기 제1,2,3배플(221,222,223)에는 상기 제1,2챔버(211,212)와 상기 제2,3챔버(212,213) 및 상기 제3,4챔버(213,214)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221a,222a,223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230)에서 상기 제1,2,3챔버(211,212,213)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231,232,233)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240)에서 상기 제2,4챔버(212,214)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241,242)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의 소음기는 도 1에 도시된 기본 구성의 소음기와 비교하여 볼 때 배기가스 유입파이프 및 배기가스 배출파이프의 구조만 약간 다를 뿐 나머지의 다른 구성들은 동일하며, 효과 또한 크게 다르지 않기에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는 제1,2,3배플(21,22,23)에 형성된 연결통로(21a,22a,23a),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 및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에 형성된 타공홀(31,32,41,42), 그리고 제1,4챔버(11,14)에 충진된 글라스 울(50,60) 등에 의해 배기가스의 기류음과 고주파 소음 및 저주파 소음 등을 크게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소음기는 소음기 하우징(10)에 배기가스 유입파이프(30)와 배기가스 배출파이프(40)만이 설치된 구조로, 기존에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와 배기가스 배출파이프 이외에 별도로 중간파이프(혹은 연결파이프)를 함께 적용하여 구성한 소음기에 비해, 부품수가 감축되는 장점이 있고, 이로 인해 중량 감소 및 원가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더 나아가 소음기의 콤팩트화 실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음기는 전방부와 후방부에 위치한 제1,4챔버(11,14)에 글라스 울(50,60)이 충진된 구성으로, 상기 글라스 울(50,60)에 의해 단열성능이 크게 향상되고,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소음기는 차량의 열해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어서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1 - 리어 시트 2 - 프런트 시트
3 - 언더 플로어 20 - 배터리 케이스
30 - 배터리 팩 40 - 인렛 덕트
50 - 냉각팬 60 - 아웃렛 덕트

Claims (12)

  1.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다수개의 배플과;
    입구단은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전방을 관통해서 배기파이프와 연결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되게 고정 설치된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와;
    입구단은 상기 배플에 의해 구획된 챔버내에서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의 출구단과 서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후방을 관통해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배기가스 배출파이프
    를 포함하는 차량용 소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2,3배플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2,3배플에 의해 제1,2,3,4챔버로 구획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전방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1,2배플을 관통해서 상기 제3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제2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2,3배플과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후방을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배플에는 상기 제2,3챔버를 연결하도록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4챔버에는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라스 울(glass wool)이 충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에서 상기 제1챔버의 구간에는 배기가스의 기류음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고주파 배기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배플에는 고주파 배기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2챔버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에서 상기 제2챔버의 구간에는 저주파 부밍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에서 상기 제2챔버의 구간에는 배기가스의 기류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에서 상기 제4챔버의 구간에는 고주파 배기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배플에는 고주파 배기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3,4챔버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내에 위치한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의 입구단은 직경이 확장된 벨 마우스(bell mouth) 모양으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1.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2,3배플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2,3배플에 의해 제1,2,3,4챔버로 구획 형성되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전방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1,2배플을 관통해서 상기 제3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제1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챔버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입구캡이 일체로 구비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2,3배플과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후방을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4챔버에는 글라스 울(glass wool)이 충진되고;
    상기 제1,2,3배플에는 상기 제1,2챔버와 상기 제2,3챔버 및 상기 제3,4챔버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에서 상기 제1,2챔버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에서 상기 제2,4챔버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12.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제1,2,3배플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은 상기 제1,2,3배플에 의해 제1,2,3,4챔버로 구획 형성되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전방을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1,2,3배플을 관통해서 상기 제4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4챔버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출구캡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는 입구단이 상기 제1챔버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챔버와의 연결이 차단되도록 입구캡이 일체로 구비되고 출구단은 상기 제2,3배플과 상기 소음기 하우징의 후방을 순차적으로 관통해서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4챔버에는 글라스 울(glass wool)이 충진되고;
    상기 제1,2,3배플에는 상기 제1,2챔버와 상기 제2,3챔버 및 상기 제3,4챔버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통로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유입파이프에서 상기 제1,2,3챔버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되고;
    상기 배기가스 배출파이프에서 상기 제2,4챔버의 구간에 각각 다수개의 타공홀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
KR1020100083453A 2010-08-27 2010-08-27 차량용 소음기 KR101610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453A KR101610399B1 (ko) 2010-08-27 2010-08-27 차량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453A KR101610399B1 (ko) 2010-08-27 2010-08-27 차량용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879A true KR20120019879A (ko) 2012-03-07
KR101610399B1 KR101610399B1 (ko) 2016-04-07

Family

ID=46128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453A KR101610399B1 (ko) 2010-08-27 2010-08-27 차량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3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7919A (zh) * 2018-09-27 2018-12-21 江苏瑞昌哥尔德发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降噪消音器
CN109441767A (zh) * 2018-12-11 2019-03-0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消音器结构及具有其的压缩机
CN114109561A (zh) * 2021-12-31 2022-03-01 中科灵动航空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消音装置
CN114109561B (zh) * 2021-12-31 2024-05-28 中科灵动航空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消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6162B2 (ja) * 1999-02-05 2010-08-0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排気消音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57919A (zh) * 2018-09-27 2018-12-21 江苏瑞昌哥尔德发电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降噪消音器
CN109441767A (zh) * 2018-12-11 2019-03-08 珠海格力节能环保制冷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消音器结构及具有其的压缩机
CN114109561A (zh) * 2021-12-31 2022-03-01 中科灵动航空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消音装置
CN114109561B (zh) * 2021-12-31 2024-05-28 中科灵动航空科技成都有限公司 一种消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0399B1 (ko) 2016-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728B1 (ko) 차량용 소음기
JP4392592B2 (ja) 排気消音装置
JP6043526B2 (ja) デュアル排気ガス排出パイプを備えた車両用消音器
US8215450B2 (en) Exhaust muffler device
KR101283242B1 (ko) 차량용 소음기
KR20110038278A (ko) 차량용 소음기
US20190010903A1 (en) Acoustic attenuation device for an intake line
KR20120019879A (ko) 차량용 소음기
KR101488324B1 (ko) 능동소음제어 스피커의 열해방지 구조
KR20090063493A (ko) 가변 복합 소음기를 갖춘 차량의 배기 장치
CN114763754A (zh) 一种消声器
JP3134510U (ja) 車両用消音器
KR20120137094A (ko) 차량용 소음기
JP2015206314A (ja)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JP7156901B2 (ja) マフラ
CN110005554B (zh) 空气引导系统的声音谐振器和空气引导系统
CN217926025U (zh) 一种用于小型双缸汽油静音变频发电机组的消声器
CN212318116U (zh) 一种摩托车消声器
CN113339256B (zh) 减振结构、压缩机和空调器
JP7156902B2 (ja) マフラ
KR200483590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S5943446Y2 (ja) 消音器
KR101488323B1 (ko) 능동소음제어 스피커의 열해방지 구조
CN116877231A (zh) 一种消声器
KR20120008818A (ko) 차량용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