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781A -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781A
KR20120019781A KR1020100083219A KR20100083219A KR20120019781A KR 20120019781 A KR20120019781 A KR 20120019781A KR 1020100083219 A KR1020100083219 A KR 1020100083219A KR 20100083219 A KR20100083219 A KR 20100083219A KR 20120019781 A KR20120019781 A KR 20120019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resin
resin composition
leather
synthetic leath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석수복
김남호
정양기
김주일
오철
최영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화학
Priority to KR102010008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781A/ko
Publication of KR20120019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78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4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1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 D06N3/1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gelatine proteins with 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등의 내장재 및 가구용 인공 피혁과 합성 피혁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고내구성 물성 등이 우수한 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시한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는 신발, 의류 및 잡화용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고내구성 등의 물성이 요구되는 차량용 시트 등의 내장재나 가구 등의 용도로 적용하는 데는 물성 한계가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새로운 조성물 및 기존의 조성물의 배합을 통하여 자동차용 시트 등의 내장재 및 가구용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 제조용으로 적합한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구현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POLYURETHANE RESIN COMPOSITION FOR ARTIFICIAL LEATHER AND SYNTHETIC LEATHER}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등의 내장재 및 가구용 인공피혁과 합성피혁 제조용으로 적용 가능한 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의 내장재 및 인공피혁과 합성피혁을 각각 제조할 때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고내구성의 물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표피용 폴리우레탄 및 접착제용 폴리우레탄 수지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표피용 폴리우레탄 및 접착제용 폴리우레탄 수지는 인공피혁과 합성피혁을 제조하기 위하여 부직포나 직물, 편직물 등과 조합시키기 위하여 라미네이팅하거나 코팅을 통해 적용된다. 이러한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는 표면의 내마모성, 내황변성, 내광성 등을 특징짓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접착제용 폴리우레탄 수지는 표피용 폴리우레탄과 부직포, 직물, 편직물을 결합시켜 조합하는 역할과 피혁 전체의 열적 안정성을 좌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차량용 시트 등의 내장재 및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인공피혁과 합성피혁(이하 "합성피혁"이라 함)의 요구 물성은 신발용, 의류용 및 잡화용으로 사용되는 합성피혁에 비하여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내마모성, 내한성, 내열 노화성, 내광성이 요구되며, 특히 땀이나 피부지방, 화장용품에 사용되는 성분에 대한 내구성을 지닌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의 제조가 가능한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의 등장은 오랫동안 요구되어 왔다. 예를 들면, 현대자동차나 기아자동차의 경우 비금속재료 연구팀에서 작성한 기술표준에 자동차용 재료 중에 레자류나 시트류 등에 대한 규격을 규정하고 표준시험방법을 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등의 내장재 및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인공피혁과 합성피혁의 요구 물성에 부응하는 수지 조성물의 오랜 연구를 통해 특정 원자재의 특성 이해와 조합시 내마모성, 내열성, 내광성 등의 내구성이 우수한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의 제조가 가능한 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현대자동차 및 기아자동차의 비금속재료 연구팀에서 작성한 재료 규격에서 표준시험방법(레자류 및 시트류)에서 제사한 내광성(시험방법 4.12.1 내광견뢰성(A) XENON LAMP에 의한 방법), 내열노화성(시험방법 4.18.4 내열노화성), 내한성(시험방법 4.14), 내마모성(시험방법 4.19 내마모성)을 만족하는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현대자동차나 기아자동차에서 제시하는 표준시험방법(레자류, 시트류)의 재료 규격 중에서 내광성과 내열노화성 및 내한성, 그리고 내마모성 등이 특히 우수하였으며, 이에 따라 차량용 시트 등의 내장재 및 가구용 인공피혁과 합성피혁의 제조용으로 적합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을 현대자동차나 기아자동차의 비금속재료 연구팀에서 작성한 기술표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준시험방법을 토대로 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예시는 상기의 현대자동차(또는 기아자동차)의 기술표준에만 한정되어서는 아니될 것이고 차량용 시트 등의 내장재 및 가구용으로 사용되는 인공피혁과 합성피혁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종래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도 대비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이 현대자동차나 기아자동차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술표준 규격에 적합하다는 실험 데이터(물리적 특성)의 결과값은 위에서 언급한 시트 등의 내장재 및 인공피혁과 합성피혁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종래의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비교해서도 물리적 특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는 자료이다.
따라서,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물리적 특성(본 발명의 효과)을 현대자동차나 기아자동차의 비금속재료 연구팀에서 작성한 기술표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표준시험방법을 토대로 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폴리올 화합물, 쇄연장제류, 이소시아네이트류, 안정제류, 촉매류, 용제류 등으로 구성되고, 또한 합피 제조를 위하여 기능별로 구분되는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접착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기능과 역할 특성에 의해 조성되는 조성물의 원자재는 특징적으로 구분되어진다. 하기에는 상기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와 접착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폴리올 부분에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디올류 등으로 대표되는 디알칼카보네이트 또는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과 산화에틸렌, 산화프로필렌, 산화부틸렌, 산화스틸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란과 같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의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되어진다.
또한, 쇄연장제로서 대표적인 것을 예시하면 에틸렌 글리콜, 1,3 내지 1,2-프로필렌 글리콜, 1,4 내지 1,3 내지 2,3 부틸렌 클리콜, 1,6 헥산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4-비스-하이드로시메틸-사이클로헥산, 2-메틸 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단쇄의 디올 화합물과 1,2-디아니모부탄, 1,5-디아미노펜탄, 1,6-디아미노헥산, 피페라진, N,N-비스-(2-아미노에틸) 피페라진,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록헥산(이소프론디아민),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 메탄, 비스-(4-아미노-3-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탄, 1,2-1,3-1,4-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또는 1,3-디아미노프로판, 하드라진, 아디프산히드라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합성된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의 표면 개질을 위하여 아미노기, 알콜기, 아크릴록시기 등 관능기가 1개 또는 2개인 반응성 실리콘 오일이 사용되어질 수 있다.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에 도입될 수 있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들 중 특히 대표적인 것만을 예시하면, 1,4-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1,3-내지 1,4-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트-3-이소시아네이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탄(수첨 MDI), 2-내지 4-이소시아네이트사이클로헥실-2-이소시아네이트사이클로헥실메탄, 1,3-내지 1,4-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내지 2,6-디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 2,2-2,4-내지 4,4-디이소시아네이트디페닐메탄(MDI),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기계적 강도면에서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또한 내구성 및 내광성 등의 면에서 지방족 내지 지환족 디오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2. 접착용 폴리우레탄 수지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폴리올 부분에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디올류 등으로 대표되는 디알칼카보네이트 또는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과 산화에틸렌, 산화프로필렌, 산화부틸렌, 산화스틸렌,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에피클로로히드란과 같은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의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되어진다.
또한, 쇄연장제로서 대표적인 것을 예시하면 에틸렌 글리콜, 1,3 내지 1,2-프로필렌 글리콜, 1,4 내지 1,3 내지 2,3 부틸렌 클리콜, 1,6 헥산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1,4-비스-하이드로시메틸-사이클로헥산, 2-메틸 1,3-프로판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등과 같은 단쇄의 디올 화합물과 1,2-디아니모부탄, 1,5-디아미노펜탄, 1,6-디아미노헥산, 피페라진, N,N-비스-(2-아미노에틸) 피페라진,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록헥산(이소프론디아민), 비스-(4-아미노사이클로헥실) 메탄, 비스-(4-아미노-3-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탄, 1,2-1,3-1,4-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또는 1,3-디아미노프로판, 하드라진, 아디프산히드라진 등을 사용한다.
그리고, 접착용 폴리우레탄 수지에 도입될 수 있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이들 중 특히 대표적인 것만을 예시하면, 1,4-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산-1,3-내지 1,4-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트-3-이소시아네이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탄(수첨 MDI), 2-내지 4-이소시아네이트사이클로헥실-2-이소시아네이트사이클로헥실메탄, 1,3-내지 1,4-테트라메틸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내지 2,6-디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 2,2-2,4-내지 4,4-디이소시아네이트디페닐메탄(MDI),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다.
한편, 전술한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와 접착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할 때 적용되는 방법에는 폴리올 화합물 부분과 쇄연장제 조합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반응시켜 수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00,000의 범위 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올 화합물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물에 쇄연장제를 부가 반응시켜 수 평균 분자량 5,000 내지 100,000의 범위 내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또 한편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시에 필요하다면 우레탄화 촉매 및 안정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촉매나 안정제 등은 조제시에 반응의 임의단계에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촉매로서 대표적인 것을 예시하면, 트리에틸 아민, 트리에틸렌 디아민 등으로 대표되는 각종 질소함유 화합물, 아세트산 칼륨, 스테아린산 아연, 옥틸산 주석 등으로 대표되는 각종 금속염,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각종 유기금속 화합물 등이다.
그리고 안정제로 대표적인 것만 예시하면 치환 벤조트리아졸류 등의 자외선 안정제, 페놀 유도체 등의 열 산화 안정제 등이며, 각 안정제는 목적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유기용제는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 n-부틸, 메틸에틸케톤, 톨루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이소프로판올, 사이클로헥사논, 디메틸포름아미드,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또는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으로 폴리우레탄 수지의 용도에 의해 30중량부에서 70중량부 범위 내에서 반응의 개시, 반응 중 또는 반응의 종료시 임의 단계에서 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접착용 폴리우레탄 수지는 스스로 가교되지 않으므로 별도로 경화제를 첨가해야하고 경화 촉매의 사용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상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하기의 실시예 1과 실시예 2는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과 조성물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 3과 실시예 4는 접착용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 방법 및 그 조성물에 대해서 상세하게 제시하고 있다.
{실시예 1}
1.6-헥산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1,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118.3중량부와, 반응성 실리콘 23중량부, 비스-(4-이소시아네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탄(H12MDI) 46.5중량부를 70℃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의 예비중합체를 합성한 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360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K) 220중량부, 이소프로판올(IPAL) 220중량부를 넣고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록헥산(이소프론디아민) 10.9중량부를 반응시킴으로써 고형분 20중량%이고 25℃ 부루크필드 점도가 50,000cps인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얻었다.
이때, 상기 1,6-헥산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1,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의 투입량은 118중량부를 기준으로 함량 조절이 가능하나 함량이 줄어들 경우 내한성의 물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함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내마모성 및 열노화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 2}
1,6-헥산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1,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66.2중량부, 1,6-헥산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44.1중량부, 반응성 실리콘 23.8중량부, 1,4 부틸렌 글리콜 8.0중량부, 1-이소시아네이트-3-이소시아네이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로헥산(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49중량부를 70℃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의 예비중합체를 합성한 후, 디메틸포름아미드(DMF) 360중량부,메틸에틸케톤(MEK) 220중량부, 이소프로판올(IPAL) 220중량부를 넣고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사이클록헥산(이소프론디아민) 8.0중량부를 반응시킴으로써 고형분 20%이고 25℃ 부루크필드 점도가 55,000cps인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얻었다.
이때, 상기 1,6-헥산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1,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과 1,6-헥산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의 합계 투입랴은 110중량부를 기준으로 함량 조절이 가능하나 함량이 줄어들 경우 내한성의 물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고, 함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내마모성 및 열노화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 3}
3-메틸-1,5펜탄디올/1,6-헥실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1,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209.1중량부와, 1,5펜탄디올/1,6-헥실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418.1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DMF) 150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K) 150중량부를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2,4-내지 2,6-디이소시아네이트톨루엔(TDI) 65.5중량부를 70℃의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킴으로써 고형분 70%이고 25℃에서 점도가 88,000cps인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얻었다.
이때, 상기 3-메틸-1,5펜탄디올/1,6-헥실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1,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과 1,5펜탄디올/1,6-헥실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 반응 생성물인 수 평군 분자량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의 합계 627중량부를 기준으로 함량 조절이 가능하나 함량이 줄어들 경우 내한성의 물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함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내마모성 및 열노화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실시예 4}
3-메틸-1,5펜탄디올/1,6-헥실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593.4중량부와, 1,4-부탄디올 18.7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DMF) 150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K) 150중량부를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2,4-내지 2,6-디이소시아네티으톨루엔(TDI) 79.0중량부를 70℃의 온도에서 10시간 동안 반응시켜 고형분 70%이고 25℃에서 점도가 85,000cps인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얻었다.
이때, 상기 3-메틸-1.5펜탄디올/1.6-헥실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수 평균 분자량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593.4중량부를 기준으로 함량 조절이 가능하나 함량이 줄어들 경우 내한성의 물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함량이 증가할 경우에는 내마모성 및 열노화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 조성물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물성 테스트용 합성피혁을 제조하였으며, 하기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1. 표피층 배합 및 가공방법
전술한 실시예 1,2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성물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와, 안료 20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DMK) 10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K) 30중량부로 배합한 후, 이를 탈포 공정을 거친 다음, 이를 통상의 이형지 위에 0.15mm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이후 곧바로 건조 챔버를 이용하여 70℃의 온도에서 1분간 건조시킨 다음, 120℃에서 2분간 다시 건조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전술한 실시예 1,2의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와, 안료 20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DMF) 10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K) 30중량부를 배합한 다음, 이를 탈포 공정을 거친 후, 이를 통상의 이형지 위에 0.15mm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이후 곧바로 건조 챔버를 이용하여 70℃의 온도에서 1분간 건조시킨 다음, 120℃에서 2분간 다시 건조하였다.
그리고, 그 위에 추가로 전술한 실시예 3,4의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구체적으로는 실시예 3,4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성물과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용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중량부와, 경화제(예를 들면, (주)동성화학 No. #559) 15중량부, 촉진제(예를 들면, (주)동성화학 No. H-12) 3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DMF) 5중량부, 메틸에틸케톤(MEK) 25중량부를 배합한 다음, 이를 0.20mm의 두께로 도포하였다. 이후 곧바로 건조 챔버를 이용하여 70℃의 온도에서 1분간 건조한 다음, 베이스(base) 기재를 적층하였다. 다음, 상기 기재를 5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숙성과정을 거친 후, 이형지를 박리시킴으로써 테스트용 시편으로 제조하였다.
2. 시편의 표피층과 접착층의 조합
시편 A: 실시예 1의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실시예 3의 접착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시편.
시편 B: 실시예 2의 표피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과 실시예 4의 접착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시편 A와 시편 B의 물성을 테스트한 결과 현대자동차나 기아자동차에서 제시하는 표준시험방법(레자류, 시트류)의 재료 규격 중에서 내광성과 내열노화성 및 내한성, 내마모성 등이 특히 우수함으로써 차량용 시트 등의 내장재 및 가구용 인공피혁과 합성피혁의 제조용으로 적합하였다. 하기의 표 1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
내광견뢰도 열노화성 내한성 내마모성
시편 A 4,5급
표면 갈라짐 없음
4급
잔금, 깨어짐 없음
잔금,
깨어짐 없음
4,5급
시편 B 4급
표면 갈라짐 없음
4급
잔금, 깨어짐 없음
잔금,
깨어짐 없음
4,5급
ㆍ내광성(시험방법 4.12.1 내광견뢰성(A) XENON LAMP에 의한 방법)
ㆍ내열노화성(시험방법 4.18.4): 내열 조건(100℃×168시간), 내한 조건(-15℃×168시간)
ㆍ내한성(시험방법 4.14)
ㆍ내마모성(시험방법 4.19): 시트의 본체(하중 1000g×2000회)

Claims (4)

  1. 폴리올 화합물, 쇄연장제류, 이소시아네이트류, 안정제류, 촉매류, 용제류 등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의 차량용 내장재 또는 통상의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을 제조할 때 표피용으로 사용되는 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1,6-헥산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2. 폴리올 화합물, 쇄연장제류, 이소시아네이트류, 안정제류, 촉매류, 용제류 등으로 이루어지며, 통상의 차량용 내장재 또는 통상의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을 제조할 때 접착용으로 사용되는 용제형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 화합물은 {3-메틸-1,5펜탄디올/1,6-헥실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1,5펜단디올/1,6-헥실디올을 사용한 환식카보네이트와의 반응 생성물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조성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은 평균 분자량이 1,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또는 평균 분자량이 2,000인 폴리카보네이트디올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디올은 전량 또는 일부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1020100083219A 2010-08-27 2010-08-27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201200197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219A KR20120019781A (ko) 2010-08-27 2010-08-27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3219A KR20120019781A (ko) 2010-08-27 2010-08-27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781A true KR20120019781A (ko) 2012-03-07

Family

ID=4612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3219A KR20120019781A (ko) 2010-08-27 2010-08-27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78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373A1 (ko) 2013-11-29 2015-06-04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분말 슬러쉬 몰딩 조성물
KR20170002958A (ko) * 2015-06-30 2017-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마모 및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0373A1 (ko) 2013-11-29 2015-06-04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분말 슬러쉬 몰딩 조성물
KR20170002958A (ko) * 2015-06-30 2017-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마모 및 마찰견뢰도가 우수한 인공피혁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59723A1 (ko) 폴리우레탄, 그 제조방법 및 용도
US11795267B2 (en) Aqueous urethane resin composition and synthetic leather
EP2208760A1 (en) Polyurethane composition
KR20160118977A (ko) 자가-치유성 폴리우레탄의 사용 방법 및 자가-치유성 조성물
KR101369334B1 (ko) 습식 폴리우레탄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508519B2 (ja) 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皮革様シート
KR20080112272A (ko) 성형 폴리우레탄 부재와 이것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N101190973B (zh) 塑性复合元件及其制造方法
CN103483529A (zh) 聚氨酯发泡片材的制造方法以及使用其的皮革样片材状物
WO2020187336A1 (en) Waterborne polyurethane dispersion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TW201139483A (en) Urethane prepolymer
TW201829876A (zh) 合成皮革
KR20230106678A (ko) 엠보싱 가능한 비용매 pu 시트,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합성 피혁
KR20150081035A (ko)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19781A (ko) 인공피혁 및 합성피혁용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JPH0665692B2 (ja) 触媒組成物
CN111108245B (zh) 合成皮革的制造方法
KR20130056025A (ko) 내수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수분산 수지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수분산 접착제
JP6652920B2 (ja) 合成樹脂表皮材及び合成樹脂表皮材の製造方法
JP7167676B2 (ja) 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合成皮革
CN103304768B (zh) 聚氨酯泡沫片材的制造方法、聚氨酯泡沫片材以及皮革样片状物
KR101883876B1 (ko) 차량용 입체 디자인 원단
JPWO2020116304A1 (ja) 合成皮革
JPH03244619A (ja) ポリ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JPH03244624A (ja) ポリウレタン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