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347A - 학습 장치 - Google Patents

학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347A
KR20120019347A KR1020100109111A KR20100109111A KR20120019347A KR 20120019347 A KR20120019347 A KR 20120019347A KR 1020100109111 A KR1020100109111 A KR 1020100109111A KR 20100109111 A KR20100109111 A KR 20100109111A KR 20120019347 A KR20120019347 A KR 201200193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put
information
text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희
Original Assignee
김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희 filed Critical 김일희
Publication of KR2012001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3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1/00Teaching hand-writing, shorthand, drawing, or painting
    • G09B11/04Guide sheets or plates; Tracing cha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장치는 책받침 형태의 터치입력부와 필통 형태의 본체를 구비하며, 책받침처럼 터치입력부를 공책 밑에 받치고 필기를 하면 이를 이미지 형태로 또는 텍스트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함으로써, 학습 내용의 정리를 간편하게 하고, 컴퓨터나 PMP등의 휴대 단말을 통해 효과적인 복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학습 장치{Apparatus for study}
본 발명은 학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학습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를 필기 형식으로 기록하면,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저장함으로써 학습 내용의 정리를 간편하게 하고, 컴퓨터나 PMP등의 휴대 단말을 통해 효과적인 복습이 가능하도록 하는 필통과 책받침 형태의 학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생들의 전통적인 학습 방법은 교재에 수록된 진도에 맞추어 진행되는 교수자의 설명 또는 판서 내용을 공책에 필기하여 기록을 남김으로써 향후 복습이 가능토록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학습 방법은 첨단 기술이 들어서고 있는 현재까지도 크게 바뀌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교과목이 많아질수록 가지고 다녀야할 공책의 개수가 많아져 학생들에게 부담이 된다. 또한 해당 교과목에서 사용하던 공책을 두고 왔을 경우에는 다른 공책이나 연습장에 필기를 한 뒤, 원래 공책에 옮겨 적거나 오려 붙여야하기 때문에 시간과 노력이 이중으로 낭비되기도 한다.
한편, 학습 과정에서 모르는 부분이 있어서, 다른 서적을 참고하거나 또는 인터넷 검색을 통한 추가 학습이 필요한 경우, 학생들은 필기 도중 추가 내용을 기입할 공간을 막연하게 비워두거나, 추가로 학습한 내용을 덧붙이기도 한다. 따라서 공책 정리가 매우 지저분해지고 복습의 흐름이 끊어져 학습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은 노트북을 사용하여 일부 해결할 수는 있다. 즉 노트북의 타이핑을 통해 필기를 대신하여 저장하면, 다수의 공책을 가지고 다닐 필요가 없고, 필기 내용 중간에 추가 학습 정보를 끼워 넣을 수도 있으며, 인터넷 검색도 용이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하지만, 노트북의 가격이 많이 떨어지고 소형화 및 경량화가 되었다고는 하지만, 학생들이 가지고 다니기엔 여전히 고가이고, 무게 역시 공책 수권에 비하면 무거운 편이다.
또한 노트북의 타이핑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오히려 수업을 방해할 우려가 있다. 더군다나 글씨 쓰는 연습을 한창 해야 할 나이에 연필보다 키보드에 더 익숙해진다면, 학생들의 필기 실력 향상에 방해가 될 수도 있다.
더불어 수업 중에 필기해야 할 내용이 반드시 한글, 영문, 숫자 등 타이핑 가능한 것들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다양한 그림과 수식들도 필기해야 하지만, 타이핑 작업만으로는 이러한 작업이 불가능하거나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교수자는 수업 중 필요한 문제나 자료를 정리하여 유인물을 학생들에게 나누어주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교재나 공책과 별도로 이루어진 유인물을 별도로 보관할 시에는, 복습 과정에서 진도에 맞는 유인물을 찾는 데에 불편하고, 분실의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해당 유인물을 공책에 풀로 붙이곤 하지만, 이 역시 깔끔한 공책 정리에 방해가 되는 요소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학생들의 가방에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필통과 책받침 형태로 제작되어, 기존의 방식으로 공책에 필기를 하면, 이를 이미지 형태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과목별 학습 내용 정리가 용이하고 추후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을 통해서도 학습이 가능한 학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장치는, 책받침 형태의 터치입력부 및 상기 터치입력부에 입력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학습 장치이며,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상기 터치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를 처리하여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되,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페이지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를 서로 다른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입력정보 처리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특정 과목을 설정하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화면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는 문서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는 상기 스캔부에서 스캔된 문서를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특정 색상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조작부에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에는 사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의 맞춤법을 확인하되, 특정 텍스트 정보의 맞춤법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특정 텍스트 정보를 교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는, 상기 터치입력부로부터 일정 영역을 설정하는 폐곡선이 그려지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일정 영역만큼의 공백을 확보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기 저장된 표 또는 이미지 정보를 상기 확보된 일정 영역에 삽입하여 이미지 정보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외부 연결부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며,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는, 필기구 커버로 열고 닫히는 필기구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학습 장치가 학생들의 가방에 기본적으로 들어가는 책받침과 필통 형태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별도의 장치를 추가로 들고 다닌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즉, 학습 내용을 전산화하여 저장할 수 있는 노트북과 비교를 한다면, 종전에는 비교적 크기가 크고 무거운 노트북을 추가로 들고 다녀야 했지만, 본원에 따른 학습 장치는 필통과 책받침을 대신하여 들고 다니면 되기 때문에 짐이 된다는 부담이 없다. 더군다나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능을 탑재한 노트북과 달리 학습에 필요한 기능만을 탑재하였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저렴하여 보급이 활성화 될 수 있다.
또한, 공책 밑에 책받침 대신 터치입력부를 받치고 필기를 하는 전통적인 학습 방법으로 진행을 하면 필기 내용이 이미지로 또는 텍스트 정보로 변환되어 저장되는 것이기 때문에, 별도의 타이핑이나 마우스 조작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노트북 이용과 비교할 때 타이핑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고, 다양한 그림이나 수식들도 필기한 그대로 저장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 필기한 내용을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면, 맞춤법 검사를 통해 틀린 단어를 표시해주거나 교정하여 저장할 수 있어서, 학생들의 맞춤법 능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더불어 본체에 저장된 정보를 컴퓨터의 전용 프로그램을 통해 읽어와 편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PMP나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로 옮겨 이동 중 학습도 가능하다. 특히 컴퓨터 상에서 부족한 정보를 필기 내용 중간에 삽입하거나, 모르는 부분을 즉시 인터넷을 통해 검색하여 학습 내용을 정리할 수도 있어서, 필기 내용과 보충 자료를 최적의 배치로 정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체에 마련된 스캔부를 통해 복잡한 그림이나 유인물을 스캔하여 저장할 수가 있어서, 필기 자체가 어려운 내용의 정리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고, 별도로 주어지는 유인물을 분실하더라도 내용은 확보할 수가 있으며, 진도의 흐름 중간에 유인물 내용을 삽입하여 정리할 수도 있다.
또,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 방식을 탑재하여, 교사 또는 친구들과 학습 내용을 공유하거나 교환할 수가 있어서, 친구의 공책을 빌려 옮겨 적는 등의 번거로움 없이 효과적으로 학습 내용 정리가 가능하다.
특히 교사가 표나 이미지 정보를 미리 준비하고, 학생이 표나 이미지가 삽입될 영역을 터치입력부 상에 설정해 주면, 본체에서 교사가 준비한 표나 이미지 정보를 받은 후 설정된 영역에 표나 이미지를 삽입하여 저장할 수도 있어서 편리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학습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학습 장치의 각 기능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학습 장치의 활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더불어 이하에서 설명하게 되는 각 구성부와 서버 및 시스템은 반드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적인 구성부나 서버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또는 하나 이상의 시스템의 집합으로 구현되거나 일부가 공유될 수도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학습 장치(1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장치(10)는 책받침 형태의 터치입력부(200)와 필통 형태의 본체(100)로 이루어진다.
터치입력부(200)는 사용자가 필기를 하는 위치를 감지하여 그 입력 정보를 본체(100) 측으로 전송하는 일종의 입력 장치이다. 이러한 터치입력부(200)에서 필기 위치를 감지하는 방식은 감압 방식과 정전 방식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입력부(20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책(1)의 낱장 밑에서 압력을 감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감압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미세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전용 펜을 이용하여 터치입력부 표면에 필기를 직접 하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정전 방식의 터치입력부의 적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러한 터치입력부(200)에서 필기 위치를 감지하고 그 입력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은 기존의 터치패드 기술로부터 충분히 유추가 가능하기 때문에, 자세한 기술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터치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는 연결잭(210)을 통해 본체(100)로 전송되고, 입력 정보를 수신한 본체(100)는 이를 저장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도3의 블록도와 같이 필기구 커버(140), 전원 공급 모듈(160), 조작부(130), 외부 연결부(150), 인터페이스부(170), 디스플레이부(110), 스피커(120), 스캔부(190) 및 제어모듈(180)을 포함한다.
먼저 본체(100)는 필기구(2)를 수납하는 필통 형태로 제작되며, 본체(100) 후방에 필기구 커버(140)가 구비되고, 필기구 커버(140)를 열어 본체(100) 내부 수납 공간에 필기구(2)를 수납할 수가 있다.
전원 공급 모듈(160)은 본체(100) 및 터치입력부(200)의 작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체(100) 및 터치입력부(200)는 전원 공급 모듈(160)의 외부전원 연결부(161) 또는 배터리(16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외부전원 연결부(161)는 별도의 어댑터(미도시)의 연결잭(미도시)을 통해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측면에 노출되어 구비된다.
배터리(162)는 별도의 외부 전원 연결 없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되며, 실시하기에 따라 외부전원 연결부(161)를 통해 공급되는 외부 전원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체(100) 외측으로는 사용자가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조작부(130)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130)는 다양한 기능의 사용 빈도와 특성에 따라 주 조작부(131), 보조 조작부(132) 및 휠 스위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입력부(200)를 통해 입력된 필기 내용은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이 되는데, 이때 휠 스위치를 조작하면 미리 출력된 필기 내용을 손쉽게 탐색할 수가 있다. 또한 조작부(130)를 통해 사용자는 필기할 내용의 과목 설정 기능, 페이지 설정 기능,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의 저장 방식 선택 기능, 과목시간표 생성 기능, 입력 정보의 색상 선택 기능, 스캔 기능, 친구 또는 교사의 학습 장치와의 공유 기능, 컴퓨터(20)와의 정보 송수신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가 있다.
외부 연결부(150)는 터치입력부(200)를 비롯한 다른 외부 기기와 본체(100)를 연결해주기 위한 단자이다. 이러한 외부 연결부(150)는 터치입력부(200)와의 연결을 위한 터치입력부 단자(151), USB 메모리(184) 또는 컴퓨터(20)와 연결하기 위한 USB 단자(152), 오디오의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보조 단자(153)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연결부(150)를 통해 연결된 터치입력부(200) 또는 다른 외부 기기들과 본체(100)들 사이에서 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실시하기에 따라 근거리 무선통신 또는 블루투스 방식 등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처리 기능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입력부(200)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를 화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본체(100)의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시 사용 안내 정보나, 본체(100)의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마련된다.
스피커(120)는 오디오 형태의 정보를 출력하기 위해 마련된다. 즉 학습 내용은 반드시 시각적인 자료들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음악이나 영어 듣기, 말하기 등의 학습을 위해서는 오디오 형태의 정보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보조 단자(153)를 통해 마이크(미도시)가 연결되고, 이를 통해 오디오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모듈(180)에서 오디오 정보를 처리하여 저장하고, 조작부(130)의 명령 입력에 따라 스피커(120)를 통해 저장된 오디오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여 학습을 지원할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오디오 출력을 위한 보조 단자(153)에 이어폰(미도시) 등의 별도 음향 출력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오디오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스캔부(190)는 사용자에게 배포된 유인물을 스캔하여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스캔부(190)는 책상 위에 펼쳐진 유인물을 편리하게 스캔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바닥면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기를 하기에는 양이 너무 많거나, 복잡한 도형의 그림, 또는 유인물을 받았을 시, 별도의 필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스캔부(190)를 통해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어서, 학습 내용 정리가 수월하다.
이러한 본체(100)의 다양한 기능들은 제어모듈(180)의 제어 기능에 의해 저장 및 출력된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180)은 입력정보 처리부(181), 텍스트 변환부(182), 제어부(183), 메모리(184), 화면 출력부(185) 및 오디오 처리부(18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정보 처리부(181)는 터치입력부(200)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를 처리하여 이미지 정보로 변환한다. 즉 터치입력부(200)에서는 필기에 의해 압력이 감지된 위치 정보를 전자적인 신호로 출력하여 본체(100) 측으로 전송하는데, 이렇게 터치입력부(200)에서 전송된 전자적인 신호인 입력 정보에 대응하여 입력정보 처리부(181)에서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때 입력정보 처리부(181)는, 터치입력부(200)로부터 일정 영역을 설정하는 폐곡선이 그려지는 것을 확인하면, 폐곡선으로 선택되어진 일정 영역만큼의 공백을 확보하고, 조작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미리 저장되어 있는, 또는 다른 학습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표나 이미지 정보를 확보된 영역에 삽입하여 이미지 정보로 변환할 수도 있다. 즉, 또 다른 학습 장치를 소지한 교사가 표나 이미지 정보를 미리 준비하고, 학생이 표나 이미지가 삽입될 영역을 터치입력부(200) 상에 설정해 주면, 본체(100)에서 교사가 준비한 표나 이미지 정보를 받은 후 설정된 영역에 표나 이미지를 삽입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텍스트 변환부(182)는 입력정보 처리부(181)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정보로 변환한다.
제어부(183)는 텍스트 변환부(182)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메모리(184)에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제어부(183)는 입력 정보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그대로 메모리(184)에 저장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미지 정보에 비하여 텍스트 정보가 차지하는 용량이 훨씬 적고, 편집에서 용이한 점도 있기 때문에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터치입력부(200)에서 입력된 입력 정보가 이미지 형태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저장될 것인지에 대한 여부는 조작부(130)에서 사용자의 명령 입력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3)는 조작부(130)에서 입력되는 특정 과목을 설정하는 명령에 대응하여 이미지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를 메모리(184)에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즉 과목에 따라 서로 다른 폴더나 파일로 구분하여 이미지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것이다.
또한, 입력정보 처리부(181)에서 입력 정보를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고, 텍스트 변환부(182)에서 이미지 정보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방식은 일정 시간에 따라, 또는 한글자마다, 또는 음절마다, 또는 줄바꿈에 따라, 또는 페이지 넘김에 따라 다양한 시점에서 변환 처리될 수 있다. 예컨대 1페이지를 설정하는 명령이 조작부(130)를 통해 입력되었다면, 입력 정보를 1페이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2페이지를 설정하는 명령이 조작부(130)를 통해 입력되었다면, 입력 정보를 2페이지에 대응하는 이미지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공책에서는 페이지를 넘겨서 필기를 하지만, 터치입력부(200) 상에서는 같은 영역에 필기를 할 경우가 있을 때, 하나의 이미지 정보에서 같은 영역에 입력 정보가 중복으로 기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터치입력부(200)에서 입력되는 정보는 과목별, 페이지별로 구분하여 서로 다른 폴더나 파일로 구분하여 저장됨으로써, 향후 사용자가 학습할 내용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또한 특정 과목과 페이지로 구분되어 저장이 된 이후에, 해당 과목의 학습이 다시 진행되어, 해당 과목을 다시 선택하였다면, 이후에 필기되는 입력 정보는 해당 과목에 대하여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입력 정보에 누적되어 차순의 페이지로 저장되도록 처리한다.
한편 터치입력부(200)에서 전송된 입력 정보를 메모리(184)에 저장할 시, 제어부(183)는 조작부(130)에서 설정된 특정 색상에 대응하여 텍스트 정보가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즉, 학습 내용을 필기할 시에는 중요한 내용을 붉은색 글씨로 기재하기도 하는데, 이 경우 사용자가 조작부(130)에서 필기 색상을 지정할 수가 있는 것이며, 조작부(130)에서 특정 색상이 선택되면, 특정 색상 설정 이후에 입력된 입력 정보는 해당 색상으로 메모리(184)에 저장하는 것이다. 물론 입력정보 처리부(181)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그대로 메모리(184)에 저장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사용자가 조작부(130)를 통해 특정 색상을 선택하게 되면, 해당 색상의 이미지 정보가 저장 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입력정보 처리부(181)는 스캔부(190)에서 스캔된 문서를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며, 제어부(183)는 이렇게 입력정보 처리부(181)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메모리(184)에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서 제어부(183)는 다양한 기능을 처리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어부(183)에 설치된 프로그램은 컴퓨터(20)와의 연결을 통해 업데이트 될 수도 있다.
메모리(184)는 내장형 또는 본체(100)에서 탈착이 가능한 형태의 저장매체이다. 이러한 메모리(184)에는 터치입력부(200), 스캔부(190) 또는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된 이미지, 텍스트, 또는 오디오 형태의 입력 정보가 저장된다.
화면 출력부(185)는 입력정보 처리부(181)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 또는 텍스트 변환부(182)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기 위해 마련된다.
화면 출력부(185)는 입력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거나, 또는 조작부(130)의 조작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어 있는 입력 정보를 화면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휠스위치(133) 조작을 할 경우, 화면 출력부(185)는 출력되는 입력 정보가 스크롤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130)를 통해 저장되어 있는 입력 정보를 탐색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는 탐색 과정에서 특정 입력 정보를 지우거나 수정할 수도 있다. 즉 조작부(130)의 조절을 통해 입력 정보를 탐색하던 중 특정 입력 정보를 선택하여 지우도록 하거나, 추가 내용을 삽입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메모리(184)에 저장된 입력 정보는 컴퓨터(20)로 전송되어 편집과 추가 내용 삽입이 가능하지만,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장치(10)에서도 간단한 편집 과정을 지원함으로써, 즉흥적인 편집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특정 색상을 선택하는 조작 명령을 입력하였다면, 화면 출력부(185)는 디스플레이부(110)에서 출력되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의 입력 정보가 선택된 색상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184)에는 사전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3)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사전 정보를 기반으로, 텍스트 변환부(182)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의 맞춤법을 확인하여, 특정 텍스트 정보의 맞춤법이 틀렸을 경우 이를 자동으로 교정하여 메모리(184)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맞춤법 교정의 기능은 조작부(130)에서의 명령 입력에 따라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으며, 더불어 임의로 맞춤법이 교정되어 저장될 수도 있지만, 원래의 텍스트 정보 옆에 교정된 텍스트 정보가 표기되는 형식을 취함으로써, 향후 학습자가 어떠한 맞춤법을 틀렸는지를 확인하게 하여 맞춤법 실력을 향상케할 수도 있다.
오디오 처리부(186)는 보조 단자(153)에 연결된 마이크(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오디오 정보를 처리하여 메모리(184)에 저장하거나, 메모리(184)에 저장된 오디오 정보를 스피커(120)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한다. 또한 이어폰 등의 음향 출력 기기가 보조 단자(153)에 연결될 경우 메모리(184)에 저장된 오디오 정보를 이어폰에서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3)에서 입력 정보를 메모리(184)에 저장할 시 메모리(184)에 저장되는 텍스트 정보의 포맷은 단순한 텍스트 형태일 수도 있지만, 특정 입력 정보의 색상이나 밑줄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특수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더 거침으로써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1 내지 도3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학습 장치(10)에 따르면, 공책(1)에 받치고 사용하는 책받침 형태의 터치입력부(200)나, 스캔부(190) 및 마이크(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이미지, 텍스트 또는 오디오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학습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정리하여 저장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학습 장치(10)의 활용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체(100)의 인터페이스부(170)가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지원하면, 입력 정보를 교사나 친구들과 공유하거나 송수신할 수가 있다.
즉, 교단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가 판서해야할 내용이 많거나 복잡한 그림 등의 자료를 학생들에게 보여줘야 할 경우, 미리 학습 내용을 학습 장치(10)에 저장해 놓은 후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학생들에게 전송함으로써, 학생들이 학습 내용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학생이 학습 내용을 필기하는 도중 복잡한 표나 그림을 삽입해야 하는 경우가 생기면, 터치입력부(200) 상에(즉 공책에) 표나 그림이 삽입되어야 할 영역을 폐곡선으로 그려(물론 폐곡선이 아닌 공백을 그냥 놔두는 형식이거나, 다른 조작 방식일 수도 있음) 공간을 확보한 뒤, 교사의 학습 장치로부터 미리 준비된 표나 그림을 수신하여, 확보된 영역에 삽입하여 이미지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기 때문에 깔끔한 학습 내용 정리가 이루어질 수가 있는 것이다.
또는 학습 내용을 필기하는 도중 일부 내용을 놓치거나, 수업 자체에 참여하지 못하였을 경우, 빠진 부분의 학습 내용을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을 통해 친구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학습 내용 송수신을 위해서는 학습 장치(10) 고유번호나 사용자가 입력한 아이디 등을 이용하여 대상을 선택하여 정보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학습 장치(10)를 컴퓨터(20)와 연결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가 있다.
즉 학습 장치(10)의 USB 단자(152)를 통해 컴퓨터(20)와 통신 채널을 연결하고, 컴퓨터(20)에 설치된 전용 프로그램이 구동되어 명령이 입력되면, 학습 장치(10)의 제어부(183)는 컴퓨터(20)에 입력된 명령에 따라 메모리(184)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텍스트 또는 오디오 형태의 입력 정보를 컴퓨터(20) 측으로 전송하도록 처리한다. 물론 실시하기에 따라 학습 장치(10)와 컴퓨터(20)는 직접적인 연결이 아니더라도, 학습 장치(10)의 USB 단자(152)에 USB 메모리(미도시)를 꽂고 입력 정보를 USB 메모리(미도시)에 입력 정보를 저장하여 컴퓨터(20)에 복사하는 방식으로 정보 전송을 할 수도 있다.
컴퓨터(20)에 입력 정보가 전송되면, 사용자는 전용 프로그램에서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날짜별, 과목별 입력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다. 컴퓨터(20)에서 출력되는 입력 정보는 학습 장치(10)의 메모리(184)에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텍스트, 또는 오디오 형태의 정보일 수 있다. 컴퓨터(20) 상에 입력 정보가 출력되면, 사용자는 컴퓨터(20)의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정보를 편집할 수가 있다.
특히 텍스트 형태의 입력 정보 중 주요 인물이나, 명칭, 용어 및 영어단어 등은 검색을 위한 링크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인터넷망을 통해 즉시 검색을 하여 추가 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20)에 설치되는 전용 프로그램이나 학습 장치(10)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은 인터넷망을 통해 온라인 학습 지원 시스템(40)에 접속함으로써 다운로드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학습 지원 시스템(40)은 학년별 또는 교재별 진도에 맞춘 교육 정보나 전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교육 기관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이거나, 학습 장치(10)를 제공하는 업체에서 운영하는 웹사이트이거나, 기타 사전 정보 등을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일 수 있다.
또한 컴퓨터(20)에 전송된 입력 정보는 스마트폰 또는 PMP 등 보다 뛰어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30)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이동 중에도 언제든지 학습 내용을 복습할 수가 있다. 즉, 사용자는 학습 내용이 필기된 수많은 공책(1)이나 유인물을 들고 다니지 않더라도, 학습 내용의 효율적인 복습이 가능한 것이다.
더불어 컴퓨터(20) 상에서 소정의 편집 과정을 거친 입력 정보를 이메일이나, 웹사이트 또는 웹하드에 게시를 함으로써 친구의 컴퓨터(20')와 공유할 수도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공책
2 : 필기구
10 : 학습장치
100 : 본체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스피커
130 : 조작부
131 : 주 조작부
132 : 보조 조작부
133 : 휠스위치
140 : 필기구 커버
150 : 외부 연결부
151 : 터치입력부 단자
152 : USB 단자
153 : 보조 단자
160 : 전원 공급 모듈
161 : 외부전원 연결부
162 : 배터리
17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모듈
181 : 입력정보 처리부
182 : 텍스트 변환부
183 : 제어부
184 : 메모리
185 : 화면 출력부
186 : 오디오 처리부
190 : 스캔부
200 : 터치입력부
210 : 연결잭
20 : 컴퓨터
30 : 휴대 단말
40 : 온라인 학습 지원 시스템

Claims (9)

  1. 책받침 형태의 터치입력부 및 상기 터치입력부에 입력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학습 장치이며,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
    상기 터치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를 처리하여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되,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페이지 설정 명령에 따라 상기 터치입력부로부터 수신한 입력 정보를 서로 다른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입력정보 처리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된 특정 과목을 설정하는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는 텍스트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 또는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화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문서를 스캔하는 스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는 상기 스캔부에서 스캔된 문서를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에서 변환된 이미지 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를 통해 특정 색상을 선택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조작부에서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색상으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사전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텍스트 변환부에서 변환된 텍스트 정보의 맞춤법을 확인하되, 특정 텍스트 정보의 맞춤법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특정 텍스트 정보를 교정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정보 처리부는, 상기 터치입력부로부터 일정 영역을 설정하는 폐곡선이 그려지는 것을 확인하면, 상기 일정 영역만큼의 공백을 확보하고,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기 저장된 표 또는 이미지 정보를 상기 확보된 일정 영역에 삽입하여 이미지 정보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 연결부를 통해 컴퓨터와 연결되며, 상기 컴퓨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텍스트 정보를 상기 컴퓨터 측으로 전송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필기구 커버로 열고 닫히는 필기구가 수납되는 공간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 장치.
KR1020100109111A 2010-08-25 2010-11-04 학습 장치 KR201200193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82501 2010-08-25
KR1020100082501 2010-08-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120A Division KR20120101311A (ko) 2012-07-30 2012-07-30 학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347A true KR20120019347A (ko) 2012-03-06

Family

ID=46128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111A KR20120019347A (ko) 2010-08-25 2010-11-04 학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34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531A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9531A (ko) * 2016-11-03 2018-05-11 서문환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tchison et al. Exploring the use of the iPad for literacy learning
CN102067153B (zh) 多模态学习系统
CN201993924U (zh) 一种点读教材学习机
KR20110100770A (ko) 전자학습지 및 전자펜
CN2911793Y (zh) 多媒体电子本
Gill Using the tablet PC for instruction
Willis et al. Tablet PC's as Instructional Tools or the Pen is Mightier than the'Board!
WO2016035097A2 (en) School script
Paek et al. Digital science notebooks: A tool for supporting scientific literacy at the elementary level
KR20110100769A (ko) 전자펜, 이를 활용한 영자신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영자신문 학습 시스템
Larson Digital literacies
KR20120019347A (ko) 학습 장치
WO2013151286A1 (ko) 전자노트 기능을 갖는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20200000300A (ko) 이북을 이용한 요약노트 작성 및 암기학습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20101311A (ko) 학습 장치
KR20180137369A (ko) 이북 및 워드 문서의 요약노트 작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암기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0468613B1 (ko) 유무선 겸용 전자교과서 및 그 기록매체
Siddiqui et al. An Approach to Smart Study using Pen and Paper Learning.
KR20110034804A (ko) 학습용 전자책 단말기 및 그 학습 방법
Eurell et al. Tablet computers in the veterinary curriculum
CN215526965U (zh) 一种可写字的网课点读笔
Friedlander et al. iPad: Enhancing Learning and Communi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KR102238727B1 (ko) 성경 주석 및 강해 책자 및 단말기
Brown The growth of enterprise pedagogy: How ICT policy is infected by neo-liberalism
CN211906574U (zh) 录音式语言学习点读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