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694A -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 Google Patents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694A
KR20120018694A KR1020100081693A KR20100081693A KR20120018694A KR 20120018694 A KR20120018694 A KR 20120018694A KR 1020100081693 A KR1020100081693 A KR 1020100081693A KR 20100081693 A KR20100081693 A KR 20100081693A KR 20120018694 A KR20120018694 A KR 20120018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outer diameter
disk
end cap
sea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026B1 (ko
Inventor
라복남
Original Assignee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1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02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16C13/022Bearings supporting a hollow roll mantle rotating with respect to a yoke or ax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6Sealings of ball or roller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는, 샤프트(10), 샤프트(10)의 외경에 설치되는 베어링(20), 베어링(20)의 외경에 설치되고 제1 디스크(130)가 베어링(20)의 측방에 배치되며 제1 디스크(130)의 한쪽에 제1 관체(110)가 형성되고 관체(110)와 이격되게 제1 디스크(130)에 관형 리브(120)가 형성되는 엔드 캡(100), 제1 관체(110)의 외경에 삽입되도록 제2 관체(210)가 형성되고, 제2 관체(210)의 외경에 제2 디스크(220)가 형성되며 제2 관체(210)의 일측 단부가 제1 관체(110)와 관형 리브(120)의 사이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1 관체(110)의 단부에 닿도록 내향 단턱(214)이 형성된 인너 실링 유닛(200), 샤프트(10)의 외경에 삽입되도록 제3 관체(310)가 형성되고 제3 관체(310)의 외경에 제3 디스크(320)가 형성되며 제3 관체(310)의 외경은 제1 관체(110)의 내경에 배치된 아웃터 실링 유닛(300) 및 엔드 캡(100)의 외경에 설치되는 롤러 유닛(3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the roller end cap of roller conveyor}
본 발명은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러 컨베이어에서 롤러의 끝부분에 설치되어 이물질 또는 유수분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컨베이어는 샤프트의 외측에 롤러가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되고, 샤프트는 롤러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설치되며, 롤러와 샤프트의 사이에는 베어링이 배치된다.
롤러 컨베이어는 이송대상 물품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에 이용되는 데, 롤러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환경에는 유분, 수분 및 각종 이물질이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유분/수분 및 이물질은 롤러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경우에 베어링의 수명을 단축시키고, 롤러와 샤프트를 부식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롤러의 가장자리에는 엔드 캡이 구성되어 유분/수분 및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종래의 알려진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3688호 "컨베이어용 롤러"가 있다.
상술한 컨베이어용 롤러는 롤러의 내측에 베어링 하우징이 구비되고, 베어링 하우징의 내부에는 복원력에 의해 외측방향으로 베어링을 밀도록 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베어링의 외측에는 실링부재와 고무 패킹이 구비되고, 상술한 고무패킹과 상술한 실링부재와 상술한 베어링을 관통하도록 샤프트가 구비되며, 특히 가장 바깥쪽에 배치되는 고무패킹은 멈춤 링에 의해 샤프트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종래의 컨베이어용 롤러는 롤러 컨베이어가 구동될 때에 베어링에서 발열되어 베어링이 팽창되면 그러한 팽창된 변위를 스프링에서 흡수/완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링부재는 비접촉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로 되어 있고, 이로써 이물질이 베어링 쪽으로 유입되거나 베어링 쪽의 윤활 오일이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컨베이어용 롤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롤러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환경은 실내외를 가리지 않고, 특히 실외에 설치되거나 유분 또는 수분을 많이 사용하는 공장 등의 환경에서는 비록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 내부에 실링부재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유수분이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롤러 컨베이어의 운용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고무패킹 또는 실링부재는 열화현상이 발생하여 탄력을 잃게 되고 이로써 더 이상 기밀을 유지하는 작용을 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분 또는 수분이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에 유입되더라도 곧 바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유분 또는 수분이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 내부에 배치되는 베어링 쪽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경에 설치되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외경에 설치되고 제1 디스크가 상기 베어링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디스크의 한쪽에 제1 관체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와 이격되게 상기 제1 디스크에 관형 리브가 형성되는 엔드 캡; 상기 제1 관체의 외경에 삽입되도록 제2 관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체의 외경에 제2 디스크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관체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관체와 상기 관형 리브의 사이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1 관체의 단부에 닿도록 내향 단턱이 형성된 인너 실링 유닛; 상기 샤프트의 외경에 삽입되도록 제3 관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관체의 외경에 제3 디스크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관체의 외경은 상기 제1 관체의 내경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디스크의 외경에 단면형상이 뾰족한 형상의 에지가 형성된 아웃터 실링 유닛; 및 상기 엔드 캡의 외경에 설치되는 롤러 파이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너 실링 유닛은 상기 제2 디스크의 외측에 제1 다중 관형 리브;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실링 유닛은 상기 제3 디스크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다중 관형 리브와 교호로 접속되는 제2 다중 관형 리브;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너 실링 유닛은 상기 제2 디스크의 외경에 제1 플랩;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실링 유닛은 상기 에지의 한쪽에 상기 제1 플랩과 이격되도록 제2 플랩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는 유분 또는 수분이 실링부재의 내부에 유입되더라도, 롤러의 회전 유무와 상관없어 유분 또는 수분은 중력방향으로 흘러내려 자연적으로 배출되고 이로써 유분 또는 수분이 롤러의 내부 쪽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부분단면도면 및 분해단면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단면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실링부재와 엔드 캡 사이에서 유분 또는 수분이 배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조립상태의 부분단면도면 및 분해단면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단면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서 실링부재와 엔드 캡 사이에서 유분 또는 수분이 배출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는 일반적인 롤러의 구성에 엔드 캡(100)과 인너 실링 유닛(200) 및 아웃터 실링 유닛(300)의 구성을 개선한 것이다.
롤러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샤프트(10)의 외경에 베어링(20)이 배치되고, 베어링(20)의 외경에 엔드 캡(100)이 설치되며, 엔드 캡(100)의 외경에 롤러 파이프(30)가 배치된다.
상술한 엔드 캡(100)은 상술한 베어링(20)의 외경에 설치되는 것이고, 제1 디스크(130)가 상술한 베어링(20)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술한 제1 디스크(130)의 한쪽에 제1 관체(110)가 형성되고, 상술한 관체(110)와 이격되게 상술한 제1 디스크(130)에 관형 리브(120)가 형성된다.
상술한 인너 실링 유닛(200)은 상술한 제1 관체(110)의 외경에 삽입되도록 제2 관체(210)가 형성되고, 상술한 제2 관체(210)의 외경에 제2 디스크(220)가 형성되며, 상술한 제2 관체(210)의 일측 단부가 상술한 제1 관체(110)와 상술한 관형 리브(120)의 사이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상술한 제1 관체(110)의 단부에 닿도록 내향 단턱(214)이 형성된다.
상술한 아웃터 실링 유닛(300)은 상술한 샤프트(10)의 외경에 삽입되도록 제3 관체(310)가 형성되고, 상술한 제3 관체(310)의 외경에 제3 디스크(320)가 형성되며, 상술한 제3 관체(310)의 외경은 상술한 제1 관체(110)의 내경에 배치된다.
한편, 상술한 인너 실링 유닛(200)은 상술한 제2 디스크(220)의 외측에 제1 다중 관형 리브(222)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아웃터 실링 유닛(300)은 상술한 제3 디스크(320)의 일측에는 상술한 제1 다중 관형 리브(222)와 교호로 접속되는 제2 다중 관형 리브(322);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인너 실링 유닛(200)은 상술한 제2 디스크(220)의 외경에 제1 플랩(230)이 더 형성될 수 있고, 상술한 아웃터 실링 유닛(300)은 상술한 제3 디스크(320)의 외경에 에지(330)가 형성되고 상술한 에지(330)의 한쪽에 상술한 제1 플랩(230)과 이격되도록 제2 플랩(3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롤러 엔드 캡 구조의 작용은 첨부도면 도 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엔드 캡(100)과 인너 실링 유닛(200)이 조립되면, 인너 실링 유닛(200)의 제2 관체 단부(212)는 제1 관체(110)와 관형 리브(120)의 사이에 삽입되고 제1 디스크(130)와 제2 디스크(220)의 사이에는 상술한 관형 리브(120)의 높이만큼의 공간이 형성된다.
또한, 상술한 제2 관체(210)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내향 단턱(214)은 제1 관체(110)의 제1 관체 단부(112)에 닿게 된다.
따라서 엔드 캡(100)과 인너 실링 유닛(200)은 5면에서 밀접하게 접합하는 것으로 기밀 유지가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인너 실링 유닛(200)의 외측에 아웃터 실링 유닛(300)이 조립되면, 아웃터 실링 유닛(300)의 제3 관체(310)는 샤프트(10)의 외경에 밀접하게 삽입되고 제3 관체(310)의 단부는 베어링(20)에 닿게 되어 어느 이상 베어링(20)으로 밀착되지 않는 위치에서 아웃터 실링 유닛(300)은 인너 실링 유닛(200)과 간극을 유지하게 된다.
즉, 인너 실링 유닛(200)과 아웃터 실링 유닛(300)에 각각 형성된 제1, 제2 다중 관형 리브(222)(322)는 서로 교호로 배치되지만, 서로 닿지는 않고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그 간격을 단면에서 살펴보면 지그재그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아웃터 실링 유닛(300)의 외경에는 에지(330)가 형성되는데, 상술한 에지(330)는 엔드 캡(100)의 내경부(140)와 간극이 유지된다.
또한, 상술한 에지(330)는 단면 형상을 살펴보면, 외경방향으로 뾰족하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로써 롤러 컨베이어가 구동될 때에 아웃터 실링 유닛(300)도 회전하게 되고 이때 아웃터 실링 유닛(300)에 유분 또는 수분이 묻혔을 때에 원심력에 의해 유분 또는 수분은 에지(330)의 표면을 따라 외측으로 밀리고 에지(330)의 뾰족한 부분에서는 유분 또는 수분과 접하는 면적이 좁아져 표면장력이 극소화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유분 또는 수분을 털어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분 또는 수분의 양이 너무 많을 때에는 부득이 아웃터 실링 유닛(300)과 인너 실링 유닛(200)을 지나쳐서 유입될 수도 있겠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인너 실링 유닛(200)과 엔드 캡(100)이 긴밀하게 접하게 되어 있어서 인너 실링 유닛(200)과 엔드 캡(100)의 사이로 침투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인너 실링 유닛(200)의 제2 디스크(220)와 엔드 캡(100)의 제1 디스크(130)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유분 또는 수분이 고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상술한 공간부는 원반형상이고, 중력과 원심력이 작용되므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흘러나가 배출되게 된다.
즉, 롤러 컨베이어가 운전 중일 때에는 원심력에 의해 유분과 수분이 외측으로 밀려나가 배출되는 것이고, 롤러 컨베이어가 운전 중지되었을 때에는 유분 또는 수분이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흘러내리면서 배출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제1, 제2 플랩(230)(340)은 연질로 구성될 수 있고, 이로써 롤러 컨베이어가 정지 중일 때에는 샤프트(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측에는 제1 플랩(230)과 제2 플랩(340)이 닫히는 형태가 되고, 샤프트(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제1 플랩(230)과 제2 플랩(340)이 열리는 형태가 되어 이물질이나 유분/수분이 흘러들지 못하고, 제1 플랩(230)과 제2 플랩(340)의 사이에 스며든 유분 또는 수분은 자연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롤러 컨베이어의 엔드 캡 구조는 유분 및 수분이 다소 많이 존재하는 열악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고, 특히 유분 및 수분이 스며들더라도 자연적으로 배출되므로 유분 또는 수분에 의해 롤러 컨베이어의 롤러가 훼손되거나 수명이 비정상적으로 단축되거나 베어링(2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롤러 컨베이어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아웃터 실링 유닛(300)의 외측에는 멈춤 링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샤프트(100)에 아웃터 실링 유닛(300)을 고정시켜 아웃터 실링 유닛(3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엔드 캡 구조는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에 적용되어 유분 또는 수분이 유입되더라도 자연스럽게 흘러서 배출되도록 하여 유분 또는 수분이 롤러의 내부 쪽을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10: 샤프트 20: 베어링
30: 롤러 파이프
100: 엔드 캡 110: 제1 관체
112: 제1 관체 단부 114: 측방 그루브
120: 관형 리브 130: 제1 디스크
140: 내경부 200: 인너 실링 유닛
210: 제2 관체 212: 제2 관체 단부
214: 내향 단턱 220: 제2 디스크
222: 제1 다중 관형 리브 230: 제1 플랩
300: 아웃터 실링 유닛
310: 제3 관체 320: 제3 디스크
322: 제2 다중 관형 리브 330: 에지(edge)
340: 제2 플랩

Claims (3)

  1. 샤프트(10);
    상기 샤프트(10)의 외경에 설치되는 베어링(20);
    상기 베어링(20)의 외경에 설치되고 제1 디스크(130)가 상기 베어링(20)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디스크(130)의 한쪽에 제1 관체(110)가 형성되고 상기 관체(110)와 이격되게 상기 제1 디스크(130)에 관형 리브(120)가 형성되는 엔드 캡(100);
    상기 제1 관체(110)의 외경에 삽입되도록 제2 관체(21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체(210)의 외경에 제2 디스크(220)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관체(21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관체(110)와 상기 관형 리브(120)의 사이에 삽입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1 관체(110)의 단부에 닿도록 내향 단턱(214)이 형성된 인너 실링 유닛(200);
    상기 샤프트(10)의 외경에 삽입되도록 제3 관체(310)가 형성되고 상기 제3 관체(310)의 외경에 제3 디스크(320)가 형성되며 상기 제3 관체(310)의 외경은 상기 제1 관체(110)의 내경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디스크(320)의 외경에 단면형상이 뾰족한 형상의 에지(330)가 형성된 아웃터 실링 유닛(300); 및
    상기 엔드 캡(100)의 외경에 설치되는 롤러 파이프(30);
    을 포함하는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실링 유닛(200)은 상기 제2 디스크(220)의 외측에 제1 다중 관형 리브(222);가 더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실링 유닛(300)은 상기 제3 디스크(32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다중 관형 리브(222)와 교호로 접속되는 제2 다중 관형 리브(3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실링 유닛(200)은 상기 제2 디스크(220)의 외경에 제1 플랩(23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 실링 유닛(300)은 상기 에지(330)의 한쪽에 상기 제1 플랩(230)과 이격되도록 제2 플랩(3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KR1020100081693A 2010-08-23 2010-08-23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KR101174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93A KR101174026B1 (ko) 2010-08-23 2010-08-23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693A KR101174026B1 (ko) 2010-08-23 2010-08-23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694A true KR20120018694A (ko) 2012-03-05
KR101174026B1 KR101174026B1 (ko) 2012-08-16

Family

ID=4612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693A KR101174026B1 (ko) 2010-08-23 2010-08-23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973B1 (ko) * 2013-10-31 2014-03-14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고장진단이 가능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롤러
KR102103773B1 (ko) * 2019-08-13 2020-04-23 박경숙 컨베이어용 롤러의 래버린스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78648A1 (en) 2006-09-07 2008-04-03 Orlowski David C Bearing isolator and conveyor rol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973B1 (ko) * 2013-10-31 2014-03-14 대양롤랜트 주식회사 고장진단이 가능한 컨베이어 시스템용 롤러
KR102103773B1 (ko) * 2019-08-13 2020-04-23 박경숙 컨베이어용 롤러의 래버린스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026B1 (ko) 2012-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4468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ый узел с бесконтактным лабиринтом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2046994B (zh) 滚动轴承密封装置
RU2737819C2 (ru) Кассетная уплотнительная структура и конический роликовый подшипник
JP5386343B2 (ja) 潤滑剤を受容するための多孔要素を有する軸受け
US20120207417A1 (en) Non-contact sealing ring and sealing arrangement
JP5727586B2 (ja) 潤滑剤の保持機構とデブリの排除機構とを有するラジアルシャフトのシール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H0663541B2 (ja) 軸受シール装置
KR20160067836A (ko) 휠 베어링용 예비 실링 부로서 원심형 디스크
JP6050080B2 (ja) 密封型転がり軸受
JP2013224137A (ja) 懸架軸受装置、及び当該懸架軸受装置を装着したストラット
CN105473881A (zh) 具有迷宫密封装置的大型轴承
CN100412398C (zh) 流体轴承模组
JP2012047297A (ja) 軸受装置
KR101174026B1 (ko) 롤러 컨베이어용 롤러 엔드 캡 구조
KR101826200B1 (ko) 슬링거 구조 및 이를 적용한 차량용 휠 베어링 조립체
CN208153536U (zh) 满装圆柱滚子密封轴承
US8176674B2 (en) Roller assembly for fishing rod roller guide
CN101699105A (zh) 一种盒式轮毂防泥水油封
JP2010119913A (ja) 遠心分離機
CN205136017U (zh) 一种用于罗茨泵驱动端的自润滑双重密封结构
JP2015224688A (ja) 車輪支持用軸受ユニット
KR101322424B1 (ko) 베어링의 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휠 베어링
JPH11315843A (ja) 軸シール装置
US9248699B2 (en) Sealing device, in particular for wheel hubs of motor bikes
KR102452698B1 (ko) 휠 베어링 및 이의 씰링부재 변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