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8521A - 실란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매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란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매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8521A
KR20120018521A KR1020100081410A KR20100081410A KR20120018521A KR 20120018521 A KR20120018521 A KR 20120018521A KR 1020100081410 A KR1020100081410 A KR 1020100081410A KR 20100081410 A KR20100081410 A KR 20100081410A KR 20120018521 A KR20120018521 A KR 20120018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vdf
nanofiber
silane
teos
minu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1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호
박송희
김주용
정영진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81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8521A/ko
Publication of KR20120018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5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0/00Physical treatment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during manufacture, i.e. during a continuous production process before the filaments have been collected
    • D01D10/02Heat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란 무기물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란 무기물과 소수성 고분자, 특히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이용하여 용매안정성이 우수하고 물리적 성능이 향상된 초수수성 나노섬유 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란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매트 및 그 제조방법{Superhyrohpobic Nanofibrous Mats with a Silane Precurso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실란 무기물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 매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실란 무기물과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edene fluoride), 이하 "PVDF"라 한다.)를 이용하여 용매안정성이 우수하고 물리적 성능이 향상된 초소수성 나노섬유 매트에 관한 것이다.
전기방사기술은 최근 과학 기술계 전반에 걸쳐 큰 이슈가 되고 있는 나노기술의 대두와 함께 수 마이크로미터에서 수 나노미터까지의 직경을 가진 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으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 기술은 모든 가용성 고분자에 적용이 가능하여 탄소나노튜브에서 효소, 바이러스 같은 복잡한 종에 이르기까지 넓은 범위의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표면의 거칠기(Roughness)의 제어를 통해 표면의 친수성 또는 소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공정으로 슈퍼 발수성 나노 웹을 제작 할 수 있다.하지만 전기방사를 통해 얻은 나노 웹의 경우 강력이 낮고 외부자극에 쉽게 나노웹의 형태가 변형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된 나노 웹의 물리적 성질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수성 고분자 용액에 실란 전구체를 첨가하여 용매 저항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나노섬유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소수성 고분자 및 실란무기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실란무기물은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 및 에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나노섬유 매트는 100℃에서 10~120분간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실란무기물은 소수성 고분자 중량 대비 20~6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소수성 고분자 및 실란무기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는 용매저항성이 우수하고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는 형태안정성이 어려워 상용화되기 어려웠던 다양한 분야에 응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열처리를 하지 않은 전기방사 나노섬유 매트의 SEM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 및 일정시간 열처리한 후 DMF로 처리한 경우의 나노섬유 매트의 SEM 사진이다.
도 3a는 다양한 시간의 열처리를 한 경우의 비교예 1(PVDF-TEOS 0%) 나노섬유 매트의 XRD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열처리 시간에 따른 나노섬유 매트의 결정화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실시예 2(PVDF-TEOS 50%)의 나노섬유 매트에서 열처리 시간에 따른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전기방사 나노섬유가 100℃에서 열처리될 때, PVDF 체인이 TEOS 네트워크 사이에 침투하여 가교된(cross-linked) 실리카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PVDF-TEOS 50%)의 나노섬유 매트의 마찰 성질을 측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실란(silane) 무기물과 소수성 고분자를 이용하여 용매 안정성이 뛰어나고,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고, 초소수성의 성질을 갖는 나노섬유 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웹)는 아래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먼저, 소수성 고분자를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 formamide, 이하에서 “DMF”라 한다.)와 아세톤의 혼합용매에 첨가한 후, 40~60℃에서 12시간 정도 교반시켜서 20중량%의 PVDF 용액을 제조한다. 상기에서 DMF와 아세톤 혼합용매는 부피비로 2:1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바람직하여 특히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제조된 소수성 고분자용액 용액에 실란무기물을 소수성 고분자 중량대비 20~60중량% 넣는다. 상기 실란무기물은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 메틸트리에톡시실란(Methyltriethoxysilane, MTES),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TMOS), 에틸트리에톡시실란(Ethlytriethoxysilane, ET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이 바람직하여, 특히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무기물은 그 함량이 20중량% 이하인 경우에는 나노섬유의 구조적 안정성을 얻기 위한 열처리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지고, 실란무기물의 함량이 6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혼합용액의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며 실란무기물이 가교되는 양이 너무 많아져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웹의 형성이 어렵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매트는 DMF, DMAc(dimethylacetamide) 또는 DMSO(dimethylsulfoxide) 등의 용매에 대하여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노섬유 웹의 용매 저항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소수성 고분자와 실란무기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섬유웹으로 전기방사한 후, 90~1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열처리를 실시하여 나노섬유 웹의 용매 저항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시간은 10~120분인 것이 바람직하여, TEOS의 함량에 따라 열처리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실란무기물의 함량이 50중량% 이상인 경우에는 열처리 시간이 40분 이하인 경우에도 안정적인 용매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나노섬유에 실란무기물을 첨가함으로써, 용매에 노출되는 경우 섬유의 구조적 형태(morphology)를 보존하는데 필요한 열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하지만, 나노섬유의 구조적 안정성은 90분 이상 열처리하는 경우에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웹)는 용매 저항성에 더하여 높은 계적 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물성 향상은 열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데, 열처리시 매트(웹)상에 존재하는 소수성 고분자의 체인이 실란무기물의 네트워크 사이에 침투하여 가교된(cross-linked) 실리카 네트워크가 형성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나노섬유 매트(웹)는 소수성 고분자만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웹과 비교하여 우수한 열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PVDF에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카(tetraethyl orthosilicate, 이하 "TEOS“라 한다.)를 첨가함으로써 짧은 시간 열처리를 통해서도 용매 안정성과 물리적 성질이 증가된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다. 이는 PVDF의 결정화가 진행되는 동시에 TEOS가 PVDF 고분사 사슬 사이로 침투(interpenetrating)되면서 가교되어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강력한 나노섬유 웹(매트)을 형성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강력한 나노섬유 매트 또는 웹은 형태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종래 나노섬유 웹이 상용화되기 어려웠던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DMF와 아세톤(acetone)을 부피비 2:1로 섞은 용액 (DMF 11.94ml , 아세톤 6.79ml) 에 PVDF(Solvay Solexis (Belgium))를 3.2g 넣은 후, 50°C에서 12시간 교반시켜서 20중량%의 PVDF 용액을 만든다. 그 다음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TEOS)를 PVDF 중량대비 30중량%인 0.96g을 넣은 다음, 50°C에서 4시간 동안 교반시킨다. 만들어진 용액은 16 kV전압에서 콜렉터와 바늘 팁(tip) 사이의 거리가 15cm이고 콜렉터는 알루미늄 호일인 전기방사장치를 사용하여 약 2시간 동안 전기방사하여 20x20cm2인 나노섬유 매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PVDF/TEOS 나노섬유 매트를 100°C에서 각각 20분, 40분, 80분, 90분, 120분로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2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OS)를 PVDF 중량대비 50중량%인 1.6g 넣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섬유 매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PVDF/TEOS 나노섬유 매트를 100°C에서 각각 20분, 40분, 80분, 90분, 120분로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TEOS)를 넣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섬유 매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PVDF 나노섬유 매트를 100°C에서 각각 20분, 40분, 80분, 90분, 120분로 열처리를 실시하였다.
[물성측정방법]
나노 섬유매트의 표면은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EOLJSM-6360)으로 측정하였고, CuKα radiation (λ= 1.54) 하에서 Rigaku X-ray diffraction spectrometer 를 사용하여 X-ray diffraction (XRD)을 측정하였다.
도 1은 비교예 1(TEOS 0%)에서 제조된 전기방사 나노섬유 매트의 SEM 사진으로서, 열처리를 하지 않은 사진이다. 도 1a는 DMF 처리전이고, 도 1b는 DMF 처리후의 SEM 사진이다(섬유매트에 DMF 1mL 적하시킴). 각 섬유의 평균 직경은 150nm이며, PVDF 나노섬유매트의 water CA는 155.5°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초소수성(superhydrophobicity)을 의미한다.
특히 PVDF 매트는 gecko-state 초소수성이며, 이는 초소수성일 뿐만 아니라 물과 강하게 접착된다. 물방울은 PVDF 나노섬유 매트가 수직으로 기울어지거나 완전히 뒤집어진 경우에도 쉽게 미끄러지지 않는다. 높은 물 접착 특성은 PVDF 나노섬유웹과 물 사이의 높은 반데르 발스 힘 때문이다. DMF 노출 후에, PVDF의 낮은 결정성 때문에 나노섬유 구조는 붕괴되어, 표면 water CA가 121.5°였다.
도 2는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 및 일정시간 열처리한 후 DMF로 처리한 경우의 나노섬유 매트의 SEM 사진이다.
도 2a를 보면, PVDF/TEOS 혼합물에 의해 제조된 전기방사 나노섬유(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평균 직경이 PVDF 만으로 이루어진 전기방사 섬유(비교예 1)와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기방사용액의 점도가 유사하기 때문이다.
도 2b는 비교예 및 실시예에서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에 대하여 일정 시간(0분, 20분, 40분, 80분, 90분, 120분) 100℃에서 열처리한 경우 나노섬유 매트의 SEM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를 보면, 비교예 1의 TEOS를 포함하지 않는 PVDF 나노섬유 매트는 열처리를 하지 않은 경우 완전히 손상되었다. 또한 80분 이하로 100℃에서 열처리한 경우, DMF는 부분적으로 섬유구조를 손상시켰다. 하지만, 90분 이상 열처리한 경우 나노섬유 구조는 DMF에 노출시켜도 접합되지 않았다.
주목할 만하게도 실시예 2(PVDF-TEOS 50%) 나노섬유 웹은 40분 이하로 열처리한 경우에도 DMF에 대해 안정하였으며, DMF 노출시 PVDF 나노섬유의 구조적 안정성은 90분간 열처리를 실시한 경우에만 얻어졌다. 나노섬유에 TEOS를 첨가하는 것은 DMF 노출 하에서 섬유의 구조적 형태(morphology)를 보전하는데 필요한 열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른 용매인 DMAc(dimethylacetamide)와 DMSO(dimethylsulfoxide)에 대하여 실시예 2(PVDF-TEOS 50%)의 나노섬유의 구조적 안정성은 40분간 열처리 한 경우에 얻어졌다.
열처리한 PVDF 나노섬유 매트의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은 XRD 및 FT-IR 스펙트로스코피로 측정하였다. 도 3a는 다양한 시간의 열처리를 한 경우의 비교예 1(PVDF-TEOS 0%) 나노섬유웹의 XRD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2θ에서 회절피크(diffraction peak)는 (100), (020), (110), (021), (200) 및 (002) α-phase refrection에서 각각 17.8°, 18.4°, 20.0°, 26.5°, 36.3° 및 38.6° 이었다. β 회절피크(diffraction peak)는 2θ=20.7°로서 (110)(200) reflection에 상응한다.
XRD 패턴은 전기방사 PVDF 나노섬유에서 α 및 β phase가 공존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α-type 결정구조가 더 크게 존재한다. α 및 β phase 회절피크는 열처리 시간이 길어질수록 강도가 증가하였다.
비교예 1(PVDF-TEOS 0%)의 결정화도는 90분간 100℃에서 열처리한 후 70%에서 포화되었다. 비교예 1의 나노섬유 매트의 용매 저항성은 결정화도가 70%인 경우에만 얻어진다는 것을 도 3b에서 알 수 있다. 실시예 2( PVDF-TEOS 50%)에서의 결정화도는 40분간 100℃에서 열처리한 후 52%에서 포화되었는데, 이는 TEOS의 첨가가 PVDF의 결정화도에 기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혼성 PVDF-TEOS 구조는 낮은 결정화도에 불구하고 나노섬유의 용매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도 3c는 실시예 2(PVDF-TEOS 50%)의 나노섬유 매트에서 열처리 시간에 따른 FT-IR 스펙트럼을 나타낸 것으로서, TEOS에 의한 용매(DMF) 저항성의 화학적 근거를 조사한 것이다. PVDF의 FT-IR 스펙트럼은 α-phase에서는 764, 796, 976cm-1에서 특이 밴드를 나타내고, β-phase에서는 842, 1279cm-1에서 특이 밴드를 나타내었다. ~1070cm-1에서의 피크는 Si-O-Si 기를 의미한다. ~945cm-1의 피크는 Si-OH 기를 의미한다. 도 3c를 보면, 보다 긴 열처리 시간에서 Si-O-Si 피크의 상대적 강도는 증가했고, 보다 높은 파수로 이동했다. 반면에 Si-OH 기에 상응하는 피크는 점차 감소하였다. IR 스펙트럼 변화는 열처리 기간 동안 실라놀기(silanol group) 사이에 실록산 네트워크가 성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FT-IR 스펙트럼에서 관찰된 화학적 변화는 PVDF 체인 사이에 형성된 실록산 네트워크로도 설명할 수 있다. 전기방사 전에, PVDF/TEOS 용액의 제조과정에서, DMF 용매에 존재하는 물이 TEOS를 부분적으로 가수분해시켜서 실라놀기를 형성한다. 실라놀기 사이의 축합반응은 저분자량 폴리머를 생산했다.
도 4는 전기방사 나노섬유가 100℃에서 열처리될 때, PVDF 체인이 TEOS 네트워크 사이에 침투하여 가교된(cross-linked) 실리카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PVDF/TEOS 하이브리드 나노섬유 웹은 PVDF와TEOS 사이에 형성된 실리카 네트워크로 인하여 PVDF로만 이루어진 나노섬유 매트와 비교하여 보다 향상된 열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표 1은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실시예에서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매트와, 동일한 용액을 스핀코팅하여 제조한 매트에 있어서, 열처리시간에 따른 CAs를 나타낸 것이다.
열처리
시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스핀코팅 전기방사 스핀코팅 전기방사 스핀코팅 전기방사
0분 125.1° 155.5° 130.1° 156.2° 126.3° 157.4°
80분 123.8° 156.2° 127.7° 156.5° 127.3° 155.7°
120분 123.5° 155.8° 128.3° 157.1° 126.7° 156.2°
표 1을 보면, TEOS 함량 및 열처리 시간에 따라 water CAs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PVDF 체인이 하이브리드 폴리머 표면에 참여하여 전체 나노섬유 표면 에너지를 낮추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실시예 2(PVDF-TEOS 50%)의 나노섬유 웹의 기계적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전기방사 나노섬유 웹의 마찰 성질을 측정하였다. 나노섬유웹에 10g의 힘을 가하였다. 적용된 하중은 10g을 유지하면서 표면에 대하여 이동시켰다. 1mm/s의 속도로 30mm trace-retrace 사이클 동안 마찰을 가하였다(도 5a). 나노섬유웹과 접촉하는 프로브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고 접촉면적은 50mm2이고 10mm 길이 5mm의 폭을 가진다.
도 5b는 실시예 2(PVDF-TEOS 50%)의 나노섬유웹에 열처리 시간에 따른 마찰력을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b에서 알 수 있듯이 열처리시간이 길수록 마찰력도 상당히 증가하였다. PVDF 나노섬유 웹에서 발생한 마찰력은 주로 변형에 대한 저항으로 발생하는 것으로서, 표 1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된 PVDF 나노섬유 웹은 표면 물성은 거의 유사하기 때문이다. 열처리를 하지 않은 실시예 2(PVDF-TEOS 50%)의 나노섬유웹은 쉽게 변형되었고 프로브에 대하여 변형저항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고 낮은 마찰력을 나타내었다. 열처리시간이 길수록, TEOS의 축합 및 가교가 증가하기 때문에, 나노섬유 구조 전체에 보다 강한 네트워크가 형성되어서 매트에서 각 나노섬유의 변형저항성이 증가하였다. 높은 변형 저항성은 높은 표면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 실란 무기물인 TEOS를 포함하는 PVDF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기계적 강도 및 용매저항성이 높은 초소수성 나노섬유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기방사로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를 90~120℃,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열처리함으로써, 나노섬유 웹의 PVDF의 결정도를 향상시키고, PVDF 체인 사이에 침투된 가교된 TEOS 구조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PVDF의 결정도는 90분간 열처리 하여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전기방사 PVDF 섬유 웹의 용매저항성(DMF)을 향상시킨다.
TEOS는 PVDF의 결정화도를 방해하기는 하지만, 실시예 2(PVDF-TEOS 50%)의 나노섬유 매트는 보다 짧은 열처리시간으로도 용매저항성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실록산 네트워크에 의한 구조적 강화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나노섬유매트의 초소수성은 TEOS 함량과는 관련이 없는데, 모든 전기방사섬유 샘플들이 약 156°의 water CAs를 나타내었다. 기계적 강도는 TEOS 가교 정도에 따라서 증가되는데, 이는 나노섬유매트의 변형저항성에 의해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서 전기방사에 의해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의 접촉각은 156°로써 초소수성의 성질을 나타내며, 이는 PVDF 용액을 스핀 코팅 하여 제조된 필름의 접촉각 (127°)에 비하여 극대화된 소수성의 성질을 나타내었다. 용매저항성 및 기계적으로 강한 초소수성 나노섬유 매트는 PVDF 결정화도 및 TEOS 가교를 최적화하여 제조할 수 있고, 세미결정폴리머 기술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소수성 고분자 및 실란무기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란무기물은 테트라에틸 오르토실리케이트, 메틸트리에톡시실란, 테트라메틸 오르토실리케이트 및 에틸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매트는 90~120℃에서 10~120분간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란무기물은 소수성 고분자 중량 대비 20~6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방법.
  6. 소수성 고분자 및 실란무기물을 포함하는 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
KR1020100081410A 2010-08-23 2010-08-23 실란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185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10A KR20120018521A (ko) 2010-08-23 2010-08-23 실란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매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1410A KR20120018521A (ko) 2010-08-23 2010-08-23 실란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매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521A true KR20120018521A (ko) 2012-03-05

Family

ID=4612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1410A KR20120018521A (ko) 2010-08-23 2010-08-23 실란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매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852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449A1 (ko) * 2013-03-14 2014-09-18 (주)에프티이앤이 내열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다층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층 분리막
WO2021047318A1 (zh) * 2019-09-09 2021-03-18 上海交通大学 一种辐射制冷复合光子结构薄膜及其制备方法
CN115216889A (zh) * 2022-06-30 2022-10-21 无锡百年通工业输送有限公司 防粘附输送带用纤维膜的制备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42449A1 (ko) * 2013-03-14 2014-09-18 (주)에프티이앤이 내열성이 향상된 이차전지용 다층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다층 분리막
WO2021047318A1 (zh) * 2019-09-09 2021-03-18 上海交通大学 一种辐射制冷复合光子结构薄膜及其制备方法
CN115216889A (zh) * 2022-06-30 2022-10-21 无锡百年通工业输送有限公司 防粘附输送带用纤维膜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Eggshell membrane templating of hierarchically ordered macroporous networks composed of TiO2 tubes
US8647557B2 (en) Method for producing sheets including fibrous aerogel
KR101423757B1 (ko) 수처리용 나노섬유-그래핀 분리막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수처리용 나노섬유-그래핀 분리막
Chen et al. Electrospinning fabrication of high strength and toughness polyimide nanofiber membranes containing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Pei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ighly cross-linked polyimide aerogels based on polyimide containing trimethoxysilane side groups
CN109942848B (zh) 表面结构疏水型聚酰亚胺气凝胶薄膜的制备方法
Hong et al. Tuning the surface hydrophobicity of honeycomb porous films fabricated by star-shaped POSS-fluorinated acrylates polymer via breath-figure-templated self-assembly
KR100623881B1 (ko) 전기방사에 의한 폴리아크릴로 나이트릴-폴리이미드 나노복합섬유 제조와 이를 이용한 나노 탄소섬유 및 활성탄소섬유 제조 방법
Yuan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polyimide coating on the surface of carbon fibers
KR101804577B1 (ko) 탄소나노튜브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Eick et al. SiC nanofibers by pyrolysis of electrospun preceramic polymers
KR102159239B1 (ko) 이종원소가 도핑된 탄소나노섬유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된 이종원소가 도핑된 탄소나노섬유 및 이를 이용한 탄소나노섬유-고분자 복합소재
Gong et al. Tailoring the separation behavior of polymer-supported organosilica layered-hybrid membranes via facile post-treatment using HCl and HN3 vapors
Widakdo et al. Tailoring of graphene–organic frameworks membrane to enable reversed electrical-switchable permselectivity in CO2 separation
KR20120018521A (ko) 실란을 포함하는 초소수성 나노섬유매트 및 그 제조방법
Wu et al. Fabrication of polyimide aerogels cross-linked by a cost-effective amine-functionalized hyperbranched polysiloxane (NH2–HBPSi)
Dhanumalayan et al. Disparity in hydrophobic to hydrophilic nature of polymer blend modified by K2Ti6O13 as a function of air plasma treatment
KR101610355B1 (ko) 나노다공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필름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나노다공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필름, 및 이를 채용한 나노다공성 분리막
KR101415046B1 (ko) 내열성 및 수투과도가 향상된 메타 아라미드 중공사 및 그 제조 방법
Xu et al. Controllable preparation of methyltriethoxysilane xerogel nanofibers
Xia et al. Cellulose/Poly (meta-phenylene isophthalamide) Light-Management Films with High Antiultraviolet and Tunable Haze Performances
Chang et al. Ultratough and ultrastrong graphene oxide hybrid films via a polycationitrile approach
Komamura et al. Fabrication of well-ordered mesoporous polyimide films by a soft-template method
CN102093717A (zh) 磺化聚醚砜/TiO2纳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Liu et al. Antifouling polyethersulfone membrane blended with a dual-mode amphiphilic copoly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