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749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7494A
KR20120017494A KR1020100080087A KR20100080087A KR20120017494A KR 20120017494 A KR20120017494 A KR 20120017494A KR 1020100080087 A KR1020100080087 A KR 1020100080087A KR 20100080087 A KR20100080087 A KR 20100080087A KR 20120017494 A KR20120017494 A KR 20120017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eat exchanger
refrigerator
chamber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3332B1 (ko
Inventor
구민본
박상호
윤경석
문기용
이계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332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6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 F25D17/065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in household refrigerators with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9Cooling space dividing part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201/00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6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 F25D2317/061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through special compart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 F25D2700/121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of particular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의 냉장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냉장실과, 음식물의 저온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냉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와 열 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 상기 저장실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을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과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의 단열을 위한 단열부재; 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 활용성이 향상되고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하여, 장시간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전 기기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 공간이 개폐되고, 슬라이딩되는 서랍 형태의 저장 공간에 음식물이 저장되기도 한다.
또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 공간의 공기가 열 교환되면서 형성되는 차가운 공기를 이용하여 저장 공간을 냉각함으로써 저장 공간 내부에 수납되는 음식물들을 저온 보관하게 된다.
이처럼, 냉장고는 저장 공간 내부의 음식물의 저온 상태 즉, 각각의 음식물 보관에 가장 적합한 최적의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근래에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 등과 같은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는 경향이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제공되는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한 다양한 구조에 의해 음식물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과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실이 좌우로 구분되어 각각의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냉장실이 상측에 제공되고 냉동실이 하측에 제공되는 바텀 프리저 형태의 구조로 이루어지기도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얼음을 만드는 제빙장치와, 음료수를 취출할 수 있는 워터 디스펜서 기능이 도어에 제공되기도 한다.
나아가, 냉장고의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음식물의 저장 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물 저장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어, 이를 위한 다양한 구성의 냉장고가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두 공간으로 분리되는 저장실을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동시에 분리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어되는 절환실과 냉동실을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서로 다른 단열 정도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의 냉장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냉장실과, 음식물의 저온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냉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와 열 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 상기 저장실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을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과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의 단열을 위한 단열부재;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의 냉장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냉장실과, 음식물의 냉동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냉동실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절환실이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각 공간의 온도는 각각 제어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냉매의 유동을 위한 열교환기가 제공되고, 상기 냉동실과 상기 절환실을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동시에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따르면, 내부 공간의 효율적 활용이 가능하면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저장 공간의 분할이 용이하여 서비스를 요청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저장 공간의 분할이 가능함에 따라 음식물의 저장 공간을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내부 공간의 효율적 활용으로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공간의 효율적 활용으로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가 가능해지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장고의 유지 보수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제공되는 저장실의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제공되는 저장실의 케이스를 나타낸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제공되는 저장실의 내부 공간 후면을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제공되는 저장실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냉매 순환을 나타낸 개략도.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를 실시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상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제공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에 제한되지 않으며, 드로워 타입의 수납 부재를 수용하는 저장 공간이 구비된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보면, 냉장고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소정의 내부 공간에 의해 음식물의 저장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1)에 의해 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에는 음식물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10)과, 상기 냉장실(10)의 하측 공간에 형성되어 음식물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실(20)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은 다음에 설명할 분리부재(도 2의 22)에 의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공간에는 음식물의 냉동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냉동실(30)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식물의 냉동 또는 냉장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절환실(40)이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음식물의 저장이 가능한 드로워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저장실(20)의 후측에는 기계실이 마련되며, 상기 기계실에는 상기 냉장실(10)과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열 교환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응축하는 응축기 등이 설치된다.
상기 냉장실(10)의 전면에는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냉장실(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냉장실도어(11)가 위치한다. 상기 냉장실도어(11)에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10)을 개방하지 않고, 음료의 취출이 가능한 디스펜서가 더 제공되기도 하며, 상기 본체(1)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가 외부 공간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여주는 표시창이 더 제공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도어(11)에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10)을 개방하지 않고도 간단한 음료 또는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는 홈바 기능이 더 제공되기도 한다. 이처럼,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의 전면에는 그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도어(31)와 절환실도어(41)가 각각 제공되고, 상기 냉동실도어(31)와 상기 절환실도어(41)의 후면에는 음식물의 수납을 위한 수납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냉동실도어(31)와 상기 절환실도어(41)의 개폐시 동시에 상기 본체(1)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도어(11,31,41)에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실도어(11)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또는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절환실(40)을 개폐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는 핸들이 각각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저장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보면, 상기 저장실(20)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21)가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면서 상기 저장실(2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공간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는 분리부재(22)에 의해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에는 음식물의 냉동 저장을 위한 공간인 냉동실(30)이 마련될 수 있고, 다른 한 공간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설정 온도를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저장하는 공간인 절환실(40)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분리부재(22)에 의해 분할되는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 중 상부 공간에 상기 절환실(40)이 마련되고, 하부 공간에 상기 냉동실(30)이 마련되는 구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 중 상기 분리부재(22)의 상부 공간을 상기 절환실(40)로 정의하고 하부 공간을 상기 냉동실(30)로 정의한다.
상기 절환실(4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보관되는 음식 종류에 따라 다양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환실(40)은 사용자가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원하는 온도로 유지하면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냉장실(10)의 온도 범위에서 상기 냉동실(30)의 온도 범위까지 다양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1)는 상기 분리부재(22)에 의해 상하 공간으로 저장 공간이 분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분리부재(22)는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공간에 탈착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재(22)에 의해 상기 케이스(21)가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분할되면서 상기 저장실(20)은 상기 절환실(40)과 상기 냉동실(30)로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22)의 전면에는 세로벽(23)이 제공되고, 상기 세로벽(23)은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공간 양 측벽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공간 양 측벽에는 레일가이드(24)가 설치되어, 드로워 타입의 수납부재가 상기 본체(1)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드로워 타입의 상기 수납부재에 음식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의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하면,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 공간에 수납된 음식물이 상기 냉동실(30) 또는 상기 절환실(40)의 온도로 저장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레일가이드(24)는 상기 분리부재(22)에 의해 분할되는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에 각각 제공되어, 수납부재가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에 각각 수용되면서 음식물이 보관된다.
상기 분리부재(22)는 상부판과 하부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는 단열재가 개입된다. 상기 단열재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일 수 있으며, 진공 단열 부재와 같은 단열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재(22)의 양 측면에는 상기 분리부재(22)를 지지하는 서포터(25)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서포터(25)는 상기 냉동실(30)에 수납되는 수납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상기 레일가이드(24)와 일체로 상기 케이스(21)의 내부 공간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각각의 음식물 저장 공간 예컨대, 상기 냉장실(10)과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에는 각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제공된다.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의해 각각의 저장 공간이 설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동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각각의 음식물 저장 공간은 각각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상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의해 각각 제어되면서, 각각의 저장 공간에 적합한 설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제공되는 저장실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제공되는 저장실의 내부 공간 후면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에 제공되는 저장실의 공기 유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케이스(21)의 하면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된 다음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21)의 하면은 전단부가 상기 케이스(21)의 상면 전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후방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된다. 상기 케이스(21)의 하면이 일정 정도 후방으로 연장된 다음 그 후단부는 측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케이스(21)의 하면 후반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게 되면, 상기 케이스(21)의 하반부 후측, 상세하게는 상기 냉동실(30)의 후측에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공간이 상기 기계실이 된다. 따라서, 상기 기계실은 상기 냉동실(30)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1)의 하면 후반부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를 가지므로, 상기 케이스(21)의 후면은 상대적으로 정면보다 좁은 면적을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케이스(21)의 후측 상세하게는 상기 기계실의 상측에는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열교환기(50)는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한다. 상기 열교환기(50)는 소정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 파이프가 다수 절곡되면서 형성된다.
다수 절곡되는 원형 파이프의 내부 공간은 냉매가 유동하게 되고, 외부 공간은 상기 저장실(20)의 공기가 통과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기가 상기 원형 파이프의 외부 공간을 통과할 때 냉매와 열 교환되면서 공기가 냉각된다.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되는 공기는 다시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여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을 냉각하게 된다.
상기 저장실(20)과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의 사이에는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과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60)가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분리부재(22)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냉동실(30)과 절환실(40)은 상기 구획플레이트(60)에 의해 동시에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과 구획된다.
상기 구획플레이트(6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하나의 단일 부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획플레이트(60)에 의해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은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과 동시에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획플레이트(60)에는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간과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의 공기 유동을 위한 흡기구와 배기구가 형성된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구획플레이트(60)에는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냉동실(3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흡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동실흡기구(31)와 상기 냉동실(30)을 냉각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배기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냉동실배기구(32)가 형성된다.
상기 냉동실흡기구(31)와 상기 냉동실배기구(32)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루버가 형성되어 상기 냉동실(30)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냉동실흡기구(31)는 상기 냉동실배기구(32)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분리부재(22)의 하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냉동실(30)의 전단부까지 유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냉동실(3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상기 냉동실(30)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플레이트(60)에는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흡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절환실흡기구(41)와, 상기 절환실(40)을 냉각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유동하도록 배기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절환실배기구(42)가 형성된다.
상기 절환실흡기구(41)와 상기 절환실배기구(42)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루버가 형성되어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절환실흡기구(41)는 상기 구획플레이트(60)의 상단 중앙부에 위치하며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형 형태로 절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절환실흡기구(41)에는 가로 방향으로 긴 루버가 제공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절환실흡기구(41)는 상기 절환실배기구(42)의 위치보다 더 상측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열교환기(5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공기가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간 상면을 따라 상기 절환실(40)의 전단부까지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간에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상기 절환실(40)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구획플레이트(60)에 의해 상기 저장실(20)과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이 구획되고, 상기 저장실(20)과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이 구획됨으로써 상기 구획플레이트(60)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절환실(40)이 동시에 공간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절환실흡기구(41)에는 상기 절환실(40)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한 댐퍼(61)가 제공된다. 상기 댐퍼(61)에 의해 상기 절환실(40)로 흡입되는 냉각된 공기의 양이 제어되면서, 상기 절환실(40)의 온도를 일정 정도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댐퍼(61)를 최대로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절환실흡기구(41)를 통해 흡입되는 냉각 공기의 양이 많아지므로, 상기 절환실(40)의 온도가 빨리 낮아지게 된다. 이처럼, 상기 댐퍼(61)를 제어하여 상기 절환실(40)로 흡입되는 냉각 공기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상기 절환실(40)의 냉각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댐퍼(61)는 상기 냉동실흡기구(31)와 상기 절환실흡기구(41)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간 상면에는 상기 냉매의 일부가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절환실냉매관(43)이 형성된다.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은 상기 절환실(40)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의 입구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의 일부를 분지시켜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간 상면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은 다수 절곡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그 내부 공간으로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절환실(40)의 공기가 열 교환되는 면적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절환실(40)을 개폐하는 상기 절환실도어(44)에는 사용자가 상기 절환실(4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더 제공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기 조작부에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0)을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택하는 버튼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버튼이 아닌 터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놉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에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을 선택할 수 있는 조작스위치가 제공된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절환실(40)을 사용하게 될 경우 상기 절환실(40)은 상기 냉동실(30)의 온도보다 높은 설정 온도로 설정된다.
사용자가 상기 절환실(40)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절환실(4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냉동실(30)의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절환실(40)의 온도가 상기 냉동실(30)의 온도로 유지된다.
다른 방법으로, 상기 절환실(40)의 온도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스위치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절환실(40)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도 한다.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분리부재(22)의 상부 공간을 상기 절환실(40)로 사용하도록 설정하면, 제어부는 상기 댐퍼(61)와 상기 절환실냉매관(43)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양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온도로 상기 절환실(40)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구획플레이트(60)의 일측에는 상기 저장실(20)과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의 단열을 위한 단열부재(70)가 더 제공된다. 상기 단열부재(70)는 폴리우레탄 발포 단열재일 수 있고, 진공 단열 부재와 같은 별도의 단열패널일 수도 있다.
상기 단열부재(70)에 의해 상기 냉동실(30)과 온도 차를 가지는 상기 절환실(40)의 냉장 구현을 위한 냉기의 단열이 가능해지며, 상기 냉동실(30) 및 상기 절환실(40)과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 사이의 열 전도 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단열부재(70)는 상기 분리부재(22)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의 단열 정도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단열부재(70)는 상기 냉동실(30)의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과 상기 절환실(40)의 후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 차이로 단열 정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부재(70)는 발포 정도의 차이 또는 소재의 차이에 의해 상기 절환실(40)과 상기 냉동실의 단열 정도를 다르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단열부재(70)는 상기 분리부재(22)에 의해 분리되는 상기 저장실(20) 각 공간의 단열 정도를 서로 다르게 형성할 수 있어,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절환실(40)의 후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부재(70)의 두께가 상기 냉동실(30)의 후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부재(70)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절환실(40)과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과 상기 절환실(40)의 열 교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은 상기 냉동실(30)과의 온도차보다 상기 절환실(40)과의 온도차가 더 크기 때문에 상기 절환실(40)과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의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상기 절환실(40)의 후측에 위치하는 공간이 상기 냉동실(30)의 후측에 위치하는 공간보다 더 높은 온도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환실(40)의 후측에 위치하는 공간이 상기 열교환기(50)가 위치하는 공간과 더 많은 단열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절환실(40)의 후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부재(70)의 두께가 상기 냉동실(30)의 후측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부재(70)의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거나, 단열 효과가 더 좋은 부재를 사용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냉매 순환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냉매의 유동을 살펴보면, 냉매는 압축기에서 압축된 다음 상기 응축기로 유동한다. 상기 응축기로 유동하는 냉매의 일부가 상기 절환실냉매관(43)으로 유동하여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간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의 출구는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의 출구 측에 연결되어,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응축기를 통과한 냉매와 합쳐지면서 증발기를 거쳐 다시 상기 압축기로 유동하여 냉매의 순환이 계속된다.
즉,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은 상기 응축기와 병렬로 연결되면서,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의 입구는 상기 응축기의 입구 측과 연결되고,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의 출구는 냉매가 팽창되는 팽창 부재의 입구 측과 연결되어 하나의 냉매관으로 합쳐진다.
또한,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이 입구에는 삼 방향 밸브(431)가 설치되어 상기 절환실냉매관(43)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절환실(40)의 온도 상승 폭이 적은 경우 상기 절환실냉매관(43)으로 유동하는 냉매의 양을 줄이고, 온도 상승 폭이 큰 경우 냉매의 양을 늘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삼방향밸브(431)를 통과하면서 상기 절환실냉매관(43)과 메인냉매관으로 냉매가 분할된다. 상기 메인냉매관으로 유동한 냉매는 함유되는 수분의 제거를 위한 드라이어로 유동한다. 상기 절환실냉매관(43)으로 유동하는 냉매는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을 통과하면서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기와 열 교환된 다음, 상기 드라이어의 입구 측에서 결합되는 상기 메인냉매관으로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의 출구 측을 통과하여 유동하게 된다.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의 출구 측에는 역류 방지밸브(432)가 제공되고, 상기 역류 방지밸브(432)에 의해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을 유동하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냉매의 유동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역류방지밸브(432)는 체크밸브와 같은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환실냉매관(43)을 유동하는 냉매와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공기가 열 교환되면서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는 상기 절환실(40)의 설정 온도가 현재 온도보다 낮을 경우 냉매와의 열 교환으로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절환실(40)의 내부 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삼방향밸브(431)를 제어하여 상기 절환실냉매관(43)으로 냉매가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댐퍼(61)의 개방 정도를 제어하여 상기 절환실(40) 내부 공간의 온도를 낮춰주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냉장고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조작부에 전원이 공급되고, 이때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상기 저장실(20)의 사용 방법을 설정하게 된다.
상기 저장실(20)이 상기 냉동실(30) 또는 상기 절환실(40)로만 사용하도록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분리부재(22)의 설치를 생략하거나, 상기 저장실(20)에서 상기 분리부재(22)를 제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분리부재(22)를 제거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20)을 동일 기능의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저장실(20)이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로 각각 사용되도록 신호가 입력되면, 사용자는 상기 분리부재(22)를 상기 저장실(20)의 내부 공간에 설치함으로써 상기 냉동실(30)과 상기 절환실(40)을 공간적으로 구획한다.
상기 저장실(20)이 상기 분리부재(22)에 의해 공간적으로 구획되면, 상기 절환실(40)의 온도가 설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절환실(40)의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상기 절환실냉매관(43)으로 냉매를 유동시키거나, 상기 절환실(40)로 유동하는 냉기의 양을 감소시켜 상기 절환실(40)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의하면,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면서, 에너지 소비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많은 이점으로 인해 냉장고를 생산, 가공하는 산업과 냉장고의 부품을 생산, 가공하는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1. 본체 10. 냉장실
20. 저장실 30. 냉동실
40. 절환실 50. 열교환기
60. 구획플레이트 70. 단열부재

Claims (13)

  1. 음식물의 냉장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냉장실과, 음식물의 저온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저장실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냉장실과 상기 저장실의 내부로 유동하는 공기와 열 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
    상기 저장실의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분리부재;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을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 및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과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의 단열을 위한 단열부재; 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에는 상기 각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가 각각 제공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에는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의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각각의 흡기구와,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에서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으로 유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각각의 배기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에는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댐퍼가 제공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재는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각 공간의 단열 정도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재에 의해 분리되는 공간 중 어느 한 공간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른 한 공간과 다른 온도로 제어되는 냉장고.
  7. 음식물의 냉장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냉장실과, 음식물의 냉동 보관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냉동실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는 절환실이 내부 공간에 마련되고, 상기 각 공간의 온도는 각각 제어되며, 상기 내부 공간에는 냉매의 유동을 위한 열교환기가 제공되고, 상기 냉동실과 상기 절환실을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과 동시에 구획하는 구획플레이트를 가지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에는 상기 냉동실과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의 공기 유동을 위한 냉동실흡기구와 냉동실배기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플레이트에는 상기 절환실과 상기 열교환기가 위치하는 공간의 공기 유동을 위한 절환실흡기구와 절환실배출구가 형성되는 냉장고.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실에는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일부를 안내하여 상기 절환실의 공기와 냉매가 열 교환하도록 안내하는 절환실냉매관이 제공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실냉매관의 입구에는 상기 절환실냉매관으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는 3방향 밸브가 제공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실냉매관의 출구에는 냉매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밸브가 제공되는 냉장고.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실냉매관의 출구는 상기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냉매가 유동하는 냉매관과 병렬 연결되는 냉장고.
KR1020100080087A 2010-08-19 2010-08-19 냉장고 KR1017133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087A KR101713332B1 (ko) 2010-08-19 2010-08-19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087A KR101713332B1 (ko) 2010-08-19 2010-08-19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494A true KR20120017494A (ko) 2012-02-29
KR101713332B1 KR101713332B1 (ko) 2017-03-07

Family

ID=4583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087A KR101713332B1 (ko) 2010-08-19 2010-08-1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3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33Y1 (ko) * 1998-12-22 2000-03-15 윤화현 화장품 보관용 냉온장고.
JP2000283631A (ja) * 1999-03-31 2000-10-13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JP2010060263A (ja) * 2008-08-07 2010-03-18 Panasonic Corp 冷蔵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333Y1 (ko) * 1998-12-22 2000-03-15 윤화현 화장품 보관용 냉온장고.
JP2000283631A (ja) * 1999-03-31 2000-10-13 Fujitsu General Ltd 冷蔵庫
JP2010060263A (ja) * 2008-08-07 2010-03-18 Panasonic Corp 冷蔵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332B1 (ko) 201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4470B1 (ko) 냉장고
JP3576103B2 (ja) 冷蔵庫
KR101821289B1 (ko) 냉장고
KR2009004625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RU2498169C2 (ru) Холоди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680382B1 (ko) 모듈식 냉장고
KR10212640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101872607B1 (ko) 냉장고
JP3904866B2 (ja) 冷蔵庫
KR101869165B1 (ko) 냉장고
AU2020346227B2 (en) Refrigerator
KR20210026864A (ko) 언더 카운터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39307A1 (en) Refrigerator with an improved air handler for quickly chilling a bin
JP2012127629A (ja) 冷却貯蔵庫
JP5175705B2 (ja) 冷蔵庫
CN215638234U (zh) 冷藏冷冻装置
KR101635646B1 (ko)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00614315B1 (ko) 냉장고
KR101713332B1 (ko) 냉장고
KR20180046576A (ko) 냉장고
KR101132554B1 (ko) 냉장고
JP4630849B2 (ja) 冷蔵庫
KR20140124115A (ko) 냉장고
KR101872608B1 (ko) 냉장고
KR101712621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