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608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2608B1 KR101872608B1 KR1020160141892A KR20160141892A KR101872608B1 KR 101872608 B1 KR101872608 B1 KR 101872608B1 KR 1020160141892 A KR1020160141892 A KR 1020160141892A KR 20160141892 A KR20160141892 A KR 20160141892A KR 101872608 B1 KR101872608 B1 KR 1018726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ssage
- air conditioning
- heat
- heat exchanger
- refrigera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378 air conditio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7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4
- 238000005338 heat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9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1232 storag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1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4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2 phase chang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080 ambient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94 eating hab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0/00—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 F28D20/02—Heat storage plants or apparatus in general; Regenerative 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F28D17/00 or F28D19/00 using latent heat
- F28D20/028—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6—Sensors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produc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압축부; 축열 열교환부; 공조 팽창기구; 공조 열교환기; 송풍기구; 및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 열교환부는 상기 공조 열교환기보다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는 저장부와, 저장부와 구획되고 제1통공부 및 제2통공부가 형성되는 공조부를 가질 수 있다. 압축부는 본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는 압축부와 제1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공조 팽창기구는 축열 열교환부와 제2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는 공조부 내부에 구비되고, 공조 팽창기구와 공조 유로로 연결되며, 압축부와 흡입 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송풍기구는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 사이에 배치되고, 공조 열교환기를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는 압축부를 바이패스하여 흡입유로와 제1 연결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냉장고 만으로 소정 공간의 냉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응축부에 축열재가 포함되어, 별도의 실외기 없이 냉방에 필요한 열량을 방열할 수 있다. 또한, 냉매 자연순환을 이용하여 방열 시에 소비동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본체는 저장부와, 저장부와 구획되고 제1통공부 및 제2통공부가 형성되는 공조부를 가질 수 있다. 압축부는 본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는 압축부와 제1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공조 팽창기구는 축열 열교환부와 제2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는 공조부 내부에 구비되고, 공조 팽창기구와 공조 유로로 연결되며, 압축부와 흡입 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송풍기구는 제1통공부와 제2통공부 사이에 배치되고, 공조 열교환기를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는 압축부를 바이패스하여 흡입유로와 제1 연결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냉장고 만으로 소정 공간의 냉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응축부에 축열재가 포함되어, 별도의 실외기 없이 냉방에 필요한 열량을 방열할 수 있다. 또한, 냉매 자연순환을 이용하여 방열 시에 소비동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 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이나 식품의 저장기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신선도를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음식물이나 식품이 저장되는 내부를 저온상태로 유지한다.
최근 식생활이 개선되고 다양해고, 보다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가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로는 곡물을 보관하기 위한 곡물 냉장고, 와인과 같은 술을 보관하기 위한 술 저장고, 김치나 야채 등을 보관하기 위한 김치냉장고 등이 있다. 더하여, 최근의 냉장고는 생활의 편의를 위하여 정수기능이나 제빙기능 등의 부가 기능들이 더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가 설치되는 주방의 내부는 조리기기 등의 사용에 따라 열부하가 거실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열부하를 해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거실에 설치되므로, 주방까지의 공조를 담당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냉매자연순환에 의한 방열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압축부; 축열 열교환부; 공조 팽창기구; 공조 열교환기; 송풍기구; 및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열 열교환부는 상기 공조 열교환기보다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냉장고는 공기 조화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고, 축열 열교환부의 열이 냉매 자연순환에 의해 방열될 수 있다.
본체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구획되고 제1통공부 및 제2통공부가 형성되는 공조부를 가질 수 있다. 압축부는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는 상기 압축부와 제1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공조 팽창기구는 상기 축열 열교환부와 제2연결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는 상기 공조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조 팽창기구와 공조 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압축부와 흡입 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송풍기구는 상기 제1통공부와 상기 제2통공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 열교환기를 바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통공부 또는 상기 제2통공부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는 상기 압축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제1연결유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축열 열교환부는, 상기 압축부와 상기 제1연결유로로 연결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감싸는 축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구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기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방 모드 시 상기 제1통공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송풍기구를 제어하고, 방열 모드 시 상기 제2통공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송풍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공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통공부는 상기 본체의 배면에 위치하는 냉장고. 이에 의하면 차가운 공기는 본체의 전면으로 토출되어 실내의 냉방을 수행하고, 뜨거운 공기는 본체의 후면으로 토출되어 실내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압축부와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된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응축기 유출유로로 연결된 메인 밸브장치; 상기 메인 밸브장치와 냉매유로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및 상기 냉매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와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는 상기 흡입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흡입유로가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토출유로로 연결되는 서브 밸브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밸브장치는, 상기 축열 열교환부와 상기 제1연결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서브 밸브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냉방 모드 시 상기 제1연결유로의 연결부가 오픈 되도록 상기 서브 밸브장치를 제어하고, 방열 모드 시 상기 제1연결유로의 연결부가 클로즈 되도록 상기 서브 밸브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축열 열교환부와 상기 제1연결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공조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1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와 서브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2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냉방 성능이 향상되고 제어가 편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방 모드 시 상기 제1압축기를 온 시키고, 방열 모드 시 상기 제1압축기를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흡입유로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공조 밸브장치; 및 상기 공조 밸브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냉방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연결부는 클로즈되고 상기 흡입유로의 연결부는 오픈되도록 상기 공조 밸브장치를 제어하고, 방열 모드시, 상기 흡입유로 중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부는 클로즈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연결부는 오픈되도록 상기 공조 밸브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는 개폐밸브; 및 냉방 모드 시 상기 개폐밸브를 오프시키고, 방열 모드 시 상기 개폐밸브를 온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축열 열교환부에 구비된 써미스터; 및 냉방 모드 시 상기 써미스터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방열 모드로 전환하고, 방열 모드 시 상기 써미스터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2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냉방 모드가 시작된 후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방열 모드로 전환하고, 방열 모드가 시작된 후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면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조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조부는, 상기 제2통공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조 열교환기 및 상기 송풍기구가 배치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통공부가 형성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상기 공조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덕트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 측에서 상기 덕트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 만으로 소정 공간의 냉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응축부에 축열재가 포함되어, 별도의 실외기 없이 냉방에 필요한 열량을 방열할 수 있다.
또한, 냉매 자연순환을 이용하여 방열 시에 소비동력이 최소화 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압축기를 사용하여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기계실이 컴팩트화 될 수 있다.
또한,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냉방 성능이 향상되고 제어가 편리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공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냉방 모드 시 냉매의 유동 방향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방열 모드 시 냉매의 유동 방향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써미스터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른 제어 순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는 경과 시간에 따른 제어 순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공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냉방 모드 시 냉매의 유동 방향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6은 방열 모드 시 냉매의 유동 방향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8은 써미스터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른 제어 순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는 경과 시간에 따른 제어 순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80)가 설치될 수 있다.
더하여, 냉장고(1)는 정수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는 도어(80)의 외면 일부가 함몰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80)를 열지 않고도 정수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10)는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저장부(20)와 공조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80)는 냉장고(1)의 본체(10)를 여닫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도어(80)는 본체(10)의 저장부(20)를 여닫을 수 있다.
도어(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에는 냉동실(21)을 여닫는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22)을 여닫는 냉장실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80)가 구비될 경우, 복수개의 도어(80) 각각은 크기와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80)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체(10)에는 공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기가 토출되는 제1통공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공부(4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저온의 냉풍일 수 있으므로, 주변의 공기에 비해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즉, 제1통공부(4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주변의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워 하강 기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1통공부(44)는 본체(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통공부(44)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통공부(44)는 본체(10)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통공부(44)는 도어(8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공부(44)는 본체(10)의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통공부(44)의 단면은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1)에 포함되는 본체(10)는 내부에 저장부(20), 공조부(40), 기계실(5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0), 공조부(40), 기계실(50)은 각각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격벽은 단열벽일 수 있고, 이로써 저장부(20), 공조부(40), 기계실(50) 각각의 온도가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공조부(40)는 본체(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조부(40)는 저장부(20)와 단열 격벽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부(20)에는 음식물이 보관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0)는 냉동실(21)과 냉장실(22)을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실(21) 내부 온도는 냉장실(22) 내부 온도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냉동실(21) 내부 온도는 영하일 수 있으며 -15℃ 정도가 바람직하다. 냉장실(22) 내부 온도는 영상일 수 있으며 3℃ 내지 5℃ 정도가 바람직하다.
냉동실(21)과 냉장실(22)은 단열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냉동실(21)과 냉장실(22)을 구획하는 단열 격벽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할 수 있다. 이로써 냉동실(21)과 냉장실(22) 내부의 냉기가 혼합될 수 있으며, 냉동실(21)의 냉기에 의해 냉장실(22) 내부의 온도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냉동실(21)과 냉장실(22)의 내부에는 각각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냉장고(1)의 전반적인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90, 도 7 참조)가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냉장고(1)를 제어할 수 있다.
냉동실(21)은 저장부(2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냉장실(22)은 저장부(2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냉동실(21)은 냉장실(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냉동실(21)이 냉장실(2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20)의 후방측에는 배리어(6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배리어(60)의 전방에는 저장부(20)가 위치할 수 있다. 저장부(20) 내부 공간이 넓을수록 더욱 많은 음식물이 보관될 수 있으므로, 본체(10)의 크기가 일정하면 배리어(60)는 가능한 본체(10)의 배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어(6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기 토출구(61, 6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60)에는 냉동실(21)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냉기토출구(61)와, 냉장실(22)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냉기토출구(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냉기토출구(61)는 배리어(60)에서 냉동실(21)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제2냉기토출구(62)는 배리어(60)에서 냉장실(22)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60)의 후방에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211, 221) 및 증발팬(212, 222)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60)에서 냉동실(21)에 대응되는 부분의 후방에는 제1증발기(211) 및 제1증발팬(212)이 위치할 수 있고, 배리어(60)에서 냉장실(22)에 대응되는 부분의 후방에는 제2증발기(221) 및 제2증발팬(22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증발팬(212)은 제1증발기(211)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를 제1냉기토출구(61)를 통해 냉동실(21)로 송풍시킬 수 있다. 제2증발팬(222)은 제2증발기(221)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를 제2냉기토출구(62)를 통해 냉장실(22)로 송풍시킬 수 있다. 즉, 제1증발기(211)는 냉동실(21)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실 증발기이고, 제2증발기(221)는 냉장실(22)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실 증발기일 수 있다.
냉동실(21)의 온도가 냉장실(22)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제1증발기(211)에서 요구되는 냉각부하가 제2증발기(221)에서 요구되는 냉각부하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증발기(211)와 제2증발기(221)로 각각 유동되는 냉매 유량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냉매 유량은 메인 밸브장치(56)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증발팬(212, 222)은 증발기(211, 221)와 냉기 토출구(61, 6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증발팬(212, 222)이 증발기(211, 2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계실(50)은 본체(1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실(50)은 본체(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50) 내부에는 압축부(14), 축열 열교환부(57), 응축기(52), 응축팬(53), 메인 밸브장치(56)가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5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기구(213, 223) 및 공조 팽창기구(5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압축부(14)는 압축기(51)와 서브 밸브장치(58)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14)는 토출유로(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51)와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로 연결될 수 있다. 토출유로(15)는 압축기(51)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냉매를 서브 밸브장치(58)로 안내할 수 있다.
압축부(14)에는 흡입유로(19)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압축기(51)에는 흡입유로(19)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51)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압축기(51)는 흡입유로(19) 및 토출유로(15)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51)는 흡입유로(19)에서 유입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하여 토출유로(15)로 토출할 수 있다. 흡입유로(19)에는 압축기(51)로 액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어큐물레이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제1연결유로(16)는 압축부(14)와 축열 열교환부(57)을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연결유로(16)는 서브 밸브장치(58)와 열교환기(57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유로(16)는 서브 밸브장치(58)에서 유출된 냉매를 열교환기(570)로 안내하거나, 열교환기(570)에서 증발된 냉매를 후술할 바이패스 유로(13)로 안내할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는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를 축열 열교환부(57) 및/또는 응축기(52)로 공급하기 위하여, 냉매의 유동방향 및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의 제어에 따라, 축열 열교환부(57) 및 응축기(52)로 각각 유입되는 냉매량이 달라질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에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 또는 사방밸브(four way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
압축부(14)에는 응축기 유입유로(54)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밸브장치(58)에는 응축기 유입유로(54)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제1연결유로(16) 및/또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유동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이 정지되고 냉장 및/또는 냉방 시스템의 단독 운전 시, 또는 공기조화 시스템이 방열 모드(S200)이고 냉장 및/또는 냉방 시스템의 동시 운전 시,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 전부가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유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밸브장치(58)의 제1연결유로(16) 방향 통로가 페쇄되어 제1연결유로(16)로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냉장 및/또는 냉방 시스템이 정지되고, 공기조화 시스템이 냉방 모드(S100)로 단독 운전 시,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 전부가 제1연결유로(16)로 유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밸브장치(58)의 응축기 유입유로(54) 방향 통로가 페쇄되어 응축기 유입유로(54)로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공기조화 시스템이 냉방 모드(S100)이고 냉장 및/또는 냉방 시스템의 동시 운전 시,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 일부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유동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연결유로(16)로 유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하,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은 냉장 및/또는 냉동을 위한 냉각 사이클을 의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부(14)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입유로(54)를 통해 응축기(52)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기(52)에서는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52)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압축부(14)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응축기(52)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서브 밸브장치(58)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에서 응축기 유입유로(54)를 통해 응축기(52)로 유입된 냉매는 기계실(50)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되며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52)는 응축기 유출유로(55)와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출유로(55)로 유동될 수 있다.
응축팬(53)은 응축기(52)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된 통공부(미도시)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송풍시킬 수 있다. 응축팬(53)은 상기 통공부와 응축팬(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52)가 응축팬(53)과 상기 통공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밸브장치(56)에는 응축기 유출유로(55) 및 적어도 하나의 냉매 유로(214, 224)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냉매 유로(214, 224)는 각 증발기(211, 221)에 각각 대응될 수 있다.
응축기 유출유로(55)는 응축기(52)와 메인 밸브장치(56)를 연결할 수 있다.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출유로(55)를 통해 메인 밸브장치(56)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는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를 제1증발기(211) 및 제2증발기(221)로 공급하기 위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의 제어에 따라, 제1증발기(211)와 제2증발기(221)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달라질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에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 또는 사방밸브(four way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냉매 유로(214, 224)는 메인 밸브장치(56)와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221, 22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냉매 유로(214)는 메인 밸브장치(56)와 제1증발기(211)를 연결하고, 제2냉매 유로(224)는 제2증발기(221)와 메인 밸브장치(56)를 연결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구(213, 223)가 구비될 수 있다. 팽창기구(213, 223)는 기계실(50)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팽창기구(213, 223)는 복수개의 증발기(211, 221)와 각각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증발기(211)와 제2증발기(221)는 각각 제1팽창기구(213) 및 제2팽창기구(223)에 대응될 수 있다. 제1팽창기구(213)는 제1냉매 유로(214)에 구비될 수 있고, 제2팽창기구(223)는 제2냉매 유로(224)에 구비될 수 있다.
응축기 유출유로(55)를 통해 메인 밸브장치(56)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 유로(214, 224)로 유동될 수 있다. 냉매는 냉매 유로(214, 224) 상에서 팽창기구(213, 223)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팽창기구(213, 223)에서 교축된 냉매는 증발기(211, 221)에서 증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팬(212, 222)은 증발기(211, 221)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냉기 토출구(61, 62)를 통해 저장부(20) 내부로 송풍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저장부(20)의 냉장 및/또는 냉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증발기(211, 221)는 흡입유로(19)에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211, 221)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흡입유로(19)로 유동되어 압축기(51)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이 완성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부(14)는 축열 열교환부(57)와 제1연결유로(16)로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압축기(51)와 서브 밸브장치(57)는 토출유로(15)로 연결될 수 있고, 서브 밸브장치(57)와 열교환기(570)는 제1연결유로(16)로 연결될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57)는 열교환기(570) 및 축열재(571)를 포함할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57)는 써미스터(5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축열 열교환부(57)에는 써미스터(572)가 구비될 수 있다.
축열재(571)는 열교환기(570)를 감쌀 수 있다. 축열재(571)가 열교환기(570) 전체를 감싸면 열교환기(570)와 축열재(571)의 접촉 면적이 최대가 되어, 열교환기(570)를 지나는 냉매와 축열재(5710 사이의 열교환 효율이 상승할 수 있다.
열교환기(570)로 유입된 냉매는 축열재(571)와 열교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열교환기(570)는 냉방 모드(S100) 시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고, 방열 모드(S200) 시 유입된 냉매를 증발 시킬 수 있다. 즉, 냉방 모드(S100)에서 열교환기(570)는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방열 모드(S100)에서 열교환기(570)는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열교환기(570)는 제1연결유로(16) 및 제2연결유로(17)와 연결될 수 있다.
축열재(571)는 열교환기(570) 내부의 냉매와 열교환 될 수 있다. 축열재(571)는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을 포함할 수 있다. 물질을 상변화 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은 매우 크기 때문에, 축열재(571)은 큰 열량을 효과적으로 축열할 수 있고, 공기조화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큰 냉각부하를 만족시킬 수 있다.
냉방 모드(S100) 시, 열교환기(570)에서 냉매는 응축되며 응축열을 발산할 수 있고 축열재(571)는 냉매와 열교환하며 상기 응축열을 축열할 수 있다. 다만, 축열재(571)가 축열할 수 있는 열량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축열재(571)에 일정 수준 이상의 열량이 축열되면 방열 모드(S200)로 전환하여 축열재(571)에 축적된 열량을 방출해 주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공조 기능을 정지시키면,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 조화 시스템을 냉방 모드(S100)에서 방열 모드(S200)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방열 모드(S200) 시, 열교환기(570)에서 냉매는 축열재(571)에 축적된 열량을 흡수하며 증발될 수 있다. 이로써 축열재(571)가 방열될 수 있다.
써미스터(572)는 축열재(57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써미스터(572)는 축열재(571)의 내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는 제어부(90)로 전송될 수 있고, 제어부(90)는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축열재(572)에 축열된 열량을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축열재에 출열된 열량에 따라 공기 조화 시스템을 냉방 모드(S100) 또는 방열 모드(S200)로 전환할 수 있다.
공조 팽창기구(59)는 제2연결유로(17)로 유입된 냉매를 팽창 시킬 수 있다. 즉, 냉방 모드(S100) 시 제2연결유로(17)로 안내된 냉매는 공조 팽창기구(59)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냉매는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공존하는 상태일 수 있다.
공조 팽창기구(59)는 제2연결유로(17)로 축열 열교환부(57)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연결유로(17)는 축열 열교환부(57)와 공조 팽창기구(59)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연결유로(17)는 열교환기(570)와 공조 팽창기구(59)를 연결할 수 있다.
공조 팽창기구(59)는 본체(1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기계실(50) 내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공조유로(18)는 공조 팽창기구(59)와 공조 열교환기(46)를 연결할 수 있다. 공조유로(18)는 기계실(50) 내부에서 공조부(40) 내부까지 이어질 수 있다. 냉방 모드(S100) 시, 공조 팽창기구(59)에서 교축된 냉매는 공조유로(18)를 통해 공조부(40) 내부에 위치한 공조 열교환기(46)로 유동될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46)로 유입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조 열교환기(46)는 냉방 모드(S100) 시 유입된 냉매를 증발시킬 수 있고, 방열 모드(S200) 시 유입된 냉매를 응축 시킬 수 있다. 즉, 냉방 모드(S100)에서 공조 열교환기(46)는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하고, 방열 모드(S200)에서 공조 열교환기(46)는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46)는 공조부(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조 열교환기(46)는 수용부(41)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방열 모드(S200)는 열 사이펀(Thermosyphon) 작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열 사이펀이란 온도차 등의 열적 불균형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사이펀 작용을 의미한다. 방열 모드(S200) 시 축열 열교환부(57)에서 냉매가 증발되면 냉매의 밀도차로 인해 증발된 냉매가 상승할 수 있고, 공조 열교환기(46)에서 냉매가 응축되면 중력에 의해 응축된 냉매가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 열교환기(46)는 축열 열교환부(57)를 기준으로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축열 열교환부(57)는 공조 열교환기(46)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57)는 본체(10) 내부의 하측에 위치하는 기계실(50) 내부에 배치되고, 공조 열교환기(46)는 본체(10) 내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조부(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구(47)는 공조부(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송풍기구(47)는 수용부(41)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구(47)은 공조 열교환기(46)를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구(47)는 공조 열교환기(46)와 제2토출구(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송풍기구(47)가 공조 열교환기(46)와 제1통공부(44)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냉방 모드(S100) 시, 송풍기구(47)는 공조 열교환기(46)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공기를 제1통공부(44) 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통공부(44)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이고, 제2통공부(45)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일 수 있다.
방열 모드(S200) 시, 송풍기구(47)는 공조 열교환기(46)와 열교환하여 가열된 공기를 제2통공부(45) 방향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이 때 제1통공부(44)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이고, 제2통공부(45)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일 수 있다.
송풍기구(47)는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은 냉방 모드(S100) 시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방열 모드(S200) 시 상기 일 방향의 반대 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는, 송풍기구(47)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의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냉방 모드(S100)시에는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이 구동되고, 상기 일 방향과 반대방향인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은 정지할 수 있다. 방열 모드(S200)시에는 상기 타 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이 구동되고 상기 일 방향으로 회전하는 송풍팬은 정지할 수 있다.
흡입유로(19)는 공조 열교환기(46)와 압축부(14)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흡입유로(19)는 공조 열교환기(46)와 압축기(51)를 연결할 수 있다. 냉방 모드(S100) 시 공조 열교환기(46)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유로(19)를 통해 압축기(51)로 흡입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13)는 압축부(14)를 바이패스하여 흡입유로(19)와 제1연결유로(16)를 연결할 수 있다. 방열 모드(S200) 시, 축열 열교환부(57)에서 증발된 냉매는 바이패스 유로(13)로 유동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13)와 흡입유로(19)의 연결부에는 공조 밸브장치(11)가 구비될 수 있다. 공조 밸브장치(11)에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 또는 사방밸브(four way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
공조 밸브장치(11)는 흡입유로(19) 또는 바이패스 유로(13)를 개폐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조 밸브장치(11)는, 공조 밸브장치(11)와 흡입유로(19) 및/또는 공조 밸브장치(11)와 바이패스 유로(13)의 연결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조 밸브장치(11)는 바이패스 유로(13)의 연결부를 개폐시켜 바이패스 유로(13)를 통한 냉매의 유동을 조절할 수 있다.
공조 밸브장치(11)는 흡입유로(19) 중 압축부(14)와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부를 개폐시켜, 냉매가 흡입유로(19)를 통해 압축부(14)로 흡입되는 것을 조절할 수 있다.
공조 밸브장치(11)는 흡입유로(19) 중 공조 열교환기(46)와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부를 항시 개방시킬 수 있다.
냉방 모드(S100) 시, 제어부(90)는 흡입유로(19)의 연결부가 오픈되고 바이패스 유로(13)의 연결부가 클로즈되도록 공조 밸브장치(11)를 제어할 수 있다. 방열 모드(S200) 시, 제어부(90)는 흡입유로(19) 중 압축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부가 클로즈 되고, 바이패스 유로(13)의 연결부가 오픈되도록 공조 밸브장치(11)를 제어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13) 상에는 개폐밸브(130)가 설치될 수 있다. 개폐밸브(13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개폐밸브(130)는 바이패스 유로(13)를 개폐시킬 수 있다. 제어부(90)는 냉방 모드(S100) 시 개폐밸브(130)를 클로즈시켜 바이패스 유로(13)를 폐쇄시킬 수 있다. 제어부(90)는 방열 모드(S200) 시 개폐밸브(130)를 오픈 시켜 바이패스 유로(13)를 개방시킬 수 있다.
냉방 모드(S100) 시 제1연결유로(16)에서 바이패스 유로(13)로 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개폐밸브(130)는 바이패스 유로(13)와 제1연결유로(16)의 연결부에 근접하여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바이패스 유로(13)에 개폐 밸브(130)가 설치되지 않고, 바이패스 유로(13)와 제1연결유로(16)의 연결부에 공조 밸브장치(11)와 같은 별도의 밸브장치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은 공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공조부(40)에는 제2통공부(45) 및 제1통공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공조부(40)의 내부에는 공조 열교환기(46) 및 송풍기구(47)가 배치될 수 있다.
공조부(40)는 수용부(41)와 덕트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부(40)는 중간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41)에는 제2공조 열교환기(46)와 송풍기구(4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41)의 일측에는 제2통공부(45)가 형성될 수 있다.
덕트부(42)는 수용부(41)와 연통되고 제1통공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통공부(44)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조절부재(440)가 설치될 수 있다.
덕트부(42)는 수용부(4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제2통공부(45)는 공조부(4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통공부(44)는 공조부(4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통공부(45)는 수용부(41)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통공부(44)는 덕트부(4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41)에는 제2공조 열교환기(46) 및 송풍기구(47)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수용부(41)는 덕트부(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을 수 있다. 즉, 덕트부(42)의 단면적은 수용부(41)의 단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따라서, 냉방 모드(S100) 시 수용부(41)에서 유동된 냉풍은 덕트부(42)를 통과하며 그 유속이 빨라질 수 있고, 제1통공부(44)에서 토출되며 더욱 멀리까지 확산될 수 있다. 이로써, 냉장고(1)의 공조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중간부(43)는 수용부(41)와 덕트부(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부(43)는 수용부(41)와 연통되고, 덕트부(42)와 연통될 수 있다.
중간부(43)의 단면적은 수용부(41) 측에서 덕트부(42) 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즉, 중간부(43)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는 구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부(42)의 단면적은 수용부(41)의 단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이 때 중간부(43)가 존재하지 않으면, 수용부(41)와 덕트부(42)의 사이에서 면적이 급격하게 변화하므로 냉방 모드(S100) 시 송풍기구(47)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가 덕트부(42)로 유동되지 않고 수용부(41)의 내벽에서 반사되어 수용부(41)로 되돌아올 수 있다.
중간부(43)는 수용부(41)와 덕트부(42)의 단면적 차이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냉방 모드(S100) 시 송풍기구(47)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중간부(43)의 구배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전체 공기가 덕트부(42)로 유동될 수 있다.
공조부(40)의 상측 외면은 본체(10)의 상면일 수 있다. 수용부(41), 덕트부(42), 중간부(43)의 상측 외면은 단차가 없는 단일의 평면일 수 있다. 덕트부(42) 및 중간부(43)는 저장부(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41), 덕트부(42), 중간부(43)의 좌우 방향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덕트부(42)와 중간부(43)의 단면적이 수용부(41)의 단면적에 비해 작으므로, 덕트부(42) 및 중간부(43)의 상하방향 길이는 수용부(41)의 상하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써, 저장부(20)가 더욱 넓어질 수 있다.
도 5는 냉방 모드 시 냉매의 유동 방향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하고 공기조화 시스템의 작용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냉방 모드(S100) 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냉방을 위한 냉각 사이클을 구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냉방 모드(S100) 시 압축부(14)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1연결유로(16)를 통해 축열 열교환부(57)로 유동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압축기(51)에서 압축된 고온 고압의 기상냉매는 토출유로(15)로 토출되어 서브 밸브장치(58)로 유동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제1연결유로(16)와 응축기 유입유로(54)로 나뉘어 유동되도록 서브 밸브장치(58)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90)는 바이패스 유로(13)에 설치된 개폐밸브(130)를 클로즈 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유로(16)로 유동되는 냉매가 바이패스 유로(13)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연결유로(16)를 통해 축열 열교환부(57)의 열교환기(570)로 유입된 냉매는 열교환기(570)에서 축열재(571)와 열교환하며 응축될 수 있다. 따라서, 축열재(571)에는 냉매에서 방출된 열이 축적되어 축열재(571)의 온도가 점차 상승할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57)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2연결유로(17)를 통해 공조 팽창기구(59)로 유동될 수 있다. 냉매는 공조 팽창기구(59)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공조 팽창기구(59)에서 팽창된 냉매는 공조유로(18)를 통해 공조부(40) 내부의 공조 열교환기(46)로 안내될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46)에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하며 증발될 수 있다.
이 때, 송풍기구(47)는 공조 열교환기(46)에서 냉매와 열교환하여 냉각된 공기를 제1통공부(44)로 송풍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송풍기구(47)에 의해 제2통공부(45)로 흡입된 공기는, 수용부(41)에서 공조 열교환기(46)와 열교환하여 냉각될 수 있고, 중간부(43)와 덕트부(42)를 차례로 지나 제1통공부(44)로 토출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냉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공조 열교환기(46)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유로(19)로 유동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바이패스 유로(13)가 폐쇄되고 흡입유로(19)가 개방되도록 공조 밸브장치(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증발된 냉매가 바이패스 유로(13)로 유동되지 않고 전부 흡입유로(19)로 유동되도록 공조 밸브장치(11)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 열교환기(46)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유로(19)를 따라 압축부(14)로 유동될 수 있고, 바이패스 유로(13)로는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46)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유로(19)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증발기(211, 221)에서 증발되어 흡입유로(19)로 유동된 냉매와 합쳐질 수 있다.
흡입유로(19)를 통해 압축부(14)로 유동된 냉매는 압축기(15)로 흡입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여 냉각 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냉방 모드(S100)에서의 공기조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방열 모드 시 냉매의 유동 방향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방열 모드(S200) 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은 열 사이펀을 이용한 냉매 자연 순환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방열 모드(S200) 시 제어부(90)는 제1연결유로(16)가 폐쇄되도록 서브 밸브장치(58)를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어부(90)는 제1연결유로(16)와 서브 밸브장치(58)의 연결부가 폐쇄되도록 서브 밸브장치(58)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51)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냉매는 전부 응축기 유입유로(54)를 통해 응축기(52)로 유입될 수 있다. 즉, 방열 모드(S200) 시 압축부(14)의 압축기(51)는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에만 사용되고 공기조화 시스템에는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방열 모드(S200) 시, 냉매는 바이패스 유로(13)를 따라 상승하고 공조유로(18)를 따라 하강할 수 있다. 반대로, 냉매가 공조유로(18)를 따라 상승하고 바이패스 유로(13)를 따라 하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전자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하며, 이하 설명을 통해 후자의 경우도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축열 열교환부(57)에서는, 축열재(571)와 열교환기(570) 내부의 냉매가 열교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열교환기(570)에서 냉매는 냉방 모드(S100) 동안 축열재(571)에 축적되었던 열량을 흡수하여 증발될 수 있다. 따라서, 축열재(571)에 축적되어 있던 열이 방출되어 축열재(571)의 온도가 점차 내려갈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57)에서 증발된 냉매는 밀도차에 의해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증발된 냉매는 축열 열교환부(57)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공조 열교환기(46)로 유동될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57)의 열교환기(570)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1연결유로(16)로 유동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바이패스 유로(13)에 설치된 바이패스 밸브(130)를 오픈 시켜 바이패스 유로(13)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제1연결유로(16)와 서브 밸브장치(58)의 연결부를 막도록 서브 밸브장치(58)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축열 열교환부(57)에서 제1연결유로(16)로 유동된 냉매는 압축부(14)로 유입되지 않고 바이패스 유로(13)로 유동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바이패스 유로(13)로 유동된 냉매가 전부 공조 열교환기(46)로 유동되도록 공조 밸브장치(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바이패스 유로(13)의 연결부가 오픈되도록 공조 밸브장치(11)를 제어할 수 있고, 흡입유로 (19)중 압축부(14)와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부가 클로즈 되도록 공조 밸브장치(11)를 제어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13)를 따라 공조 밸브장치(11)로 유동된 냉매는 흡입유로(19) 중 공조 열교환기(46)와 공조 밸브장치(11)를 연결하는 부분을 통해 공조 열교환기(46)로 유입될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46)로 유입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되며 응축될 수 있다.
송풍기구(47)는 공조 열교환기(46)에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열된 공기를 제2통공부(45)로 송풍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송풍기구(47)에 의해 제1통공부(44)로 흡입된 공기는 덕트부(42), 중간부(43)를 차례로 거쳐 수용부(41)로 유동되고, 공조 열교환기(46)에서 냉매와 열교환되어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공기는 제2통공부(45)로 토출될 수 있다.
제2통공부(45)는 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통공부(45)로 토출되는 더운 공기에 의해 실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공조 열교환기(46)에서 응축된 냉매는 중력에 의해 하강할 수 있다. 따라서 공조 열교환기(46)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축열 열교환부(57)로 유동될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46)에서 응축된 냉매는 공조 유로(18) 및 제2연결유로(17)를 통해 축열 열교환부(57)로 유동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공조 열교환기(46)에서 응축된 냉매는 공조 유로(18) 및 제2연결유로(17)를 통해 열교환기(570)로 유동될 수 있고, 앞서 설명한 과정을 반복하며 순환할 수 있다. 이로써 방열 모드(S200)에서의 공기 조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90)는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를 전달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90)는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를 기반으로 냉장고(1)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어부(90)는 공조 밸브장치(11), 서브 밸브장치(58), 개폐밸브(130), 메인 밸브장치(56)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어부(90)는 공조 밸브장치(11), 서브 밸브장치(58), 개폐밸브(13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냉장고(1)의 공기 조화 시스템 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공기조화 시스템의 모드 전환은 냉방 모드(S100)에서 방열 모드(S200)로의 전환과, 방열 모드(S200)에서 냉방 모드(S100)로의 전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모드에서의 구체적인 제어 방법은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제어부(90)는 메인 밸브장치(56)를 조절하여 냉동실과 냉장실의 각 내부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어부(90)는 메인 밸브장치(56)를 조절하여 제1증발기(211)와 제2증발기(221)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써미스터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른 제어 순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90)는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냉각 모드(S100)나 방열 모드(S200)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방 모드(S100) 시 축열 열교환부(57)의 축열재(571)에는 열이 축적되어 축열재(571)의 온도가 점차 상승할 수 있다. 즉,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점차 높아질 수 있다.
제어부(90)는 냉방 모드(S100) 시, 써미스터(572)의 측정온도가 기설정된 제1설정온도(K1)보다 높은지 판단할 수 있다(S110). 제1설정온도(K1)은 60℃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때 제어부(90)는 써미스터(572)의 측정온도와 제1설정온도(K1)의 비교를 소정의 주기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0)는 써미스터(572)의 측정온도와 제1설정온도(K1)를 3분마다 비교할 수 있다.
냉방 모드(S100)일 때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K1) 이하이면,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냉방 모드(S100)로 유지할 수 있다.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K1) 이하라는 것은 축열재(571)가 더 축열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냉방 모드(S100)일 때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K1)보다 높으면,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냉방 모드(S100)에서 방열 모드(S200)로 전환시킬 수 있다.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K1)보다 높다는 것은 축열재(571)가 더 이상 축열할 수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방열 모드(S200) 시 축열 열교환부(57)의 축열재(571)의 열이 방출되어 축열재(571)의 온도가 점차 내려갈 수 있다. 즉,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되는 온도는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제어부(90)는 방열 모드(S200) 시, 써미스터(572)의 측정온도가 기설정된 제2설정온도(K2)보다 낮은지 판단할 수 있다(S210). 제2설정온도(K2)는 제1설정온도(K1)보다 낮으며, 55℃정도가 바람직하다.
이 때 제어부(90)는 써미스터(572)의 측정온도와 제2설정온도(K2)의 비교를 소정의 주기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90)는 써미스터(572)의 측정온도와 제2설정온도(K2)를 3분마다 비교할 수 있다.
방열 모드(S200)일 때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가 기 설정된 제2설정온도(K2) 이상이면,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방열 모드(S200)로 유지할 수 있다.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2설정온도(K2) 이상이라는 것은 축열재(571)가 충분히 방열되지 않았음을 의미할 수 있다.
방열 모드(S200)일 때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2설정온도(K2)보다 낮으면,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냉방 모드(S100)로 전환시킬 수 있다. 써미스터(572)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2설정온도(K2)보다 낮다는 것은 축열재(571)가 충분히 방열 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도 9는 경과 시간에 따른 제어 순서가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90)는 써미스터(572)에서 경과 시간에 따라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냉각 모드(S100)나 방열 모드(S200)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이 냉각 모드(S100) 또는 방열 모드(S200)에 진입한 시점으로부터 경과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냉방 모드(S100) 시 축열 열교환부(57)의 축열재(571)에는 열이 축적될 수 있다. 따라서 냉방 모드(S100) 시작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축열재(571)에 축열된 열량이 점차 많아질 수 있다.
제어부(90)는 냉방 모드(S100)가 시작된 이후 기 설정된 제1경과시간(t1)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120).
냉방 모드(S100) 시작 후 제1설정시간(t1)이 경과하기 전이면, 아직 축열재(571)가 충분히 축열하지 않았으므로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냉방 모드(S100)로 유지할 수 있다.
냉방 모드(S100) 시작 후 제1설정시간(t1)이 경과하면, 축열재(571)가 충분히 축열하였으므로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방열 모드(S200)로 전환시킬 수 있다.
방열 모드(S200) 시 축열 열교환부(57)의 축열재(571)의 열이 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 모드(S200) 시작 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축열재(571)에 축열된 열량은 점차 감소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방열 모드(S200)가 시작된 이후 기 설정된 제2경과시간(t2)이 경과하였는지 판단할 수 있다(S220).
방열 모드(S200) 시작 후 기 설정된 제2설정시간(t2)이 경과하기 전이면, 아직 축열재(571)가 충분히 방열하지 않았으므로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방열 모드(S200)로 유지할 수 있다.
방열 모드(S200) 시작 후 제2설정시간(t2)이 경과하면, 축열재(571)가 충분히 방열하였으므로 제어부(90)는 냉장고(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냉방 모드(S100)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 및/또는 냉동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에서 순환하는 냉매와,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순환하는 냉매가 서로 나뉘거나 합쳐지는 일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압축부(14′)는 제1압축기(51a)와 제2압축기(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축기(51a)와 제2압축기(51b)는 기계실(5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압축기(51a)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고, 제2압축기(51b)는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13)는 흡입유로(19)와 제1연결유로(16)를 연결할 수 있고, 바이패스 유로(13)에는 개폐밸브(1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바이패스 유로(13)와 흡입유로(19)의 연결부에 공조 밸브장치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흡입유로(19)가 증발기(211, 221)와 연결되지 않아 바이패스 유로(13)의 길이가 충분히 짧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냉방 모드(S100) 시 공기조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90)는 냉방 모드(S100) 시 제1압축기(51a)를 온 시킬 수 있다.
제1압축기(51a)는 흡입유로(19) 및 제1연결유로(16)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압축기(51a)는 흡입유로(19)를 통해 흡입된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할 수 있다. 제1압축기(51a)에서 압축된 냉매는 제1연결유로(16)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바이패스 유로(13)에 설치된 개폐밸브(130)를 클로즈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유로(13)는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유로(16)에서 바이패스 유로(13)로 냉매가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제1연결유로(16)는 제1압축기(51a)와 축열 열교환부(57)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1연결유로(16)는 제1압축기(51a)와 열교환기(57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연결유로(16)를 통해 열교환기(570)로 유입된 냉매는 축열재(571)와 열교환하며 응축될 수 있다.
열교환기(570)에서 응축된 냉매는 제2연결유로(17)를 통해 유출될 수 있고, 공조 팽창기구(59)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냉매는 공조유로(18)를 통해 공조부(40) 내부의 공조 열교환기(46)로 유입될 수 있고, 공조 열교환기(46)에서 공기와 열교환하며 증발될 수 있다.
흡입유로(19)는 공조 열교환기(46)와 제1압축기(51a)를 연결할 수 있다. 공조 열교환기(46)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유로(19)를 통해 제1압축기(51a)로 흡입될 수 있다. 이 때, 개폐밸브(130)는 클로즈 상태이므로 냉매는 흡입유로(19)에서 바이패스 유로(13)로 유동될 수 없다.
이하 방열 모드(S200) 시 공기조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90)는 방열 모드(S200) 시 제1압축기(51a)를 오프 시킬 수 있다.
축열 열교환부(57)의 열교환기(570)에서 증발된 냉매는 제1연결유로(16)로 유동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바이패스 유로(13)에 설치된 개폐밸브(130)를 오픈 시킬 수 있고, 바이패스 유로(13)는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결유로(16)에서 바이패스 유로(13)로 냉매가 유동될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13)로 유동된 냉매는 흡입 유로(19)를 따라 공조 열교환기(46)로 유입될 수 있고 공조 열교환기(46)에서 공기와 열교환하며 응축될 수 있다. 응축된 냉매는 공조유로(18) 및 제2연결유로(17)를 통해 축열 열교환부(57)로 유동될 수 있다.
이하,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2압축기(51b)는 서브 흡입유로(29) 및 응축기 유입유로(5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압축기(51b)는 서브 흡입유로(29)를 통해 흡입된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할 수 있다. 제2압축기(51b)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토출될 수 있다.
응축기 유입유로(54)는 제2압축기(51b)와 응축기(52)를 연결할 수 있다. 응축기 유입유로(54)를 통해 응축기(52)로 유입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하며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 유출유로(55)는 메인 밸브장치(56)와 응축기(52)를 연결할 수 있다.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출유로(55)를 통해 메인 밸브장치(56)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에는 적어도 하나의 냉매유로(214, 224)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밸브장치(56)에는 제1냉매 유로(214)와 제2냉매 유로(22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냉매유로(214, 224)는 메인 밸브장치(56)와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211, 22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냉매 유로(214)는 냉동실(21)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제1증발기(211)와 연결될 수 있고, 제2냉매 유로(224)는 냉장실(22)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제2증발기(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증발기(211) 및 제2증발기(221)의 작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211, 221)는 서브 흡입유로(29)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211, 221)에서 증발된 냉매는 서브 흡입유로(29)를 통해 제2압축기(51b)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압축부(14′)에 포함되는 각 압축기(51a, 51b)는 별도의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므로, 각 냉각 사이클의 제어가 더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 시스템에 의한 냉방 능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냉장고 10: 본체
11: 공조 밸브장치 13: 바이패스 유로
14: 압축부 15: 토출유로
16: 제1연결유로 17: 제2연결유로
18: 공조유로 19: 흡입유로
20: 저장부 21: 냉동실
22: 냉장실 29: 서브 흡입유로
40: 공조부 41: 수용부
42: 덕트부 43: 중간부
44: 제1통공부 45: 제2통공부
46: 공조 열교환기 47: 송풍기구
50: 기계실 51: 압축기
52: 응축기 53: 응축팬
56: 메인 밸브장치 57: 축열 열교환부
570: 열교환기 571: 축열재
572: 써미스터 58: 서브 밸브장치
59: 공조 팽창기구 60: 배리어
61: 제1냉기 토출구 62: 제2냉기 토출구
11: 공조 밸브장치 13: 바이패스 유로
14: 압축부 15: 토출유로
16: 제1연결유로 17: 제2연결유로
18: 공조유로 19: 흡입유로
20: 저장부 21: 냉동실
22: 냉장실 29: 서브 흡입유로
40: 공조부 41: 수용부
42: 덕트부 43: 중간부
44: 제1통공부 45: 제2통공부
46: 공조 열교환기 47: 송풍기구
50: 기계실 51: 압축기
52: 응축기 53: 응축팬
56: 메인 밸브장치 57: 축열 열교환부
570: 열교환기 571: 축열재
572: 써미스터 58: 서브 밸브장치
59: 공조 팽창기구 60: 배리어
61: 제1냉기 토출구 62: 제2냉기 토출구
Claims (18)
-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구획되고 제1통공부 및 제2통공부가 형성되는 공조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제1연결유로로 연결되는 축열 열교환부;
상기 축열 열교환부와 제2연결유로로 연결되는 공조 팽창기구;
상기 공조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조 팽창기구와 공조 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압축부와 흡입 유로로 연결되는 공조 열교환기;
상기 제1통공부와 상기 제2통공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공조 열교환기를 바라보게 배치되며, 상기 제1통공부 또는 상기 제2통공부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기구; 및
상기 압축부를 바이패스하여 상기 흡입유로와 상기 제1연결유로를 연결하는 바이패스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는 상기 공조 열교환기보다 하방에 배치되고,
상기 축열 열교환부는,
상기 압축부와 상기 제1연결유로로 연결되며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 및
상기 열교환기를 감싸며 상기 열교환기에서 응축되는 냉매의 응축열이 축열되는 축열재를 포함하는 냉장고.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구는 양방향 구동이 가능한 송풍팬을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구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두 개의 송풍팬을 포함하는 냉장고.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 모드 시 상기 제1통공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송풍기구를 제어하고, 상기 축열재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 모드 시 상기 제2통공부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송풍기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통공부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통공부는 상기 본체의 배면에 위치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와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된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응축기 유출유로로 연결된 메인 밸브장치;
상기 메인 밸브장치와 냉매유로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및
상기 냉매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와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는 상기 흡입 유로에 연결되는 냉장고.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흡입유로가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토출유로로 연결되는 서브 밸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밸브장치는, 상기 축열 열교환부와 상기 제1연결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되는 냉장고.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밸브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 모드 시 상기 제1연결유로의 연결부가 오픈 되도록 상기 서브 밸브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축열재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 모드 시 상기 제1연결유로의 연결부가 클로즈 되도록 상기 서브 밸브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축열 열교환부와 상기 제1연결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공조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1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와 서브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2압축기를 포함하는 냉장고. - 제 9 항에 있어서,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 모드 시 상기 제1압축기를 온 시키고, 상기 축열재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 모드 시 상기 제1압축기를 오프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와 상기 흡입유로의 연결부에 설치되는 공조 밸브장치; 및
상기 공조 밸브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 모드시,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연결부는 클로즈되고 상기 흡입유로의 연결부는 오픈되도록 상기 공조 밸브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축열재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 모드시, 상기 흡입유로 중 상기 압축부와 연결되는 부분의 연결부는 클로즈되고, 상기 바이패스 유로의 연결부는 오픈되도록 상기 공조 밸브장치를 제어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로에 설치되는 개폐밸브; 및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 모드 시 상기 개폐밸브를 오프시키고, 상기 축열재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 모드 시 상기 개폐밸브를 온 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 열교환부에 구비된 써미스터; 및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 모드 시 상기 써미스터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1설정온도 보다 높으면 방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축열재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 모드 시 상기 써미스터에서 측정된 온도가 제2설정온도보다 낮으면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를 냉방하는 냉방 모드가 시작된 후 제1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축열재의 열을 방열하는 방열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방열 모드가 시작된 후 제2설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냉방 모드로 전환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냉장고.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상기 제2통공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공조 열교환기 및 상기 송풍기구가 배치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제1통공부가 형성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냉장고.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보다 좁은 냉장고.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덕트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 측에서 상기 덕트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냉장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1892A KR101872608B1 (ko) | 2016-10-28 | 2016-10-28 | 냉장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41892A KR101872608B1 (ko) | 2016-10-28 | 2016-10-28 | 냉장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6578A KR20180046578A (ko) | 2018-05-09 |
KR101872608B1 true KR101872608B1 (ko) | 2018-06-28 |
Family
ID=6220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41892A KR101872608B1 (ko) | 2016-10-28 | 2016-10-28 | 냉장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7260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1345B1 (ko) * | 2021-08-09 | 2024-06-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229B1 (ko) * | 2002-10-31 | 2005-06-20 | 이승춘 | 멀티기능 냉각장치 |
JP4462878B2 (ja) * | 2003-09-01 | 2010-05-12 | 株式会社ワイ.ジー.ケー | エンジ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43336B1 (ko) * | 1995-03-04 | 1998-08-01 | 김광호 | 냉장고 겸용 공기조화기 |
KR19980023710U (ko) | 1996-10-31 | 1998-07-25 | 양재신 | 차광판이 설치된 자동차용 선 바이저 |
KR19980083062A (ko) | 1997-05-12 | 1998-12-05 | 배순훈 | 에어컨과 냉장고의 통합 냉동장치 |
KR101988305B1 (ko) * | 2011-08-30 | 2019-06-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
2016
- 2016-10-28 KR KR1020160141892A patent/KR10187260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6229B1 (ko) * | 2002-10-31 | 2005-06-20 | 이승춘 | 멀티기능 냉각장치 |
JP4462878B2 (ja) * | 2003-09-01 | 2010-05-12 | 株式会社ワイ.ジー.ケー | エンジン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46578A (ko) | 2018-05-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9165B1 (ko) | 냉장고 | |
JP3576103B2 (ja) | 冷蔵庫 | |
KR101872607B1 (ko) | 냉장고 | |
US7237395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rigerators | |
KR101821289B1 (ko) | 냉장고 | |
KR101821290B1 (ko) | 냉장고 | |
JP4833337B2 (ja) | 温度制御室を有する冷蔵庫 | |
CN106705292B (zh) | 组合有空调和冰箱的制冷器具及其控制方法 | |
KR102126401B1 (ko) |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 |
KR102336200B1 (ko) | 냉장고 | |
JP3904866B2 (ja) | 冷蔵庫 | |
JP3588345B2 (ja) | 冷蔵庫の冷気循環装置 | |
CN110567214A (zh) | 冰箱 | |
KR20180046576A (ko) | 냉장고 | |
KR101872608B1 (ko) | 냉장고 | |
JP2004293820A (ja) | 冷蔵庫 | |
CN110094917B (zh) | 冰箱 | |
KR101635646B1 (ko) | 냉장고의 제어 방법 | |
KR100678777B1 (ko) | 냉장고 | |
US20060016202A1 (en) | Refrigerator with system for controlling drawer temperatures | |
KR100606765B1 (ko) | 온장고를 겸비한 냉장고 | |
JP2005098605A (ja) | 冷蔵庫 | |
JP2007127394A (ja) | 冷蔵庫 | |
EP3845846B1 (en) | Entrance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JP2007120913A (ja) | 冷蔵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