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607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607B1
KR101872607B1 KR1020160141891A KR20160141891A KR101872607B1 KR 101872607 B1 KR101872607 B1 KR 101872607B1 KR 1020160141891 A KR1020160141891 A KR 1020160141891A KR 20160141891 A KR20160141891 A KR 20160141891A KR 101872607 B1 KR101872607 B1 KR 101872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heat exchanger
refrigerant
passage
cond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577A (ko
Inventor
우형석
양동근
정백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1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6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6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24F1/006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th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F24F11/8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u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96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25B41/0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8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domestic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7Water-cooled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저장부와 구획되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조부를 내부에 가지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부; 압축부와 냉매 유입유로로 연결되는 제1공조 열교환기; 제1공조 열교환기와 냉매 유출유로로 연결되는 공조 팽창기구; 공조부 내부에 구비되고, 팽창기구와 공조 유로로 연결되며, 압축부와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2공조 열교환기; 흡입구와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제2공조 열교환기를 바라보게 설치되는 송풍팬; 저장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정수기; 및 정수기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조 열교환기에는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유로와, 정수기에 연결되는 냉각수 유출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냉장고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가질 수 있고, 정수기에 필요한 급수 유로를 활용하여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조화 기능을 가지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음식물이나 식품의 저장기간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신선도를 더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으로, 음식물이나 식품이 저장되는 내부를 저온상태로 유지한다.
최근 식생활이 개선되고 다양해고, 보다 여러 종류의 음식물을 섭취하면서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가 보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로는 곡물을 보관하기 위한 곡물 냉장고, 와인과 같은 술을 보관하기 위한 술 저장고, 김치나 야채 등을 보관하기 위한 김치냉장고 등이 있다. 더하여, 최근의 냉장고는 생활의 편의를 위하여 정수기능이나 제빙기능 등의 부가 기능들이 더 추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가 설치되는 주방의 내부는 조리기기 등의 사용에 따라 열부하가 거실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 그러나, 열부하를 해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기조화기는 일반적으로 거실에 설치되므로, 주방까지의 공조를 담당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정수기에 필요한 급수 유로를 활용한 공기조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구획되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조부를 내부에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냉매 유입유로로 연결되는 제1공조 열교환기;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와 냉매 유출유로로 연결되는 공조 팽창기구; 상기 공조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팽창기구와 공조 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압축부와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2공조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조 열교환기를 바라보게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저장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정수기; 및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에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유로와,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냉각수 유출유로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냉장고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가질 수 있고, 정수기에 필요한 급수 유로를 활용하여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급수 유로에는 필터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 유출유로는 상기 필터 모듈을 경유하여 상기 정수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별도의 가열장치 없이 정수기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냉각수 유출유로에 보조 히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공기조화 기능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정수기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공조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조부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공조 열교환기 및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덕트부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냉풍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져 공기조화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공조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덕트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 측에서 상기 덕트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압축부와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된 응축기; 상기 응축기와 응축기 유출유로로 연결된 메인 밸브장치; 상기 메인 밸브장치와 냉매유로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및 상기 냉매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와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단일의 압축기를 사용하여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되어 기계실이 컴팩트화 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는 상기 흡입 유로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흡입유로가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토출유로로 연결되는 서브 밸브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밸브장치는,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와 상기 냉매 유입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메인 밸브장치와 상기 공조 유로를 연결하는 서브 냉매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냉매유로에 서브 팽창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메인 밸브장치와 상기 냉매 유출유로를 연결하는 서브 냉매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는,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와 상기 냉매 유입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제2공조 열교환기와 상기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1압축기; 및 상기 응축기와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와 서브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2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이 서로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냉방 성능이 향상되고 제어가 편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 만으로 소정 공간의 냉방이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정수기에 필요한 급수 유로를 활용하여 공조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응축열을 활용함으로써 별도의 가열장치 없이 정수기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단일의 압축기를 사용하여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기계실이 컴팩트화 될 수 있다.
또한,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을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냉방 성능이 향상되고 제어가 편리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공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냉장고(1)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어(80)가 설치될 수 있다. 더하여, 냉장고(1)는 정수기(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고,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본체(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저장부(20)와 공조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80)는 냉장고(1)의 본체(10)를 여닫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도어(80)는 본체(10)의 저장부(20)를 여닫을 수 있다.
도어(8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1)에는 냉동실(21)을 여닫는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22)을 여닫는 냉장실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80)가 구비될 경우, 복수개의 도어(80) 각각은 크기와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도어(80)는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정수기(71)는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정수기(71)는 도어(80)의 외면 일부가 함몰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80)를 열지 않고도 정수기(71)를 사용할 수 있다.
본체(10)에는 공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4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저온의 냉풍일 수 있으므로, 주변의 공기에 비해 온도가 낮을 수 있다. 즉, 토출구(44)에서 토출되는 공기는 주변의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무거워 하강 기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토출구(44)는 본체(10)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토출구(44)의 형성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토출구(44)는 본체(10)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토출구(44)는 도어(8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44)는 본체(10)의 전면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토출구(44)의 단면은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고, 도 3은 공기조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공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이하, 공기조화 시스템은 공조를 위한 냉각 사이클을 의미할 수 있고,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은 냉장 및/또는 냉동을 위한 냉각 사이클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냉장고(1)에 포함되는 본체(10)는 내부에 저장부(20), 공조부(40), 기계실(50)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0), 공조부(40), 기계실(50)은 각각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격벽은 단열벽일 수 있고, 이로써 저장부(20), 공조부(40), 기계실(50) 각각의 온도가 독립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저장부(20)에는 음식물이 보관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0)는 냉동실(21)과 냉장실(22)을 포함할 수 있다. 냉동실(21) 내부 온도는 냉장실(22) 내부 온도에 비해 낮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냉동실(21) 내부 온도는 영하일 수 있으며 -15℃ 정도가 바람직하다. 냉장실(22) 내부 온도는 영상일 수 있으며 3℃ 내지 5℃ 정도가 바람직하다.
냉동실(21)과 냉장실(22)은 단열 격벽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냉동실(21)과 냉장실(22)을 구획하는 단열 격벽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은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할 수 있다. 이로써 냉동실(21)과 냉장실(22) 내부의 냉기가 혼합될 수 있으며, 냉동실(21)의 냉기에 의해 냉장실(22) 내부의 온도가 더욱 낮아질 수 있다.
냉동실(21)과 냉장실(22)의 내부에는 각각 온도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값에 따라 냉장고(1)를 제어할 수 있다.
냉동실(21)은 저장부(2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고, 냉장실(22)은 저장부(2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냉동실(21)은 냉장실(22)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냉동실(21)이 냉장실(22)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저장부(20)의 후방측에는 배리어(6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배리어(60)의 전방에는 저장부(20)가 위치할 수 있다. 저장부(20) 내부 공간이 넓을수록 더욱 많은 음식물이 보관될 수 있으므로, 본체(10)의 크기가 일정하면 배리어(60)는 가능한 본체(10)의 배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어(6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냉기 토출구(61, 62)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60)에는 냉동실(21)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1냉기토출구(61)와, 냉장실(22)로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제2냉기토출구(6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냉기토출구(61)는 배리어(60)에서 냉동실(21)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제2냉기토출구(62)는 배리어(60)에서 냉장실(22)에 대응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60)의 후방에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211, 221) 및 증발팬(212, 222)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리어(60)에서 냉동실(21)에 대응되는 부분의 후방에는 제1증발기(211) 및 제1증발팬(212)이 위치할 수 있고, 배리어(60)에서 냉장실(22)에 대응되는 부분의 후방에는 제2증발기(221) 및 제2증발팬(22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증발팬(212)은 제1증발기(211)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를 제1냉기토출구(61)를 통해 냉동실(21)로 송풍시킬 수 있다. 제2증발팬(222)은 제2증발기(221)에서 열교환되어 냉각된 공기를 제2냉기토출구(62)를 통해 냉장실(22)로 송풍시킬 수 있다. 즉, 제1증발기(211)는 냉동실(21)을 냉각하기 위한 냉동실 증발기이고, 제2증발기(221)는 냉장실(22)을 냉각하기 위한 냉장실 증발기일 수 있다.
냉동실(21)의 온도가 냉장실(22)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어야 하므로, 제1증발기(211)에서 요구되는 냉각부하가 제2증발기(221)에서 요구되는 냉각부하보다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제1증발기(211)와 제2증발기(221)로 각각 유동되는 냉매 유량은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러한 냉매 유량은 메인 밸브장치(56)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증발팬(212, 222)은 증발기(211, 221)와 냉기 토출구(61, 62)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증발팬(212, 222)이 증발기(211, 221)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계실(50)은 본체(10)의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기계실(50)은 본체(10)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50) 내부에는 압축부(14), 응축기(52), 응축팬(53), 메인 밸브장치(56)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기계실(50)의 내부에는 제1공조 열교환기(57)가 구비될 수 있다. 기계실(5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팽창기구(213, 223) 및 공조 팽창기구(59)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압축부(14)는 압축기(51)와 서브 밸브장치(58)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부(14)는 토출유로(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51)와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로 연결될 수 있다. 토출유로(15)는 압축기(51)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냉매를 서브 밸브장치(58)로 안내할 수 있다.
압축부(14)에는 흡입유로(19)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압축기(51)에는 흡입유로(19)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51)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시킬 수 있다. 압축기(51)는 흡입유로(19) 및 토출유로(15)와 연결될 수 있다. 압축기(51)는 흡입유로(19)에서 유입된 냉매를 고온 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하여 토출유로(15)로 토출할 수 있다. 흡입유로(19)에는 압축기(51)로 액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한 어큐물레이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냉매 유입유로(16)는 압축부(14)와 제1공조 열교환기(57)을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냉매 유입유로(16)는 서브 밸브장치(58)와 제1공조 열교환기(57)를 연결할 수 있다. 냉매 유입유로(16)는 서브 밸브장치(58)에서 유출된 냉매를 제1공조 열교환기(57)로 안내할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는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를 제1공조 열교환기(57) 및 응축기(52)로 공급하기 위하여, 냉매의 유동방향 및 유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의 제어에 따라, 제1공조 열교환기(57) 및 응축기(52)로 각각 유입되는 냉매량이 달라질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에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 또는 사방밸브(four way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
압축부(14)에는 응축기 유입유로(54)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서브 밸브장치(58)에는 응축기 유입유로(54)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를 냉매 유입유로(16) 및/또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유동시킬 수 있다.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이 정지되고 공기조화 시스템의 단독 운전 시,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 전부가 냉매 유입유로(16)로 유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밸브장치(58)의 응축기 유입유로(54) 방향 통로가 페쇄되어 응축기 유입유로(54)로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공기조화 시스템이 정지되고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의 단독 운전 시,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 전부가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유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밸브장치(58)의 냉매 유입유로(16) 방향 통로가 페쇄되어 냉매 유입유로(16)로는 냉매가 흐르지 않는다.
공기조화 시스템 및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의 동시 운전 시,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 일부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유동되고, 나머지 일부는 냉매 유입유로(16)로 유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응축기(52)에서는 압축기(51)에서 압축된 냉매가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52)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압축부(14)와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응축기(52)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서브 밸브장치(58)와 연결될 수 있다. 서브 밸브장치(58)에서 응축기 유입유로(54)를 통해 응축기(52)로 유입된 냉매는 기계실(50) 내부의 공기와 열교환되며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52)는 응축기 유출유로(55)와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출유로(55)로 유동될 수 있다.
응축팬(53)은 응축기(52)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본체(10)의 배면에 형성된 통공부(미도시)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송풍시킬 수 있다. 응축팬(53)은 상기 통공부와 응축팬(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응축기(52)가 응축팬(53)과 상기 통공부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밸브장치(56)에는 응축기 유출유로(55) 및 적어도 하나의 냉매 유로(214, 224)가 연결될 수 있다.
응축기 유출유로(55)는 응축기(52)와 메인 밸브장치(56)를 연결할 수 있다.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출유로(55)를 통해 메인 밸브장치(56)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는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를 제1증발기(211) 및 제2증발기(221)로 공급하기 위하여 냉매의 유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의 제어에 따라, 제1증발기(211)와 제2증발기(221)로 유입되는 냉매량이 달라질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에는 삼방밸브(three way valve) 또는 사방밸브(four way valve)가 포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냉매 유로(214, 224)는 메인 밸브장치(56)와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221, 22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냉매 유로(214)는 메인 밸브장치(56)와 제1증발기(211)를 연결하고, 제2냉매 유로(224)는 제2증발기(221)와 메인 밸브장치(56)를 연결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구(213, 223)가 구비될 수 있다. 팽창기구(213, 223)는 기계실(50)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개의 팽창기구(213, 223)는 복수개의 증발기(211, 221)와 각각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증발기(211)와 제2증발기(221)는 각각 제1팽창기구(213) 및 제2팽창기구(223)에 대응될 수 있다. 제1팽창기구(213)는 제1냉매 유로(214)에 구비될 수 있고, 제2팽창기구(223)는 제2냉매 유로(224)에 구비될 수 있다.
응축기 유출유로(55)를 통해 메인 밸브장치(56)로 유입된 냉매는 냉매 유로(214, 224)로 유동될 수 있다. 냉매는 냉매 유로(214, 224) 상에서 팽창기구(213, 223)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팽창기구(213, 223)에서 교축된 냉매는 증발기(211, 221)에서 증발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증발팬(212, 222)은 증발기(211, 221)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냉기 토출구(61, 62)를 통해 저장부(20) 내부로 송풍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저장부(20)의 냉장 및/또는 냉동이 가능할 수 있다.
증발기(211, 221)는 흡입유로(19)에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211, 221)에서 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흡입유로(19)로 유동되어 압축기(51)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이 완성될 수 있다.
이하, 공조부(40)에 대해 설명한다.
공조부(40)는 본체(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조부(40)는 저장부(20)와 단열 격벽으로 구획될 수 있다.
공조부(40)에는 흡입구(45) 및 토출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공조부(40)의 내부에는 제2공조 열교환기(46) 및 송풍팬(47)이 배치될 수 있다.
공조부(40)는 수용부(41)와 덕트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공조부(40)는 중간부(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41)에는 제2공조 열교환기(46)와 송풍팬(47)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41)의 일측에는 흡입구(45)가 형성될 수 있다. 흡입구(45)는 본체(10) 외부의 공기가 공조부(40)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 흡입구일 수 있다.
송풍팬(47)은 제2공조 열교환기(46)을 바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송풍팬(47)은 본체(10) 외부의 공기를 흡입구(45)를 통해 공조부(40) 내부로 흡입하여 제2공조 열교환기(46)을 통과하도록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팬(47)은 제2공조 열교환기(46)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구(44)로 송풍시킬 수 있다. 송풍팬(47)은 흡입구(45)와 제2공조 열교환기(4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공조 열교환기(46)은 송풍팬(47)과 흡입구(4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부(42)는 수용부(41)와 연통되고 토출구(44)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구(44)에는 도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방향조절부재(440)가 설치될 수 있다.
덕트부(42)는 수용부(41)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흡입구(45)는 공조부(4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44)는 공조부(40)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흡입구(45)는 수용부(41)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고, 토출구(44)는 덕트부(42)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용부(41)에는 제2공조 열교환기(46)과 송풍팬(47)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수용부(41)는 덕트부(42)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넓을 수 있다. 즉, 덕트부(42)의 단면적은 수용부(41)의 단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41)에서 유동된 냉풍은 덕트부(42)를 통과하며 그 유속이 빨라질 수 있고, 토출구(44)에서 토출되며 더욱 멀리까지 확산될 수 있다. 이로써, 냉장고(1)의 공조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중간부(43)는 수용부(41)와 덕트부(42)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중간부(43)는 수용부(41)와 연통되고, 덕트부(42)와 연통될 수 있다.
중간부(43)의 단면적은 수용부(41) 측에서 덕트부(42) 측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즉, 중간부(43)의 외면 중 적어도 일부는 구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덕트부(42)의 단면적은 수용부(41)의 단면적보다 좁을 수 있다. 이 때 중간부(43)가 존재하지 않으면, 수용부(41)와 덕트부(42)의 사이에서 면적이 급격하게 변화하므로 송풍팬(47)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일부가 덕트부(42)로 유동되지 않고 수용부(41)의 내벽에서 반사되어 수용부(41)로 되돌아올 수 있다.
중간부(43)는 수용부(41)와 덕트부(42)의 단면적 차이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송풍팬(47)에 의해 유동된 공기는 중간부(43)의 구배면을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전체 공기가 덕트부(42)로 유동될 수 있다.
공조부(40)의 상측 외면은 본체(10)의 상면일 수 있다. 수용부(41), 덕트부(42), 중간부(43)의 상측 외면은 단차가 없는 단일의 평면일 수 있다. 덕트부(42) 및 중간부(43)는 저장부(2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41), 덕트부(42), 중간부(43)의 좌우 방향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덕트부(42)와 중간부(43)의 단면적이 수용부(41)의 단면적에 비해 작으므로, 덕트부(42) 및 중간부(43)의 상하방향 길이는 수용부(41)의 상하방향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이로써, 저장부(20)가 더욱 넓어질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부(14)에서 압축된 냉매의 일부는 냉매 유입유로(16)를 통해 제1공조 열교환기(57)로 유입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압축기(51)에서 압축되어 토출된 냉매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서브 밸브장치(58)로 유입될 수 있고, 서브 밸브장치(58)로 유입된 냉매의 일부는 냉매 유입유로(16)를 통해 제1공조 열교환기(57)로 유입될 수 있다.
제1공조 열교환기(57)는 유입된 냉매를 응축시킬 수 있다. 즉, 제1공조 열교환기(57)는 응축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공조 열교환기(57)는 물이 냉각수 역할을 하는 수냉식 열교환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공조 열교환기(57)는 판형 열교환기일 수 있다.
제1공조 열교환기(57)는 냉매 유입유로(16) 및 냉매 유출유로(17)와 연결될 수 있다. 냉매 유입유로(16)를 통해 제1공조 열교환기(57)로 유입된 냉매는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 냉각수와 열교환 된 후, 냉매 유출유로(17)로 유출될 수 있다. 냉각수의 유동 경로에 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
냉매 유출유로(17)는 제1공조 열교환기(57)와 공조 팽창기구(59)를 연결할 수 있다. 냉매 유출유로(17)로 안내된 냉매는 공조 팽창기구(59)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냉매는 액상 냉매와 기상 냉매가 공존하는 상태일 수 있다. 공조 팽창기구(59)는 기계실(5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조유로(18)는 공조 팽창기구(59)와 제2공조 열교환기(46)를 연결할 수 있다. 공조유로(18)는 기계실(50) 내부에서 공조부(40) 내부까지 이어질 수 있다. 공조 팽창기구(59)에서 교축된 냉매는 공조유로(18)를 통해 공조부(40) 내부에 위치한 제2공조 열교환기(46)로 유동될 수 있다.
제2공조 열교환기(46)는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제2공조 열교환기(46)에서는 냉매가 증발되며 송풍팬(47)에 의해 송풍된 공기와 열교환이 행해질 수 있다. 즉, 제2공조 열교환기(46)는 증발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공조 열교환기(46)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는 냉각될 수 있다. 상기 냉각된 공기는 송풍팬(47)에 의해 송풍되어 중간부(43), 덕트부(42)를 차례로 통과하여 토출구(44)로 토출될 수 있다. 즉, 토출구(44)에서는 냉풍이 토출될 수 있고,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의한 냉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흡입유로(19)는 제2공조 열교환기(46)와 압축부(14)를 연결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흡입유로(19)는 제2공조 열교환기(46)와 압축기(51)를 연결할 수 있다. 제2공조 열교환기(46)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유로(19)를 통해 압축기(51)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조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유로(19)에는 제2공조 열교환기(46) 이외에도 증발기(211, 221)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유로(19)에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제2공조 열교환기(46), 제1증발기(211), 제2증발기(221)가 차례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하나의 압축기(51)만을 활용하여 공기조화 시스템과 냉장 및/또는 냉동시스템을 모두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기계실(50)이 컴팩트화 될 수 있고,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20)가 넓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냉장고(1)는 정수기(71) 및 급수유로(11)를 포함할 수 있다.
정수기(71)은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정수기(71)는 저장부(2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정수기(71)에서 온수 및 냉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냉수는 상온 내지는 그보다 낮은 온도의 물을 의미할 수 있다.
정수기(71)는 냉동실(21) 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정수기(71) 내부의 물이 냉동실(21) 내부의 차가운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정수기(71)가 사용자에게 시원한 냉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정수기(71)는 냉동실(21) 내부에 구비된 얼음을 냉수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냉수는 정수기(71)에 연결된 급수유로(11)를 통해 정수기(71)에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온수는 정수기(71)에 연결된 냉각수 유출유로(13)를 통해 정수기(71)에 공급될 수 있다.
급수유로(11)는 본체(10) 외부에서 물을 안내하여 본체(10) 내부로 유동시킬 수 있다. 급수유로(11)에는 필터 모듈(70)이 구비될 수 있다. 급수유로(11)는 정수기(71)에 연결되어 정수기(7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필터 모듈(70)은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필터 모듈(70)은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개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모듈(70)은 급수유로(11)상에 설치될 수 있고, 물은 필터 모듈(70)을 통과하며 정수될 수 있다. 이로써, 정수기(71)는 사용자에게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냉각수 유입유로(12)는 급수유로(11)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냉각수 유입유로(12)는 물의 유동 방향에 대해 급수유로(11)에서 필터 모듈(70) 이전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냉각수 유입유로(12)와 급수유로(11)의 연결부는 물의 유동방향에 대해 필터 모듈(70) 이전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수 유입유로(12)는 급수유로(11)와 제1공조 열교환기(57)를 연결할 수 있다.
냉각수 유입유로(12)는 급수유로(11)로 유동된 물을 제1공조 열교환기(57)로 안내할 수 있다. 제1공조 열교환기(57)로 안내된 물은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 냉매와 열교환될 수 있다. 즉, 냉각수 유입유로(12)는 제1공조 열교환기(57)에 물을 공급할 수 있고, 상기 물은 제1공조 열교환기(57)에 대한 냉각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냉각수 유출유로(13)는 제1공조 열교환기(57)와 정수기(71)를 연결할 수 있다. 냉각수 유출유로(13)는 필터 모듈(70)을 경유하여 정수기(71)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수 유출유로(13)에는 보조 히터(73)가 설치될 수 있다.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물은 냉각수 유출유로(13)로 유동될 수 있다. 냉각수 유출유로(13)로 유동된 물은 필터 모듈(70)을 통과하며 정수된 이후 정수기(71)로 공급될 수 있다. 이로써, 냉각수 유출유로(13)를 통해 정수기(71)로 공급되는 물은 정수된 물일 수 있다.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 냉매는 응축되며 외부로 응축열을 발산하므로,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 냉매와 열교환되는 물은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수 유출유로(13)를 따라 정수기(71)로 유동되는 물은 가열된 온수일 수 있고, 사용자는 정수기(71)에서 온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냉각수 유출유로에 설치된 보조 히터(73)는 냉각수 유출유로(13) 상에서 보조 히터(73)가 설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물을 가열할 수 있다.
공기조화 시스템에 의한 냉방 기능이 사용되지 않을 경우,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는 물과 열교환이 이뤄지지 않으므로 열교환에 의한 온수를 공급할 수 없을 수 있다. 그럼에도 사용자가 정수기(71)에서 온수를 원할 경우, 냉각수 유출유로(13)에 설치된 보조 히터(73)가 가동되어 정수기에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 물이 냉매와 열교환 되더라도 물이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가열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 보조 히터(73)에 의해 냉각수 유출유로(13)를 통과하는 물이 추가로 가열됨으로써 정수기(71)에 뜨거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공기조화 시스템에 의한 냉방 기능을 사용하나 정수기(71)에서 온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 냉매와 열교환된 물은 정수기(71)에 연결된 드레인 유로(미도시)를 통해 배수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메인 밸브장치(56)와 연결되는 서브 공조유로(48)를 포함할 수 있다. 서브 공조유로(48)에는 개폐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밸브장치(56)는 사방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에는 응축기 유출유로(55), 제1냉매유로(214), 제2냉매유로(224), 서브 공조유로(48)가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공기조화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정수기(71)에서 온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물이 냉각수 유출유로(13)를 통해 유입될 수 없고, 이는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 물이 냉각수 역할을 할 수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공조 열교환기(57)는 응축기로써 기능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브 밸브장치(58)는 토출유로(15)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전부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유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즉, 냉매 유입유로(16) 및 제1공조 열교환기(57)로는 냉매가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응축기 유입유로(54)로 유동된 냉매는 응축기(52)로 유입되어 응축될 수 있고,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출유로(55)를 통해 메인 밸브장치(56)로 유동될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는 유입된 냉매가 제1냉매유로(214), 제2냉매유로(224), 서브 공조유로(48)로 각각 나뉘어 유동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각 유로로 유동되는 냉매의 유동량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서브 공조유로(48)에는 서브 팽창기구(49)가 구비될 수 있고, 서브 공조유로(48)는 메인 밸브장치(56)와 공조 유로(18)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공조유로(48)로 유동된 냉매는 서브 팽창기구(49)에서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냉매는 공조유로(18)로 유동되어 제2공조 열교환기(46)로 안내될 수 있다. 제2공조 열교환기(46)에서 증발되어 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흡입유로(19)를 통해 압축기(51)로 흡입될 수 있다.
서브 공조유로(48)에 서브 팽창기구(49)가 구비되지 않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서브 공조유로(48)는 메인 밸브장치(56)와 냉매 유출유로(17)를 연결할 수 있다. 서브 공조유로(48)로 유동된 냉매는 냉매 유출유로(17)로 유입될 수 있고, 공조 팽창기구(59)에서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냉매는 공조유로(18)로 유동되어 제2공조 열교환기(46)로 안내될 수 있다. 제2공조 열교환기(46)에서 증발되어 공기와 열교환된 냉매는 흡입유로(19)를 통해 압축기(51)로 흡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제1공조 열교환기(57) 대신 응축기(54)를 활용하여 공기조화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응축기(54)는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에 동시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경우, 메인 밸브장치(56)는 서브 공조유로(48)로 냉매가 유동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 때 공조유로(18)에서 서브 공조유로(48)로 냉매가 유동되지 않도록 서브 공조유로(48)에 설치된 개폐밸브가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작용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작용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내부 구성이 도시된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앞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냉장 및/또는 냉동시스템과, 공기조화 시스템이 각각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에서 순환하는 냉매와, 공기조화 시스템에서 순환하는 냉매가 서로 나뉘거나 합쳐지는 일 없이 각각 독립적으로 순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압축부(14″)는 제1압축기(51a)와 제2압축기(5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압축기(51a)와 제2압축기(51b)는 기계실(50)에 설치될 수 있다.
제1압축기(51a)는 공기조화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고, 제2압축기(51b)는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공기조화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1압축기(51a)는 흡입유로(19) 및 냉매 유입유로(16)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압축기(51a)는 흡입유로(19)를 통해 흡입된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할 수 있다. 제1압축기(51a)에서 압축된 냉매는 냉매 유입유로(16)로 토출될 수 있다.
냉매 유입유로(16)는 제1압축기(51a)와 제1공조 열교환기(57)를 연결할 수 있다. 냉매 유입유로(16)를 통해 제1공조 열교환기(57)로 유입된 냉매는 냉각수와 열교환하며 응축될 수 있다. 제1공조 열교환기(57)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작용은 앞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공조 열교환기(57)에서 응축된 냉매는 냉매 유출유로(17)를 통해 유출될 수 있고, 공조 팽창기구(59)를 통과하며 팽창될 수 있다. 팽창된 냉매는 공조유로(18)를 통해 공조부(40) 내부의 제2공조 열교환기(46)으로 유입될 수 있고, 제2공조 열교환기(46)에서 공기와 열교환하며 증발될 수 있다.
흡입유로(19)는 제2공조 열교환기(46)와 제1압축기(51a)를 연결할 수 있다. 제2공조 열교환기(46)에서 증발된 냉매는 흡입유로(19)를 통해 제1압축기(51a)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공기조화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제2압축기(51b)는 서브 흡입유로(29) 및 응축기 유입유로(5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압축기(51b)는 서브 흡입유로(29)를 통해 흡입된 냉매를 고온고압의 기상 냉매로 압축할 수 있다. 제2압축기(51b)에서 압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입유로(54)로 토출될 수 있다.
응축기 유입유로(54)는 제2압축기(51b)와 응축기(52)를 연결할 수 있다. 응축기 유입유로(54)를 통해 응축기(52)로 유입된 냉매는 공기와 열교환하며 응축될 수 있다.
응축기 유출유로(55)는 메인 밸브장치(56)와 응축기(52)를 연결할 수 있다. 응축기(52)에서 응축된 냉매는 응축기 유출유로(55)를 통해 메인 밸브장치(56)로 유입될 수 있다.
메인 밸브장치(56)에는 적어도 하나의 냉매유로(214, 224)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밸브장치(56)에는 제1냉매 유로(214)와 제2냉매 유로(224)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냉매유로(214, 224)는 메인 밸브장치(56)와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211, 221)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냉매 유로(214)는 냉동실(21)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제1증발기(211)와 연결될 수 있고, 제2냉매 유로(224)는 냉장실(22)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제2증발기(221)와 연결될 수 있다. 제1증발기(211) 및 제2증발기(221)의 작용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그와 관련된 설명은 생략한다.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211, 221)는 서브 흡입유로(29)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증발기(211, 221)에서 증발된 냉매는 서브 흡입유로(29)를 통해 제2압축기(51b)로 흡입될 수 있다. 이로써, 냉장 및/또는 냉동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압축부(14″)에 포함되는 각 압축기(51a, 51b)는 별도의 냉각 사이클을 구성하므로, 각 냉각 사이클의 제어가 더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조화 시스템에 의한 냉방 능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본체 11: 급수유로
14: 압축부 15: 토출유로
18: 공조유로 19: 흡입유로
20: 저장부 21: 냉동실
22: 냉장실 29: 서브 흡입유로
40: 공조부 41: 수용부
42: 덕트부 43: 중간부
44: 토출구 45: 흡입구
46: 제2공조 열교환기 47: 송풍팬
48: 서브 공조유로 49: 서브 팽창기구
50: 기계실 51: 압축기
52: 응축기 53: 응축팬
56: 메인 밸브장치 57: 제1공조 열교환기
58: 서브 밸브장치 59: 공조 팽창기구
60: 배리어 61: 제1냉기 토출구
62: 제2냉기 토출구 70: 필터 모듈
71: 정수기 73: 보조히터

Claims (14)

  1.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구획되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조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냉매 유입유로로 연결되는 제1공조 열교환기;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와 냉매 유출유로로 연결되는 공조 팽창기구;
    상기 공조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조 팽창기구와 공조 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압축부와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2공조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조 열교환기를 바라보게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저장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정수기;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
    상기 압축부와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된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바라보게 배치된 응축팬;
    상기 응축기와 응축기 유출유로로 연결된 메인 밸브장치;
    상기 메인 밸브장치와 냉매유로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상기 냉매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와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구; 및
    상기 메인 밸브장치와 상기 공조 유로를 연결하며 서브 팽창기구가 구비된 서브 공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에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유로와,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냉각수 유출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흡입유로가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토출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냉매 유입유로 및 응축기 유입유로가 연결된 서브 밸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밸브장치는,
    상기 정수기에서 온수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와 상기 응축기로 나뉘어 유동되도록 조절되고,
    상기 정수기에서 온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전부 상기 응축기로 유동되도록 조절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유로에는 필터 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냉각수 유출유로는 상기 필터 모듈을 경유하여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유출유로에 보조 히터가 설치되는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상기 저장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상기 흡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제2공조 열교환기 및 상기 송풍팬이 배치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연통되고, 상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덕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수용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의 단면적보다 좁은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부는,
    상기 수용부와 상기 덕트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의 단면적은 상기 수용부 측에서 상기 덕트부 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냉장고.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는 상기 흡입 유로에 연결되는 냉장고.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구획되고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는 공조부를 갖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압축부;
    상기 압축부와 냉매 유입유로로 연결되는 제1공조 열교환기;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와 냉매 유출유로로 연결되는 공조 팽창기구;
    상기 공조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조 팽창기구와 공조 유로로 연결되며, 상기 압축부와 흡입유로로 연결되는 제2공조 열교환기;
    상기 흡입구와 상기 토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공조 열교환기를 바라보게 설치되는 송풍팬;
    상기 저장부의 전방에 설치되는 정수기;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급수 유로;
    상기 압축부와 응축기 유입유로로 연결된 응축기;
    상기 응축기를 바라보게 배치된 응축팬;
    상기 응축기와 응축기 유출유로로 연결된 메인 밸브장치;
    상기 메인 밸브장치와 냉매유로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저장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저장부에 유입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
    상기 냉매유로에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증발기와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팽창기구; 및
    상기 메인 밸브장치와 상기 냉매 유출유로를 연결하는 서브 공조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에는 상기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냉각수 유입유로와, 상기 정수기에 연결되는 냉각수 유출유로가 연결되고,
    상기 압축부는,
    상기 흡입유로가 연결되는 압축기; 및
    상기 압축기와 토출유로로 연결되고, 상기 냉매 유입유로 및 응축기 유입유로가 연결된 서브 밸브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밸브장치는,
    상기 정수기에서 온수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상기 제1공조 열교환기와 상기 응축기로 나뉘어 유동되도록 조절되고,
    상기 정수기에서 온수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토출유로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 전부 상기 응축기로 유동되도록 조절되는 냉장고.
KR1020160141891A 2016-10-28 2016-10-28 냉장고 KR101872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891A KR101872607B1 (ko) 2016-10-28 2016-10-28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891A KR101872607B1 (ko) 2016-10-28 2016-10-2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577A KR20180046577A (ko) 2018-05-09
KR101872607B1 true KR101872607B1 (ko) 2018-06-28

Family

ID=62200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891A KR101872607B1 (ko) 2016-10-28 2016-10-2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6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9484B2 (en) 2019-11-0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9670B (zh) * 2019-01-07 2024-01-30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模块化组合式冰箱
KR102614568B1 (ko) * 2021-08-09 202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KR102614566B1 (ko) * 2021-08-09 202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623720B1 (ko) * 2021-08-09 2024-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2614569B1 (ko) * 2021-08-09 2023-1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배기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229B1 (ko) * 2002-10-31 2005-06-20 이승춘 멀티기능 냉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3336B1 (ko) * 1995-03-04 1998-08-01 김광호 냉장고 겸용 공기조화기
KR20070044247A (ko) * 2005-10-24 2007-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595360B1 (ko) * 2009-04-03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온수 취출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229B1 (ko) * 2002-10-31 2005-06-20 이승춘 멀티기능 냉각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19484B2 (en) 2019-11-01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577A (ko)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607B1 (ko) 냉장고
CN106369913B (zh) 冰箱
CN106338171B (zh) 冰箱
KR101869165B1 (ko) 냉장고
KR20160109521A (ko) 냉장고
KR101140711B1 (ko)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212640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제어 방법
KR20140113077A (ko) 냉장고
KR100377616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 시스템
KR20180046576A (ko) 냉장고
KR102515626B1 (ko) 냉장고
KR102498510B1 (ko) 냉장고
KR100678777B1 (ko) 냉장고
KR20150045796A (ko) 김치냉장고
JP2015036600A (ja) 冷蔵庫
JP2012082985A (ja) 冷蔵庫
KR20080076269A (ko) 냉장고
JP2012082984A (ja) 冷蔵庫
KR101659011B1 (ko) 냉장고
KR101872608B1 (ko) 냉장고
KR100531318B1 (ko) 양문형 냉장고
KR102614568B1 (ko) 공기 조화기 일체형 냉장고
JP2003148853A (ja) 冷凍冷蔵庫
KR100301467B1 (ko) 독립형냉장고및그운전방법
JP2007120913A (ja) 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