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6468A -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6468A
KR20120016468A KR1020100078847A KR20100078847A KR20120016468A KR 20120016468 A KR20120016468 A KR 20120016468A KR 1020100078847 A KR1020100078847 A KR 1020100078847A KR 20100078847 A KR20100078847 A KR 20100078847A KR 20120016468 A KR20120016468 A KR 20120016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toilet bowl
base
toilet
liquid dispen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9214B1 (ko
Inventor
장운호
Original Assignee
장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운호 filed Critical 장운호
Priority to KR102010007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2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1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의 소독과 방향을 위하여 사용되는 세정액을 일정한 양으로 변기에 제공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변기가 흘려내리는 물에 일정한 양의 세정액을 용해시켜 변기를 세정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Dispenser for cleansing liquid of toilet bowl}
본 발명은 변기의 소독과 방향을 위하여 사용되는 세정액을 일정한 양으로 변기에 제공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의 테두리에 부착되어 변기가 흘려내리는 물에 일정한 양의 세정액을 용해시켜 변기를 세정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상업용 건물의 화장실에 설치된 변기를 위생적이고 청결하게 관리하기 위하여 고체 상태의 세정제를 변기의 물탱크 부분에 투입하거나, 변기에 세정액을 분무하는 방법을 이용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세정제나 세정액은 대부분 화장실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느낌을 제공하기 위하여 방향 기능도 겸하여 가지고 있으나, 그리 효과적이지 못했다.
그리고, 상술한 세정제를 물탱크 부분에 투입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변기의 물탱크 부분을 직접 열고 세정제를 정기적으로 투입하여야 하므로, 물탱크 부분을 열고 세정제를 투입하는 과정이 사용자에게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로 화장실 관리인이 있는 건물에서는 정기적으로 세정액을 분무하여 변기를 소독하는 방법이 효과적일 수 있으나, 별도의 화장실 관리인이 없는 건물이나 일반 가정에서는 세정액에 의한 분무 소독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물탱크가 없는 변기(일명 '후레쉬 밸브형 변기')의 경우 원천적으로 상술한 세정제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변기 자체에 세정액을 배출하는 장치를 부착하여 변기에서 물을 흘려내려 보낼때 세정액을 물과 함께 배출시켜 변기를 자동적으로 세정시키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구성은, 세정액을 담고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출구를 통하여 세정액을 용기 하방으로 유출하는 용기; 상기 용기를 거치시키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내부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의 일정량을 수용하는 수용부재; 상기 베이스의 후면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에 수용된 세정액이 함침되고, 변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세척수에 함침된 세정액을 용해시켜 상기 베이스를 통하여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의 후면에 연결되어 변기의 변좌 테두리 부분에 베이스를 고정시키는 후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변기의 세척수가 배출될 경우, 플레이트에 함침된 일정한 양의 세정액이 세척수와 함께 배출되므로, 항상 일정한 양의 세정액이 세척수와 함께 공급되어, 변기의 위생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포집부의 형상이 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플레이트의 몸체 자체가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변기의 세척수를 잘 받아들일 수 있어 변기의 세정 작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레이트의 포집부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이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완만한 아치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변기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어 변기에 장착될 경우의 장착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임의의 변기와도 잘 호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 수용부재, 후크, 용기만으로 이루어진 비교적 적은 부품을 사용하므로, 고장이 없고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
도 4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베이스의 사시도, 도 4b 는 평면도, 도 4c 는 단면도, 도 4d 는 후면도,
도 5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수용부재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 6a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6b 는 플레이트의 평면도, B-B' 선 단면도, C-C' 선 단면도,
도 7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후크의 사시도, 도 7b 는 후크의 단면도 및 도 7c 는 후크의 연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용기의 사시도, 도 8b 는 용기의 저면도,
도 9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종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설치상태도,
도 11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구성과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1)는, 세정액을 담고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출구를 통하여 세정액을 용기 하방으로 유출하는 용기(50)와, 상기 용기(50)를 거치시키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의 내부 바닥면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50)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의 일정량을 수용하는 수용부재(20)와, 상기 베이스(10)의 후면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20)에 수용된 세정액을 포집하고 있다가 변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세척수에 세정액을 용해시켜 상기 베이스(10)를 통하여 디스펜서(1)의 외부로 세정액을 배출시키는 플레이트(30)와,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에 연결되어 변기의 변좌 테두리 부분에 본 발명 디스펜서(1)를 고정시키는 후크(40)로 대분된다.
도 3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 디스펜서(1)의 조립시, 먼저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으로부터 플레이트(30)을 삽입시켜 베이스(10)의 바닥면(120)상에 상기 플레이트(30)를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30)가 바닥면(1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부재(20)를 베이스(10)의 상부로부터 삽입시켜 바닥면(120) 상에 결합시킨 후, 베이스(10) 후면에 형성된 삽입관(130)에 후크(40)를 삽입시켜 고정시킨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10)의 내부에 세정액이 담겨진 용기(50)를 안치시키되, 베이스(10)의 바닥면(120) 상에 고정된 수용부재(20)의 유입관(220)을 용기(50)의 하부에 형성되어 세정액을 분출시키는 출구(510)에 내삽하여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는 후술할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600)의 변좌테두리(610) 부분에 후크(40)를 걸어서 변기(600)의 변좌 몸체(620) 내부 공간에 장착되고, 변기(600)가 배출하는 세척수에 세정액을 용해시켜 디스펜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각 구성요소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베이스의 사시도, 도 4b 는 평면도, 도 4c 는 단면도, 도 4d 는 후면도이다.
상기 베이스(10)는 용기(50)를 거치시키며, 아울러 상기 수용부재(20)와 플레이트(30)와 후크(40)를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도 4a 의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는 바닥면(120)과 상기 바닥면(120)의 외주를 둘러쌓는 벽면(110)을 포함하며 베이스(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상기 벽면(110)의 전면 하측에는 벽면(110)을 관통하는 요철 형상의 배출구(111)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1)는 세정액이 용해된 상태의 변기 세척수를 베이스(10)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의 상세한 작동 상태는 후술한다.
그리고, 도 4b 의 평면도 및 도 4c 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120) 상에는 후술할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의 걸림쇠(231)가 삽입되는 2 개의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관통홀(121)의 일측에 관통홀(121)에 삽입된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을 고정시키는 걸림턱(122)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10)의 후면 하측으로 삽입되는 상기 플레이트(30)를 바닥면(1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120)의 관통홈(121)의 외측으로 걸림돌기(1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123)는 후술할 플레이트(30)의 결합홈(322)에 삽입되어 플레이트(30)를 바닥면(120) 상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4d 의 후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면(110)의 후면 하측에는 상기 플레이트(30)를 삽입시키기 위하여 개구된 상태의 슬롯(150)이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140 은 세정액이 용해된 상태의 변기 세척수를 베이스(10) 외부로 유출시키기 위하여 바닥면(120)의 양 측면 말단 영역 부분이 개구된 상태로 이루어진 배출공(140)이며, 그 기능은 배출구(111)의 기능과 동일하다.
도 5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의 상부는 사시도, 도면의 하부는 상기 수용부재의 단면도이다.
상기 수용부재(20)는 베이스(10)에 거치되는 용기(50)에 담겨진 세정액의 일정량을 수용하는 부재로서, 베이스(10)의 바닥면(120) 상에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도 5a 의 사시도 및 도 5b 의 단면도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20)는 하부의 수용실(210)과 상부의 유입관(220) 부분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수용실(210)은 천장면의 상부 격벽(211)과 측면의 측부 격벽(212)으로 둘러쌓이고 하부는 개구된 박스 형상이고, 상기 유입관(220)은 상기 수용실(210)의 상부 격벽(211)의 표면상에 환형으로 돌출되고 상부가 개방된 관이며, 상기 유입관(220)의 일측에는 후술할 용기(50)의 격막(511)을 개봉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개봉침(223)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220)의 내부 바닥을 이루는 상기 수용실(210)의 상부 격벽(211)의 표면에는 유입관(220)을 통하여 배출되는 세정액을 상기 수용부재(20)의 수용실(210)로 유입시키는 유입홀(222)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실(210)의 하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개구되나 후술할 플레이트(30)의 표면과 대향하면서 플레이트(30)상에 형성된 요홈(311)과 모세관(321)으로 세정액이 확산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재(20)의 측부격벽(212)의 양측으로 베이스(10)의 걸림턱(122)에 걸려지는 브라켓(230)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30)의 말단에는 베이스(10)의 관통홀(121)로 삽입되는 걸림쇠(231)가 형성되어, 상기 수용부재(20)와 베이스(10)가 상호 결합된다.
한편, 미설명부호 221 은 상기 개봉침(223)이 후술될 용기(50)의 격막(511)을 개봉하였을때, 격막(511)을 용기(50)의 내부 방향으로 밀어올려 격막(511)이 하강하지 않게 지지시키는 판 형상의 밀게(221)로서, 유입관(220)의 일측에 형성된다.
도 6 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6a 는 사시도, 도 6b 는 플레이트의 평면도, B-B' 선 단면도, C-C' 선 단면도이다.
도 6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0)는 상기 베이스(10)의 바닥면(120)과 상기 수용부재(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용부재(20)의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을 플레이트(30) 표면상으로 확산시켜 일정량의 세정액을 함침하고 있다가 변기에서 흘러내리는 세척수를 포집하고, 포집된 세척수를 상기 베이스(10)의 배출구(111)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도록 하되, 함침된 세정액이 흘러내려가는 세척수에 용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플레이트(30)는 변기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포집하는 포집부(310)과 상기 베이스(10)와 결합되는 결합부(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포집부(310)는 변기의 세척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 6b 의 평면도와 같이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의 길이(x)가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의 길이(y)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지되, 플레이트(30)가 변기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은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완만한 아치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B-B' 선 단면도와 같이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은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α)만큼 경사지게 형성되어 변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베이스(10) 방향으로 잘 흘러가도록 형성되었다.
또한, C-C' 선 단면도와 같이 플레이트(30)가 변기의 내측면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변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플레이트(30) 외부로 쉽게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의 몸체는 평평하지 않고, 오히려 전체적으로 오목하게 이루어진 몸체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이루어진 플레이트(30)의 표면상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재(20)의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을 플레이트(30) 표면상으로 확산시켜 일정량의 세정액을 함침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집부(310)의 표면상에는 소정의 세정액을 함침할 수 있는 다수개의 요홈(311)이 생성되고, 상기 결합부(320)의 표면상에는 소정액의 세정액을 함침할 수 있는 수로 형태의 다수개의 모세관(321)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세관(321)의 일측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20)의 말단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모세관(321)의 타측은 상기 포집부(310)와의 연결부분을 넘어서 포집부(31)의 일부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모세관(321)을 통하여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을 요홈(311)까지 운반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변기의 세척수가 포집부(310)로부터 집수되어 상기 베이스(10)의 배출구(111) 방향으로 흘러내려갈때, 상기와 같이 요홈(311)과 모세관(321)에 함침된 세정액이 배출구(111)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는 세척수에 용해되어 배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320) 상에는 상기 베이스(10)의 바닥면(12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120)의 걸림돌기(123)가 삽입되는 결합홈(322)이 형성된다.
미설명부호 323 은 상기 플레이트(30) 상부로 설치되는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의 걸림쇠(231)를 베이스(10)의 바닥면(120)의 관통홈(121)으로 통과시키고, 아울러 상기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에 걸려지는 베이스(10)의 걸림턱(122)을 통과시키는 개구된 상태의 결합채널(323)이다.
도 7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후크의 사시도, 도 7b 는 후크의 단면도 및 도 7c 는 후크의 연장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후크(40)는 베이스(10)의 후면에 결합되어 본 발명 디스펜서를 변기(600)의 변좌 테두리(610) 부분에 고정시키는 평평하고 긴 띠 형상의 부재이다.
도 7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위하여 후크(40)는 평상시 상태에서는 단축되어 있다가, 본 발명 디스펜서를 고정시키는 사용시 상태에서는 신장되도록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에 형성된 후크삽입관(130) 내부로 삽입되어 베이스(10)와 결합하는 브라켓(420)과 상기 브라켓(420) 상측 방향으로 돌출된 수직부(410)와, 상기 수직부(410)의 말단에서 하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된 제 1 벤딩부(411)와, 상기 제 1 벤딩부(411)의 말단에서 상방향으로 구부러지게 연장된 제 2 벤딩부(412)와, 상기 제 2 벤딩부(412)의 말단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말단부(4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말단부(413)의 표면상에는 후크(40)가 변기(600)의 변좌 테두리(610) 부분에 걸려진 상태를 잘 유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마찰 돌기(414)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후크는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시에는 상기 제 1 벤딩부(411)가 수평 상태로 유지되면서 변좌 테두리(610)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제 2 벤딩부(412)가 변좌 테두리(610)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후크(40)의 걸림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후크(40)의 수직부(410)의 하부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암(430)(arm)이 형성된다. 상기 암(430)은 후크(40)가 변기(60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좌 테두리(610)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본 발명 디스펜서의 고정을 지지하게 된다.
도 8a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용기의 사시도, 도 8b 는 용기의 저면도이다.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50)는 세정액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가 남은 세정액의 용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50)의 바닥면에는 수용된 세정액을 수용부재(20)의 유입관(220)으로 배출시키는 출구(510)가 형성되되, 이 출구(510)는 미사용시에는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막(511)에 의하여 밀봉된 상태이나, 최초 사용시에 용기(50)의 출구(510) 부분을 상기 수용부재(20)의 유입관(220)에 거치시키면, 유입관(220)에 형성된 개봉침(223)이 격막(511)을 찌르게 되고, 격막(511)은 개봉침(211)에 의하여 출구(510)의 내측으로 밀려올려지면서 출구(510)가 개방되게 된다.
이어서, 유입관(220) 일측에 형성된 밀게(221)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개봉침(223)이 후술될 용기(50)의 격막(511)을 개봉하였을때, 격막(511)을 용기(50)의 내부 방향으로 밀어올려 격막(511)이 하강하지 않게 지지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용기(50)의 밀봉 상태가 해제되어 용기(50) 내부에 수용된 세정액이 유입관(220)으로 배출되어 유입관(220)의 내부의 상부격벽(211) 상에 형성된 유입홀(222)을 통하여 수용실(210)에 세정액이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출구(510)의 외주에는 출구(510)가 상기 유입관(220)에 거치될 경우, 출구(510)와 유입관(220) 사이의 세정액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폐작용을 수행하는 링(520)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베이스(10), 수용부재(20), 플레이트(30), 후크(40) 및 세정액을 수용하는 용기(50)의 재질은 합성수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합성수지재로서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트레프탈레이트(PET 또는 PET-G)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 는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조립된 상태의 종단면도로서, 상술한 본 발명의 베이스(10), 수용부재(20), 플레이트(30), 후크(40) 및 용기(5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의 바닥면(120) 상에 플레이트(30)가 고정되되, 단면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바닥면(120)에 형성된 걸림돌기(123)가 플레이트(30)에 형성된 결합홈(322)에 걸려지면서 상호 결합된다. 이때, 바닥면(120)에 형성된 걸림턱(122)은 플레이트(30)의 결합채널(323)을 통과하게 된다.
이어서, 수용부재(20)의 브라켓(230) 말단의 걸림쇠(231)를 바닥면(120)의 관통홀(121)로 삽입시키고, 이와 동시에 바닥면(120)의 걸림턱(122)을 브라켓(230)의 상면에 걸려지게 하여 수용부재(20)를 베이스(10)의 바닥면(120)에 고정시키게 되면, 베이스(10)의 바닥면(120)과 수용부재(20) 사이에 플레이트(30)가 결합되게 되면서, 수용실(210)의 바닥면은 플레이트(3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후크(40)의 브라켓(420)을 베이스(10) 후단의 후크삽입관(130)에 내삽시켜 후크(40)를 베이스(10)에 결합시키고, 세정액 용기(50)의 출구(510)를 수용부재(20)의 유입관(220)에 거치시킨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유입관(220)에 형성된 개봉침(223)이 출구(510)에 형성된 격막(511)을 찔러서 밀어올리면서 출구(510)가 개봉되고, 용기(50)에 수용된 세정액(L)은 출구(510)를 통하여 배출되어 유입관(220)의 유입홀(222)을 통하여 수용실(210)로 수용된다.
다음으로, 도 10 의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설치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디스펜서의 후크(40) 부분을 신장시켜 후크(40)를 변기(600)의 변좌테두리(610)에 걸려지게 되면, 전술한 도 7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0)의 제 1 벤딩부(411) 및 제 2 벤딩부(412)가 변좌테두리(610)의 부분에 걸려지고, 후크(40)의 암(430)이 변좌테두리(610)의 하부면과 접촉되면서 본 발명 디스펜서가 변기(600)에 장착된다.
그러면, 도 11 의 본 발명 디스펜서의 작동 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는 베이스(10)의 후면에 결합된 플레이트(30)의 말단이 변기(600)의 변좌몸체(620)에 밀착된 상태로 변기(600)에 설치된다. 본 발명 디스펜서가 변기(600)에 설치된 상태는 도 7c 를 참조한다.
이 상태에서 용기(50)의 출구(510)에서 배출되어 유입관(220)의 유입홀(222)을 통하여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L)은, 수용실(210)의 개구된 하부면으로 유출되어 이 하부면과 접촉되는 플레이트(30)의 다수개의 모세관(321)에 함침된다.
나아가, 상기 모세관(321)을 따라서 세정액(L)이 추가적으로 운반되면서 상기 포집부(310)에 형성된 요홈(311)에까지 세정액(L)이 함침되게 된다.
이때, 변기(600)의 세척을 위하여 세척수(W)가 변좌몸체(620)로 공급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W)가 변좌몸체(620)를 따라서 흐르다가, 세척수(W)의 일부가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로 수집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는 전술한 도 6b 의 평면도와 같이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의 길이(x)가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의 길이(y)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모양이고,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이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α)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의 몸체 자체도 오목하게 이루어져 있어, 변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W)는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 외부로 쉽게 방출되지 않으면서 포집부(310)를 통하여 베이스(10) 방향으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포집부(310)에 형성된 요홈(311)에 함침된 세정액(L)이 베이스(10)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는 세척수(W)에 용해되고, 이어서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와 결합부(320)에 걸쳐서 형성된 모세관(321)에 함침된 세정액(L)도 베이스(10) 방향으로 흘러내려가는 세척수(W)에 용해되며, 이렇게 세정액(L)이 용해된 상태의 세척수(W)는 베이스(1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111) 및 베이스(10)의 배출공(140)을 통하여 변좌몸체(620)로 방출되면서(배출공을 통한 세척수의 방출은 미도시), 변기(600)의 변좌몸체(620)의 내부를 깨끗하게 세정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세척수(W)가 배출구(111)나 배출공(140)을 통하여 한번 배출되면, 수용부재(20)의 수용실(210) 내부로 세척수(W)에 용해된 만큼의 세정액(L)이 자동적으로 낙하되어 수용실(210)에 수용되면서 수용실(210)의 개구된 하부면으로 유출되어 이 하부면과 접촉되는 플레이트(30)의 모세관(321)과 요홈(311)에 세정액(L)이 재차 함침되게 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용기(50)에 수용된 세정액(L)이 모두 소비될 때까지 상술한 세정 작용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항상 일정한 양의 세정액(L)이 세척수(W)와 함께 공급되게 되어, 변기(600)의 위생상태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용기(50)의 세정액(L)이 모두 소비되었을 경우에는 용기(50)에 세정액(L)을 재공급하여 베이스(10) 상에 거치시킬 수도 있으나, 세정액(L)의 재공급과정이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번거로움을 유발시킬 수도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세정액(L)이 미리 수용된 상태의 리필용 세정액 용기를 별도 제공하고, 소비자는 이러한 리필용 용기를 구매하여 사용이 종료된 용기를 새로운 리필용 용기로 교체만 시키는 방식으로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를 운용하는 방식이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나아가, 방향 기능이 추가된 세정액(L)을 이용한다면, 세정 작용과 함께 사용자에게 보다 쾌적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발명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0; 베이스
110; 벽면 111; 배출구
120; 바닥면 121; 관통홈
122; 걸림턱 123; 걸림 돌기
130; 후크 삽입관
140; 배출공
150; 슬롯
20; 수용부재
210; 수용실 211; 상부 격벽
212; 측부 격벽
220; 유입관 221; 밀게
222; 유입홀 223; 개봉침
230; 브라켓 231; 걸림쇠
30; 플레이트
310; 포집부 311; 요홈
320; 결합부 321; 모세관
322; 결합홈 323; 결합 채널
40; 후크
410; 수직부 411; 제 1 벤딩부
412; 제 2 벤딩부 413; 말단부
414; 마찰돌기
420; 브라켓
430; 암
50; 용기
510; 출구 511; 격막
600; 변기
610; 변좌 테두리 620; 변좌 몸체

Claims (17)

  1. 세정액을 담고 있으며 하부에 형성된 출구(510)를 통하여 세정액을 용기 하방으로 유출하는 용기(50);
    상기 용기(50)를 거치시키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내부 바닥면(120)에 결합되어 상기 용기(50)로부터 유출되는 세정액의 일정량을 수용하는 수용부재(20);
    상기 베이스(10)의 후면 하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재(20)에 수용된 세정액이 함침되고, 변기로부터 흘러나오는 세척수에 함침된 세정액을 용해시켜 상기 베이스(10)를 통하여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플레이트(30);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에 연결되어 변기의 변좌 테두리 부분에 베이스(10)를 고정시키는 후크(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상부는 개방되되 바닥면(120)과 상기 바닥면(120)의 외주를 둘러쌓는 벽면(110)이 형성되고, 상기 벽면(110)의 전면 하측에는 벽면(110)을 관통하는 요철 형상의 배출구(111)가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120) 상에는 상기 수용부재(20)가 삽입되는 관통홀(12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1)의 일측에 수용부재(20)를 고정시키는 걸림턱(122)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를 바닥면(120)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바닥면(120)에걸림돌기(123)가 형성되고, 상기 벽면(110)의 후면 하측에는 상기 플레이트(30)를 삽입시키는 개구된 상태의 슬롯(15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후면에는 상기 후크(40)가 삽입되는 후크삽입관(1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20)는 하부의 수용실(210)과 상기 수용실(210)의 상부 격벽(211)의 표면에서 돌출되고 상부가 개방된 유입관(220)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실(210)은 상부 격벽(211)과 측부 격벽(212)으로 둘러쌓이고 하부는 개구된 박스 형상이고,
    상기 유입관(220)의 바닥에는 세정액을 상기 수용실(210)로 유입시키는 유입홀(2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220)의 일측에 상기 용기(50)를 개봉할 수 있도록 뾰족하게 돌출 형성된 개봉침(2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220)의 일측에 밀게(221)를 부설하여,
    상기 개봉침(223)이 용기(50)의 출구(510)에 형성된 격막(511)을 개봉하였을때, 이 격막(511)을 용기(50)의 내부 방향으로 밀어올려 격막(511)이 하강하지 않게 지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20)의 측부격벽(212)의 양측으로 베이스(10)의 걸림턱(122)에 걸려지는 브라켓(230)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30)의 말단에는 베이스(10)의 관통홀(121)로 삽입되는 걸림쇠(2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는 변기에서 공급되는 세척수를 포집하는 포집부(310)와, 상기 베이스(10)와 결합되는 결합부(3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포집부(310)의 표면상에 세정액을 함침할 수 있는 다수개의 요홈(311)이 생성되고,
    상기 결합부(320)의 표면상에 세정액을 함침할 수 있는 수로 형태의 다수개의 모세관(3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310)는 변기의 세척수를 효율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사다리꼴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는 변기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이 가운데 부분이 오목한 완만한 아치형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의 상기 포집부(310)의 변기와 접촉되는 일측 말단면은 결합부(320)와 연결되는 타측 말단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α)만큼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30)가 변기의 내측면에 보다 밀접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하고 변기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플레이트(30) 외부로 쉽게 방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플레이트(30)의 포집부(310)의 몸체가 오목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모세관(321)의 일측은 상기 결합부(320)의 말단에까지 연장되고, 상기 모세관(321)의 타측은 상기 포집부(310)의 일부 영역에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세관(321)을 통하여 수용실(210)에 수용된 세정액이 요홈(311)까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의 바닥면(12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결합부(320) 상에 상기 베이스(120)의 걸림돌기(123)가 삽입되는 결합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20) 상에 개구된 상태의 결합채널(3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40)는 평평하고 긴 띠 형상이며, 평상시 상태에서는 단축되어 있다가, 사용시 상태에서는 신장될 수 있도록 플렉시블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KR1020100078847A 2010-08-16 2010-08-16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KR101239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847A KR101239214B1 (ko) 2010-08-16 2010-08-16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8847A KR101239214B1 (ko) 2010-08-16 2010-08-16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6468A true KR20120016468A (ko) 2012-02-24
KR101239214B1 KR101239214B1 (ko) 2013-03-06

Family

ID=4583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8847A KR101239214B1 (ko) 2010-08-16 2010-08-16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21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0747S1 (en) 2015-03-17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69080B2 (en) 2015-11-05 2018-01-16 Doron Shoval Cleaning liquid dispenser
US10196804B2 (en) 2016-12-06 2019-02-05 Unico Co., Ltd. Solution supply
KR20220111356A (ko) * 2021-02-02 2022-08-09 김태민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5045B2 (ja) * 1999-12-14 2008-09-03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液吐出便器リム取付け式便器クリーナ
JP3345391B2 (ja) * 2000-05-31 2002-11-18 エステー化学株式会社 水洗トイレ用薬剤供給具
DE10204928B4 (de) 2002-02-07 2004-04-01 Henkel Kgaa Abgabevorrichtung zur Abgabe eines Wirkstofffluids in die Spülflüssigkeit in einem Toilettenbecken
DE20215129U1 (de) * 2002-10-01 2003-03-13 Skot S A Chemical Products Att Vorrichtung zur Abgabe eines flüssigen Wirkstoff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00747S1 (en) 2015-03-17 2017-10-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imated graphical user interface
US9869080B2 (en) 2015-11-05 2018-01-16 Doron Shoval Cleaning liquid dispenser
US10196804B2 (en) 2016-12-06 2019-02-05 Unico Co., Ltd. Solution supply
KR20220111356A (ko) * 2021-02-02 2022-08-09 김태민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9214B1 (ko) 2013-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4219B2 (en) Automatic toilet bowl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s
ES2312681T3 (es) Sistema de control de llenado para un lavavajillas integrado en fregadero.
US8695124B2 (en) Toilet chemical dispenser
RU2389851C2 (ru) Доз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нитаза с камерой для ароматизатора
US7571734B2 (en) Fluid dispensing system for a washing device
KR101239214B1 (ko)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WO2007149365A2 (en) Toilet bowl cleanser dispenser device
JP4116432B2 (ja) 複数のトイレケア作用を有する装置
GB2434593A (en) Toilet seat cleaning system
US20090064401A1 (en) Toilet Device With Improved Fragrance Delivery
WO2019042281A1 (zh) 一种洗衣机进水盒组件及洗衣机
JP3104910U (ja) 溶液排出器
KR102255856B1 (ko) 소변기용 오염 방지장치
KR101582961B1 (ko) 양변기의 세정액 공급장치
US20040200245A1 (en) Washing machine water and chemical delivery apparatus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KR20110052110A (ko) 변기용 배수 트랩의 막힘 제거 구조
KR200473545Y1 (ko)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US20020074368A1 (en) Passive dispenser fordosing and issu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dispensable liquid
KR20210078756A (ko) 소변기 세정기
US20100155426A1 (en) Toilet detergent dispenser
KR200361194Y1 (ko) 변기의 포세정장치
JP5597845B2 (ja) サイフォン式トラップおよび家具
CN110226902A (zh) 一种集成一体式洗碗机
KR101815319B1 (ko)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