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356A -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 Google Patents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356A
KR20220111356A KR1020210014495A KR20210014495A KR20220111356A KR 20220111356 A KR20220111356 A KR 20220111356A KR 1020210014495 A KR1020210014495 A KR 1020210014495A KR 20210014495 A KR20210014495 A KR 20210014495A KR 20220111356 A KR20220111356 A KR 20220111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ook
elevator
suppor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1308B1 (ko
Inventor
김태민
고혜원
Original Assignee
김태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민 filed Critical 김태민
Priority to KR102021001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130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1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1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06External stands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in display position, e.g. easels, covers forming a support for the containers in the display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wood or substitutes therefor
    • B65D9/06Boxes or crates of polygonal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거치용 함에 관한 것이다. 상기 함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함체; 상기 함체의 천정부 또는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걸이; 및 상기 함체의 어느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BOX FOR MOUNTING ELEVATOR INCLUDING SUPPORTING MEMBER}
본 발명은 승강기 거치용 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승강기의 손잡이에 걸어서 거치될 수 있는 바구니, 투표함 등의 함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확산 등에 따라 사람들 간의 감염 등을 억제하기 위해 승강기 내외부에 알코올 등을 함유하는 소독용 손 세정제 등을 구비하는 경우를 흔하게 찾아볼 수 있다. 손 세정제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용기 상단의 캡을 누르면 내부의 액상 손 세정제가 토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종래의 승강기 구조 상 손 세정제가 수용된 플라스틱 용기를 거치하기 곤란하다. 이에 따라 승강기 내부의 손잡이에 바구니(basket)를 놓고, 바구니를 케이블 타이(cable tie) 등의 끈 구조물을 이용하여 손잡이와 고정시키며 바구니의 안에 손 세정제의 플라스틱 용기를 넣어두는 실정이다. 또는 승강기 손잡이와 플라스틱 용기를 직접 케이블 타이로 묶기도 한다.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전세계적 팬데믹 현상이 점차 장기화됨에 따라 사람들이 승강기 안에서 손 세정제를 이용하여 손을 소독하는 것은 일상 생활 속에 자리 잡게 되었다. 그리고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종식된 후에도 이러한 모습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480514호, 투표지 운반, 정리 및 보관용 상자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될 당시에 승강기 내부 손잡이에 케이블 타이를 이용해 바구니나 플라스틱 용기를 묶는 것은 임시 방편에 해당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손 세정제 거치 구조는 외관상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 시간이 흐름에 따라 케이블 타이가 느슨해져 바구니 등이 기울거나, 심지어 플라스틱 용기가 손잡이로부터 탈락하기도 한다. 또한 승강기 손잡이와 손 세정제의 플라스틱 용기를 케이블 타이 등을 이용해 결합시킨 경우, 손 세정제는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거치 구조는 매우 번거롭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승강기 내부 손잡이에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형태의 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봉에 안정적이고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걸이식 상자 내지는 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함체의 천정부 또는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걸이; 및 상기 함체의 어느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지지대를 포함한다.
상기 걸이의 일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 보다 짧을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함의 걸이를 이용해 승강기 손잡이에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 또, 함의 배면 측으로 돌출된 지지대를 이용해 승강기의 벽면으로부터 함체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함으로써 함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함은 손 세정제 등의 물품이 놓일 수 있는 선반 내지는 바구니(basket)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함은 투표함(ballot box) 또는 의견 개진 또는 의견 수렴을 위한 함 등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이 승강기 내부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함의 거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함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함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함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즉, 본 발명이 제시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내지'를 사용하여 나타낸 수치 범위는 그 앞과 뒤에 기재된 값을 각각 하한과 상한으로서 포함하는 수치 범위를 나타낸다. '약' 또는 '대략'은 그 뒤에 기재된 값 또는 수치 범위의 20% 이내의 값 또는 수치 범위를 의미한다.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두께, 폭, 길이 등은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위(above)', '상부(upper)', ‘상(on)’,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 또는 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제1 방향(X)은 평면 내 임의의 방향을 의미하고, 제2 방향(Y)은 상기 평면 내에서 제1 방향(X)과 교차하는 다른 방향을 의미한다. 또, 제3 방향(Z)은 상기 평면과 수직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은 수평 방향에 속할 수 있고, 제3 방향(Z)은 중력 방향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함(11)이 승강기 내부에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함(11)의 거치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함(11)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함(11)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11)은 승강기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바(bar) 형상의 손잡이(G)에 거치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승강기의 손잡이(G)가 대략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을 예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손잡이(G)는 제2 방향(Y)으로 연장된 형상의 손잡이 봉(G1) 및 상기 손잡이 봉(G1)을 승강기의 내측벽(W) 등으로부터 이격 고정시키는 고정부(G2)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 봉(G1)의 단면은 대략 원형이거나, 타원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11)은 손잡이(G)의 손잡이 봉(G1)에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함(11)은 투표함(voting box)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함(11)은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물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승강기 거치용 함(11)은 바닥부(121), 측벽부(131) 및 천정부(111)를 갖는 함체(101)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101)는 승강기 거치용 함(11)의 메인 바디를 이루며, 내부 공간(IS)을 형성하는 본질적인 부분일 수 있다. 도 3 등의 실시예에서 함체(101)의 천정부(111)는 투표 용지가 인입되기 위한 슬릿(111s)을 가질 수 있다. 슬릿(111s)을 통해 투입된 투표 용지 등은 내부 공간(IS)에 보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슬릿은 측벽부(131), 예컨대 제2 측벽부(131b) 등에 형성되거나, 또는 제3 측벽부(131c)나 제4 측벽부(131d)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바닥부(121)는 천정부(111)와 제3 방향(Z)으로 대면하며,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물품, 예컨대 투표 용지를 중력 방향으로 지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천정부(111) 및/또는 바닥부(121)는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부(131)들은 바닥부(121)와 천정부(111)를 연결하는 측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측벽부(131)는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물품, 예컨대 투표 용지 등이 바닥부(121)로부터 이탈하여 쏟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31)는 배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벽부(131a), 전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측벽부(131b) 및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측벽부(131c)와 제4 측벽부(131d)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으로 표현하지 않았으나, 제4 측벽부(131d)는 제3 측벽부(131c)와 제2 방향(Y)으로 대면하는 측벽일 수 있다. 측벽부들은 제3 방향(Z)과 평행한 내측면 및/또는 외측면을 갖거나, 또는 제3 방향(Z)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어느 측벽부(131)는 부분적으로 개폐되는 개폐부(131p)를 가질 수도 있다. 개폐부(131p)를 통해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투표 용지 등의 물품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개폐부(131p)를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개폐되는 힌지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함체(101)의 재질은 충분한 내구성을 갖는 정도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컨대 열가소성 플라스틱 또는 열경화성 플라스틱의 플라스틱재, 목재, 금속재 등일 수 있다. 또, 함체(101)의 측벽부(131), 바닥부(121) 및/또는 천정부(111)는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서로 간에 부분적으로 분해 및 조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함체(101)의 어느 측벽부, 예컨대 배면측에 위치한 제1 측벽부(131a) 상에는 걸이(201) 및 지지대(301)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측벽부(131a)는 걸이(201) 및/또는 지지대(301)가 배치된 측벽부를 의미한다. 도 3은 제1 측벽부(131a)로부터 걸이(201) 및 지지대(301)가 대략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경우를 예시한다.
걸이(201)는 함(11)을 승강기 손잡이(G)의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걸이(201)는 직사각형 내지는 원형 등의 단면을 갖는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해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걸이(201)는 만입된 하부를 갖는 형상일 수 있다. 만입된 부분은 반원 등의 원의 호의 일부 형상, 또는 타원의 일부 형상, 또는 다각형과 같이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손잡이 봉(G1)에 함(11)이 거치된 상태에서, 함체(101)는 손잡이 봉(G1)과 제1 방향(X)으로 중첩할 수 있다.
제1 방향(X)으로 절개한 단면 상에서, 걸이(201)는 손잡이 봉(G1)의 외주 길이의 약 40% 이상, 또는 대략 절반 이상, 또는 약 60% 이상, 또는 약 70% 이상, 또는 75% 이상을 커버할 수 있다. 걸이(201)가 손잡이 봉(G1)을 커버하는 길이가 길수록 안정적으로 함(11)을 손잡이 봉(G1)에 거치할 수 있으나, 커버하는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거치 등이 불편할 수 있다.
걸이(201)는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또, 걸이(201)는 함체(101)의 제3 방향(Z) 상단부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걸이(201)는 함체(101)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걸이(201)는 함체(101)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함체(101)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대(301)는 함체(101)를 승강기의 내측벽(W)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걸이(201)가 함체(101)의 상단부 부근에 위치할 경우, 함체(101) 내부의 내부 공간(IS)에 물품이 수용되고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함체(101)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승강기의 손잡이 봉(G1)이 원형일 경우 더욱 심해질 수 있다.
지지대(301)는 함체(101)의 배면측 제1 측벽부(131a)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걸이(201)의 연장 방향과 지지대(301)의 연장 방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지지대(301)의 연장 방향은 함(11)을 거치하고자 하는 손잡이 봉(G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거나, 대략 수직할 수 있다. 지지대(301)는 제2 방향(Y)으로 이격되어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지지대(301)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되, 다른 부분으로 연장된 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301)는 바닥부(121)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후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지지대(301)는 제3 측벽부(131c) 및/또는 제4 측벽부(131d)로부터 양측으로 돌출된 후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도 있다.
또, 지지대(301)는 걸이(201)에 비해 함체(101)의 제3 방향(Z)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대(301)는 함체(101)의 제3 방향(Z) 하단부 부근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대(301)는 함체(101) 및/또는 걸이(201)와 동일하거나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대(301)는 함체(101)와 물리적 경계 없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함체(101)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대(301)의 연장 길이(또는 돌출 길이), 예컨대 제1 방향(X)으로의 연장 길이(L301)는 걸이(201)의 수평 길이, 내지는 연장 길이, 또는 돌출 길이, 구체적으로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1) 보다 길 수 있다.
지지대(301)의 연장 길이(L301)는 제1 측벽부(131a)로부터 지지대(301)의 제1 방향(X) 단부까지의 제1 방향(X) 최소 길이 또는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 걸이(201)의 수평 길이(L201)는, 걸이(201)가 제1 측벽부(131a)로부터 돌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벽부(131a)로부터 걸이(201)의 제1 방향(X) 단부 또는 어느 부분까지의 제1 방향(X)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함(11)을 승강기의 손잡이 봉(G1)에 거치하는 경우, 걸이(20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손잡이 봉(G1)과 승강기 내측벽(W) 사이에 삽입되며 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걸이(201)는 승강기 내측벽(W)과 이격되어야 하며, 결과적으로 걸이(201)의 수평 길이(L201)는 함체(101)의 제1 측벽부(131a)와 승강기 내측벽(W) 간의 이격 거리 보다 필연적으로 짧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함(11)은 지지대(301)가 걸이(201) 보다 길게 연장 되어 승강기의 내측벽(W)과 맞닿을 수 있다. 즉, 지지대(301)의 연장 길이(L301)는 함체(101)의 제1 측벽부(131a)와 승강기 내측벽(W) 간의 이격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대(301)는 연장 길이, 즉 제1 방향(X)으로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길이를 조절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지지대(301)는 어느 일 부분과, 상기 일 부분에 제1 방향(X)으로 삽입되는 다른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11)은 걸이(201)가 함체(101)의 대략 상단부 부근에 위치하는 실시예에서, 함(11)의 자중 또는 함(11) 내부의 내부 공간(IS)에 물품이 인입됨에 따라 발생하는 무게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지대(301)가 승강기의 내측벽(W)을 지지함으로써 함(11)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과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는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의 기재 내용으로부터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12)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함(12)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함(12)의 함체(102)는 천정부가 생략되고, 바닥부(122) 및 경사진 복수의 측벽부(132)들을 포함하는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거치용 함과 상이한 점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함(12)은 바구니 내지는 바스켓 등일 수 있다. 상기 바구니 내에는 손 세정제 등의 물품이 손쉽게 보관되거나, 또는 꺼내질 수 있다.
함(12)의 함체(102)는 바닥부(122) 및 측벽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102)는 내부 공간(IS)을 형성하는 본질적인 부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함(12)의 함체(102)는 천정부에 해당하는 구성요소를 불포함한다. 이에 따라 개구(12p)를 가질 수 있다. 바닥부(122)는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물품, 예컨대 손 세정제를 중력 방향으로 지탱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바닥부(122)는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이 속하는 평면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측벽부(132)들은 내부 공간(IS)에 수용된 물품이 바닥부(122)로부터 이탈하여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132)는 배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벽부(132a), 전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측벽부(132b) 및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측벽부(미도시)와 제4 측벽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함체(102)의 어느 측벽부, 예컨대 배면측에 위치한 제1 측벽부(132a) 상에는 걸이(202) 및 지지대(302)가 배치될 수 있다. 도 6은 제1 측벽부(132a)로부터 걸이(202) 및 지지대(302)가 대략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경우를 예시한다.
걸이(202)는 함(12)을 승강기 손잡이의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걸이(202)는 직사각형 내지는 원형 등의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해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이(202)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대(302)는 함체(102)를 승강기 내측벽(W)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102) 내부의 내부 공간(IS)에 물품이 수용되고 무게가 증가함에 따라 함체(102)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지지대(302)는 함체(102)의 배면측 제1 측벽부(132a)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걸이(202)의 연장 방향과 지지대(302)의 연장 방향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지지대(302)의 연장 방향은 함(12)을 거치하고자 하는 손잡이 봉(G1)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거나, 대략 수직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지지대(302)는 제1 방향(X)으로 연장된 부분을 포함하고,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대(302)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대(302)의 연장 길이, 예컨대 제1 방향(X)으로의 연장 길이(L302)는 걸이(202)의 수평 길이, 내지는 연장 길이, 구체적으로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2) 보다 길 수 있다. 지지대(302)와 걸이(202)의 길이의 의미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13)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7은 함(13)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함(13)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함(13)은 걸이(203)가 함체(103)의 측벽부(133)가 아닌 천정부(113)로부터 돌출된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함(11)과 상이한 점이다.
함체(103)는 바닥부(123), 측벽부(133) 및 천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천정부(113)에는 슬릿(113s)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슬릿은 제2 측벽부(133b)에 형성될 수도 있다.
걸이(203)는 함(13)을 승강기 손잡이 봉(G1)에 걸기 위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203)는 천정부(113)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걸이(203)는 함(13)을 손잡이 봉(G1)의 제1 방향(X) 일측으로부터 걸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함체(103)는 손잡이 봉(G1)과 제1 방향(X)으로 중첩하거나 비중첩할 수 있다. 또, 함체(103)는 손잡이 봉(G1)과 제3 방향(Z)으로 중첩하거나 비중첩할 수 있다. 도 8은 함체(103)가 손잡이 봉(G1)과 제1 방향(X)으로 부분적으로 중첩하고, 제3 방향(Z)으로 비중첩한 경우를 예시한다. 지지대(303)는 제1 측벽부(133a)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대(303)의 연장 길이, 예컨대 제1 방향(X)으로의 연장 길이(L303)는 걸이(203)의 수평 길이, 내지는 연장 길이, 또는 돌출 길이, 구체적으로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3) 보다 길 수 있다.
지지대(303)의 연장 길이(L303)는 제1 측벽부(133a)로부터 지지대(303)의 제1 방향(X) 단부까지의 제1 방향(X) 최소 길이 또는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또, 걸이(203)의 수평 길이(L203)는 걸이(203)가 천정부(113)로부터 돌출된 실시예에서, 제1 측벽부(133a)로부터 걸이(203)의 제1 방향(X) 단부 또는 어느 부분까지의 제1 방향(X) 최대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걸이(203)의 위치를 변경하여 함(1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14)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9는 함(14)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함(14)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함(14)은 함체(104)의 일부분이 지지대와 같이 기능한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함(11)과 상이한 점이다.
함체(104)는 바닥부(124), 측벽부(134) 및 천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함체(104)는 부분적으로 단차를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벽부(134)는 전면 측에 위치하는 제2 측벽부(134b), 배면 측에 위치하는 제1 측벽부(134a1, 134a2) 및 양측에 위치하는 제3 측벽부(미도시)와 제4 측벽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측벽부(134a1, 134a2)는 제1-1 측벽부(134a1) 및 제1-2 측벽부(134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측벽부(134a1)는 제1-2 측벽부(134a2) 보다 제3 방향(Z)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측벽부(134a1)는 제1-2 측벽부(134a2) 보다 제1 방향(X) 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1 측벽부(134a1)와 제1-2 측벽부(134a2)는 각각 제2 측벽부(134b)와 제1 방향(X)으로 대면할 수 있다.
또, 천정부(114)는 제1 천정부(114a) 및 제2 천정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천정부(114a)는 제2 천정부(114b) 보다 제1 방향(X) 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0은 제1 천정부(114a)에 슬릿(114s)이 형성되고, 제2 천정부(114b)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를 예시한다. 제1 천정부(114a)는 제2 천정부(114b) 보다 제3 방향(Z) 높은 레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천정부(114a)와 제2 천정부(114b)는 각각 바닥부(124)와 제3 방향(Z)으로 대면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이 구성하여 함체(104)는 제1-1 측벽부(134a1)와 제2 천정부(114b)에 의한 단차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함체(104)는 제1 내부 공간(IS1)과 제2 내부 공간(IS2)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1 내부 공간(IS1)은 제2 내부 공간(IS2) 보다 상부에 위치한 공간이고, 제1 내부 공간(IS1)의 제1 폭(W1)은 제2 내부 공간(IS2)의 제2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폭(W1)은 제2 측벽부(134b)와 제1-1 측벽부(134a1)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또, 제2 폭(W2)은 제2 측벽부(134b)와 제1-2 측벽부(134a2)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함체(104)는 제3 내부 공간(IS3)과 제4 내부 공간(IS4)으로 구획되는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제3 내부 공간(IS3)은 제4 내부 공간(IS4) 보다 제1 방향(X) 전면 측에 위치한 공간이고, 제3 내부 공간(IS3)의 제1 높이(H1)는 제4 내부 공간(IS4)의 제2 높이(H2) 보다 클 수 있다. 제1 높이(H1)는 제1 천정부(114a)와 바닥부(124)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또, 제2 높이(H2)는 제2 천정부(114b)와 바닥부(124) 간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함체(10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지대와 같이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걸이(204)는 함체(104)의 제2 천정부(114b)와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걸이(204)는 함체(104)의 제1-1 측벽부(134a1)와 제1 방향(X)으로 중첩할 수 있다. 함(14)을 손잡이 봉(G1)에 거치한 상태에서, 제1-2 측벽부(134a2)는 승강기의 측벽(W)과 맞닿을 수 있다.
걸이(204)의 수평 길이 내지는 연장 길이, 또는 돌출 길이, 구체적으로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4)는 제2 천정부(114b)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L114-2) 보다 작을 수 있다. 또는, 제2 측벽부(134b)로부터 걸이(204)의 단부 또는 어느 부분까지의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예컨대, 걸이(204)의 돌출 길이(L204)와 제1 폭(W1)의 합)는, 제2 측벽부(134b)와 제1-2 측벽부(134a2)까지의 제1 방향(X)으로의 최소 길이 또는 최대 길이(예컨대, 제2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15)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11은 함(15)의 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함(15)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함(15)은 걸이(205)를 포함하되, 함체(105)의 일부분이 지지대와 같이 기능하는 점이 도 1 등의 실시예에 따른 함(11)과 상이한 점이다.
함체(105)는 천정부(115), 측벽부(135) 및 바닥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투표 용지의 인입 등을 위한 슬릿(135s)은 천정부(115)가 아닌 제2 측벽부(135b)에 형성될 수 있다.
또, 걸이(205)는 제2 측벽부(135b)가 아닌 천정부(115)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이(205)는 천정부(115)의 제1 방향(X) 전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함(15)이 손잡이 봉(G1)에 거치된 상태에서, 천정부(115) 및 바닥부(125)를 포함하는 함체(105)는 손잡이 봉(G1)가 제3 방향(Z)으로 중첩할 수 있다. 반면, 함체(105)는 손잡이 봉(G1)가 제1 방향(X)을 포함하는 수평 방향으로 비중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걸이(205)의 제1 방향(X)으로의 최대 길이(L205)는 함체(105)의 제1 방향(X)으로의 폭, 구체적으로 제1 측벽부(135a)와 제2 측벽부(135b)의 이격 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걸이(205)의 제1 방향(X)으로의 길이(L205)는, 함체(105)에 고정된 걸이(205)의, 제1 측벽부(135a)와 제2 측벽부(135b)의 이격 방향으로의 최대 길이를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상에서 예시된 기술 사상의 변경물, 균등물 내지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승강기 거치용 함
101: 함체
111: 천정부
121: 바닥부
131: 측벽부
201: 걸이
301: 지지대
IS: 함체의 내부 공간
W: 승강기 내측벽
G: 승강기 손잡이

Claims (3)

  1. 내부에 수용 공간을 갖는 함체의 천정부 또는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걸이; 및 상기 함체의 어느 측벽부로부터 돌출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의 일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는, 상기 지지대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 보다 짧은 승강기 거치용 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가 승강기 손잡이 봉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는 승강기의 내측벽과 이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내측벽과 맞닿아 함을 지지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KR1020210014495A 2021-02-02 2021-02-02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KR102511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95A KR102511308B1 (ko) 2021-02-02 2021-02-02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495A KR102511308B1 (ko) 2021-02-02 2021-02-02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356A true KR20220111356A (ko) 2022-08-09
KR102511308B1 KR102511308B1 (ko) 2023-03-17

Family

ID=82844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495A KR102511308B1 (ko) 2021-02-02 2021-02-02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13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468A (ko) * 2010-08-16 2012-02-24 장운호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KR200480514Y1 (ko) 2014-04-14 2016-06-02 현서영 투표지 운반, 정리 및 보관용 상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6468A (ko) * 2010-08-16 2012-02-24 장운호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KR200480514Y1 (ko) 2014-04-14 2016-06-02 현서영 투표지 운반, 정리 및 보관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1308B1 (ko) 2023-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4757Y1 (ko) 과일상자
KR100543412B1 (ko) 적층 가능한 옷걸이
JP6559941B2 (ja) 容器
EP3012212A1 (en) Web-storing container
KR20220111356A (ko) 지지대를 포함하는 승강기 거치용 함
KR20220114116A (ko) 걸이식 박스
US20060113202A1 (en) Clothes hanger storage device
KR100998026B1 (ko) 수납공간을 구비한 간이 의자
KR101369851B1 (ko) 냄비 뚜껑 거치대 및 이를 이용한 냄비 뚜껑 거치용 걸이구
KR101075564B1 (ko) 옷걸이
KR101005818B1 (ko) 주방용기의 연결구조
US5833184A (en) Clothes hanger carrying device
US5924578A (en) Clothing hanger holder
KR20210002325U (ko) 위생 수저통
US7703865B2 (en) Storage compartment for a refrigeration device
KR101211931B1 (ko) 행랑마대걸이
KR200274238Y1 (ko) 와인잔 걸이구가 구비된 수납장
KR20010001175A (ko) 배달통내에 설치되는 받침판
KR200437658Y1 (ko) 적재편의를 제공하는 생수통 적재대
KR200226871Y1 (ko) 양념통이 수납된 거치대
CN218044888U (zh) 一种壁挂式支架及其支架套组
CN213244871U (zh) 一种新型的整理箱
JP2018196647A (ja) 上部開口容器
JP7362420B2 (ja) ワゴン装置及び什器システム
US20050103656A1 (en) Storage container for a wre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