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8756A - 소변기 세정기 - Google Patents

소변기 세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8756A
KR20210078756A KR1020190170518A KR20190170518A KR20210078756A KR 20210078756 A KR20210078756 A KR 20210078756A KR 1020190170518 A KR1020190170518 A KR 1020190170518A KR 20190170518 A KR20190170518 A KR 20190170518A KR 20210078756 A KR20210078756 A KR 2021007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l
water
detergent
washing water
dischar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0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483B1 (ko
Inventor
정준우
Original Assignee
정준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우 filed Critical 정준우
Priority to KR1020190170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4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변을 보면 자연스럽게 용해된 세정수에 의하여 소변기가 세정됨과 동시에 악취를 방지하고 발향되므로 소변기를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관리와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소변기의 내벽면 상측 배수구 위치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으로 부착할 수 있는 밀착면을 가지는 세정기바디와;
상기 세정기바디의 상단면은 세정수가 밀착면의 전방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유입면과;
상기 세정기바디의 전방 하측에 주지의 세정제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정제공간를 가지고 원수를 공급받아 세정제(108)를 용해시킬 수 있게 형성하는 용해조와;
상기 용해조의 상부에 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하는 입구와;
상기 용해조의 배면 상측에 형성하여 원수에 의하여 세정제가 용해된 세정수를 소변기의 내벽면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 위치 용해조의 배면에는 용해된 세정수가 소변기의 내벽면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하는 배출유도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소변기 세정기{URINAL CLEANER}
본 발명은 소변기 세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변기(또는 좌변기)의 벽면에 걸어 유지하면서 소변을 씻기 위하여 사용되는 세척수에 의하여 세정액이 함께 공급되어 소변세정기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방향을 통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개선한 세정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소변기(또는 좌변기)에는 사용 후 변기 내표면을 세척하기 위하여 세척수가 공급되어지도록 하고 있으나, 물로만 변기의 내표면을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힘들기 때문에 별도의 세정제를 공급하여 세척하도록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세정기는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허문헌을 통하여 대표적인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은, 상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써, 하면 및 측면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통공(12)과, 일측면부 소정위치에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결합공(13)을 갖고, 세정제가 수납되는 본체(11)와; 소정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써 하단부는 상기 본체(11)의 결합공(13)에 끼움조립되고, 상단부에는 걸이수단(15)을 갖고, 수조(21)의 벽면 상단에 걸어 상기 본체(11)를 지지하는 지지대(14)로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2는, 지지부(12) 상부에 덮개부(14)를 결합고정하여 그 사이에 부력을 얻기 위한 공기실(16)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부(12) 하부에는 내부에 고체세정제(18)를 수용하는 삽입실(32)이 형성되고 또 상기 삽입실(32)의 하부에는 상기 고체세정제(18)를 세척수(42)에 노출시켜 주기 위한 통기공(36)을 갖는 결합부(20)를 결합고정하여 구성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은, 양변기용 물탱크(T) 내에 착탈 가능하도록 외부에 걸이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세정제가 수납토록 공간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간부(130)의 하측에는 세정제가 배출되는 세정제 토출공(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세정제 토출공(141) 하단에는 차단막(142)이 형성되어 있는 수납체(10)와, 상기 수납체(10)가 삽입되는 수납부(155)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으로는 세정제가 배출되는 세정제 배출체(150)로 이루어진 양변기용세정제 자동 배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 배출체(150)는 수납부(155)의 상단 외주에는 통기공(151)을 천공하고, 수납부(155)의 바닥면에는 상기 수납체(10)의 차단막(142)을 관통하는 돌출바(152)를 구비하며, 상기 돌출바(152) 일측에는 하측에 충진공(154)이 천공되어 있는 세정제 충진부(153)를 형성하고,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 일측으로는 수압관(110)을 구비하고, 상기 세정제 충진부(153)와 수압관(110)을 각각 관통해서 연결하는 세정제 배출관(120)이 형성되는 구성이다.
실용신안등록 제 20 - 0316402 - 0000 호 특허출원 제 10 - 2016 - 0025606 호 특허 제 10 - 1816779 - 0000 호
없슴.
특허문헌 1의 경우에는 좌변기의 수조 내부에 걸어서 유지하고 세정제를 수용함으로서 수조 내부의 사용수가 세정제가 용해되어 함께 배출되어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특허문헌 2의 경우에는 좌변기의 저수조 내부에 고체세정제용기를 수용시켜 세정제가 용해된 물을 이용하여 세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특허문헌 3의 경우에는 좌변기의 물탱크 내부에 구비되어 수납체에 수납된 세정제가 용해되어 함께 배출되어 세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 모두가 좌변기에 구비되는 수조 내부에 수용시켜 수조의 물에 의하여 세정제가 용해되어 배수되어 좌변기를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소변기에는 별도의 물탱크를 구비하고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적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즉, 소변기의 경우에는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바로 공급되어 소변기에 구비되는 버턴 또는 감지센서에 의하여 급수관이 물이 소변기의 상측내벽면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소변기의 내벽면을 세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행기술들과 같은 구성으로는 세정제가 물에 용해되지 못하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소변기의 경우에는 고체타입의 세정제를 소변기의 바닥면에 안착시켜주어 흘러내리는 물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용해되어 세정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소변기의 바닥부분만 세정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소변기의 상부에서부터 전체를 고르게 세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세정효율이 저하되는 것이 물론, 소변기를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장기간 세정불량으로 인하여 악취가 발생하는 등 여러 문제점에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소변기(101)의 내벽면(102) 상측 배수구(103) 위치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104)으로 부착할 수 있는 밀착면(105)을 가지는 세정기바디(106)와;
상기 세정기바디(106)의 상단면은 세정수가 밀착면(105)의 전방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유입면(107)과;
상기 세정기바디(106)의 전방 하측에 주지의 세정제(108)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정제공간(109)를 가지고 원수를 공급받아 세정제(108)를 용해시킬 수 있게 형성하는 용해조(110)와;
상기 용해조(110)의 상부에 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하는 입구(111)와;
상기 용해조(110)의 배면 상측에 형성하여 원수에 의하여 세정제(108)가 용해된 세정수를 소변기(101)의 내벽면(102)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12)와;
상기 배출구(112) 위치 용해조(110)의 배면에는 용해된 세정수가 소변기(101)의 내벽면(102)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하는 배출유도림(115)을 포함하여;
소변을 보면 자연스럽게 용해된 세정수에 의하여 소변기가 세정됨과 동시에 악취를 방지하고 발향되므로 소변기를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관리와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소변기의 내벽 상부에 걸어서 유지하도록 하고 소변기 세정을 위하여 공급되는 세정수에 의하여 세정제를 용해하여 소변기의 내벽면 상부에서 바닥까지 세정제가 고르게 확산되어 소변기 내벽면을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세정제에 의하여 소변기의 배벽면 전체를 고르게 세정할 수 있으면서 악취발생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소변기를 위생적이면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관리자는 물론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의 배면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의 배면을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를 도시한 파절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소변기 세정기(100)는, 소변기(101)의 내벽면(102) 상측 배수구(103) 위치에 밀착될 수 있도록 양면테이프, 흡판 등과 같은 고정수단(104)으로 부착할 수 있는 밀착면(105)을 가지는 판상형태의 세정기바디(106)를 구비한다.
상기 세정기바디(106)의 상단면은 세정수가 밀착면(105)의 전방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향 경사진 형태의 유입면(107)을 형성하고, 상기 세정기바디(106)의 전방 하측에는 주지의 세정제(108)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정제공간(109)를 가지고 원수를 공급받아 세정제(108)를 용해시킬 수 있는 용해조(110)를 형성한다.
상기 용해조(110)의 상부에는 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의 입구(111)를 형성하고, 상기 용해조(110)의 배면 상측에는 원수에 의하여 세젱제(108)가 용해된 세정수를 소변기(101)의 내벽면(102)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12)를 폭 방향으로 형성한다.
상기 배출구(112)의 위치는 용해조(110)에 수용되는 세정제(108)가 용해되어 소변기(101)의 내멱면(102)에 충분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용해조(110)의 상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출구(112) 위치 용해조(110)의 배면에는 용해된 세정수가 소변기(101)의 내벽면(102)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의 배출유도림(115)을 형성하여 용해조(110) 배면에 소변기(101)의 내벽면(102)과 밀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배출유도림(115)에는 산형상의 배출가이드(116)를 형성하는 데, 중앙위치의 배출가이드(116) 산형 양면은 동일한 각을 유지하도록 하고, 양측으로 갈수록 배출가이드(115)의 중앙방향 보다 외측면이 더 벌어진 형태를 가지도록하여 세정수가 내벽면(102) 전체에 고르게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변기 세정기(100)의 재질은 지속적으로 물에 노출되는 점을 고려하여 부식의 우려가 높은 금속재질 보다는 스테인리스스틸재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나 성형의 용이성이나 비용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플라스틱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이나 설명에서는 소변기 세정기(100)가 소변기(101)의 내벽면(102)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세정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내벽면(102) 전체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세정기(100)의 배면부위는 내벽면(102)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세정수를 고르게 배출할 수 있을 것이며, 세정기(100)의 형상과 모양은 본 발명의 도면에 예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소변기 세정기(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변기(101)의 내벽면(102) 상측에 위치하는 배수구(103) 아래에 밀착면(105)을 고정수단(104)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밀착시켜 세정기바디(106)를 유지하도록 하고, 세정기바디(106)의 아래측에 구비되는 용해조(110)의 세정제공간(109)에 주지의 세정제(108)를 수용시킴으로서 사용준비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이용자들이 소변기(101)를 사용하게 되면 세정을 위하여 원수가 배수구(103)를 통하여 배출되는 데, 원수는 바로 소변기(101)의 내벽면(102)을 타고 흘러내리지 않고 유입면(107)을 통하여 용해조(110)로 유입된다.
용해조(110)로 유입된 원수는 세정제공간(109)에 수용된 주지의 세정제(108)를 용해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용해된 세정수는 원수와 함께 배출구(112)를 통하여 배수되어 내벽면(102)의 상측에서 흘러내리면서 소변기(101)를 세정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용해조(110)에서 용해된 세정수는 배출구(112)를 통하여 내벽면(102)으로 배출되는 데, 배출구(112)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배출유도림(115)에 의하여 용해조(110) 배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내벽면(102)으로 흘러내리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배출유도림(115)에는 산 형상의 배출가이드(116)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용해조(110)로부터 배출된 세정수가 소변기(101)의 내벽면(102)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배출가이드(116)를 중앙 위치에는 양면이 동일하도록 형성하고 있으나 양측으로 갈수록 외측방향에 위치하는 외면이 더 벌어지게 하므로 세정수가 중앙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확산 또는 비산되는 형태로 배출되므로 보다 폭넓게 배출되어 내벽면(102) 전체에 고르게 묻을 수 있게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소변기(101)의 내벽면(102) 상측에서 하측으로 고르게 세정수가 묻게 되므로 소변기(101)의 내벽면(102)을 고르게 세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면서 세정제(108)에 함께 포함된 악취방지제에 의하여 악취를 방지하면서 향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변을 보면 자연스럽게 용해된 세정수에 의하여 소변기가 세정됨과 동시에 악취를 방지하고 발향되므로 소변기를 청결하면서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고 관리와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소변기 세정기
101; 소변기
102; 내벽면
106; 세정기바디
108; 세정제
110; 용해조
112; 배출구
115; 배출유도림
116; 배출가이드

Claims (2)

  1. 소변기(101)의 내벽면(102) 상측 배수구(103) 위치에 밀착될 수 있도록 고정수단(104)으로 부착할 수 있는 밀착면(105)을 가지는 세정기바디(106)와;
    상기 세정기바디(106)의 상단면은 세정수가 밀착면(105)의 전방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단에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는 유입면(107)과;
    상기 세정기바디(106)의 전방 하측에 주지의 세정제(108)를 수용할 수 있는 세정제공간(109)를 가지고 원수를 공급받아 세정제(108)를 용해시킬 수 있게 형성하는 용해조(110)와;
    상기 용해조(110)의 상부에 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하는 입구(111)와;
    상기 용해조(110)의 배면 상측에 형성하여 원수에 의하여 세정제(108)가 용해된 세정수를 소변기(101)의 내벽면(102)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12)와;
    상기 배출구(112) 위치 용해조(110)의 배면에는 용해된 세정수가 소변기(101)의 내벽면(102)으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하는 배출유도림(1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도림(115)에는 산형상의 배출가이드(116)를 더 형성하고;
    상기 배출가이즈(116) 중 중앙위치의 배출가이드(116) 산형 양면은 동일한 각을 유지하도록 하고, 양측으로 갈수록 배출가이드(115)의 중앙방향 보다 외측면이 더 벌어진 형태를 가지도록하여 세정수가 내벽면(102) 전체에 고르게 확산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세정기.
KR1020190170518A 2019-12-19 2019-12-19 소변기 세정기 KR10232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18A KR102328483B1 (ko) 2019-12-19 2019-12-19 소변기 세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0518A KR102328483B1 (ko) 2019-12-19 2019-12-19 소변기 세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8756A true KR20210078756A (ko) 2021-06-29
KR102328483B1 KR102328483B1 (ko) 2021-11-17

Family

ID=7662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0518A KR102328483B1 (ko) 2019-12-19 2019-12-19 소변기 세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4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00A (ko) 2021-12-24 2023-07-03 강정훈 테플론을 이용한 절약형 클린 소변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402Y1 (ko) 2003-03-14 2003-06-18 오인석 좌변기용 세정제 걸이구
KR200349570Y1 (ko) * 2004-02-20 2004-05-06 천용건 좌, 소변기용 세정기
JP2005344347A (ja) * 2004-06-02 2005-12-15 Duskin Co Ltd 小便器用薬液供給装置及びその取付機構
US7979923B2 (en) * 2007-11-14 2011-07-19 Hsu Johnson J Y Urinal deodorizer set
KR20120010264A (ko) * 2009-05-21 2012-02-02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약제 케이스
KR20160025606A (ko) 2013-07-29 2016-03-08 알까뗄 루슨트 데이터 프로세싱
KR101816779B1 (ko) 2015-09-30 2018-01-09 신동윤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402Y1 (ko) 2003-03-14 2003-06-18 오인석 좌변기용 세정제 걸이구
KR200349570Y1 (ko) * 2004-02-20 2004-05-06 천용건 좌, 소변기용 세정기
JP2005344347A (ja) * 2004-06-02 2005-12-15 Duskin Co Ltd 小便器用薬液供給装置及びその取付機構
US7979923B2 (en) * 2007-11-14 2011-07-19 Hsu Johnson J Y Urinal deodorizer set
KR20120010264A (ko) * 2009-05-21 2012-02-02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약제 케이스
KR20160025606A (ko) 2013-07-29 2016-03-08 알까뗄 루슨트 데이터 프로세싱
KR101816779B1 (ko) 2015-09-30 2018-01-09 신동윤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7300A (ko) 2021-12-24 2023-07-03 강정훈 테플론을 이용한 절약형 클린 소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483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107053A1 (ja) 薬剤供給具
KR102328483B1 (ko) 소변기 세정기
WO2017137922A1 (en) Support device for hygienic apparatus and hygienic apparatus using the same
CN210216623U (zh) 洁厕宝自动缓释装置
US20130298320A1 (en) Toilet Clean Pouch
KR101816779B1 (ko) 양변기용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101239214B1 (ko)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JPWO2010134582A1 (ja) 薬剤ケース
US11377833B1 (en) Water conserving toilet disinfectant dispenser
JP2007167599A (ja) 男性用小型便器収納便座
KR20180010723A (ko) 저수조가 부착된 위생 소변기
WO2008125845A1 (en) Container for toilet rim
KR20140104868A (ko) 세정제 케이스
JP3699073B2 (ja) 筆洗い器
US20220205231A1 (en) Toilet flush device fitting
TWI374962B (ko)
JP2018134456A (ja) 仮設トイレ
US8839465B2 (en) Toilet cleaning system
JP3025478U (ja) 男子用便器の自動清潔剤放出装置
JPH022782Y2 (ko)
KR102061085B1 (ko) 수세식 좌변기용 세정액 공급장치
KR200220454Y1 (ko) 수세식 좌변기용 세정제 투입용기
IL168413A (en) Method and system comprising a refillable reservoir for adding solid or liquid chemicals into the toilet flushing water
JP2506198Y2 (ja) 小便器の排水口用薬剤保持装置
JP3081605U (ja) 男子用小便器の水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