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319B1 -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319B1
KR101815319B1 KR1020160037714A KR20160037714A KR101815319B1 KR 101815319 B1 KR101815319 B1 KR 101815319B1 KR 1020160037714 A KR1020160037714 A KR 1020160037714A KR 20160037714 A KR20160037714 A KR 20160037714A KR 101815319 B1 KR101815319 B1 KR 101815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er
toilet
detergent
fragranc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1726A (ko
Inventor
이제후
Original Assignee
한국디비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디비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디비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7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319B1/ko
Publication of KR2017011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2Devices connected to or dispensing in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제를 담는 병, 병을 거치시키고 세정제를 하부로 유출시키는 디스펜서, 디스펜서 하부에 삽입되며 변기로부터 세척수를 포집하고 세정제를 집적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 및 변기의 테두리에 디스펜서를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로 이루어진 변기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전면에 방향제 수용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오목부 내에 젤 형태의 방향제를 삽입하여 변기 내벽 세척 이외에 방향 및 탈취 효과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Cleaning agent device with aromatic}
본 발명은 변기의 청결을 관리하기 위한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변기 테두리(rim) 부분에 장착되어서 변기에서 세척수가 흘러나오는 경우 일정량의 세정제를 함께 용해 및 분배 시키며, 함께 장착된 방향제가 방향 및 탈취 효과를 내도록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기의 청결을 관리하기 위하여, 변기의 수조 내에 세정용 장치를 설치하거나, 변기의 테두리 아래에 세정용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수조 내에 설치하는 세정용 장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세정 성능이 떨어지며, 투입이 번거롭고, 특히 물탱크 수조가 없는 형태의 변기의 경우에는 이러한 세정용 장치를 사용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변기의 테두리 아래에 설치하는 세정용 장치는 설치가 간편하고 변기에서 흘러 나오는 세척수와 함께 액체 상태인 세정제가 흘러내려 변기에 투입됨으로써 자동적으로 변기 내벽이 세정되도록 하고 있다.
위와 같은 변기의 테두리 아래 설치하는 세정용 장치에 사용하는 대부분의 세정제는 향기를 첨가하여 부수적인 방향효과도 나타낼 수 있지만, 이러한 방향기능은 변기 사용 후 물 내림 시에만 효과가 있었고, 변기 사용 중 또는 미사용 중일 때에는 방향효과가 미미하여 방향제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기 물 내림 시 세척수와 함께 세정제가 흘러내려 변기에 투입되어 자동적으로 변기 내벽이 세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동일 용기에 방향제도 장착하여 변기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도 화장실 내에 방향 및 탈취 효과를 나타내어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세정제를 담는 병, 병을 거치시키고 세정제를 하부로 유출시키는 디스펜서, 디스펜서 하부에 삽입되며 변기로부터 세척수를 포집하고 세정제를 집적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 및 변기의 테두리에 디스펜서를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로 이루어진 변기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 전면에 방향제 수용이 가능한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변기에서 물 내림시 세척수가 배출되고, 이 때 플레이트의 홈에 떨어져 확산되어있는 세정제가 세척수에 섞여 희석되어 변기 내부로 배출되면서 변기의 내벽을 세척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이와 동시에 본 발명 용기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속의 방향제에 의해 방향 및 탈취효과를 주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방향제는 젤 형태의 방향제를 쉽게 삽입 및 교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세정제 및 방향제를 하나의 용기에 설치함으로써 별도 구입시보다 비용이 절감되고, 세정제와 방향제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공간이 절약되어 화장실의 청결 및 심미성에 도움이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세정제와 방향제를 하나의 용기 내에서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수용되게 하므로, 세정제와 방향제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보다 각각의 성능이 효과적으로 나타날 수 있고, 기존의 세정제나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기성제품들과 호환성이 높은 특징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에서 디스펜서 하부에 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병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후면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변기 세정제 빛 방향제 용기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첨부 도면은 당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술적 사상을 전달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인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는, 세정제를 담는 병(10), 병을 거치시키고 세정제를 하부로 유츨시키는 디스펜서(20), 디스펜서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변기로부터 세척수를 포집하고 세정제를 확산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30), 변기의 테두리에 디스펜서를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40), 그리고 디스펜서 전면부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방향제 수용이 가능한 돌기(60)를 가지는 오목부(50)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병(10)은 2개의 챔버(11)로 구성되어 있고, 2개의 챔버(11)는 별도의 구성 부품 없이 서로에 직접 부착되어 있다. 또한, 2개의 챔버(11)에는 각각의 주입구(12)가 하나씩 위치하고 있으며 주입구(12)를 통하여 액체상태의 세정제를 챔버(11)내에 주입 가능하고, 이러한 주입구(12)는 별도의 구성 부품 없이 디스펜서(20) 본체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디스펜서 본체 방향으로 세정제를 직접 배출 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디스펜서(20) 는 병(10)을 결합시켜 사용 가능하도록 병(10)의 주입구(12)가 탈착 가능한 빈 공간이 존재하고, 전면에는 방향제를 결합시켜 사용가능하도록 오목부(50)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 및 세정제의 배출이 용이한 물 배출구를 가지고, 후면에는 후크(40)의 요철(41)부분을 끼워 걸림턱에 맞물리게 하여 결합 시킬 수 있는 후크삽입부(24)를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디스펜서(20) 본체의 빈 공간에는 2개의 원형 받침판(25)이 존재하고, 그 내부에는 각각 원형받침판(25)보다 지름이 작은 원형 구멍(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멍(21)이 가운데에는 십자 모양의 뾰족한 십자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십자돌기(22)는 세정제가 들어있는 상태로 밀봉된 병(10)의 주입구(12)에 설치된 밀봉부분(도시되지 않음)을 개봉하는데 사용된다. 세정제가 들어있는 병(10)의 주입구(12)를 디스펜서(20) 본체의 빈 공간에 형성된 원형 받침판(25)과 맞닿도록 적당한 압력을 가하여 결착시키면, 십자돌기(22)가 병(10) 내부의 세정제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 주입구(12)에 형성시킨 밀봉부분을 밀어서 파괴하게 되는 결과, 주입구(12)에 세정제가 배출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게 된다.
별도의 병(10)을 여는 단계가 필요하지 않고, 간편하게 병(10)과 디스펜서(20)를 결합하는 단계를 통하여 병(10)을 열어 세정제가 흘러나올 수 있는 상태로 만들게 되는 바, 사용이 쉽고 사용자에게 매우 편리하다.
또한, 디스펜서(20)는 전면, 후면, 좌면 및 우면에 세척수(물) 및 세정제가 배출 될 수 있도록 하는 물 배출구를 가지고 있어, 이를 통해 세척수 및 세정제를 적당한 속도와 균형으로 디스펜서(20) 안과 밖으로 배출 시킬 수 있다.
특히, 디스펜서(20)의 전면부에는 방향제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50)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오목부의 내부에는 돌기(60)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50)는 방향제를 삽입하기 위한 빈 공간으로써, 본 발명인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가 기존의 변기 세정장치와 달리 세정제뿐만 아니라 방향제도 함께 삽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 효율성을 높이고 심미성도 높임과 동시에 높은 탈취력과 방향력도 발휘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방향제가 구비된 세정장치를 변기에 거치시켜 놓는 경우 방향 및 탈취효과를 주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세정제 및 방향제를 하나의 용기에 설치함으로써 별도 구입시보다 비용이 절감되고 세정제와 방향제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공간이 절약되어 화장실의 청결 및 심미성에 도움이 된다.
또한, 세정제와 방향제를 하나의 용기 내에서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수용하므로 세정제와 방향제가 혼합되어 있는 경우보다 각각의 세정, 방향 성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기존의 세척제나 방향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기성제품들과 호환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오목부(50)는 디스펜서(20) 전면부의 좌우 양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 방향제를 삽입할 수 있다.
오목부(50) 내의 돌기(60)는 원통형, 사각기둥형, 또는 십자기둥형과 같은 기둥형태를 가짐으로써 방향제 삽입 시 이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돌기(60)는 기둥형태 이외에도 기둥형태의 측면에 또 다른 입체형태의 돌기가 결합되거나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오목부(50)에 삽입되는 방향제는 돌기(60)를 통한 고정이 되어야 하고 쉽게 탈착이 가능해야 하는바 젤 타입인 것이 바람직하다. 젤 타입의 방향제는 작은 힘으로도 돌기부분에 끼우거나 뺄 수 있기 때문에 탈착이 용이하고, 형태를 불문하고 돌기에 삽입가능하기 때문이다.
디스펜서(20)의 후면에는 후크 삽입부(24)가 형성되어 있는 바, 후크(40)가 후크삽입부내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다. 결합 후에 후크를 변기에 장착 시, 디스펜서(20) 본체 전체 및 상부에 거치된 병(10) 및 플레이트(30) 까지 모두 일체로써 지지할 수 있을 만큼, 후크 삽입부(24)는 튼튼한 재질 및 알맞은 무게중심 위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플레이트(30)는 상면에 홈(31)이 다수존재하고 , 확산홈(32)이 좌우에 2개 형성되어 있다. 확산홈(32)은 디스펜서의 원형 받침판(25)에 있는 구멍(21)아래에 존재하며 구멍(21)보다 조금 큰 크기의 의 홈으로, 병(10) 내부의 세정제가 흘러내려 확산홈(32)에 고인 후 홈(31)을 따라 플레이트 상면에 전체적으로 확산된다.
플레이트(30) 상면의 홈(31) 사이에 세정제가 집적되어 있다가 변기의 물내림시 세척수가 변기 내벽을 따라 플레이트의 상면에 유입되고, 세정제와 세척수가 혼합되어 물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간다.
플레이트(30)는 디스펜서(20)의 하부에서 슬라이딩 형식으로 삽입되며, 디스펜서(20)에 탈착시 밀어넣는 정도를 변경하여 디스펜서(20)로부터 양변기 내벽까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세척수가 변기 내벽을 따라 흐르다가 세척수의 일부가 변기에 맞닿아있는 플레이트(30)의 상면으로 수집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0)의 삽입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는 모든 양변기의 내벽과 맞닿도록 적합하게 설치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플레이트(30)는 변기 물 내림시 나오는 세척수 수집양을 조절 할 수 있다. 세척수가 플레이트(30) 상면의 홈(31)을 따라 확산되고, 고여있던 세정제와 혼합되므로 항상 일정한 양의 세척수가 세정제와 함께 공급되게 되므로 항상 일정한 세정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후크(40)는 도 3과 같이 막대모양을 기본형태로 하여 일 말단은 직선형을 유지하고 다른 일말단은 말려서 구부러져있다. 후크의 말단에는 수개 내지 수십개의 요철(41)이 존재한다.
후크(40)의 일 말단 중 직선 형태 부분은 디스펜서(20)의 후면에 위치한 후크삽입부(24)에 결합되며, 후크삽입부(24)의 걸림턱 부분에 후크의 요철(41)이 걸리게 됨으로써 후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즉 후크삽입부(24)와 만나는 요철이 달라질 때마다 후크(40) 전체의 길이가 달라지게 된다.
후크(40)의 나머지 말단인 구부러진 부분은 변기의 테두리 부분에 결합되는데, 이 때 구부러진 부분을 펴서 ㄷ자 형태가 되게 하여 변기 테두리를 물고 있는 모습으로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후크(40)의 재질은 탄성력을 유지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는 디스펜서(20)에 병(10)이 결합되고, 하부에 플레이트(30)가 결합되며, 디스펜서 후면의 후크삽입부(24)에 후크(40)가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후크(40)를 이용하여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를 쉽게 변기 테두리에 탈부착 할 수 있다.
병(10)에 들어있는 세정제를 다 사용하게 되면 세정제가 들어있는 병(10)만 교체하면 되므로 경제적이고,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디스펜서의 전면에 있는 오목부(50)에 있는 방향제를 다 사용하게 되면 새로운 방향제로 교체가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향기의 방향제나 탈취제를 교환 결합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10. 병
11. 챔버
12. 주입구
20. 디스펜서
21. 구멍
22. 십자돌기
24. 후크 삽입부
25. 원형 받침판
30. 플레이트
31. 홈
32. 확산홈
40. 후크
41. 요철
50. 오목부
60. 돌기

Claims (6)

  1. 세정제를 담는 병과, 상기 병을 거치시키고 세정제를 하부로 유출시키는 디스펜서와, 상기 디스펜서의 하부 후단에 삽입되어 변기로부터 세척수를 포집하여 세정제를 함침시킬 수 있는 플레이트 및 변기의 테두리에 상기 디스펜서를 고정시킬 수 있는 후크로 이루어진 변기 세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에 오목부가 구비되고, 상기 오목부에 방향제가 수용되되, 상기 오목부는 상기 디스펜서의 전면 좌우 양측에 후방으로 요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내부에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십자기둥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디스펜서의 하부에 삽입되며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디스펜서 후면의 후크 삽입부에 걸려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형성된 요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KR1020160037714A 2016-03-29 2016-03-29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KR10181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14A KR101815319B1 (ko) 2016-03-29 2016-03-29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714A KR101815319B1 (ko) 2016-03-29 2016-03-29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26A KR20170111726A (ko) 2017-10-12
KR101815319B1 true KR101815319B1 (ko) 2018-01-04

Family

ID=6014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714A KR101815319B1 (ko) 2016-03-29 2016-03-29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3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2048A (ko) 2021-02-03 2022-08-10 김건수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손가락 교정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947A (ja) * 2002-07-19 2005-11-10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便器のリムに取付けられる延出板付きトイレクリーナ
JP2007530829A (ja) * 2004-03-24 2007-11-01 ジャイズ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トリートメント剤を便器へと放出するディスペ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3947A (ja) * 2002-07-19 2005-11-10 エス.シー. ジョンソン アンド サ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便器のリムに取付けられる延出板付きトイレクリーナ
JP2007530829A (ja) * 2004-03-24 2007-11-01 ジャイズ グループ リミテッド トリートメント剤を便器へと放出するディスペ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726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4758B2 (en) Cleansing and freshening unit intended for suspension from a rim of a toilet bowl
US6412120B1 (en) Liquid dispensing toilet rim mounted toilet bowl cleaner
CA2465887C (en) Foam dispenser, housing and storage holder therefor
EP1507934B1 (en) Toilet rim mounted device for dispensing two liquids
JP4145046B2 (ja) 改良された液吐出便器クリーナ
EP1341974B1 (en) Device with multiple toilet care action
US20100205731A1 (en) Toilet flusher with the time-offset release of two substances
US20100012161A1 (en) Cartridge and water-conducting domestic appliance comprising a detergent dosing system for a cartridge
KR20090098841A (ko) 변기의 세정액에 활성 성분액을 분배시키는 모듈러 시스템
AU2002222782A1 (en) Device with multiple toilet care action
KR20160002966A (ko) 활성제 제제를 변기통 안으로 분배하기 위한 디바이스
EP1046756A1 (en) Automatic dispenser, particularly for detergent and deodorant liquid for toilet bowls
US20170035256A1 (en) Liquid dispensing system
KR101815319B1 (ko) 방향제가 구비된 변기 세정장치
JP4184972B2 (ja) 便器ケア作用を有している装置
KR200408296Y1 (ko) 다용도 스팀청소기
JP2023051869A (ja) 薬液供給装置
KR20120016468A (ko) 변기 세정액 디스펜서
WO2010113905A1 (ja) 薬液供給装置
WO2009123240A1 (ja) 薬液供給装置
JP4457719B2 (ja) 薬液吐出容器
WO2021199698A1 (ja) 薬液供給装置
US20230107438A1 (en) Assembly comprising a liquid dispenser and a support element
US8646118B2 (en) Cartridge for a toilet freshener
KR102043466B1 (ko) 변기세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