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5240A -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5240A
KR20120015240A KR1020100077584A KR20100077584A KR20120015240A KR 20120015240 A KR20120015240 A KR 20120015240A KR 1020100077584 A KR1020100077584 A KR 1020100077584A KR 20100077584 A KR20100077584 A KR 20100077584A KR 20120015240 A KR20120015240 A KR 20120015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terminal
danger signal
servic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헌
강세웅
Original Assignee
김정헌
강세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헌, 강세웅 filed Critical 김정헌
Priority to KR102010007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5240A/ko
Publication of KR20120015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52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험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여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신호를 발생시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위험 신호 발신 단말; 상기 위험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위험 신호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위험 신호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타 위험 알림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위험 신호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ividing dangerous message}
본 발명은 위험 알림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비스 가입자가 위험 신호를 발생할 경우, 근접한 다른 가입자에게 효과적으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는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험 상황에 처하게 될 경우 대부분 긴급한 상황이므로, 정확한 위치 파악과 신속한 대응이 가장 중요하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수단이 발달하고 보급률이 높아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동통신 수단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위험 알림 서비스가 많이 연구되고 있으며,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LBS)와 연계된 효과적인 서비스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위험 알림 서비스들은 위험에 처한 사람이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위험 신호를 전송할 경우, 경찰서 등과 같은 긴급 구조 센터나 가족 등과 같이 기설정된 지인의 연락처로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와 같이 인근 경찰서나 가족 등에게로 위험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경우 구조하러 갈 때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위험에 처한 사람이 계속 위치를 이동하게 될 경우, 구조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위험에 상황에 대해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효과적으로 구조할 수 있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 상황 발생시 인접한 다른 가입자 단말기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구조가 가능한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 상황 발생시 설정된 특정 반경 내에 전송할 가입자 수가 부족할 경우 영역을 확장시켜 전송 대상자를 확보함으로써 효과적인 구조가 가능한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위험 신호 발생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인근 가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신속한 구조가 가능한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위험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여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신호를 발생시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위험 신호 발신 단말; 상기 위험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위험 신호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위험 신호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타 위험 알림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위험 신호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위험 알림 서비스 가입자의 수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설정 반경을 증가시켜 전송할 가입자 단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험 신호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갱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타 위험 알림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위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각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 정보가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위험 신호를 전송한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험 신호 전송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타 가입자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위험 신호 발생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타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위험 신호 전송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타 가입자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가입자의 수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설정 반경을 증가시켜 전송할 가입자 단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위험 신호 이벤트 종료 발생 전까지, 상기 위험 신호 전송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갱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타 가입자의 단말로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 상황 발생시 인접한 다른 가입자 단말기로 위험 발생한 가입자의 기본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전송됨으로써 신속하고 효과적인 구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 신호 발생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인근 가입자의 단말에 제공하고, 이를 기저장된 지도 데이터와 매핑하여 이동 경로를 표시함으로써 효과적이고 신속한 구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알림 서비스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에서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위험 상황 발생시 인접한 다른 가입자 단말기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신속한 구조가 가능한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험 알림 메시지가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에게 전송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위험 구제가 가능해지며, 해당 가입자에게 서비스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미리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위험 구제를 위한 고급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위험 발생 가입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반경 내에 포함된 가입자에게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며, 특정 반경 내에 포함된 가입자의 수가 적을 경우 최초 설정한 반경을 확장시킴으로써 최소한의 메시지 전송 가능한 가입자 수를 확보할 수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위험 발생 가입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고, 해당 정보를 설정 반경 내의 타 가입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타 가입자의 단말에 위험 발생 가입자의 위치 정보가 지도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알림 서비스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험 신호 발신자(110)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하여 위험 신호를 전송하면, 서비스 서버에서는 상기 위험 신호 발신자(110)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예컨대, 20m, 50m, 100m 등)의 영역(A 지역(100)) 내에 있는 다른 서비스 가입자(120)의 단말로 위험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설정된 반경 내에 있는 서비스 가입자의 수가 설정된 기준(예컨대, 50명)보다 적을 경우, 상기 설정 반경을 더 확장시킴으로써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의 수를 증가시킨다. 예컨대, 최초 설정 반경을 20m로 설정하였다고 가정할 경우, 상기 반경 내에 있는 가입자 단말 수가 기준값으로 설정한 50개 미만일 경우, 상기 설정 반경을 30m로 증가시켜 다시 가입자 단말의 수를 검색한다. 이와 같이, 서비스 서버에서는 위험 메시지를 수신할 가입자 단말의 수가 확보될 때까지 설정 반경을 증가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험 알림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에서 위험 신호를 무선 네트워크(210)를 통해 전송하면, 전송된 위험 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서버(220)로 전송된다. 상기 서비스 서버(22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위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위치를 기준으로 설정 반경 내에 포함된 가입자 단말을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230)로 선정하여 위험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전송되는 위험 메시지에는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 가입자의 개인 신상 정보 및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가입자 단말(200, 230)에는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전자 지도상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응용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서비스 서버(220)로부터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전자 지도상에서 해당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각 장치의 세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입자 단말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입자 단말(200, 220)은 이동통신 단말로서 제어부(310), 입력부(320), 위치 표시부(330), 위험 신호 생성부(340), 송수신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치 표시부(330)와 위험 신호 생성부(340)는 응용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가입자 단말(200)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위험 상황이 발생하여 가입자가 입력부(320)를 통해 기설정된 특정 버튼을 눌러 위험 신호 입력시키면, 위험 신호 생성부(340)에서 위험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위험 신호는 송수신부(350)를 통해 서비스 서버(220)로 전송된다. 또한, 서비스 서버(220)로부터 송수신부(350)를 통해 타 가입자에 대한 위험 메시지가 수신되면, 수신된 타 가입자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360)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해당 위험 상황이 발생된 가입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위치 표시부(330)를 통해 해당 위치를 전자 지도상에서 실시간으로 표시하게 된다. 제어부(310)에서는 상기 각 부의 처리를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및 수신 메시지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20)는 긴급 메시지 수신부(410), 가입자 정보 확인부(420),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30), 알림 메시지 생성부(440), 전송 대상 선정부(450),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60), 메시지 전송부(470) 및 위치 정보 갱신부(48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위험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게 되면, 가입자의 기본 정보가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다. 이때, 저장되는 가입자의 기본 정보로는 가입자의 사진, 이름, 신체 정보, 학교, 주소, 전화번호, 특징, 보호자 연락처 등이 될 수 있다.
긴급 메시지 수신부(410)에서는 위험 상황 발생 단말(200)로부터 위험 발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위험 발생 신호를 가입자 정보 확인부(420)로 제공한다. 가입자 정보 확인부(420)에서는 해당 발생 신호를 전송한 가입자에 대한 기본 정보를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430)를 통해 검색하고 해당 정보를 독출하여 알림 메시지 생성부(440)로 제공한다. 알림 메시지 생성부(440)에서는 상기 제공된 해당 가입자의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MS)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고, 멀티미디어 메시지(MMS)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송 대상 선정부(450)에서는 가입자 정보 확인부(420)로부터 가입자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가입자의 위치를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60)를 통해 확인한다. 그런 다음, 상기 해당 가입자의 위치를 기준으로 기설정된 반경 내에 포함된 타 가입자들을 상기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60)를 통해 확인한다. 이때, 확인된 가입자의 수가 기준 값에 미치지 못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설정 반경을 확장시킴으로써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대상 가입자의 수를 증가시키게 된다.
메시지 전송부(470)에서는 상기 전송 대상 선정부(450)에서 선정된 위험 알림 메시지 전송 대상자의 단말로 상기 알림 메시지 생성부(440)에서 생성된 알림 메시지를 전송 처리한다.
한편, 위치 정보 갱신부(480)에서는 상기 각 서비스 가입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460)에 실시간으로 갱신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위험 신호 수신 시, 최신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험 신호 발생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고, 전송 대상 가입자 단말을 현재 위치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절차를 나타내는 신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에서 기설정된 긴급 버튼을 입력(S501)하게 되면,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에서 서비스 서버(220)로 위험 신호가 전송(S202)된다. 서비스 서버(220)에서는 위험 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확인(S503, S504)한다. 그런 다음, 위험 알림 메시지를 생성(S505)하고,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대상을 선정(S506)한다. 이때, 위험 알림 메시지 전송 대상의 선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위치로부터 기설정된 반경 내에 포함된 가입자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전송 대상이 선정되면, 해당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230)로 상기 생성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전송(S507) 처리한다. 해당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230)에서는 상기 전송된 위험 알림 메시지를 수신(S508)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230)에 설치된 전자 지도상에 매핑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220)에서의 처리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비스 서버(220)에서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에서 전송한 위험 신호를 수신(S601)하면,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를 확인(S602)한다.
그런 다음, 위험 메시지 전송 대상자를 선정하기 위해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이 위치한 좌표를 기준으로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한 가입자를 확인(S603)한다. 상기 확인 결과 해당 가입자의 수가 기준값 이상일 경우(S604)에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S606)한 후, 해당 가입자에게 생성된 메시지를 전송(S607)한다. 상기 확인 결과 해당 가입자의 수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S604)에는 기준 반경 값을 일정값만큼 증가(S605)시켜 해당되는 가입자의 수를 증가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위험 메시지를 전송할 가입자의 최소한의 수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실시간으로 갱신(S609)되어 상기 선정된 해당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된다. 이때, 위험 신호 이벤트가 종료(S608)됐다고 판단될 경우 메시지 전송을 중단하고 위험 알림 서비스가 종료된다. 상기 위험 신호 이벤트의 종료 판단은, 위험 상황이 종료됐음을 확인하거나, 위험 신호 송출 해지 가능한 단말로부터의 위험 신호 송출 해지 요청이 수신되었을 경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위험 신호 송출 해지 요청은 제한된 사용자에 의해서만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위험 신호 송출자, 위험 신호 송출자의 보호자, 경찰 및 기타 등록된 공무원 등에서만 위험 신호 송출 해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의 표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험 상황 발생시, 서비스 서버(220)에서 제공하는 위험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자 메일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가입자 기본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위험 신호 발신자의 사진, 이름, 나이, 키, 몸무게, 학교, 주소, 전화 번호, 특징, 보호자 연락처 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선정된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230)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메시지 수신 단말(700)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지도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해당 위험 신호 발신 단말(200)의 현재 위치 또는 이동 경로가 실시간으로 갱신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위험 상황이 발생한 가입자의 근접 영역에 위치한 다른 가입자들이 위험 상황에 대한 대피 또는 구제 등의 신속한 대처가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A 지역 110 : 위험 신호 발신자
120 : 서비스 가입자 200 : 위험 신호 발신 단말
210 : 무선 네트워크 220 : 서비스 서버
230 :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 310 : 제어부
320 : 입력부 330 : 위치 표시부
340 : 위험 신호 생성부 350 : 송수신부
360 : 디스플레이부 410 : 긴급 메시지 수신부
420 : 가입자 정보 확인부 430 : 가입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440 : 알림 메시지 생성부 450 : 전송 대상 선정부
460 : 위치 정보 데이터베이스 470 : 메시지 전송부
480 : 위치 정보 갱신부

Claims (6)

  1. 위험 알림 서비스에 가입하여 가입자 정보를 등록하고, 위험 상황 발생 시 위험 신호를 발생시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위험 신호 발신 단말;
    상기 위험 알림 서비스에 가입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위험 신호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험 신호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위험 신호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타 위험 알림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서비스 서버; 및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위험 신호 발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위험 메시지 수신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위험 알림 서비스 가입자의 수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설정 반경을 증가시켜 전송할 가입자 단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위험 신호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갱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타 위험 알림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위험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에 서비스 가입자의 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각 서비스 가입자의 위치 정보가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상기 서비스 서버에 저장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서비스 가입자의 단말로부터 위험 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위험 신호를 전송한 가입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위험 신호 전송 단말을 기준으로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타 가입자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위험 신호 발생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상기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타 가입자의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해당 가입자 단말에서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전송된 위험 신호 전송 단말의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타 가입자 단말을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설정 반경 내에 위치하고 있는 서비스 가입자의 수가 기준값 미만일 경우, 상기 설정 반경을 증가시켜 전송할 가입자 단말의 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위험 신호 이벤트 종료 발생 전까지, 상기 위험 신호 전송 단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갱신하고, 갱신된 위치 정보를 상기 타 가입자의 단말로 반복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00077584A 2010-08-11 2010-08-11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15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84A KR20120015240A (ko) 2010-08-11 2010-08-11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7584A KR20120015240A (ko) 2010-08-11 2010-08-11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5240A true KR20120015240A (ko) 2012-02-21

Family

ID=4583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7584A KR20120015240A (ko) 2010-08-11 2010-08-11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524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24A1 (ko) * 2012-07-03 2014-01-09 Baek In Chul 앰버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KR102159722B1 (ko) * 2020-02-21 2020-09-24 (주) 티나쓰리디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424A1 (ko) * 2012-07-03 2014-01-09 Baek In Chul 앰버 경고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KR102159722B1 (ko) * 2020-02-21 2020-09-24 (주) 티나쓰리디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WO2021167159A1 (ko) * 2020-02-21 2021-08-26 (주) 티나쓰리디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0679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persons of an emergency telephone call
US86497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based monitoring of mobile object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7617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communicating updated emergency messages
KR101142344B1 (ko) 모바일폰을 이용한 지능형 위급신호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US110374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ed individual violation instruction
US8359048B2 (en) Close proximity alert messaging system and method
US20150358796A1 (en) Novel Alert Notification and Messaging System with Speech Recognition Capability
US20040248586A1 (en) Location markers on mobile devices
KR20070092757A (ko) 휴대 단말기, 통신 단말기, 이들을 이용한 소재 위치 통지시스템, 및 소재 위치 통지 방법
CN107077774B (zh) 脱离监视区域的远程管理系统
KR20170027516A (ko) 알람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회안전망 서비스 제공방법
JP2015519023A (ja) 位置情報基盤通信装置と方法、および位置情報基盤通信アプリケーション装置
KR101171073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위급상황 동시 다중 알림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15240A (ko)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8610568B2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and method
JP2006252017A (ja) 災害情報配信システム、災害情報配信装置、災害情報配信方法及び災害情報配信プログラム
KR101134839B1 (ko) 휴대폰을 이용한 비상신호 자동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1054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osition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70091801A (ko) 이동단말기를 이용한 보호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16170571A (ja) 通報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6013563A (ja) 目的地接近情報報知システム、移動端末装置、ホームサーバ装置、およびサービスサーバ装置
KR20130025047A (ko) 다자간 위치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29919B1 (ko) 휴대단말기 수신 차단 안내 메시지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시스템 및 서비스
KR20110090289A (ko) 위치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520808B1 (ko) 위치정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10

Effective date: 2014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