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9722B1 -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 Google Patents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9722B1
KR102159722B1 KR1020200021664A KR20200021664A KR102159722B1 KR 102159722 B1 KR102159722 B1 KR 102159722B1 KR 1020200021664 A KR1020200021664 A KR 1020200021664A KR 20200021664 A KR20200021664 A KR 20200021664A KR 102159722 B1 KR102159722 B1 KR 102159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irus
warning
information
warning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은석
Original Assignee
(주) 티나쓰리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나쓰리디 filed Critical (주) 티나쓰리디
Priority to KR1020200021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9722B1/ko
Priority to PCT/KR2020/004956 priority patent/WO202116715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러스 관리 서버가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히, 상기 방법은, 단말에 확진자의 체류 장소를 포함하는 확진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일정 반경 및 경고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확진자의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이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경고 주기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METHOD FOR WARNING RISK OF VIRUS INFECTION, PROGRAM THAT PERFORMS THE METHOD AND APPARATUS ON WHICH THE PROGRAM IS INSTALLED USING CONFIRMER INFORMATION OF INFECTIOUS VIRUS}
본 발명은 바이러스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확진자의 이동 장소에 근접하면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후반 반세기 동안 수많은 새로운 항생제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다제내성균이 점차 확산되면서 생명을 위협하는 중증감염증 출현 및 새로운 항생제 개발의 지연으로 인해 어떠한 항생제에도 듣지 않는 내성균에 의한 감염병 시대인 'post-antibiotic era'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감염병의 진단은 대상자로부터 소변, 혈액, 가래 등 검체를 채취한 뒤 균배양 과정을 표준 검사법으로 이용하여 왔으나 진단부터 검사결과 획득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른 노동력도 많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감염병의 진단은, 검체 내 존재하는 병원체의 수가 적거나 항생제를 미리 투여한 경우 위음성(false negative) 결과가 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2019년 12월에 중국 우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퍼져 세계적으로 감염자가 늘고 있는 2019 n-COV 코로나바이러스(영어: Coronavirus, 문화어: 코로나비루스)는 코로나바이러스과(영어: Coronaviridae)의 코로나바이러스아과(Coronavirin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이다. 사람과 동물에게 호흡기 및 소화기계 감염을 유발하는 RNA 바이러스이다.
주로 점막전염, 비말전파로 쉽게 감염되어 사람에게는 일반적으로 경미한 호흡기 감염을 시작하지만 점차적으로 치명적으로 변화한다.
사망자는 지금까지 집계된 것에 따르면 3.5%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편이라고 하지만, 최종적인 사망률에 대한 집계는 코로나바이러스가 다 사라진 이후에나 확실하게 알 수 있으며, 아직 예방 또는 치료 목적으로 승인된 백신이나 항바이러스제는 없다.
우한 베타 코로나바이러스(Beta-CoV)의 염기서열은 박쥐에게서 찾아지는 베타코로나바이러스와 유사성을 보이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CoV)과 중동호흡기증후군(MERS-CoV)과 같은 다른 코로나바이러스와는 유전적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강하고, 호흡기, 비말 등으로 전염 가능하여 코로나 바이러스가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은 피하거나 특별히 조심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가 존재하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즉각적으로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21692호 (명칭: 전염병 감염 의심자의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동 경로 추적 방법, 2017.02.28.)
본 발명은 바이러스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관리 서버가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확진자의 체류 장소를 포함하는 확진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일정 반경 및 경고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확진자의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이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경고 주기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일정 반경은, 상기 확진자의 연령, 건강 상태, 증상 발현 정도 및 진료 경과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반경은, 현재 시간 및 요일과 상기 현재 시간 및 요일에 따른 상기 체류 장소의 평균 유동 인구수를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류 장소가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인 경우, 상기 확진자 정보는 상기 확진자의 체류 층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단말의 기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체류 층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체류 층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바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경고 주기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이 상기 경고 메시지 외에 수신 중인 제 1 데이터의 량 및 상기 단말의 버퍼에 저장된 제 2 데이터의 량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데이터의 량 및 상기 제 2 데이터의 량에 따라, 경고 알림 메시지, 상기 확진자의 확진 순서, 상기 확진자의 다른 체류 장소, 상기 확진자의 치료 현황, 상기 확진자와 관련된 접촉자 현황 및 상기 체류 장소의 제 1 3D 모델과 상기 바이러스의 제 2 3D 모델을 포함하는 3D 렌더링 모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시켜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통신망들 중, 상기 제 1 데이터의 량, 상기 제 2 테이터의 량 및 상기 경고 메시지의 데이터 양을 기반으로 선택된 하나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망들은, 와이파이(Wi-Fi) 통신망, 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망, LTE-A (Long Term Evolution - Advanced) 및 5G (5-Generation)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의 프로세싱 성능, 상기 단말에서 처리 중인 데이터의 량 및 상기 단말의 통신 환경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3D 모델과 제 2 3D 모델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렌더링 모드를 기반으로 WebGL 기반 실시간 3D 렌더링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3D 렌더링 모델을 렌더링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렌더링 모델을 렌더링하는 것은, 상기 제 1 3D 모델에 복수의 상기 제 2 3D 모델들을 합성하여 렌더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제 2 3D 모델들의 수는, 상기 일정 반경 이내에 체류한 확진자의 수, 상기 일정 반경 이내에 체류한 적어도 하나의 확진자의 연령, 건강 상태, 증상 발현 정도 및 진료 경과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은, 상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에게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전송 주기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달하되, 상기 다른 단말들 각각의 속도에 따라, 상기 다른 단말들 각각에게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상기 다른 단말들 중, 임계값 이상의 속도로 이동하는 다른 단말에게는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바이러스 관리 서버로부터 확진자의 체류 장소를 포함하는 확진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바이러스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일정 반경 및 경고 주기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단말이 상기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경고 주기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경고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러스 확진자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게 감염 경고를 알림으로써,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경고 알림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을 경고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위험 지역에 관한 정보를 3D 렌더링 모델로 제공하는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이제, 본격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경고 알림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경고 알림 시스템은, 통신망 (100), 단말(200) 및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200)은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와 통신망(100)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이 때, 통신망(100)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무선 통신망은 LTE (Long Term Evolution), 5G (5 Generation) 및 WiFi 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2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1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단말(200)은 통신망(100)을 통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와 통신망(10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단말(200)은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200)은 우선적으로 통신망(100)에 접속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제공 장치(미도시) 예컨대, 앱 스토어 등에 접속을 수행하고 해당 앱 스토어로부터 의류 추천 서비스를 위한 앱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단말(200)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단말(200)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200)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단말(200)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추천 서비스에 관련된 앱을 다운 및 설치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200)로 이용될 수 있다.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경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단말(200)와 송수신하고, 상기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200)에게 경고 메시지 송신 여부 및 송신 주기를 결정하는 서버 장치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일 수 있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는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229E (HCoV-229E),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OC43 (HCoV-OC43),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SARS-CoV),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NL63 (HCoV-NL63, 뉴헤븐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MERS-CoV),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2019-nCoV)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확진자 정보를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S205). 이 때, 확진자 정보에는 확진자의 체류 장소, 체류 장소가 건물인 경우의 체류층, 확진자의 이동 경로, 확진자의 연령, 성별, 건강 상태, 증상 발현 정도 및 진료 경과, 확진자의 확진 순서 및 환진자와 관련된 접촉자 현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일정 반경 및 경고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S210). 이 때, 일정 반경은 해당 확진자의 연령, 건강 상태, 증상 발현 정도 및 진료 경과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체류 장소에 관련된 확진자가 80세 이상의 고령이고,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증상 발현이 감염 예상일로부터 수 일 내로 빨리 되었고, 진료 경과도 수 일이 지나도 호전이 되지 않고, 해당 확진자의 체내에서 바이러스가 빠르게 증식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확진자가 체류한 장소에는 그만큼 바이러스가 많이 퍼져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일정 반경을 일정 넓이 이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해당 확진자가 20~30대로 젊은 층이고, 건강 상태가 좋아 증상 발현이 감염 예상일보다 수 일 이상 늦었거나, 무증상 환자이고, 진료 경과도 수 일 이내에 퇴원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면, 해당 확진자의 체내에서는 바이러스가 크게 증식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확진자가 체류한 장소에는 그만큼 바이러스가 적게 퍼져있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확진자가 체류한 장소에는 그만큼 바이러스가 적게 퍼져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일정 반경을 일정 넓이 미만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정 반경은 단말(200)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시점에서의 시간 및 요일을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확진자의 체류 장소의 요일 별 및/또는 시간 별 평균 유동 인구수를 기반으로,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요일과 시간을 참고하여, 일정 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시간 및 요일의 평균 유동 인구수가 제 1 값 이상인 경우, 일정 반경은 제 1 반경으로 설정될 수 있고, 해당 시간 및 요일의 평균 유동 인구수가 제 1 값 미만인 경우, 제 1 반경보다 작은 제 2 반경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해당 시간 및 요일의 평균 유동 인구수가 제 1 값보다 작은 제 2 값 미만인 경우, 제 2 반경보다 작은 제 3 반경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송 주기는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경고 메시지를 단말(200)에 전송하는 주기를 의미한다.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동일한 경고 메시지를 일정 전송 주기 간격으로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200)은 동일한 경고 메시지를 수신할 때마다, 진동/소리 알람/라이트 발광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사용자에게 감염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다만, 단말(200)은 한번의 경고 메시지를 수신하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경고 메시지를 일정 주기 간격으로 전송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확인 입력이 있기 전까지 반복적으로 사용자에게 감염 위험을 경고할 수 있다.
한편,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전송 주기는, 단말(200)의 위치가 확진자의 체류 장소에 가까워 질수록 짧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단말(200)의 위치를 측정하고, 단말(200)의 위치가 확진자의 체류 장소로부터 제 1 반경 이내에 들어오면, 제 1 주기 간격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제 1 반경보다 작은 제 2 반경 이내로 들어오면, 제 1 주기보다 짧은 제 2 주기 간격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이 확진자의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것으로 확인되면, 상술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줄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S215). 예를 들어,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단말(200)이 도 3에 빨간색 음영 및 코로나 바이러스로 표시된 지역은 확진자의 체류 장소를 나타내며, 빨간색 점선 원은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지역으로서, 바이러스 감염 위험 경고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이 해당 경고 지역 내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주기적으로 단말(200)에게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경고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단말(200)이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즉,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의 위치 정보는 OTDOA (Observed Time Difference of Arrival) 또는 E-CID (Enhanced - Cell ID) 기법을 기반으로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단말(200)의 주변에 있는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위치 측정을 위한 위치 참조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위치 참조 신호들의 수신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 참조 신호들의 수신 세기를 측정한 단말(200)은 3개 이상의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RSTD (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측정하고, 상기 RSTD를 기반으로 단말(20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 때, 수신 세기를 기반으로 각 신호가 기지국에서부터 단말까지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인 ToA(Time of Arrival)을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RSTD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위치 참조 신호를 기반으로 3개의 RSTD 값을 산출하면, 해당 값 및 각 기지국의 위치를 기준으로 단말(200)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고, 단말(200)은 추정된 위치 정보를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하여 AoA (Angle of Arrival) 및/또는 AoD (Angle of Departure) 값을 더 사용할 수 있다. RSTD를 확보한 단말(200)은 상기 위치 참소 신호들이 수신된 각도 및 기지국의 위치를 참조하여, AoA 및/또는 AoD 값을 획득할 수 있고, 상기 RSTD 값을 기반으로 추정된 위치 정보에 상기 각도 정보를 이용하여,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더 정확한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한편, 위치 참조 신호를 전송하는 주체는 기지국이 아닌 다른 단말 장치들일 수도 있다.
즉, 단말(200)들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단말들로부터 위치 참조 신호를 수신한 단말(200)은 상술한 방법을 기반으로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단말이 이동성을 가지는 경우, 정확한 위치 측정을 위해서 다른 단말들로부터 수신되는 위치 참조 신호에는 각각의 다른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위치 정보를 통해서는 단말(200)의 수평 위치 정보만을 알 수 있으며, 수직 위치 정보는 획득할 수 없다. 그런데, 확진자가 특정 건물의 특정 층에서만 체류한 경우, 다른 층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이 적고, 따라서, 경고 알림 메시지를 단말(200)에게 전송할 필요가 적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도 4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단말(200)의 수직 정보 위치를 획득하여, 확진자가 체류한 체류 층에 단말(200)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된 경우에만, 경고 알림 메시지를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체류 층에 대한 정보는 S205에서 획득한 확진자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이 해당 체류 층에 위치하는지는 단말(200)에 설치된 기압 센서를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높이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므로, 단말(200)이 기압 센서를 이용하여 현 위치에서의 기압을 측정하고, 해당 값을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에 전송하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해당 기압을 기반으로, 해당 체류 층에 단말(200)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상술한 예시에 따라 획득된 단말(200)의 수평 위치 정보와 수직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200)이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고, 해당 체류 장소의 체류 층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단말(200)이 해당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나, 해당 체류 장소의 체류 층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경고 메시지를 단말(200)에게 전송하지 않거나, 설정된 전송 주기보다 긴 전송 주기(예를 들어, 설정된 전송 주기의 2배) 간격으로 경고 메시지를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경고 메시지에는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고 메시지에는 단말(200)이 일정 반경 내에 진입했음을 단순히 알리기 위한 경고 알림 메시지, 해당 체류 장소에 체류한 확진자의 확진 순서, 해당 확진자의 다른 체류 장소, 해당 확진자의 치료 현황, 해당 확진자와 관련된 접촉자 현황 및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해당 체류 장소의 3D 모델과 바이러스의 3D 모델을 함께 렌더링한 3D 렌더링 모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어떤 정보를 경고 메시지에 포함시킬지 여부는 단말(200)의 수신 능력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즉, 단말(200)의 수신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면, 경고 메시지에 적은 양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적시에 경고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단말(200)의 수신 능력이 충분하다면, 경고 메시지에 많은 양의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여, 사용자가 적시에 경고 알림을 받을 수 있음과 동시에 사용자에게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부터 단말(200)이 경고 메시지 이외에 수신 중인 제 1 데이터들(예를 들어, 스트리밍 중인 동영상, 음원 등)의 양 및 단말(200)의 버퍼에 임시 저장 중인 제 2 데이터의 양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의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경고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할 정보를 결정하여, 해당 정보를 경고 메시지에 포함시켜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단말(200)이 수신 중이거나 저장된 데이터들의 양이 많으면 한번에 많은 정보를 수신하기 어려우므로, 경고 알림 메시지 등과 같이 바이러스 감염 위험을 알리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정보들만을 선별적으로 선택하여 경고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그러나 단말(200)이 수신 중이거나 저장된 데이터들의 양이 적으면 단말(200)에게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체류 장소의 위험성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많이 전달 할 수 있다.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경고 알림 메시지, 해당 체류 장소에 체류한 확진자의 확진 순서, 해당 확진자의 다른 체류 장소, 해당 확진자의 치료 현황, 해당 확진자와 관련된 접촉자 현황 및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해당 체류 장소의 3D 모델과 바이러스의 3D 모델을 함께 렌더링한 3D 렌더링 모델 순으로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양에 대한 정보에 따라, 해당 우선 순위에 따라 경고 메시지에 정보를 포함시켜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제 1 데이터의 량, 제2 데이터의 량 및 상술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경고 메시지의 데이터 량을 기반으로 하나의 통신망을 선택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이 현재 접속 가능한 통신망들이 와이파이(Wi-Fi) 통신망, 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망, LTE-A (Long Term Evolution - Advanced) 및 5G (5-Generation) 통신망이 있다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제 1 데이터의 량, 제2 데이터의 량 및 상술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된 경고 메시지의 데이터 량을 기반으로 와이파이(Wi-Fi) 통신망, 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망, LTE-A (Long Term Evolution - Advanced) 및 5G (5-Generation) 통신망 중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만약, 단말(200)이 현재 와이파이 망에 우선 접속되어 있고, 제 1 데이터를 와이파이 망을 통해 수신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경고 메시지를 LTE-A 또는 5G 통신망을 통해 단말(200)에게 전송하여 단말(200)에게 최대한 오류 없이 정확하고 빠르게 경고 메시지를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즉,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현재 단말(200)이 와이파이 망에 접속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제 1 데이터의 량 및 제 2 데이터의 량을 고려하여 와이파이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여유 데이터 량이 임계값 이하라고 판단되는 경우, 경고 메시지를 LTE-A 또는 5G 통신망을 통해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경고 메시지에 포함되는 도 3 내지 도 4와 같은 3D 렌더링 모델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모드는 단말(200)의 성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즉, 단말(200)이 3D 렌더링 모델을 처리하는데 노드가 없을 정도의 품질의 렌더링 모드를 결정하여, 3D 렌더링 모델을 렌더링하고, 이를 단말(200)에 전송하여 3D 렌더링 모델을 사용자가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로부터 단말(200)의 프로세싱 성능, 단말(200)에서 처리 중인 데이터의 량 및 단말(200)의 통신 환경을 포함하는 단말(200)의 성능(Capability)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의 성능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렌더링 모드들 중, 하나의 렌더링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렌더링 모드를 이용하여 3D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렌더링 모드들은 각각 서로 다른 해상도 및/또는 서로 다른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도 3 내지 도 4와 같은 3D 렌더링 모델은 체류 장소를 렌더링한 제 1 3D 모델과 바이러스 형상을 렌더링한 제 2 3D 모델을 합성하여 렌더링한 3D 렌더링 모델을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 1 3D 모델과 복수의 제 2 3D 모델들을 합성할 수 있으며, 합성되는 복수의 제 2 3D 모델들의 수는,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체류한 확진자의 수,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체류한 적어도 하나의 확진자의 연령, 건강 상태, 증상 발현 정도 및 진료 경과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특정 체류 장소에 다녀간 확진자가 2명 이상이면, 확진자가 1명인 경우보다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이 커질 수 있으므로, 복수의 제 2 3D 모델의 수를 확진자가 1명인 경우보다 많이 제 1 3D 모델에 합성하여 렌더링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3D 렌더링 모델은 WebGL 기반 실시간 3D 렌더링 엔진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복수의 렌더링 모드들은 상기 WebGL 기반 실시간 3D 렌더링 엔진을 통해 지원되는 렌더링 모드들일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단말(200)들이 체류 장소의 일정 반경 이내에 있는 경우,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다수의 단말(200)들 모두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오버헤드가 클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단말(200)에게 동일한 정보들이 포함된 동일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 경우,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동일한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하나의 단말(200)에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면, 이를 수신한 하나의 단말(200)은 D2D(Device-to-Device) 통신 방식을 활용하여 주위에 있는 다른 단말(200)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다른 단말(200)들은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단말들일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다른 단말(200)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설정된 전송 주기 간격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다른 단말(200)들에게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폭을 통해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200)은 다른 단말(200)들 각각의 속도에 따라 각 다른 단말(200)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주파수 대역폭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면 경고 메시지를 빠르게 전달할 수 있으므로, 속도가 빠른 다른 단말(200)에게는 높은 주파수 대역폭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속도가 느린 다른 단말(200)에게는 낮은 주파수 대역폭을 통해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여, 특정 주파수 대역폭에 부하(load)가 과도하지 않도록 하면서, 다른 단말(200)들 모두에게 안정적으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단말(200)의 속도가 제 1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단말(200)은 제 1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고, 다른 단말(200)의 속도가 제 1 임계값 이하인 경우, 단말(200)은 제 1 주파수 대역폭보다 낮은 제 2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단말(200)의 이동속도가 제 1 임계값 보다 높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말(200)은 상기 다른 단말(200)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단말(200)의 이동 속도가 매우 높아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의 지역을 수 초 내에 통과할 수 있다면, 해당 다른 단말(200)의 사용자는 바이러스에 영향이 미미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다른 단말(200)에게는 굳이 경고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다른 단말(200)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말(200)은 상기 다른 단말(200)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에도 다른 단말(200)이 버스 또는 전철 등의 대중 교통 수단에 위치하는 것이라면, 대중 교통의 특성 상, 한 명의 감염자라도 발생하면, 여러 감염자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단말(200)이 버스 또는 전철 등의 대중 교통 수단에 위치하는 것이라면, 다른 단말(200)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이더라도, 단말(200)은 다른 단말(200)에게 경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경고 메시지는 제 1 주파수 대역폭 보다 높은 제 3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른 단말(200)이 자가용 내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대중 교통 수단에 위치하는지 여부는, 다른 단말(200)의 이동 속도의 변화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단말(200)이 버스 혹은 전철 등의 대중교통 수단 내에 위치한다면, 이동 속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증감하다가 버스 정류장 또는 역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다시 이동 속도가 일정 범위 내에서 증감할 것이다. 따라서, 다른 단말(200)이 버스 정류장 또는 역의 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을 반복한다면, 다른 단말(200)은 대중 교통 수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200)은 다른 단말(200)의 이동 속도가 제 2 임계값 이상이더라도, 경고 메시지를 다른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말(200)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감염을 경고하기 위한 감염 경고 어플리케이션과 함께, 택시 기사용 콜 택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경우, 감염 경고 어플리케이션과 콜 택시 어플리케이션이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 택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200)에 택시를 호출하는 요청 메시지가 수신되면, 감염 경고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요청 메시지의 출발지 및 도착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콜 택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출발지 및 도착지 중 적어도 하나가 체류 장소의 일정 반경 이내에 포함된다면, 감염 경고 어플리케이션은 출발지 및/또는 도착지가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이 있는 장소임을 알리기 위한 경고 메시지를 콜 택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2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바이러스 감염 경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단말(200)의 사용자가 특정 장소 주변에 가는 것에 대한 위험을 경고하기 위한 것이라면 어디든지 확장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지진, 해일, 산불, 화산 폭발, 교통 사고, 건물 또는 교량 붕괴 및 싱크홀 등을 포함하는 재난/재해 상황에서도 확장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재난/재해 상황에 대한 위험 알림을 단말(200)에게 전송하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난/재해 상황이 발생한 장소에 대한 정보를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가 단말(200)에게 전송하고,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상술한 예시와 유사하게 일정 반경 및 경고 메시지 전송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재난/재해로 인한 사망자 수, 부상자 수, 재난 위험 강도(예를 들어, 지진 강도, 산불 피해 규모, 해일 규모, 교통 사고로 인한 출동 차량 대수, 건물 또는 교량의 붕괴 정도), 재난 발생 시기 등을 기반으로 일정 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현시점과 재난 발생 시기가 가까울수록 일정 반경을 크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시지 전송 주기는 재난/재해 상황이 발생한 장소와 단말(200)이 가까워질수록 짧아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재난/재해 상황이 발생한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진입하였는지를 판단하고, 일정 반경 이내로 단말(200)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시지를 단말(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경고 메시지에는 상술한 것과 같은 단순히 알리기 위한 경고 알림 메시지, 재난/재해 장소의 위험 정도, 재난/재해 장소의 사망자 수 및 부상자 수, 재난/재해 장소의 구조, 진입 상황 및 해당 재난/재해 장소의 3D 렌더링 모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200)는 제어 모듈(210), 통신 모듈(220), 저장 모듈(230), 출력 모듈(240), 입력 모듈(2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모듈(250)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 모듈(25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 모듈(250)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모듈(250)은 출력 모듈(240)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50)은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모듈(25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 모듈(210)로 전달한다.
출력 모듈(240)은 단말(2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출력 모듈(240)은 단말(20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모듈(24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력 모듈(330)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출력 모듈(240)은 입력 모듈(25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 모듈(23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2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230)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 모듈(21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통신 모듈(220)은 통신망(100)을 통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220)은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20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220)은 복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모듈이 통신 모듈(22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PAN(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통신망(100)을 통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 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0)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0)의 제어 모듈(210)은 입력 모듈(250)을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통신 모듈(220)을 통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통신 모듈(220)을 통해 수신한 비콘, 와이파이, 기지국 신호 또는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에서 전송한 정보들을 출력 모듈(240)을 통해 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의 제어 모듈(2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200)의 동작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4를 기반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단말(200)의 동작 과정 전반이 제어 모듈(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제어 모듈(310), 통신 모듈(320) 및 저장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320)은 단말(200)과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 모듈(320)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망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저장 모듈(330)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 모듈(330)은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는 단말(200)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 모듈(310)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제어 모듈(310)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의 제어 모듈(3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의 동작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4를 기반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바이러스 관리 서버(300)의 동작 과정 전반이 제어 모듈(3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바이러스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바이러스 확진자의 이동 장소에 근접하면 단말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이를 알려주는 방법, 프로그램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러스 확진자의 이동 경로를 기반으로, 단말 장치에게 감염 경고를 알림으로써,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이러스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를 통해 의료 산업 전반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으며,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통신망 200: 단말 300: 바이러스 관리 서버

Claims (10)

  1. 바이러스 관리 서버가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로 확진자의 체류 장소를 포함하는 확진자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기 위한 일정 반경 및 경고 주기를 설정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확진자의 체류 장소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말이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경고 주기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일정 반경은 상기 체류 장소에서의 상기 바이러스의 증식 정도를 기반으로 설정되고,
    상기 바이러스의 증식 정보는 상기 확진자의 연령, 건강 상태, 증상 발현 정보 및 진료 경과를 기반으로 판단되고,
    상기 경고 주기는 제1 주기 및 상기 제1 주기보다 짧은 제2 주기를 포함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상기 체류 장소로부터 제1 반경 이내이나 상기 제1 반경보다 작은 제2 반경의 바깥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체류 장소로부터 상기 제2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단말에서 RSTD(Reference Signal Time Difference) 값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상기 RSTD 값은 복수의 기지국들로부터 수신한 위치 참조 신호들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단말이 상기 경고 메시지 외에 수신 중인 제1 데이터의 양 및 상기 단말의 버퍼에 저장된 제2 데이터의 양을 기반으로 바이러스 감염 위험 관련 정보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포함하고,
    상기 바이러스 감염 위험 관련 정보들의 우선 순위는 경고 알림 메시지, 상기 확진자의 확진 순서, 상기 확진자의 다른 체류 장소, 상기 확진자의 치료 현황, 상기 확진자와 관련된 접촉자 현황 및 상기 체류 장소에 대한 제1 3D 모델과 상기 바이러스에 대한 제2 3D 모델을 포함하는 3D 렌더링 모델의 순서에 따르고,
    상기 제1 데이터의 양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데이터의 양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한 다른 단말들에게 상기 경고 메시지를 상기 경고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전달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는 상기 다른 단말들 중 이동 속도가 제1 임계값 초과 및 제2 임계값 미만인 단말에게 제1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전달되고, 상기 다른 단말들 중 이동 속도가 상기 제1 임계값 이하인 단말에게 상기 제1 주파수 대역폭보다 낮은 제2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전달되고, 상기 다른 단말들 중 이동 속도가 상기 제2 임계값 이상인 단말에게 전달되지 않는,
    바이러스 감염 경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류 장소가 복수의 층을 포함하는 건물인 경우, 상기 확진자 정보는 상기 확진자의 체류 층에 대한 정보가 더 포함하고,
    상기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단말의 기압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체류 층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은,
    상기 단말이 일정 반경 이내에 위치하고, 상기 체류 층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바이러스의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경고 메시지를 상기 경고 주기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인,
    바이러스 감염 경고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통신망들 중, 상기 제1 데이터의 양, 상기 제2 데이터의 양 및 상기 경고 메시지의 데이터 양을 기반으로 선택된 하나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통신망들은, 와이파이(Wi-Fi) 통신망, 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망, LTE-A (Long Term Evolution - Advanced) 및 5G (5-Generation) 통신망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경고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프로세싱 성능, 상기 단말에서 처리 중인 데이터의 양 및 상기 단말의 통신 환경을 포함하는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단말의 성능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3D 모델과 제2 3D 모델을 렌더링하기 위한 렌더링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렌더링 모드를 기반으로 WebGL 기반 실시간 3D 렌더링 엔진을 이용하여 상기 3D 렌더링 모델을 렌더링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이러스 감염 경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3D 렌더링 모델을 렌더링하는 것은,
    상기 제1 3D 모델에 복수의 상기 제2 3D 모델들을 합성하여 렌더링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상기 제2 3D 모델들의 수는, 상기 일정 반경 이내에 체류한 확진자의 수, 상기 일정 반경 이내에 체류한 적어도 하나의 확진자의 연령, 건강 상태, 증상 발현 정도 및 진료 경과를 기반으로 결정되는,
    바이러스 감염 경고 방법.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21664A 2020-02-21 2020-02-21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KR102159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64A KR102159722B1 (ko) 2020-02-21 2020-02-21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PCT/KR2020/004956 WO2021167159A1 (ko) 2020-02-21 2020-04-13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64A KR102159722B1 (ko) 2020-02-21 2020-02-21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9722B1 true KR102159722B1 (ko) 2020-09-24

Family

ID=72706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664A KR102159722B1 (ko) 2020-02-21 2020-02-21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59722B1 (ko)
WO (1) WO2021167159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91185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22071699A1 (en) * 2020-09-29 2022-04-07 Seegene, Inc.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risk level alarm using molecular diagnostic test dat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20220089441A (ko) * 2020-12-21 2022-06-28 디토닉 주식회사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94542A (ko) * 2020-12-29 2022-07-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감염병 예찰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KR20220138656A (ko) * 2021-04-06 2022-10-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질병 감염 위험도에 기반한 대중교통 경로 안내 장치, 대중교통 경로 안내 방법 및 대중교통 경로 안내 시스템
KR20230012793A (ko) 2021-07-16 2023-01-26 (주)해나소프트 바이러스 기술 분야의 특허 정보-소셜 정보-시장 정보에 기초하는 신규 물질 아이템 발굴 플랫폼
KR20230012794A (ko) 2021-07-16 2023-01-26 (주)해나소프트 기술 정보 및 소셜 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바이러스 관련 신규 물질 개발 플랫폼
WO2024096430A1 (ko) * 2022-11-03 2024-05-10 주식회사 아이캡틴 다층건축물의 재실자에 대한 감염증의 감염전파양상 모의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42980B (zh) * 2022-04-14 2023-07-25 浙江大学 一种基于WiFi匹配的传染病易感人群接触追踪预筛选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483A (ko) * 2004-09-09 2006-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20015240A (ko) * 2010-08-11 2012-02-21 김정헌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1693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이동 단말의 센서들을 이용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 그 이동 단말과 측정 서버
KR20170009490A (ko) * 2015-07-17 2017-01-25 주식회사 예일전자 위험상황 알림 장치 및 서버
KR20170021692A (ko)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에스원 전염병 감염 의심자의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동 경로 추적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483A (ko) * 2004-09-09 2006-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근접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20015240A (ko) * 2010-08-11 2012-02-21 김정헌 위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50111693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이동 단말의 센서들을 이용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 그 이동 단말과 측정 서버
KR20170009490A (ko) * 2015-07-17 2017-01-25 주식회사 예일전자 위험상황 알림 장치 및 서버
KR20170021692A (ko)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에스원 전염병 감염 의심자의 이동 경로 추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이동 경로 추적 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4738B2 (en) 2020-07-20 2022-11-29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991190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0991185B1 (en) 2020-07-20 2021-04-2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574514B2 (en) 2020-07-20 2023-02-07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514737B2 (en) 2020-07-20 2022-11-29 Abbott Laboratories Digital pass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22071699A1 (en) * 2020-09-29 2022-04-07 Seegene, Inc.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risk level alarm using molecular diagnostic test data,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2505106B1 (ko) 2020-12-21 2023-03-02 디토닉 주식회사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89441A (ko) * 2020-12-21 2022-06-28 디토닉 주식회사 이동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역학조사 지원 시스템 및 방법
WO2022145757A1 (ko) * 2020-12-29 2022-07-0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감염병 예찰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KR20220094542A (ko) * 2020-12-29 2022-07-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감염병 예찰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KR102541538B1 (ko) * 2020-12-29 2023-06-1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감염병 예찰을 위한 스마트 디바이스
KR20220138656A (ko) * 2021-04-06 2022-10-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질병 감염 위험도에 기반한 대중교통 경로 안내 장치, 대중교통 경로 안내 방법 및 대중교통 경로 안내 시스템
KR102518725B1 (ko) 2021-04-06 2023-04-05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질병 감염 위험도에 기반한 대중교통 경로 안내 장치, 대중교통 경로 안내 방법 및 대중교통 경로 안내 시스템
KR20230012793A (ko) 2021-07-16 2023-01-26 (주)해나소프트 바이러스 기술 분야의 특허 정보-소셜 정보-시장 정보에 기초하는 신규 물질 아이템 발굴 플랫폼
KR20230012794A (ko) 2021-07-16 2023-01-26 (주)해나소프트 기술 정보 및 소셜 정보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바이러스 관련 신규 물질 개발 플랫폼
WO2024096430A1 (ko) * 2022-11-03 2024-05-10 주식회사 아이캡틴 다층건축물의 재실자에 대한 감염증의 감염전파양상 모의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67159A1 (ko)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9722B1 (ko) 전염성을 가지는 바이러스의 확진자 정보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감염 위험성을 경고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설치된 장치
Shahroz et al. COVID-19 digital contact tracing applications and techniques: A review post initial deployments
US116655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amongst groups of devices based on shared data
US2023012334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WO2018177425A1 (zh) 一种请求救援的方法、装置和系统
US958910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and disseminating health information via mobile channels
US11037260B2 (en) Emergency response system
US8938210B1 (en) Personal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20150100330A1 (en) Method and system of identifying infectious and hazardous sites, detecting disease outbreaks, and diagnosing a medical condition associated with an infectious disease
Rusli et al. Mysd: A smart social distancing monitoring system
WO2022121741A1 (zh) 一种疫情防控方法、电子设备、应用服务器和系统
WO201708275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on and synthesis of vehicle crash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196003A1 (zh) 一种基于定位技术的传染病疫情预警方法及系统
JP2017147579A (ja) 情報管理システム、通信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9810538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eacon-based navigation
JP2009157485A (ja) 救助要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230368641A1 (en) Processing alert signals from positioning devices
CN115719635A (zh) 一种救护车调度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2023118729A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1703820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端末装置
Fratini et al. Medical emergency alarm dissemination in urban environments
JP2017037453A (ja) 案内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端末装置、及び、案内方法
Khan et al.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with Integrated Private Access Server
Rao et al. Mobile geo-fencing triggers for alerting entries into COVID-19 containment zones using IoT
Sethi et al. Controlling spread of COVID-19 using VAN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