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4536A - 식물 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536A
KR20120014536A KR1020110017877A KR20110017877A KR20120014536A KR 20120014536 A KR20120014536 A KR 20120014536A KR 1020110017877 A KR1020110017877 A KR 1020110017877A KR 20110017877 A KR20110017877 A KR 20110017877A KR 20120014536 A KR20120014536 A KR 20120014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il
mosquito repellent
hours
mosqui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7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1344B1 (ko
Inventor
박은경
박상희
정원순
이미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데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데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데나
Publication of KR20120014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3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28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clo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18Vapour or smoke emitting compositions with delayed or sustain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36Rutaceae [Rue family], e.g. lime, orange, lemon, corktree or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2Citrus, e.g. lime, orange or lem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2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containing insect repel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Toxi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향유(Clove Oil), 오렌지유(Orange Oil) 및 유칼립유(Eucalyptus Oil)의 혼합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기기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천연 모기기피 조성물은 모기, 특히 사람들의 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흰줄숲모기 및 빨간집모기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모기기피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천연 모기기피 조성물은 인체 특히 피부에 매우 안전하다.

Description

식물 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Compositions for Repelling Mosquitoes Comprising Oil Extracted from Plant as Active Ingredients}
본 발명은 천연 모기기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곤충의 공격에 의한 사람의 피부 감염 또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제품의 형태는 직접 곤충에게 작용하여 죽이는 방법, 곤충의 서식이나 번식을 억제하는 방법, 또는 곤충의 방향 또는 인지 감각에 어떠한 변형을 가함으로써 곤충의 감각기관을 무력화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마지막에 언급한 방법은 "기피제"라는 것을 사용하는 방법인데, 특히 모기에 대해서 잘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모기 기피제는 아직 명쾌하게 밝혀지지 않은 어떠한 메커니즘에 의하여 사람과 같은 포유동물의 피부에서 발산되는 냄새나 이산화탄소를 추적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모기의 감각기관을 마비시켜 모기에 대하여 기피 작용을 하게 된다.
모기는 뎅기열, 황열병, 뇌염, 말라리아 등과 같은 사람에게 심각한 질병을 매개하고 있기 때문에 위생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곤충이다. 모기는 매년 7 억 이상의 사람들에게 병을 옮기며, 특히 말라리아 모기에 의한 질병으로 인해 매년 3 백만 이상의 사람들이 사망한다고 보고되어있다(Mark et al., N. Engl . J. Med . 347:13-18(2002)). 대한민국의 경우에도 1993 년부터 말라리아가 다시 발생하여 최근에는 매년 수천명의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할 정도로 매년 말라리아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모기에 의한 직, 간접적인 피해는 실로 막대하다.
모기 기피제는 살충제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인체에 대한 피해 또는 부작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자유롭기 때문에 선호되고 있다. 지금까지 다양한 모기 기피제가 알려져 있는데, 특히 N,N-diethyl-m-toluamide(DEET)라는 물질이 모기 기피효과가 우수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DEET는 불쾌한 냄새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 침투력이 높기 때문에 어린이, 임산부, 저혈압 환자, 민감성 피부를 가진 사람 등에 대하여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으며, 특히 미국에서는 20% 이상 농도의 DEET를 함유하는 모기 기피제를 제조하지 못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또한 DEET는 플라스틱이나 합성섬유 등에 변색을 초래하는 문제점 등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Rueda et al. Journal of the Am . Mosq , control Association . 14: 178-182(1998)).
따라서, 상기 유기화합물 및 대체물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인간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모기를 방제할 수 있는 방제방법 및 대체약제의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체에 해가 적음과 동시에 화경에 무해한 천연물을 이용한 모기 방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1056호는 유칼립유, 라벤더유 등을 포함하는 모기 기피제를 개시하고 있고, 제10-0407604호에는 회향유, 펜촌 등을 포함하는 해충 기피제를 개시하고 있으며, 제10-0756397호에는 유칼립유, 라벤더유, 정향유 등을 포함하는 천연 모기기피제를 개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 모기기피제를 개발하고 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재료 중에서, 정향유, 오렌지유 및 유칼립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천연 혼합유가 모기기피 효능 및 안전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기기피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향유(Clove Oil), 오렌지유(Orange Oil) 및 유칼립유(Eucalyptus Oil)의 혼합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기기피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 모기기피제를 개발하고 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재료 중에서, 정향유, 오렌지유 및 유칼립유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천연 혼합유가 모기기피 효능 및 안전성 측면(특히, 피부 안전성)에서 가장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천연 모기기피 조성물은 정향유, 오렌지유 및 유칼립유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물, 특히 다양한 천연 식물유를 대상으로 하여 모기기피제로 적합한 조합을 스크리닝 하였다. 그 결과, 상기 3종의 혼합유가 효과 및 안전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조합임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정향유는 정향나무(Eugenia caryophyllata)로부터 얻은 기름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정향유는 정향나무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향나무의 꽃눈(bud), 잎 및 수피로부터 얻은 것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향나무의 꽃눈(bud) 또는 잎으로부터 얻은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정향유는 유게놀, 이소-유게놀 및 카리오필렌을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칼립유는 다양한 유칼립나무, 바람직하게는 Eucalyptus globulus로부터 얻은 기름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칼립유는 유칼립유나무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칼립유나무의 잎으로부터 얻은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칼립유는 시네올(cineole) 및 피넨(pinene)을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오렌지유는 오렌지나무의 다양한 기관, 바람직하게는 열매의 육질 또는 껍질, 보다 바람직하게는 오렌지나무 열매의 껍질로부터 얻은 기름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오렌지유는 리모넨을 주성분으로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정향유, 유칼립유 및 오렌지유의 주성분이 각각 유게놀, 시네올 및 리모넨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정향유, 유칼립유 및 오렌지유 대신에 유게놀, 시네올 및 리모넨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천연 혼합유는 사용량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정향유:오렌지유:유칼립유의 중량비는 1-2 : 1-2 : 1-2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정향유:오렌지유:유칼립유의 중량비는 1 : 1 : 1, 2 : 2 : 1, 2 : 1 : 1 또는 2 : 1 : 2 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1 : 1 이다.
정향유:오렌지유:유칼립유의 중량비가 상기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모기기피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에서 혼합유의 함량은 1-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4-6 중량%이다. 예컨대, 혼합유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모기기피 효과가 크게 저하되고, 5 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함량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은 상술한 3종의 혼합유 이외에 다른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스쿠알란 및 소듐 시트레이트을 추가적으로 포함하고, 부틸렌 글라이콜, 시트릭산, 판테놀 및 알란토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성분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 모두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모기기피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은 흰줄숲모기{Aedes ( Stegomyia ) albopictus} 및 빨간집모기(cusex tritaeniorhynchus)에 대하여 5시간까지 80% 기피율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은 흰줄숲모기에 대하여 4-4.8 시간의 LT80 값, 보다 바람직하게는 4.1-4.6 시간의 LT80 값, 가장 바람직하게는 4.2-4.5 시간의 LT80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은 빨간집모기에 대하여 5-6 시간의 LT80 값, 보다 바람직하게는 5.2-5.8 시간의 LT80 값, 가장 바람직하게는 5.4-5.7 시간의 LT80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모기기피 로션, 모기기피 스프레이, 모기기피 크림, 고기기피 유액 또는 모기기피 젤의 제형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피부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당업계의 화장료 조성물을 참조하여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a) 상면에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도포된 약제층; 및 (b) 상기 약제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모기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을 포함하는 모기기피 스티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모기 기피 스티커는, 상기 약제층과, 접착층이외에 베이스층 및 박리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약제층은, 약제에 코팅되어, 섬유 펄프 등의 재질과 조직 등에 관계없이 제품의 폭이 넓거나 길이가 길어 필요시 마음대로 잘라 쓸 수 있는 원단형태로 제작되어 필요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한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도포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기로는 휘발성 약제를 오래 동안 수용할 수 있도록 다공성 물질이나 섬유 등의 미세한 조직이 이용되거나 별도의 바인더를 이용하여 약제를 코팅함으로써 코팅이 벗겨지면서 약제가 지속적으로 발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약제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약제층이 의복이나 인체나 창문틀이나 텐트 등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층이다.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의복에 부착되었다가 제거될 때, 접착제 찌꺼기가 의복에 남아 있지 않도록 분리가 용이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인체의 피부 등에 접착되는 것을 고려하여 기존의 파스 등에 사용되는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박리지는, 상기 접착층과 임시 접착되는 것으로서, 미사용시 상기 접착층이 접착력을 유지하고 있다가, 사용시 상기 접착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떼어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약제층과 접착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약제층과 접착층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베이스층은 종이나 기타 합성수지류 등의 얇은 재질이 모두 적용될 수 있고, 칼이나 가위에 의해 쉽게 절취될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상기 약제층과 베이스층과 접착층과 박리지는 인체나 의복이나 창문틀이나 텐트 접촉시 땀의 신속한 배출과 쾌적한 통풍을 위하여 통풍창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통풍창의 형태나 모양은 둥글거나 각진 모든 형태의 통풍창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통풍창을 미세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약제층과 베이스층과 접착층은 직물이나 부직포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약제층은 군인들의 군복 등과 어울리도록 위장 보호 무늬가 형성되거나 청소부나 경찰 등 야간 인식이 용이하도록 야광지나 반사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외에도 각종 무늬나 문양이나 색깔 등이 표시되어 야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특성에 따라 표시나 표식을 겸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외에도 사용자 계층에 따라 연령, 직업, 사용 환경, 성별, 취향, 미적감각에 따른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모기기피 조성물이 흡착된 모기기피 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모기기피 밴드는 본 발명의 상기 모기기피 조성물이 흡착될 수 있는 한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모기기피 밴드는 바람직하게는, 머리띠, 허리띠, 팔찌, 발찌 및 목걸이 등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팔찌 및 발찌로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팔찌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실리콘 튜브의 내부에 모기기피 조성물이 충진된 발향튜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향 튜브는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리콘 고무를 이용하여 실리콘 튜브를 형성하기 위하여 압출기에 의한 압출성형으로 제작되었다.
본 발명에서 용거 실리콘 고무는 열을 가해야만 경화되는 열경화성 수지이고, 외관이 반투명 또는 투명하고, 내열 사용온도 범위는 일반적으로 150°~250℃ 이지만 600F의 고열에서도 그 특성을 유지할 만큼 내열성이 우수하며 일반유기 고무보다도 훨씬 월등한 인장강도, 신축율 및 내마모성을 가지고 있으며, 불소고무의 용제와 화학 물질에 대하여 내화학성이 극히 우수하며 넓은 범위의 온도에서 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식기, 용기 가스켓(gasket), 패킹(packing), 각종 공업용 특수 내열 고무부품, 전기 전자 부품, 고압용기, 전자렌지 팩킹용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실리콘 고무는 다른 일반 유기고무보다도 월등한 강도를 갖고 있고, 분자구조내 대기중의 산소, 오존, 자외선등을 반응하여 균을 발생케하는 이중결합이 없기 때문에 내후성이 월등히 뛰어나 장기간 옥외에 방치하여도 물성변화가 거의 없으며, -100 내지 250℃ 의 넓은 온도범위에서 탄성 및 복원력이 유지되므로 극심한 조건하에서 압축변형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며, 내약품성이 뛰어난 산, 알칼리 등의 극성 유기화합물에 의해 거의 침해를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 물에 침전되거나 스팀에 접촉하여도 거의 물성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압출성형(extrusion)은 플라스틱으로 필름, 시트, 파이프 등과 같은 긴 물건을 연속 성형하는 방법이며, 원리적으로는 PE, PP, PVC, 나일론, ABS, 고무 등과 같은 고분자 원료를 스크류(또는 플랜저)로 가열 실린더(바렐)내로 이송하여 가열 유동화 시켜 끝의 다이(원료의 통과 단면을 가진 금형)를 통과시켜 형태를 부여 하며, 이것을 물 또는 공기로 냉각 고화시켜 긴 제품을 만드는 방법이다. 상기 압출성형을 실시하기 위하여 압출기, 다이 및 인출장치가 반드시 필요하고, 상기 다이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갖는 제품이 제작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리콘 튜브를 압출성형하기 위한 압출기는 통상의 압출기와 같이 호퍼, 배럴, 스크류, 채널, 다이, 냉각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성형재료인 실리콘을 호퍼로 수집한 후 배럴에서 가열하여 유동상태로 만들고, 용융상태의 실리콘을 채널의 내측에 설치된 단축 스크류를 사용하여 압축 전진시키며, 압축된 실리콘을 특정 모양의 다이로 통과시켜, 특정한 단면을 갖는 제품을 연속적으로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과정에 의해 완성된 실리콘 튜브에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을 충진한 이후 상기 실리콘 튜브의 양단부가 17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콘 튜브의 압착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압착시 접착제로서 액상 실리콘이 이용되는데, 상기 액상의 실리콘은 상기 실리콘 고무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즉 내열성, 전기적 성질 및 내후성 등이 우수한 무기 재료이다. 또한 상기 액상의 실리콘은 기계적 특성이 비교적 약한 것 외에는 고무에서 요구되는 대부분의 특성에서 우수하고 시공 및 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건축, 토목, 전기, 전자, 사무용 기기, 항공, 우주산업 등에 그 응용 분야가 매우 다양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향튜브는 의류, 가구 또는 액세서리에 내장 또는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모기 등의 기피가 필요한 곳에는 어디든지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통상의 방향제에 상기 모기기피 조성물을 첨가한 모기기피 방향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모기기피 조성물은 방향제 기질 대비 바람직하게는 5-70 wt%,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wt%, 가장 바람직하게는 5-30 wt% 첨가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의 천연 모기기피 조성물은 정향유(Clove Oil), 오렌지유(Orange Oil) 및 유칼립유(Eucalyptus Oil)의 혼합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b) 본 발명의 천연 모기기피 조성물은 모기, 특히 사람들의 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흰줄숲모기 및 빨간집모기에 대하여 매우 우수한 모기기피 효과를 나타낸다.
(c) 본 발명의 천연 모기기피 조성물은 인체 특히 피부에 매우 안전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 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 유칼립유, 정향유 및 오렌지유의 제조
유칼립유를 제조하기 위하여, 50 g의 유칼리나무(Eucalyptus globulus) 잎을 건조한 후 절단하여 500 ml 플라스크에 가한 후 증류수를 넣고 다른 플라스크에는 50 ml의 헥산을 넣어 두 개의 플라스크를 냉각수로 연결한 후 가열하여 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환류 후에 다시 서서히 냉각시켜 헥산이 담긴 플라스크를 분리하여 헥산층에 MgSO4를 첨가하여 탈수한 다음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25℃에서 증발시켜 무색의 용액상태인 유칼리나무 잎의 추출유를 제조하였다. 정향유는 정향의 눈(bud) 또는 잎을 이용하고, 오렌지유는 오렌지 껍질을 사용하여 상기 유칼립유와 동일하게 하여 수득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유칼립유, 정향유 및 오렌지유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주)한불화농에서 구입할 수 있다.
제조예 2: 모기기피 조성물의 제조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글리세린 2.5 중량%, 부틸렌 글라이콜 1.5 중량%,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8.0 중량%,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5 중량%, 시트릭산 0.02 중량%, 판테놀 1 중량%, 스쿠알란 2 중량%, 소듐 시트레이트 0.1 중량%, 알란토인 0.1 중량%, 에탄올 0.1 중량% 및 방부제 적량을 차례로 넣고 70℃로 승온하여 용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고, 적량의 색소, 하기 표 1 및 표2에 기재된 추출 오일 각각 1.0, 2.0 및 5.0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첨가하고, 교반(agitation)하여 제조하였다(참조: 표 1).
종류 정향유 오렌지유 유칼립유 정향유 +오렌지유
실시예 1 2 3 4
종류 오렌지유 +유칼립유 유칼립유 + 정향유 정향유 +오렌지유
+유칼립유
실시예 5 6 7
실험예 1: 식물 추출 오일의 모기 기피효과 확인
모기 성충 준비와 관련해서 빨간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는 온도 25 ± 2℃, 습도 70 ± 5%, 광주기 16 L:8 D 조건 하의 사육실에서 누대 사육하여 사용하였다. 성충은 크기 40 × 27 × 30 cm의 사육망에서 설탕물(5%)을 공급하여 사육하였고, 흡혈동물로 실험용 쥐를 사용하였다. 산란된 난괴는 수거하여 지하수를 채운 플라스틱 사육용기(23 × 30 × 7 cm)에 옮겨주었으며, 부화 후, 유충은 떡밥(paste bait)을 먹이로 하여 사육하였으며, 번데기는 매일 수시로 건져 성충 사육망으로 옮겨 우화시켰다. 유충이 성장하여 번데기가 된 후, 번데기에서 우화하여 암컷 성충이 되었을 때 실험에 적용하였다 . 이후 가로 60 × 세로 30 × 높이 36 cm규격의 직육면체 사육상자에 한쪽 벽면에는 두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토시가 달린 구멍을 만들었다. 다음으로 3 사람의 실험자(26 내지 30세, 남자)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각 실험자들의 왼손은 처리구, 오른손은 무처리구로 하였다. 약제 처리 전 실험자의 손은 희석 에탄올로 소독한 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여 건조시켰다. 이후 각 실험자의 왼손에 시험약제 및 대조약제를 30 cm거리에서 0.5 ml씩 손등과 손바닥에 골고루 분무하여 흡수시켰다(상기 대조약제는 상기 모기 기피 조성물에 식물 추출오일을 첨가하지 않고, 에탄올 0.1 중량% 대신 10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한다.). 이후 준비된 두 개의 모기 기피 상형장치 각각에 빨간집모기와 흰줄숲모기 성충 50마리를 방사하였으며, 기피제를 처리한 직후부터 1시간 간격으로 8시간까지 5분 동안 양손을 노출시켰다. 실험에 사용된 모기는 채집 후, 5세대 이내의 것이며, 부화한지 4일 내지 6일의 암컷 성충을 사용하였고, 노출된 시간동안 각 손의 흡혈 수를 세어 기피율을 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처리구와 무처리구의 흡혈수로 기피율을 구하였다. 또한, Finney의 probit 분석법(Finney, D.J. Probit Analysis (3r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1971))으로 LT80(Lethal Time, 80%를 죽이는데 걸리는 시간)을 다음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기피율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 표 3과 같다:
흰줄숲모기에 대한 정향유, 오렌지유 및 유칼립유 함유 조성물의 모기 기피효과
처리 후 시간 정향유 5% 유칼립유 5% 오렌지유 5%
흡혈수/5분 흡혈수/5분 흡혈수/5분
처리구 무처리구 처리구 무처리구 처리구 무처리구
0hr 사람 A 0 8 4 26 4 18
B 0 10 0 20 0 8
C 0 10 0 12 4 8
기피율
(%)
100.0±0.0 94.9±8.9 75.9±25.1
2hr A 2 22 4 18 2 6
B 0 12 0 8 0 6
C 2 18 4 8 2 6
기피율(%) 93.3±5.9 75.9±25.1 77.8±19.2
4hr A 4 29 2 6 2 10
B 4 8 2 8 6 12
C 2 6 4 10 4 10
기피율(%) 67.6±18.1 67.2±7.5 63.3±15.3
6hr A 4 16 12 22 4 6
B 2 14 6 14 2 8
C 2 8 6 32 2 8
기피율(%) 78.6±6.2 61.3±18.3 61.1±24.1
8hr A 4 6 6 14 2 6
B 10 18 4 12 2 6
C 6 8 4 12 6 8
기피율(%) 34.3±9.8 63.5±5.5 52.8±24.1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흰줄숲모기에 대해 모기기피 효과가 알려진 3종의 식물 추출유 중 정향유 5 중량%가 2시간 동안 90%의 기피효과가 지속되어, 가장 우수한 기피효과를 나타내었다.
혼합한 조성물의 흰줄숲모기에 대한 기피효과
처리 후 시간 정향유 정향유+오렌지유 정향유+유칼립유
100% 기피시간 1시간 1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4시간 5시간 5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3.9 hr
(3.46-4.34)
4.3 hr
(3.84-4.68)
4.5 hr
(3.92-5.08)
처리 후 시간 유칼립유+오렌지유 정향유+오렌지유+유칼립유 타사 천연모기기피 조성물
100% 기피시간 0.5 시간 1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2 시간 5시간 3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2.2 hr
(1.83-2.57)
4.9 hr
(4.21-5.59)
3.3 hr
(2.87-3.66)
혼합한 조성물의 빨간집모기에 대한 기피효과
처리 후 시간 정향유 정향유+오렌지유 정향유+유칼립유
100% 기피시간 2시간 2시간 2시간
80% 기피시간 5시간 5시간 5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4.5 hr
(5.52-6.86)
4.3 hr
(3.89-4.71)
5.5 hr
(5.08-5.81)
처리 후 시간 유칼립유+오렌지유 정향유+오렌지유+유칼립유 타사 천연모기기피 조성물
100% 기피시간 0.5 시간 1시간 2시간
80% 기피시간 2 시간 5시간 4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2.3 hr
(1.87-2.73)
5.7 hr
(4.57-6.83)
4.5 hr
(4.13-4.86)
상기 표4 및 표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흰줄숲모기에 대해 정향유 단독 함유 조성물은 처리 후 4시간까지, 정향유 및 오렌지유를 함유하는 모기기피 조성물은 5시간까지 80% 이상의 기피효과가 지속되었다. 그러나 타사 천연 모기기피 조성물은 3시간까지 기피효과가 지속되었다. 빨간집모기에 대해 정향유 단독 함유 조성물, 정향유와 오렌지유를 함유하는 모기기피 조성물은 각각 5시간까지 80% 이상의 기피효과가 지속되었다. 따라서, 정향유와 유렌지유를 포함하는 모기기피 조성물의 모기기피효과를 측정한 결과 희줄숲모기와 빨간집모기에 대하여 충분한 모기기피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줄숲모기에 대한 식물 추출유의 농도별 모기기피효과(표6 내지 표12)
처리 후 시간 정향유 0.5% 정향유 1% 정향유 2% 정향유 5% 정향유 10%
100% 기피시간 0시간 0시간 1시간 1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0.5시간 0.5시간 2시간 2시간 2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0.5 hr
(0.21-0.79)
0.5 hr
(0.28-0.72)
2.1 hr
(1.81-2.39)
2.3 hr
(1.84-2.76)
2.3 hr
(1.86-2.74)
처리 후 시간 오렌지유 0.5% 오렌지유 1% 오렌지유 2% 오렌지유 5% 오렌지유 10%
100% 기피시간 0시간 0시간 0시간 0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0.5시간 0.5시간 0.5시간 0.5시간 1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0.5 hr
(0.11-0.89)
0.5 hr
(0.22-0.78)
0.5 hr
(0.28-0.72)
0.5 hr
(0.35-0.65)
1hr
(0.81-1.19)
처리 후 시간 유칼립유 0.5% 유칼립유 1% 유칼립유 2% 유칼립유 5% 유칼립유
10%
100% 기피시간 0시간 0.5시간 0.5시간 0.5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0.5시간 0.5시간 0.5시간 1시간 1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0.5 hr
(0.18-0.82)
0.5 hr
(0.27-0.73)
0.5 hr
(0.31-0.69)
0.5 hr
(0.36-0.64)
1hr
(0.84-1.16)
처리 후 시간 정향유+오렌지유 0.5% 정향유+오렌지유 1% 정향유+오렌지유 2% 정향유+오렌지유 5% 정향유+오렌지유 10%
100% 기피시간 0시간 0시간 1시간 1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0.5시간 0.5시간 2시간 2시간 2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0.5 hr
(0.21-0.79)
0.5 hr
(0.27-0.73)
2.1 hr
(1.85-2.35)
2.3 hr
(1.81-2.79)
2.4 hr
(1.86-2.94)
처리 후 시간 정향유+유칼립유 0.5% 정향유+유칼립유 1% 정향유+유칼립유 2% 정향유+유칼립유 5% 정향유+유칼립유 10%
100% 기피시간 0시간 0시간 1시간 1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0.5시간 0.5시간 2시간 2시간 2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0.5 hr
(0.24-0.76)
0.5 hr
(0.31-0.69)
2.1 hr
(1.94-2.26)
2.3 hr
(1.97-2.63)
2.4 hr
(1.96-2.84)
처리 후 시간 유칼립유+오렌지유 0.5% 유칼립유+오렌지유 1% 유칼립유+오렌지유 2% 유칼립유+오렌지유 5% 유칼립유+오렌지유 10%
100% 기피시간 0시간 0시간 0.5시간 0.5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0.5시간 0.5시간 0.5시간 1시간 1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0.5 hr
(0.24-0.76)
0.5 hr
(0.28-0.72)
0.5 hr
(0.31-0.69)
0.5 hr
(0.38-0.62)
1hr
(0.85-1.15)
처리 후 시간 정향유+유칼립유+오렌지유 0.5% 정향유+유칼립유+오렌지유 1% 정향유+유칼립유+오렌지유 2% 정향유+유칼립유+오렌지유 5% 정향유+유칼립유+오렌지유 10%
100% 기피시간 0시간 1시간 1시간 1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0.5시간 4시간 5시간 5시간 5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0.5 hr
(0.24-0.76)
3.7 hr
(3.38-4.02)
4.9 hr
(4.21-5.59)
5 hr
(4.37-5.63)
5 hr
(4.40-5.60)
정향유, 오렌지유 및 유칼립유의 혼합비율에 따른 모기기피효과의 검토
처리 후 시간 정향유:유칼립유:오랜지유=2:1:1 정향유:유칼립유:오랜지유=2:1:2 정향유:유칼립유:오랜지유=2:2:1 정향유:유칼립유:오랜지유=1:1:1
100% 기피시간 1시간 1시간 1시간 1시간
80% 기피시간 4시간 4시간 5시간 5시간
LT80 (95% confidence limits) 4 hr
(3.69-4.31)
4 hr
(3.37-4.63)
4.9 hr
(4.21-5.59)
5 hr
(4.37-5.63)
실험예 2: 모기기피제의 피부에 대한 안전성 시험
피험자 30명을 대상으로 IQ 챔버를 이용하여 상박에 피부 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단 건선(Psoriasis), 습진(Eczema), 기타 피부병변 보유자나 임신, 수유부 또는 피임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복용하고 있는 사람은 본 실험에서 제외 하였다.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킨 다음 준비된 피험자 30명의 상박에 본 발명의 모기 기피제를 25 ㎕씩 IQ 챔버에 적하 시킨 후 시험 부위인 상박 부위에 얹어 고정시켰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도포하여 첩포를 제거한 후에는 마킹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여 각각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를 관찰하였다. 판정은 첩포 제거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에 행하며 피부반응은 하기 표 14 및 표15의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정도를 분류하였다.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의 판정 기준
기호 판 정 기 준
-
±
+
++
+++
Negative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Erythema + Induration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 - ± + ++ + + +
점수 0 0.5 1 2 3
※ 피부반응 판정기준
1) Negative (-): 무자극
2) Doubtful or slight reaction and erythema (± ) : 미자극
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3) Erythema + Induration (+) : 경자극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4) Erythema + Induration + Vesicle (++) : 중자극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5) Erythema + Induration + Bullae (+++) : 강자극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정향유와 오렌지유를 함유하는 모기 기피제를 24시간 동안 피부첩포 (Patch Test)하여 첩포를 제거한 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 48시간 경과 후에 시험부위에서 나타난 피부반응을 국제접촉피부염 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정도를 분류하였다. 정향유와 오렌지유를 함유하는 모기 기피제는 패치 제거 후 30분 경과 후, 24시간 경과 후와 48시간 경과 후에서는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다. 시험결과 평균 피부반응도는 0.00로써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제조예 3 : 모기기피 스티커의 제조
본 발명의 모기 기피 스티커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한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도포되는 약제층; 및 상기 약제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약제층이 의복이나 인체나 창문틀이나 텐트 등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접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모기 기피 스티커는, 사용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접착층과 임시 접착되는 박리지; 및 상기 약제층과 접착층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약제층과 접착층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베이스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층과 접착층에 인체나 의복이나 창문틀이나 텐트 접촉시 땀의 신속한 배출과 쾌적한 통풍을 위한 통풍창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층은, 군인들의 군복 등과 어울리도록 위장 보호 무늬가 형성되거나, 청소부나 경찰 등 야간 인식이 용이하도록 야광지나 반사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약제층과, 접착층에 절취가 용이하도록 절취선이 형성되고, 두루마리형태로 권취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기 기피 스티커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이 가능한 띠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도포되는 약제층; 상기 약제층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약제층 하면에 소정 두께로 형성되는 베이스층; 상기 베이스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약제층이 의복이나 인체나 창문틀이나 텐트 등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선택적으로 착탈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착탈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수단은, 한쪽이 상기 의복이나 창문틀이나 텐트 등에 봉제되거나 스티커로 접착되고, 다른 한쪽이 상기 약제층의 하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벨크로우테잎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예 4 : 모기기피 밴드의 제조
20ℓ의 플라스틱 용기에 상기 제조예 2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 20 중량%를 용매물질로 하고, 첨가제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20 중량%를 투입하여 교반기에 투입한 후 물 60 중량%를 투입하여 이를 희석하고, 손목형 밴드 20개를 넣어 충분히 약제가 흡착되었을 때 꺼내서 가볍게 탈수 후 다시 한 번 상기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이와 같이 된 본원 밴드를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완전히 마를 때까지 건조하게 하였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모기기피 밴드를 동일 방법으로 8회까지 약알칼리성 계면활성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 실험을 했다. 1회 세탁 후 8회 세탁 후 까지 계속해서 90% 이상의 야래 향 향기가 발산 발휘되며, 따라서 본 발명에 제조예에 의한 첨가제 대비 20 중량% 처리된 본원의 밴드는 수 주간 약효가 지속하여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밴드를 휴대한 채 등산, 낚시, 캠핑, 여행, 바캉스 등과 같은 레저활동을 즐길 시에나 혹은 그외 야외작업 및 훈련, 수련회 등 기타 다른 어떤 야외활동을 필요로 할 경우 본 발명의 해충 방지용 밴드를 팔목이나 발목 목 등에 이를 개봉하여 착용하게 되면 제조시에 투입된 알코올 휘발성에 의해 시원한 느낌과 함께 야래 향 추출물의 고유한 방향성질에 의하여 모기나 해충들이 인체 피부 가까이 접근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안전하게 사용자의 건강을 지켜줄 뿐만 아니라, 천연의 그윽한 꽃 냄새의 방향작용으로 일의 능률향상은 물론 쾌적한 기분을 만끽할 수 있는 등 그 효용적 가치가 매우 높다.
제조예 5 : 모기기피 발향 튜브의 제조
본 발명은 실리콘 튜브의 내부에 액상의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충진된 상태에서 양단부가 압착 밀봉된 상태로 완성하였다. 상기 실리콘 튜브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제작되어 있고, 상기 실리콘 튜브에는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에 수용되거나 충진된 물질이 상기 미세기공을 통하여 장기간에 걸쳐서 서서히 유출된다. 상기 실리콘 튜브는 압출성형에 의하여 원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튜브로 제작되었지만 압출기의 다이 형상을 다양하게 변화시켜 다각형 단면을 갖는 중공의 튜브를 제작하여 발향튜브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리콘 튜브의 내측에는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충진되어 있으며, 상기 실리콘 튜브의 내측에 액상의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을 충진하기 위하여 고압의 주입장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실리콘 튜브 내측에 원단, 섬유 등의 흡수성 소재를 내재시킨 후 상기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상기 흡수성 소재를 따라서 내측으로 스며들게 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을 주입한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튜브에 액상의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을 용이하게 주입하기 위해서는 튜브의 양단부가 개방된 상태로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을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리콘 튜브 내측에 본 발명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완전히 충진되면 양단부를 밀봉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실리콘 튜브의 양단부 내측에 액상의 실리콘을 도포하고, 상기 실리콘 튜브의 양단부를 히터가 내장된 프래스 또는 압착기에 의하여 가열 압착시켜 접합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튜브의 양단부를 접합하여 밀봉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액상의 실리콘이 개재되어야 하는데 그 이유는 실리콘이 다른 물질과의 접착이 매우 어려운 소재인 반면 동종의 실리콘끼리의 접착은 비교적 쉽고 접착력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상기 실리콘 튜브의 양단부를 가열 압착하기 위하여 상기 프래스 또는 압착기의 블럭부가 대략 170 내지 200℃의 온도조건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30 내지 60초 동안 상기 실리콘 튜브의 양단부를 가압하여 접합을 실시한다.
제조예 6 : 모기기피 방향제의 제조
통상의 방향제에 상기 제조예 2의 모기기피 조성물을 5-30 wt% 첨가하여 본 발명의 모기기피 방향제를 제조하였다.

Claims (14)

  1. 정향유(Clove Oil), 오렌지유(Orange Oil) 및 유칼립유(Eucalyptus Oil)의 혼합유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기기피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향유:오렌지유:유칼립유의 중량비는 1 : 1 :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유의 함량은 1-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기피 조성물은 모기기피 로션, 모기기피 스프레이, 모기기피 크림, 고기기피 유액 또는 모기기피 젤의 제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기피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린, 부틸렌 글라이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판테놀,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및 알란토인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보조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흰줄숲모기 및 빨간집모기에 대하여 5시간까지 80% 기피율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흰줄숲모기에 대하여 4-4.8 시간의 LT80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빨간집모기에 대하여 5-6 시간의 LT80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다음을 포함하는 모기기피 스티커:
    (a) 상면에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도포된 약제층; 및
    (b) 상기 약제층의 하면에 형성되고, 모기로부터 보호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접착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층.
  10.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흡착된 모기기피 밴드.
  11. 다수의 미세기공이 형성된 실리콘 튜브의 내부에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모기기피 조성물이 충진된 발향튜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향튜브는 의류, 가구 또는 액세서리에 내장 또는 부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향튜브.
  13. 방향제에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의 모기기피 조성물을 포함하는 모기기피 방향제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기피 조성물은 5-30 wt%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기피 방향제 조성물.
KR1020110017877A 2010-08-09 2011-02-28 식물 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 KR1013113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550 2010-08-09
KR20100076550 2010-08-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536A true KR20120014536A (ko) 2012-02-17
KR101311344B1 KR101311344B1 (ko) 2013-09-25

Family

ID=4583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7877A KR101311344B1 (ko) 2010-08-09 2011-02-28 식물 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3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170A (ko) * 2017-06-16 2018-12-27 이창길 방충 수성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349844B1 (ko) * 2021-08-23 2022-01-1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충 특성이 향상된 방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충 스크린
CN116265023A (zh) * 2021-12-16 2023-06-20 北京远大九和药业有限公司 一种预防和/或治疗耳部感染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30157726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이응 계피를 포함하는 방충활성 식품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3407A (ja) * 2000-12-05 2002-06-21 Fumakilla Ltd 飛翔昆虫忌避剤
JP2004099535A (ja) * 2002-09-10 2004-04-02 Tomoko Hayase 天然精油衛生害虫忌避剤およびその用途
CN101233864B (zh) * 2007-12-10 2011-02-16 林翔云 一种驱蚊精油组合物及驱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170A (ko) * 2017-06-16 2018-12-27 이창길 방충 수성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349844B1 (ko) * 2021-08-23 2022-01-10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방충 특성이 향상된 방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충 스크린
CN116265023A (zh) * 2021-12-16 2023-06-20 北京远大九和药业有限公司 一种预防和/或治疗耳部感染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230157726A (ko) 2022-05-10 2023-11-17 주식회사 이응 계피를 포함하는 방충활성 식품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1344B1 (ko) 2013-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74457A1 (en) Insect repellent compound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thereof
KR20150056537A (ko) 곤충의 유인 및 기피를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5074091B2 (ja) 蚊に刺されることを防ぐフィルム忌避製剤
US20200060289A1 (en) Method for Applying a Powder Insect Repellent Composition
KR101311344B1 (ko) 식물 추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기 기피용 조성물
KR20190080011A (ko) 천연 추출 성분을 함유하는 모기 기피제 조성물
JP6813714B2 (ja) ヒアリ及び/又はカミアリ用忌避剤
CN106726871A (zh) 青蒿驱蚊止痒花露水及其制备方法
KR101174042B1 (ko) 해충의 살충 및 기피 작용을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AU2003283331B2 (en) Acetals as insect repellant agents
ES2224386T3 (es) Composicion para pulverizador contra hormigas que contiene d-limoneno y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on y uso de la misma.
KR20200137703A (ko) 천연 모기기피제 조성물
WO2018030532A1 (ja) 害虫忌避剤の皮膚への浸透を抑制する方法及び害虫忌避剤の皮膚への浸透抑制剤
US20210400960A1 (en) Insect repellent composition
JP6095427B2 (ja) マダニ忌避効力増強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マダニ忌避組成物を用いるマダニ忌避方法
EP2161990A1 (en) Mosquito repellent
JP2014205648A (ja) マダニ忌避効力増強剤、及びこれを配合したマダニ忌避組成物を用いるマダニ忌避方法
JP2019099491A (ja) 害虫忌避剤
KR101089418B1 (ko) 야래 향 첨가 화장품
KR102511332B1 (ko)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조성물, 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소독제 겸용 해충 기피제
CN111587880A (zh) 一种植物驱蚊液组合物及驱蚊液及其制备方法
JP2002068918A (ja) 防虫剤
KR101000557B1 (ko) 야래 향 첨가 비누
BR112019003054B1 (pt) Compostos e composições repelentes de insetos e métodos dos mesmos
JP2021070672A (ja) 害虫忌避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