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3642A - 지능형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능형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3642A
KR20120013642A KR1020100075744A KR20100075744A KR20120013642A KR 20120013642 A KR20120013642 A KR 20120013642A KR 1020100075744 A KR1020100075744 A KR 1020100075744A KR 20100075744 A KR20100075744 A KR 20100075744A KR 20120013642 A KR20120013642 A KR 20120013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lamp
main controller
current
repla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0488B1 (ko
Inventor
김대환
백성진
강신영
Original Assignee
(주) 대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대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75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04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13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3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0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0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을 온/오프 구동하는 서브제어모듈들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조명등을 관리하는 메인 제어기를 구비하는 조명설비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서브제어모듈은 조명등으로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구동부와, 메인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브 통신부와, 조명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설정된 가동조건에 대응되게 조명등이 온/오프 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며, 설정된 검침패턴에 따라 전류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류값 정보를 서브 통신부를 통해 메인 제어기로 제공하는 서브 제어부를 구비하고, 메인 제어기는 서브제어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조명등에 대해 초기기준설정값을 기준으로 서브 제어모듈들로부터 제공되는 전류값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 변동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류 변동율로부터 설정된 교체조건에 대응한 예측수명을 산출하여 열람이 가능하게 제공한다. 이러한 조명 설비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조명등에 대해 실제 사용상태에 따른 예측수명을 제공하여 교체대상 조명등에 대한 선택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 낭비 요인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지능형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lighting equipment mam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다수의 조명등에 대한 예측수명을 산출하여 교체시기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조명등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대규모 건물, 백화점, 아파트의 경우 사용경과에 따른 조명등을 교체하는데 많은 비용과 인력이 소모된다.
관리대상이 되는 다수의 조명등에 대해 고장난 경우에만 이를 확인하고 개별적으로 일일이 교체하는 개별 교체방식의 경우 교체시기를 계획할 수 없고 간헐적인 교체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인건비를 포함한 관리 경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어 대부분 정해진 교환시기 마다 일괄적으로 교체하는 일괄교체 방식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런데, 일괄 교체 방식의 경우 유지 보수를 위한 인건비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으나 일괄 교체 주기 사이 기간에 일부 조명등이 열화가 생기는 경우에는 대응이 어렵고 연장 사용이 가능한 조명등에 대해서도 실제 상태에 무관하게 일괄교체되기 때문에 자원활용면에서 낭비요소가 커질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관리대상 조명등들에 대한 사용 경과에 따른 진단 정보를 수집하여 예측수명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교체시기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은 조명등을 온/오프 구동하는 서브제어모듈들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조명등을 관리하는 메인 제어기를 구비하는 조명설비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브제어모듈은 상기 조명등으로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브 통신부와; 상기 조명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설정된 가동조건에 대응되게 상기 조명등이 온/오프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설정된 검침패턴에 따라 상기 전류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류값 정보를 상기 서브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기로 제공하는 서브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서브제어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조명등에 대해 초기기준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제어모듈들로부터 제공되는 전류값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 변동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류 변동율로부터 설정된 교체조건에 대응한 예측수명을 산출하여 열람이 가능하게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서브 제어모듈에는 상기 조명등이 교체될 때 초기화를 지시하는 리셋버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리셋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조명등에 대한 리셋신호 및 상기 조명등의 초기 구동전류값을 상기 서브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기에 전송하며,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리셋신호가 수신된 상기 서브 제어모듈의 조명등에 대해 가동시간을 카운트 하기 위한 가동시작시간 및 초기 구동전류값을 상기 초기 기준설정값으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메인제어기는 상기 전류변동율로부터 설정된 교체조건에 대응한 예측수명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측수명이 속하는 교체대상 시기를 설정된 정기 유지보수 간격 단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제어모듈에는 교체표시대상임을 알리는 교체표시램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서브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제어기로부터 교체대상확정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교체표시램프가 온되게 구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조명등에 대해 실제 사용상태에 따른 예측수명을 제공하여 교체대상 조명등에 대한 선택을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 낭비 요인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서브제어모듈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메인제어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서브제어모듈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메인제어기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조명설비(110)와 메인 제어기(170)를 구비한다.
조명설비(110)는 다수의 조명등(150)과 서브제어모듈(130)로 되어 있다.
여기서, 서브제어모듈(130)은 제어대상 조명등(150)을 제어할 수 있도록 대응되는 조명등(150)과 접속되어 있다.
조명등(150)은 서브제어모듈(130)에 의해 구동이 제어되는 것으로서, 다양한 광원 예를 들면, 백열등, 형광등, 발광다이오드로 어레이된 광원 등 공지된 다양한 광원이 적용될 수 있다.
서브 제어모듈(130) 각각은 메인 제어기(170)에서 구별되게 인식될 수 있게 고유한 식별번호가 부여되어 메인 제어기(170)와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서브제어모듈(130)은 서브 제어부(131), 서브 통신부(133), 구동부(135), 전류 검출부(137), 조작부(139) 및 표시부(141)를 구비한다.
구동부(135)는 서브 제어부(131)에 제어되어 조명등(150)으로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한다.
구동부(135)는 조명등(150)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을 온/오프 제어하며, 부가적으로 휘도제어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는 구동부(135)에서 조명등(150)으로의 전력공급라인을 통해 전원공급을 온/오프 제어할 수 있는 구조의 예를 도시하였고 도면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 서브제어모듈(130)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전원공급선은 생략하였다.
서브 통신부(133)는 서브제어부(131)에 제어되어 메인 제어기(170)와 통신을 수행한다.
서브 통신부(133)와 메인 제어기(170)와의 통신방식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이 적용될 수 있다.
전류 검출부(137)는 조명등(150)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여 서브 제어부(131)에 제공한다.
전류 검출부(137)는 조명등(150)으로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게 설치되면 된다.
서브 제어부(131)은 설정된 가동조건에 대응되게 조명등(150)이 온/오프 되도록 구동부(135)를 제어하며, 설정된 검침패턴에 따라 전류 검출부(137)를 통해 검출된 전류값 정보를 서브 통신부(133)를 통해 메인 제어기(170)로 제공한다.
검침패턴의 일 예로서, 서브 제어부(131)는 제어대상 조명등(150)이 온되고 나서 정상작동 온도에 도달하기 까지의 검침 대기시간 예를 들면 1시간 후부터 전류를 설정된 간격 예를 들면 30분 간격으로 검출하여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서브 제어부(131)는 30분 간격으로 검출시 1초간격으로 5회를 측정한 값 중 최하위 값과 최상의 값을 제외한 중간치 3회 값을 평균한 것을 해당 주기의 전류값으로 제공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조작부(139)는 조명등(150)에 대한 구동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메인 제어기(170)에 의해 구동조건을 설정하는 경우 생략될 수도 있다.
참조부호 140은 리셋버튼(R)으로 서브 제어모듈(130)에 조명등(150)이 새로 교체될 때 초기화를 지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경우 서브 제어부(131)는 리셋버튼(140)이 조작되면 조명등(150)에 대한 리셋신호 및 조명등(150)의 초기 구동전류값을 서브 통신부(133)를 통해 메인 제어기(170)에 전송한다.
또한, 메인 제어기(170)는 리셋신호가 수신된 서브 제어모듈(130)의 조명등(150)에 대해 가동시간을 카운트 하기 위한 가동시작시간 및 초기 구동전류값을 초기 기준설정값으로 설정한다.
초기화 과정을 메인 제어기(170)에서 관리자가 직접 설정하도록 된 경우 리셋버튼(R)은 생략될 수 있다.
표시부(141)는 서브 제어부(131)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하며, 참조부호 142는 교체표시램프이다.
교체표시램프(142)는 교체표시대상임을 알리고자 할 때 이용하기 위해 적용된 것이다.
서브 제어부(131)는 서브 통신부(133)를 통해 메인제어기(170)로부터 교체대상확정신호가 수신되면 교체표시램프(142)가 온되게 구동한다.
메인 제어기(170)는 조명등(150)을 온/오프 구동하는 서브제어모듈(130)들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조명등(150)을 관리한다.
메인 제어기(170)는 통상적인 컴퓨터 구조로 구축될 수 있다.
메인 제어기(170)는 메인 제어부(171), 메인 통신부(173), 조작부(179), 표표시부(181) 및 기억장치(175)를 구비한다.
조작부(179)는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이다.
표시부(181)는 메인 제어부(171)에 제어되어 표시정보를 표시한다.
메인 통신부(173)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브제어모듈(13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메인 제어부(171)에 제공하고, 제어신호를 서브제어모듈(130)로 전송한다.
기억장치(175)에는 각 조명등(150)의 예측수명을 산출하고 관리하는 응용 프로그램인 조명 관리부(177)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관리부(175)는 등록된 조명등(150)들에 대한 요일별, 시간별 구동 온/오프 조건, 정기 유지보수 간격 등 조명등을 관리하기 위해 지원되는 각종 설정조건을 관리자가 표시부(181)를 통해 보면서 설정할 수 있는 환경설정화면을 제공한다.
조명관리부(177)는 서브제어모듈(130) 각각에 대응되는 조명등(150)에 대해 초기기준설정값을 기록하고, 이후 설정된 주기마다 서브 제어모듈(130)들로부터 제공되는 전류값을 기록하고, 이로부터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 변동율을 산출하며, 산출된 전류 변동율로부터 기록된 초기 기준설정값을 이용하여 설정된 교체조건에 대응한 예측수명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측수명을 열람이 가능하게 리스트하여 제공한다.
여기서 조명관리부(177)의 초기기준설정값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새로운 조명등(150)으로 교체한 후 리셋버튼(140)은 조작신호가 수신된 이후 서브 제어모듈(130)로부터 앞서 설명된 검침패턴에 따라 최초로 수신된 전류값을 기록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조명관리부(177)는 관리자에 제공되는 조명등 현황 열람정보 내에 리셋조작키를 제공하고, 관리자가 조명등(150)을 교체한 후 알고있는 조명등(150)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리셋조작키를 조작하면 후속해서 해당 서브 제어모듈(130)로부터 수신된 전류값을 초기기준설정값으로 기록하도록 구축될 수도 있다.
또한, 조명관리부(177)는 산출된 예측수명이 속하는 교체대상 시기를 설정된 정기 유지보수 간격 단위로 분류하여 제공한다.
일 예로서, 초기 기준설정값인 초기구동전류값을 100%로 할 때 교체조건을 초기 기준설정값에 대해 전류값이 80%로 낮아지면 교체대상이 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조명관리부(177)는 조명등 A에대해 산출된 전류 변동율이 3000시간 사용후 전류치가 초기 기준설정값의 90%이고, 조명등 B에 대해 산출된 전류 변동율이 3000시간 사용후 전류치가 85%인 경우 조명등 A의 예측수명은 6000시간이 되고, 조명등 B는 4000시간으로 산출한다.
한편, 사용경과에 따른 열화시 조명등(150)의 구동전류가 감소되는 경우에 대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사용경과에 따른 열화시 조명등(150)의 구동전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교체조건을 초기 기준설정값에 대해 전류값이 높아지면 예를 들면 120%로 높아지면 교체대상이 설정하는 방식으로 적용하면 된다.
또한, 조명 관리부(177)는 설정된 교체조건과 사용경과에 따른 전류변동율로부터 산출된 예측수명이 속하는 교체대상 시기를 설정된 정기 유지보수 간격 단위로 분류하여 관리자가 열람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여기서, 조명관리부(177)는 설정된 정기유지 보수기간에 대해 산출된 조명등(150)의 예측수명이 현재 유지보수기간 보다는 길지만 다음 정기 유지 보수기간 이전에 완료되는 경우에는 현재 유지보수기간에 교체할 수 있도록 교체대상으로 확정 분류하고, 해당 서브제어모듈(130)로 교체대상램프로 확정됐음을 알리는 정보를 전송하고, 서브 제어부(131)는 서브 통신부(133)를 통해 교체대상확정신호가 수신되면 교체표시램프(142)가 온되게 구동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조명설비 관리시스템(100)은 각 조명등(150)의 사용경과에 따른 구동전류변동 데이터부터 예측수명을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교체시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정기 유지보수기간에는 서브제어모듈(130)의 교체표시램프(142)의 점등 여부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교체작업도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다.
130: 서브제어모듈 170: 메인 제어기

Claims (4)

  1. 조명등을 온/오프 구동하는 서브제어모듈들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상기 조명등을 관리하는 메인 제어기를 구비하는 조명설비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브제어모듈은
    상기 조명등으로의 전력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구동부와;
    상기 메인 제어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브 통신부와;
    상기 조명등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부와;
    설정된 가동조건에 대응되게 상기 조명등이 온/오프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며, 설정된 검침패턴에 따라 상기 전류 검출부를 통해 검출된 전류값 정보를 상기 서브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기로 제공하는 서브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서브제어모듈 각각에 대응되는 조명등에 대해 초기기준설정값을 기준으로 상기 서브 제어모듈들로부터 제공되는 전류값의 시간 경과에 따른 전류 변동율을 산출하고, 산출된 전류 변동율로부터 설정된 교체조건에 대응한 예측수명을 산출하여 열람이 가능하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설비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모듈에는 상기 조명등이 교체될 때 초기화를 지시하는 리셋버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리셋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조명등에 대한 리셋신호 및 상기 조명등의 초기 구동전류값을 상기 서브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 제어기에 전송하며,
    상기 메인 제어기는 상기 리셋신호가 수신된 상기 서브 제어모듈의 조명등에 대해 가동시간을 카운트 하기 위한 가동시작시간 및 초기 구동전류값을 상기 초기 기준설정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설비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기는 상기 전류변동율로부터 설정된 교체조건에 대응한 예측수명을 산출하고, 산출된 예측수명이 속하는 교체대상 시기를 설정된 정기 유지보수 간격 단위로 분류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설비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모듈에는 교체표시대상임을 알리는 교체표시램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서브 통신부를 통해 상기 메인제어기로부터 교체대상확정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교체표시램프가 온되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
KR1020100075744A 2010-08-05 2010-08-05 지능형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 KR101180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744A KR101180488B1 (ko) 2010-08-05 2010-08-05 지능형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5744A KR101180488B1 (ko) 2010-08-05 2010-08-05 지능형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3642A true KR20120013642A (ko) 2012-02-15
KR101180488B1 KR101180488B1 (ko) 2012-09-06

Family

ID=4583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5744A KR101180488B1 (ko) 2010-08-05 2010-08-05 지능형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0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093A (ko) *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루닉스 무대용 조명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3227B2 (ja) * 1998-10-23 2003-07-07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寿命計
KR200394747Y1 (ko) * 2005-06-22 2005-09-05 (주)디택 다수의 조명을 제어하는 시스템
KR100865375B1 (ko) * 2007-09-20 2008-10-27 (주)보성전자 빔프로젝터의 사용정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0093A (ko) * 2016-11-28 2018-06-07 주식회사 루닉스 무대용 조명 장치 및 그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0488B1 (ko) 201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231020B2 (en) Color based half-life prediction system
US1002175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emergency lighting fixture life expectancy
US9049753B1 (en) Lighting device moni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93513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US9992843B2 (en) Location independent lighting sensor system
US9788396B2 (en) Dimming gateway auto discovery system
US10222014B2 (en) System for performing self-test and predicting emergency lighting fixtures life expectancy
WO2011106683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monitoring performance and components of electronic displays
NL2023556B1 (en) Communication device
KR20130078671A (ko)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2939796A (zh) 用于确定能耗或功耗的发光机构驱动装置以及用于测定能耗或功耗的方法
AU20173566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emergency lighting fixture life expectancy
KR101180488B1 (ko) 지능형 조명설비 관리 시스템
US20130253726A1 (e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terminal which is used in apparatus management system
JP2002110366A (ja) 照明制御監視システム
JP6879531B2 (ja) 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GB2569230A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self-test and predicting emergency lighting fixtures life expectancy
US10652983B2 (en) Central management of DC energy devices
WO2021117293A1 (ja) Led光源の劣化判定方法、劣化判定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220858459U (zh) 一种轨道交通场景照明智能灯控系统
KR20130039472A (ko)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76151A (ko) 유에스비 기반 조명시뮬레이션 관리시스템
JP2003341952A (ja) 基板寿命予知システム
GB2550249A (en) Color based half-life predic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