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39472A -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9472A
KR20130039472A KR1020110104045A KR20110104045A KR20130039472A KR 20130039472 A KR20130039472 A KR 20130039472A KR 1020110104045 A KR1020110104045 A KR 1020110104045A KR 20110104045 A KR20110104045 A KR 20110104045A KR 20130039472 A KR20130039472 A KR 201300394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type
lighting device
lighting
failure no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4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893B1 (ko
Inventor
박원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10104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893B1/ko
Publication of KR2013003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9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조명장치의 장애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은, 소정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장치의 전력소모량과 상기 조명장치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전력소모량을 비교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장애발생여부와 발생된 장애 타입을 판단하는 장애 판단부; 발생된 장애 타입이 복구 가능한 제1 타입이면 장애가 발생한 조명장치의 조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조도조절명령을 생성하고, 발생된 장애 타입이 복구 불가능한 제2 타입이면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에 대한 전원차단명령을 생성하는 조명제어명령 생성부; 및 발생된 장애 타입이 제1 타입이면 장애 발생 여부를 알리는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생된 장애 타입이 제2 타입인 경우 전원차단을 알리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Fault of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조명장치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장치의 장애발생을 알릴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명장치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를 빛으로 변환하는 장치로써, 일반적으로 실내 또는 실외의 일정 위치에 설치되어 어두운 영역을 밝히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산업사회의 발전과 소득 향상으로 인해 이러한 조명장치가 어두운 영역을 밝히는 단순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영역을 장식하기 위한 장치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최근에는 복수개의 조명장치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온-오프 시키거나 사람의 감성이나 주변 분위기에 따라 조도나 색상이 변화될 수 있는 조명장치도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조명장치의 경우 온 상태이어야 하는 조명장치가 오프되거나, 오프 상태이어야 하는 조명장치가 온되거나, 조명장치의 조도가 미리 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등과 같은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관리자가 해당 조명장치를 육안으로 확인하여만 해당 조명장치에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조명장치의 경우, 조명장치의 관리자가 장애가 발생된 조명을 육안으로 확인할 때까지는,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가 장애가 발생된 채로 장기간 방치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명장치의 장애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는 조명장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발생된 장애 타입에 따른 조명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조명장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발생된 장애 타입에 따른 장애 알림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조명장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은, 소정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장치의 전력소모량과 상기 조명장치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전력소모량을 비교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장애발생여부와 발생된 장애 타입을 판단하는 장애 판단부; 발생된 장애 타입이 복구 가능한 제1 타입이면 장애가 발생한 조명장치의 조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조도조절명령을 생성하고, 발생된 장애 타입이 복구 불가능한 제2 타입이면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에 대한 전원차단명령을 생성하는 조명제어명령 생성부; 및 발생된 장애 타입이 제1 타입이면 장애 발생 여부를 알리는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생된 장애 타입이 제2 타입인 경우 전원차단을 알리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은, 조명장치의 전력소모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소모량이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제1 타입의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조도조절명령 및 장애 발생 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소모량이 상기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2 타입의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전원차단명령 및 전원차단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을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장치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이용하여 조명장치의 조도변화를 판단하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장애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함과 동시에 판단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발생된 장애가 복구 가능한 제1 타입이면 조도조절명령을 통해 발생된 장애를 처리하고 발생된 장애가 복구 불가능한 제2 타입이면 전원차단명령을 통해 장애를 처리할 수 있어 조명장치에 발생된 장애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발생된 장애가 상기 제1 타입이면 장애의 발생 여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발생된 장애가 상기 제2 타입이면 전원차단여부를 푸쉬 메시지 형태로 휴대용 단말기에 탑재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가 장애가 발생된 상태로 장시간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조명장치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애 알림 메시지를 APNS 형태로 생성하여 와이파이 망을 통해 전송할 수 있어 장애 알림 메시지 발송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이 적용된 네트워크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명 제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럭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어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애 알림 메시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서버의 레이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휴대용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장애 알림 메시지의 일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이 적용된 네트워크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110), 전력량계(120), 조명 제어기(130), 및 제어서버(14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조명장치(110)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관리자이게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먼저,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110)는, 실내 또는 실외의 특정 영역에 설치되어 해당 영역을 밝히거나, 해당 영역을 장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110)는 LED(Light Emitting Diode)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110)는 조명 제어기(130)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되거나, 디밍(Dimming)이 조절되는 것으로서, 각 조명장치(110)들은 조명 제어기(130)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형태의 제어정보를 아날로그 형태로 변환하는 DAC(Digital-Analog Convertor)와 각 조명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미도시), 예컨대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복수개의 조명장치(110)들을 하나의 조명그룹으로 형성하여 하나의 조명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조명장치(110)들을 동시에 온오프 시키거나 복수개의 조명장치(110)의 디밍을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력량계(120)는 각 조명장치(110) 또는 복수개의 조명장치(110)들로 구성되는 각 조명그룹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이하, 전력소모량'이라 함)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소모량을 조명 제어기(130)를 통해 제어서버(140)로 제공한다.
즉, 전력량계(120)는 각 조명장치(110)와 일대일로 연결되어 각 조명장치(110)의 전력 소모량을 검출하거나, 각 조명그룹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각 조명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조명장치(110)들(이하, '조명그룹'이라 함)의 전력 소모량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량계(120)는 미리 정해진 주기마다 각 조명장치(110) 또는 각 조명그룹의 전략소모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전력소모량을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와 함께 조명 제어기(130)로 전달한다. 이때,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전력 소모량과 함께 전달하는 것은, 전력량계(120)에 의해 검출된 전력 소모량이 어떤 조명장치(110) 또는 어떤 조명그룹으로부터 검출된 것인지를 알기 위한 것이다. 즉,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전력량계(120)와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는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알 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량계(120)는 조명 제어기(130)와 RS-485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고, 따라서 전력량계(120)는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 및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디지털 형태의 값으로 변환하여 RS-485 프로토콜을 통해 조명 제어기(130)로 전달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량계(120)가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 및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조명 제어기(130)를 통해 제어서버(140)로 전달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량계(120)가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과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어서버(140)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전송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량계(120)가 자신과 연결되어 있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를 직접 조명 제어기(130) 또는 제어서버(140)로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에서는 전력량계(120)가 하나의 그룹에 포함된 조명장치(110) 각각의 전력소모량을 검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량계(120)는 해당 그룹의 전체 전력소모량을 검출하고, 해당 그룹의 위치정보 또는 식별정보를 해당 그룹의 전력소모량과 함께 조명제어기(130)나 제어서버(14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명 제어기(130)는,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을 온오프 시키거나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디밍(Dimming)을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기(130)는 제어서버(140) 또는 휴대용 단말(160)로부터 전송되는 조도조절명령이나 전원차단명령에 따라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휴대용 단말(160)로부터 전송되는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은 휴대용 단말(160)로부터 직접 전송될 수도 있으나, 제어서버(140)를 경유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기(130)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에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어, 장애를 복구하기 위해 제어서버(140) 또는 휴대용 단말(160)로부터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에 대한 조도조절명령이 전송되면 해당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조도를 조절하고, 전원차단명령이 전송되면 해당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원을 차단시켜 해당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이 오프되도록 한다.
이하, 이러한 조명 제어기(130)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기(1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제어기(130)는, 조명제어명령 수신부(210) 및 조명제어명령 처리부(220)를 포함한다.
먼저, 조명제어명령 수신부(210)는, 휴대용 단말(160)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을 이용하여 생성된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을 휴대용 단말(160)로부터 수신하거나, 제어서버(140)에 의해 생성된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을 조명제어명령 처리부(220)로 전달한다. 이때,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에는 조도조절 또는 전원차단 대상이 되는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도조절명령에는 장애가 발생한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조도증가 명령 또는 조도감소 명령 뿐만 아닌라 해당 조명장치(110)또는 조명그룹의 색상 변경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조명제어명령 수신부(210)는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을 유선뿐만 아니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조명제어명령 처리부(220)는, 조명제어명령 수신부(210)로부터 조도조절명령이 수신되면, 조도조절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이 수신된 조도가 되도록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제어명령 처리부(220)는, 조도조절명령을 DMX 51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DMX 512 프로토콜은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을 R,G,B나 R,G,B의 혼합을 통해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는 조명 제어 기법을 의미한다.
또한, 조명제어명령 처리부(220)는, 조명제어명령 수신부(210)로부터 전원차단명령이 수신되면, 전원차단명령에 포함되어 있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위치정보에 매칭되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에 대한 전원을 차단시켜 해당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이 오프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제어기(130)는 전력량계(120)와 제어서버(140)를 연계함으로써 전력량계(120)로부터 전달되는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과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어서버(130)로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중계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중계부(230)는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제어서버(130)로 전달할 수도 있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량계(120)와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식별정보 또는 위치정보를 직접 제어서버(13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데이터 중계부(230)는 각 전력량계(120)와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를 전력량계(120)와 매칭시켜 테이블 형태로 관리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제어서버(140)는 조명 제어기(130)를 통해 전달되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과 해당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기준 전력소모량을 비교하여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장애발생여부 및 발생된 장애의 타입을 판단하고, 발생된 장애의 타입에 따라 조명제어명령을 생성하거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제어서버(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부(310), 장애 판단부(320), 카운터(322), 조명제어명령 생성부(324), 메시지 생성부(330), 제1 데이터 전송부(340), 제2 데이터 전송부(350), 및 어플리케이션 등록부(360)를 포함한다.
먼저,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조명 제어기(130)를 통해 전달되는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과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에 상응하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을 해당 조명장치(110) 및 조명그룹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와 함께 장애 판단부(32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조명제어기(130)로부터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 및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전력량계(120)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기재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조도 제어기(130)로부터 직접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조도제어명령 생성부(324) 또는 휴대용 단말(160)로부터 수신되는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조명 제어기(130)로 전달한다.
장애 판단부(320)는, 데이터 수신부(310)를 통해 수신된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을 해당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기준 전력소모량과 비교하여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장애발생여부 및 장애타입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장애 판단부(320)는, 제1 시점에서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이 상기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에 대해 미리 결정되어 있는 타임 스케쥴 상에서 제1 시점에서의 제1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 범위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해당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타임 스케쥴이란 각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에서 구현되어야 할 조도에 상응하는 전력소모량(기준 전력소모량)이 시간대 별로 기록되어 있는 테이블을 의미한다. 이러한 타임 스케쥴은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을 이용하여 시간대 별로 다른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낮 시간대인 경우 창가에 배치되어 있는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기준 전력소모량은 밤 시간대의 기준 전력 소모량에 비해 그 기준이 낮게 설정된다. 또 다른 예로 휴일인 경우 각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기준 전력소모량은 근무일의 기준 전력소모량에 비해 그 기준이 낮게 설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기준전력소모량은 시간대 별로 상이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조도로 구현되는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경우에는, 기준 전력소모량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할 것이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서 검출된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이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하나의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장애 판단부(320)는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발생된 장애의 타입을 추가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장애 판단부(320)는,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이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발생된 장애는 자동복구가 가능한 제1 타입인 것으로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장애 판단부(320)는, 제1 타입의 장애가 발생할 때마다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를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식별정보(위치정보)와 매칭시켜 기록하고, 이후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대한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를 판단하여 제1 타입의 장애 발행 횟수가 임계횟수를 초과하면 자동복구가 불가능한 제2 타입의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어서버(140)는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를 카운팅하기 위한 카운터(3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장애 판단부(320)는,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전력 소모량이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발생된 장애는 복구가 불가능한 제2 타입인 것으로 판단한다.
장애 판단부(320)는,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발생된 장애 타입에 대한 정보를 조명제어명령 생성부(324) 및 메시지 생성부(33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애 판단부(320)가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을 이용하여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서 장애 발생 여부 및 발생된 장애의 타입을 판단하기 때문에, 관리자가 육안으로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을 체크하지 않고도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장애 발생 여부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생된 장애를 자동으로 복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조명제어명령 생성부(324)는, 장애 판단부(320)에 의해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제1 타입의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발생된 장애의 자동복구를 위해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도조절명령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도조절명령에는 조도조절대상이 되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식별정보(위치정보)와 원하는 조도값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조명그룹의 경우 조명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일부 조명장치에 발생된 장애로 인해 해당 조명그룹의 조도가 원하는 조도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기 때문에 조명그룹에 포함된 모든 조명장치들의 조도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조명그룹의 조도를 원하는 조도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나의 조명장치(110)에 제1 타입의 장애가 발생된 경우 해당 조명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는 전체공간의 조도가 원하는 조도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기 때문에, 해당 조명장치(110)만의 조도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해당 공간의 조도가 원하는 조도가 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지만, 해당 조명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 있는 모든 조명장치(110)의 조도를 높이거나 낮춤으로써 해당 공간의 조도를 원하는 조도로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조명제어명령 생성부(324)는, 장애 판단부(320)에 의해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제2 타입의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을 오프시키기 위해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대한 전원차단명령을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차단명령에는 전원차단대상이 되는 조명장치(110) 또는 조명그룹의 식별정보(위치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시지 생성부(330)는 장애 판단부(320)에 의해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제1 타입의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장애 발생을 알리기 위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제2 타입의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차단을 알리기 위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메시지 생성부(330)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는 2개의 레이어를 갖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레이어(410)에는, 장애 발생 날짜, 장애 발생 시간,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의 위치, 발생된 장애의 타입, 및 발생된 장애 타입에 따른 알림문구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된다. 이외에도,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관리를 위한 조도조절명령이나 전원차단명령 생성을 위해, 제1 레이어(410)에는 장애가 발생한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전력 소모량, 기준 전력소모량, 제1 타입의 장애가 발생한 횟수가 추가로 기록될 수도 있다.
제2 레이어(430)에는,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음성정보가 기록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가 2개의 레이어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음성정보가 기록되는 제2 레이어(430)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제1 데이터 전송부(340)는, 메시지 생성부(330)에 의해 생성된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nternet Service Provider) 서버(150)로 제공한다. 이는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가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160)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제2 데이터 전송부(350)는 메시지 생성부(330)에 의해 생성된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와이파이(WiFi)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160)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으로 직접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제2 데이터 전송부(340)가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와이파이망을 통해 제공하는 경우,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전제적으로 시스템의 운영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서버(140)가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부(340, 35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서버(140)는 제1 및 제2 데이터 전송부(340, 350)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어플리케이션 등록부(360)는,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의 수신 또는 조도조절명령이나 전원차단명령의 생성을 위해 휴대용 단말(160)에 설치되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의 정보를 미리 등록해 둠으로써, 미리 등록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160)로만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등록부(360)는 메시지 토큰 방식을 이용하여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등록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서버(140)는 각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타임 스케쥴 및 휴대용 단말(160)로 제공될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이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서버(140)는, 휴대용 단말(160)로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의 수신 또는 조도조절명령이나 전원차단명령의 생성을 위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을 휴대용 단말(160)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의 제공 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의 정보 등록을 위해 각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 별로 할당된 토큰을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에 부가시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제어서버(140)는 APNS 프로토콜에 따라 장애 아림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서버(140)는 5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어플리케이션 레이어(510)는, 실제적인 어플리케이션이 기록되는 레이어 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서버(140)를 구성하는 데이터 송수신부(310), 장애 판단부(320), 카운터(322), 조명제어명령 생성부(324), 메시지 생성부(330), 제1 데이터 전송부(340), 제2 데이터 전송부(350), 및 어플리케이션 등록부(360)가 장애 알림 메시징 서비스 제공을 위해 APNS 타입의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어플리케이션 레이어(510)에 기록된다.
다음으로 WAS/DB 레이어(520)는 웹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웹페이지 구성을 위한 JSP 스크립트와 파일 SQL과 같은 데이터베이스로 구성되어 어플리케이션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 자료형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즉, WAS/DB 레이어(520)는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장애 알림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레이어(5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된다.
다음으로, Java Library 레이어(5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장애 알림 메시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 레이어(510)에 기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어플리케이션 레이어(510)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런타임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Java Library 레이어(350)는, javapns, log4j, Bcprov-ext, Commons-io, 및 Commons-lang와 같은 라이브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Web Server/JVM 레이어(540)는, 어플리케이션 레이어(5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구동용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Web Server/JVM 레이어(540)는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JVM)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레이어(510)에 기록된 어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도록 하는 JDK(Java Development Kit)와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망을 통해 웹서비스를 수행하는 웹서버의 일종인 탐캣(Tomcat)서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OS 레이어(550)는, 제어서버(140)를 구동시키는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OS)가 설치되는 레이어로, 어플리케이션 레이어(5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제어서버(140)의 네트워킹을 위한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명 제어기(130)와 제어서버(140)가 별개의 구성요소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명 제어기(130)가 장애 판단부(320), 카운터(322), 조명제어명령 생성부(324), 메시지 생성부(330), 제1 데이터 전송부(340), 제2 데이터 전송부(350), 및 어플리케이션 등록부(360)를 포함함으로써 제어서버(140)의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조명 제어기(130)가 직접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하여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생성된 장애 알림 메시지를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휴대용 단말(160)로 전송하거나, 조도조절명령이나 전원차단명령을 직접 생성하여 각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ISP 서버(150)는 제어서버(140)로부터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제공되는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 예컨대 3G망(3rd Generation Network)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160)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으로 제공한다.
다음으로, 휴대용 단말(160)은, 제어서버(14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의 구동을 통해 제어서버(140)로부터 무선 데이터망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발신되는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도 6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가 휴대용 단말(160)에 디스플레이 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통해 장애 발생 사실, 및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위치정보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 되며,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의 수신 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음성정보가 휴대용 단말(160)에 포함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단말(160)은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킴으로써 장애 관리를 위한 조도조절명령이나 전원차단명령을 생성하여 제어서버(140) 또는 조명 제어기(13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통해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이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서 오차범위의 하한값 보다 낮은 경우,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조도가 미리 설정된 조도보다 낮은 조도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은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조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조도조절명령을 생성하여 제어서버(140) 또는 조명제어기(130)로 전달한다.
다른 예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통해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이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서 오차범위의 상한 값보다 높은 경우, 해당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조도가 미리 설정된 조도보다 높은 조도로 동작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므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은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조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조도조절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조도조절명령을 제어서버(140) 또는 조명제어기(130)로 전달한다.
또 다른 예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통해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이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서 오차범위의 하한값 보다 낮거나 오차범위의 상한 값보다 높은 경우,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은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차단명령을 생성하여 제어서버(140) 또는 조명제어기(130)로 전달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휴대용 단말(160)은 무선 데이터망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조도조절명령이나 전원차단명령을 제어서버(140) 또는 조명 제어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은, 수신된 장애 알림 메시지의 개수를 장애 알림 메시지의 타입 별로 구분하여 휴대용 단말(16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은 수신된 장애 알림 메시지 중 관리자에 의해 미확인된 장애 알림 메시지의 개수를 각 장애 알림 메시지의 타입 별로 구분하여 휴대용 단말(16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휴대용 단말(160)은 Wifi 모듈이 탑재된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 Wifi 모듈이 탑재된 테블릿 PC, Wifi 모듈이 탑재된 노트북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휴대용 단말(160)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을 통해 장애 알림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조명장치(110)나 조명그룹에 발생된 장애를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160)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170)을 통해 해당 장애를 관리하기 위한 조도조절명령이나 전원차단명령을 생성할 수 있고, 이를 무선 데이터망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제어서버(140) 또는 조명 제어기(130)로 전송함으로써 장애가 빠른 시간 내에 복구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상술한 제어서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어서버는, 전력량계에 의해 검출된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제1 시점에서의 전력소모량을 수신한다(S700). 이때,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위치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 있다(S700). 이때,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위치정보는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과 일대일로 연결되어 있는 전력량계의 식별정보나 위치정보로부터 획득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서버는,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제1 시점에서의 전력소모량 및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위치정보를 전력량계로부터 직접 수신하거나 조명 제어기를 경유하여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타임 스케쥴 상에서 제1 시점에서의 기준 전력소모량을 비교하여 장애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S720). 여기서, 타임 스케쥴이란 각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에서 구현되어야 할 조도에 상응하는 전력소모량(기준 전력소모량)이 시간대 별로 기록되어 있는 테이블을 의미한다. 이러한 타임 스케쥴은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을 이용하여 시간대 별로 다른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기준전력소모량은 시간대 별로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타임 스케쥴 상에서 제1 시점에서의 기준 전력소모량을 획득하는 것이다.
하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조도로 구현되는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경우에는, 기준 전력소모량이 시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할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에 설정되어 있는 하나의 기준 전력소모량을 데이터베이스에서 확인할 수 있다.
S720의 판단결과,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제1 시점에서의 전력소모량이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제1 시점에서의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장애가 발생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S721), S700으로 회귀한다
한편, S720의 판단결과,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제1 시점에서의 전력소모량이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제1 시점에서의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제1 타입의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S722),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를 업카운트 한다(S724)
이후,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에 대한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가 임계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726), 임계횟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도조절명령 및 장애 발생 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S728).
이후, 생성된 조도조절명령을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위치정보와 함께 조명제어기로 전달하고 생성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에 탑재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S730).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서버는 생성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ISP 서버로 전송하고, ISP 서버가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통해, 특정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에 장애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 있는 모든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에 포함된 복수개의 조명장치들의 조도 조절을 통해 조명장치들이 설치된 공간의 전체 조도가 균일해 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S726의 판단결과,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가 임계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차단명령 및 전원차단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S732).
이후, 생성된 전원차단명령을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위치정보와 함께 조명제어기로 전달하고 생성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에 탑재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S734).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 제어서버는 생성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ISP 서버로 전송하고, ISP 서버가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는, APNS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장애 알림 메시지는 2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레이어에는 장애 발생 날짜, 장애 발생 시간,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위치, 발생된 장애 타입, 발생된 장애 타입에 따른 알림 문구, 및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과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기준 전력소모량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되고, 제2 레이어에는 장애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음성정보가 기록된다. 이때, 제2 레이어는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S720의 판단결과,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제1 시점에서의 전력소모량이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제1 시점에서의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자동복구가 불가능한 제2 타입의 장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한다(S736).
이후,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차단명령 및 전원차단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S732), 생성된 전원차단명령을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위치정보와 함께 조명제어기로 전달하고 생성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에 탑재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한다(S734).
한편, S700이전에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 전송 대상이 되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 전송 시, 제어서버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에 대해서만 장애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S700이전에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 수신을 위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도 7에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휴대용 단말로부터 장애 관리를 위한 조도조절명령이나 전원차단명령을 수신하여 이를 조명 제어기로 전송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서버가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전력소모량을 이용하여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장애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서버는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조도를 이용하여 장애발생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은, 전력량계 대신에 조도센서를 포함하게 되고, 제어서버는 조도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조도값과 해당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조도값을 비교하여 조명장치나 조명그룹의 장애발생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110: 조명장치
120: 전력량계 130: 조명 제어기
140: 제어서버 150: ISP 서버
160: 휴대용 단말 170: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

Claims (23)

  1. 소정영역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장치의 전력소모량과 상기 조명장치에 대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기준 전력소모량을 비교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장애발생여부와 발생된 장애 타입을 판단하는 장애 판단부;
    발생된 장애 타입이 복구 가능한 제1 타입이면 장애가 발생한 조명장치의 조도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기 위한 조도조절명령을 생성하고, 발생된 장애 타입이 복구 불가능한 제2 타입이면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에 대한 전원차단명령을 생성하는 조명제어명령 생성부; 및
    발생된 장애 타입이 제1 타입이면 장애 발생 여부를 알리는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발생된 장애 타입이 제2 타입인 경우 전원차단을 알리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하나의 조명장치, 및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들로 구성된 조명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기준 전력소모량은, 상기 조명장치 별로 설정되어 있는 타임 스케쥴 상에서 소정시간 구간 별로 가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판단부는,
    상기 조명장치의 전력소모량이 상기 기준 전력소모량을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오차 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상기 조명장치에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조명장치의 전력 소모량이 상기 기준 전력 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장애 타입이 제1 타입인 것으로 판단하며, 상기 조명장치의 전력 소모량이 상기 기준 전력 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상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장애 타입이 제2 타입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장애 판단부에 의해 장애 타입이 제1 타입으로 판단되면,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를 증가시켜 기록하는 카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애 판단부는,
    상기 조명장치에 발생된 장애의 타입이 제1 타입이고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가 임계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조명장치에 발생된 장애 타입을 제2 타입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는,
    장애 발생 날짜, 장애 발생 시간,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의 위치, 및 발생된 장애 타입에 따른 장애 알림 문구 중 적어도 하나가 기록되는 제1 레이어; 및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음성정보가 기록되는 제2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생성부는, APNS(Apple Push Notification Service)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조명장치의 전력소모량 및 전력 소모량을 송신한 전력량계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을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가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인터넷 서비스 프로바이더(ISP)로 제공하는 제1 데이터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와이파이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조명제어어플리케이션으로 직접 제공하는 제2 데이터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 전송대상이 되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등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등록부에 등록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에게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 수신을 위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장애 판단부, 상기 조명제어명령 생성부, 및 상기 메시지 생성부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설치되는 제1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 및 관리되는 제2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사용될 수 있도록 런타임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제3 레이어;
    상기 제1 레이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한 구동용 라이브러리를 제공하는 제4 레이어; 및
    상기 제1 레이어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제어서버의 네트워킹을 위한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는 제5 레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은,
    상기 조명장치와 매칭되어 상기 조명장치의 전력소모량을 검출하는 전력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장애 알림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은,
    상기 제어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에 따라 DMX 512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조명장치의 온오프 또는 디밍을 제어하고, 전력량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조명장치의 전력소모량과 상기 전력량계의 식별정보를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서버로 전달하는 조명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17. 조명장치의 전력소모량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소모량이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면 제1 타입의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조도조절명령 및 장애 발생 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전력소모량이 상기 기준 전력소모량의 오차범위로부터 제1 임계범위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제2 타입의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전원차단명령 및 전원차단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조도조절명령 또는 전원차단명령을 상기 조명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무선 데이터망 또는 와이파이망을 통해 휴대용 단말에 설치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는 하나의 조명장치, 및 하나 이상의 조명장치들로 구성된 조명그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가 임계횟수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가 상기 임계횟수를 초과하지 않으면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조도조절명령 및 상기 제1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의 장애 발생 횟수가 상기 임계횟수를 초과하면 상기 조명장치에 대한 전원차단명령 및 전원차단여부를 알리기 위한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타입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는, 장애 발생 날짜, 장애 발생 시간, 장애가 발생된 조명장치의 위치, 및 발생된 장애 타입에 따른 장애 알림 문구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레이어에 기록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기 위한 음성정보를 제2 레이어에 기록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 전송 대상이 되는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를, 상기 등록된 조명제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휴대용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 타입의 장애 알림 메시지 수신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휴대용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방법.
KR1020110104045A 2011-10-12 2011-10-12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13258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045A KR101325893B1 (ko) 2011-10-12 2011-10-12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4045A KR101325893B1 (ko) 2011-10-12 2011-10-12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9472A true KR20130039472A (ko) 2013-04-22
KR101325893B1 KR101325893B1 (ko) 2013-11-07

Family

ID=4843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4045A KR101325893B1 (ko) 2011-10-12 2011-10-12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8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868B1 (ko) * 2015-01-30 2017-01-26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규모의 스마트 가로등에 대한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309B1 (ko) * 2002-12-04 2004-11-26 김철호 가로등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81390A (ko) * 2007-03-05 2008-09-10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가로등 고장 검출장치 및 방법
KR20110103124A (ko) * 2010-03-12 2011-09-20 주식회사 에스하이텍 외부 휴대장치를 이용하는 조명제어 리모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893B1 (ko) 201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5602B2 (en) Outdoor lighting system with controlled luminance
USRE48090E1 (en) Illumination control network
US9049753B1 (en) Lighting device moni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2135598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지능형 가로등 조명제어 시스템
US8957603B2 (en) LED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US20180035519A1 (en) Protocol for lighting control via a wireless network
RU2551109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673040B1 (ko) 조명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175996B1 (ko) 가로등 원격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US9215778B2 (en) Distributed street lights monitoring, command and control combined with solar photo voltaic cell
TWI574582B (zh) 路燈監控管理系統
US9992843B2 (en) Location independent lighting sensor system
WO2009124453A1 (zh) Led路灯总控制器、led路灯分控制器、led路灯控制系统
WO2010142764A2 (en) Lighting unit, network of lighting unit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light intensity of a lighting network comprising at least one lighting unit
CN104902658A (zh) 一种led照明系统的故障检测方法以及led照明系统
KR20110092100A (ko) Led 고장 검출 장치
KR101294684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가로등 원격 제어시스템
CN108650765A (zh) 一种灯光监测系统及方法
CN110234191A (zh) 一种道路远程路灯故障监测指示系统
US20090322232A1 (en) Brightness-ajustable illumination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ing the same
KR101325893B1 (ko) 조명장치의 장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188859B1 (ko) 스마트 조명 제어 시스템
KR101645365B1 (ko) 광대역통신망을 이용한 비상 호출 태양광 가로등
KR20050092355A (ko) 지그비 통신을 이용한 비상시 방향표시 장치
CN107426255A (zh) 一种电灯维修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