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680A - 방화문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문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680A
KR20120012680A KR1020100074804A KR20100074804A KR20120012680A KR 20120012680 A KR20120012680 A KR 20120012680A KR 1020100074804 A KR1020100074804 A KR 1020100074804A KR 20100074804 A KR20100074804 A KR 20100074804A KR 20120012680 A KR20120012680 A KR 201200126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coupled
loosening
locking rod
fire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1453B1 (ko
Inventor
김송기
Original Assignee
김송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기 filed Critical 김송기
Priority to KR1020100074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45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4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05C17/48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comprising a sliding secur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8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열에 강한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절곡 성형하여 외관을 수려하게 하며, 상하로 오르내리는 잠금봉을 슬라이더에 결합하는 부분에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잠금장치의 브라켓에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는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을 절곡 성형하였으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잠금봉에 풀림방지장치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풀림방지장치는 스프링 강으로 제작되며 E링 형상으로 제작되어 단부가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중앙부가 잠금봉의 나사부에 결합되어 잠금봉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화문의 잠금장치{Lock Equipment of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열에 강한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절곡 성형하여 외관을 수려하게 하며, 상하로 오르내리는 잠금봉을 슬라이더에 결합하는 부분에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 자동 폐쇄 장치는 건물 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화기가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연기의 이동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 잠금장치는, 상하로 작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를 작동하는 레버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상하 문틀에 끼워지는 잠금봉으로 구성되어 진다.
이러한 잠금장치에서 종래에 사용된 구조를 살펴보면 슬라이더는 아연제 주물로 형성되어 지며, 상기 슬라이더에 잠금봉이 나사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잠금장치는 화재시 방화문에 설치된 도어 잠금장치는, 상기 방화문이 화염에 노출된 경우 이 열이 전도되어 가열되고, 이러한 도어 잠금장치의 가열이 이루어지면 열에 약한 아연재로 이루어진 슬라이더가 녹아 잠금장치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화재로부터의 안전구역에 화재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잠금봉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단순히 나사로 결합한 상태이므로 문을 여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풀림이 일어나 오동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잠금장치의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열에 강한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으로 제작하여 화재시 녹아 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작시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잠금봉에 풀림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잠금장치의 브라켓에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는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을 절곡 성형하였으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잠금봉에 풀림방지장치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풀림방지장치는 스프링 강으로 제작되며 E링 형상으로 제작되어 단부가 슬라이더에 결합되며, 중앙부가 잠금봉의 나사부에 결합되어 잠금봉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풀림방지장치가 스프링 강으로 제작되며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잠금봉의 나사부를 파지하는 모양으로 결합되어 잠금봉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잠금장치의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열에 강한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으로 제작하여 화재시 녹아 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시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을 프레스로 절곡형성하도록 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잠금봉에 풀림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화문 잠금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화문 잠금장치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화문 잠금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라는 것이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하게 전달하기 위한 것임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브라켓(10)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0)는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을 절곡 성형하였으며, 상기 슬라이더(20)에 결합되는 잠금봉(30)에 풀림방지장치(40)를 설치하였으며, 상기 풀림방지장치는 스프링 강으로 제작되며 E링 형상으로 제작되어 단부가 슬라이더(20)의 홈(22)에 결합되며, 중앙부가 잠금봉(30)의 나사부에 결합되어 잠금봉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브라켓(10)은 바닥면(11)로 부터 좌우 측면으로 상향으로 절곡된 측벽(13)을 가지며, 상기 측벽의 상측에는 좌우방향으로 장공(15)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바닥면에는 잠금봉(30)을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50)을 작동시키기 위한 홈(1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20)는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을 절곡 성형하여 바닥면(21)으로부터 양측면에 샹향으로 절곡된 측벽(22)을 가지며, 상기 브라켓(10)의 장공(15)와 대응하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의 장공(24)이 형성되고, 일측의 잠금봉(30)이 설치되는 벽면(23)에는 내부에 나사가 형성된 부쉬(25)가 결합되고, 바닥면(21)의 중앙부에는 슬라이더를 작동하기 위한 캡(2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27)의 내부에는 슬라이더를 작동시키는 레버(50)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캡의 내부는 종래장치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우선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슬라이더(20)의 캡(27)에 레버(50)를 설치한 후 측벽에 형성된 장공(24)이 브라켓(10)의 측벽에 설치된 장공(15)에 맞추어 내측에 삽입한 후 측면에서 장공에 핀(55)을 끼워 조립한다.
이후 부쉬(25)에 잠금봉(30)을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잠금봉(30)의 선단에 형성된 나사부(35)를 부쉬(25)의 나사와 결합하여 조립하는데 이때 잠금봉(30)의 길이 조정은 나사를 풀고 조임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길이의 조정이 완료되면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E링 타입의 풀림방지 장치(40)를 조립하는 것으로 이때에는 E링의 중앙부의 이빨(29)가 잠금봉(30)의 나사산 사이로 끼워지며, 측면은 슬라이더에 형성된 홈(26)에 삽입되어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잠금장치는 브라켓(10)의 바닥면(11)의 양단에 형성된 구멍(17)에 볼트 등의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방화문에 설치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잠금장치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에서 레버(50)를 작동하여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잠그거나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것으로 레버(50)가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향으로 있을 때에는 슬라이더(20)가 하측에 위치하여 잠금봉(30)이 하부로 내려와 있는 상태이므로 방화문은 해제된 상태이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방화문을 잠그고자 할 때에는 브라켓(10)의 바닥면(11)에 형성된 홈(16)에 손가락을 넣어 레버(50)를 하측으로 당기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20)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레버(50)의 단부가 캡(27)의 내부 벽면을 밀어주어 슬라이더(20)는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 이때 장공을 관통하여 핀(55)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슬라이더는 수직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레버(50)를 완전히 회동시켜 레버가 하측홈에 위치하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슬라이더가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슬라이더에 조립된 잠금봉(30)이 문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방화문이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는 잠그는 동작을 설명하였지만 방화문을 해제하여 열고자 할 때에는 위의 레버(50)의 동작을 반대로 회동하는 것으로 이는 설명을 생략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열에 강한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으로 제작하여 화재시 녹아 문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작시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을 프레스로 절곡형성하도록 하여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잠금봉에 풀림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실시 예에서는 잠금봉의 풀림방지장치(40)가 E링 타입의 형태로 잠금봉의 나사산을 잡아 주었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E링 타입의 풀림방지장치(40) 대신에 스프링 강판을 U자 형태로 절곡하여 나사산 부위에 결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에도 U자 형태로 절곡된 풀림방지장치(40)는 소재가 스프링강으로 되어 있으므로 잠금봉의 나사부위를 탄력적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바닥면이 슬라이더의 바닥면에 접촉하여 잠금봉(30)이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벙지하게 되는 것이다.
10 : 브라켓 20 : 슬라이더 30 : 잠금봉
40 : 풀림방지장치 50 : 레버

Claims (3)

  1. 잠금장치의 브라켓에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더는 스테인레스재의 강판을 절곡 성형하였으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잠금봉에 풀림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잠금봉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잡아주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장치는 스프링 강으로 제작되며 E링 형상으로 제작되어 E링의 이빨이 잠금봉의 나사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잠금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풀림방지장치는 스프링 강으로 제작되며 U자형태로 절곡된 강판이 잠금봉의 나사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의 잠금장치.


KR1020100074804A 2010-08-02 2010-08-02 방화문의 잠금장치 Active KR101231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04A KR101231453B1 (ko) 2010-08-02 2010-08-02 방화문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804A KR101231453B1 (ko) 2010-08-02 2010-08-02 방화문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680A true KR20120012680A (ko) 2012-02-10
KR101231453B1 KR101231453B1 (ko) 2013-02-07

Family

ID=45836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804A Active KR101231453B1 (ko) 2010-08-02 2010-08-02 방화문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45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05Y1 (ko) * 2011-04-25 2013-04-18 김송기 방화문 고정장치 장착구조
KR200469225Y1 (ko) * 2012-03-23 2013-09-30 주식회사 금천 문고정용 잠금봉 구조체
CN110295818A (zh) * 2018-07-03 2019-10-01 广东坚朗五金制品股份有限公司 滑轨滑块结构、防火限位器及框扇结构
KR102333729B1 (ko) * 2020-07-23 2021-12-01 김송기 방화문 걸쇠 일체형 승하강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7467B1 (ko) 2014-05-01 2015-10-06 김영석 양문형 출입문용 링크식 고정장치
KR101721537B1 (ko) 2014-12-26 2017-03-30 손창민 방화문의 잠금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030Y1 (ko) * 2003-05-21 2003-09-02 김종훈 여닫이문용 잠금장치
KR100551633B1 (ko) * 2005-07-15 2006-02-13 주식회사 창성인더스트리 방화셔터의 비상탈출문용 비상자동잠금장치
KR200415766Y1 (ko) * 2006-02-03 2006-05-08 오금배 도어 스톱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505Y1 (ko) * 2011-04-25 2013-04-18 김송기 방화문 고정장치 장착구조
KR200469225Y1 (ko) * 2012-03-23 2013-09-30 주식회사 금천 문고정용 잠금봉 구조체
CN110295818A (zh) * 2018-07-03 2019-10-01 广东坚朗五金制品股份有限公司 滑轨滑块结构、防火限位器及框扇结构
KR102333729B1 (ko) * 2020-07-23 2021-12-01 김송기 방화문 걸쇠 일체형 승하강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453B1 (ko) 2013-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1453B1 (ko) 방화문의 잠금장치
KR200409014Y1 (ko) 창문용 자동잠금장치
KR20140078600A (ko) 도어 핸들 조립체, 부분조립체 및 그 설치 방법
KR101376372B1 (ko) 방화문(防火門)의 힌지장치
US20040089033A1 (en) Door lock structure
JP2013189756A (ja) 建具
KR101721537B1 (ko) 방화문의 잠금구
JP6001307B2 (ja) 開閉窓
JP6647928B2 (ja) 建具
US8069613B2 (en) Mullion assembly for double door
JP5185232B2 (ja) ロック装置及び防火建具
JP2009243089A (ja) 内倒し窓用ステー
US20110083373A1 (en) Mullion Assembly for Double Door
KR102464988B1 (ko) 창문용 추락방지장치
JP5210623B2 (ja) 非常用扉の閉鎖装置
KR101216045B1 (ko) 도어록의 잠금장치
JP5270589B2 (ja) ドア締り装置及びドア
JP2015151751A (ja) 開口部装置
JP2018162600A (ja) 装飾格子の取付け装置
KR20090054036A (ko) 미닫이창문의 안전잠금장치
KR102627043B1 (ko) 도어 유격방지 장치
JP2017040080A (ja) 建具
JP2017133263A (ja) 建具
KR101884249B1 (ko) 부분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JP4919066B2 (ja) 網戸落下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