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407A -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407A
KR20120011407A KR1020100073169A KR20100073169A KR20120011407A KR 20120011407 A KR20120011407 A KR 20120011407A KR 1020100073169 A KR1020100073169 A KR 1020100073169A KR 20100073169 A KR20100073169 A KR 20100073169A KR 20120011407 A KR20120011407 A KR 2012001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assage
fixing member
connector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3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4155B1 (ko
Inventor
서경아
Original Assignee
서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아 filed Critical 서경아
Priority to KR10201000731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155B1/ko
Priority to PCT/KR2010/006016 priority patent/WO2012015098A1/ko
Publication of KR2012001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4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 B01D27/06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material
    • B01D27/07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with cartridges made of a piece of unitary material, e.g. filter paper with corrugated, folded or wound material having a coaxial stream through the filtering el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01D2201/291En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필터 조립체는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 상기 필터 및 캡과 결합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로 및 농축수가 배출되는 배출로를 가지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필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필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유입로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제1 이동통로, 상기 제1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로 진입한 원수가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유출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통로를 가지며, 농축수를 상기 배출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이동통로가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캡의 내주면과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로 인해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필터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형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제작 과정간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필터 조립체{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유입되는 원수를 필터링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역삼투막 필터는 역삼투 현상을 이용하여 가공되지 않은 원수를 정수로 전환시키는 장치이다. 여기서 역삼투 현상이란 자연계의 삼투현상을 거꾸로 응용한 것으로 고농도 용액측에 삼투압 이상의 압력을 가하면 삼투현상과는 반대로 진한 농도 용액측의 물이 묽은 용액 쪽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이다. 역삼투막 필터는 그 기공의 크기가 0.0001 ㎛ 정도인 필름 형태의 반투막으로, 바닷물을 민물로 바꾸는 해수의 담수화나 고집적 메모리 반도체 생산과 같은 정밀 산업용 또는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초순수(超純水) 제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 들어 가정용 정수기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정수 장치에 사용된 역삼투막 필터는 정수의 유출로 및 농축수의 배출로가 별도로 분리되어 구비됨에 따라 제작 비용이 상승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필터를 상호 연결하여 정수 시스템을 구성할 때, 호스 등의 연결용 부재가 별도로 필요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더욱이, 추가적인 연결용 부재로 인해 정수 장치의 설치시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그에 따라 설치 과정간 작업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역삼투막 필터는 필터 카트리지의 교환 절차가 복잡하여 전문성이 없는 일반 사용자가 작업하기에 까다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역삼투막 필터가 전술한 문제점을 야기함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15015호에서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역삼투막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원수가 필터 내부로 유입되고 유출되는 유로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구조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금형의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 원가가 상승되고 불량률이 증가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금형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필터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필터 조립체는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 상기 필터 및 캡과 결합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로 및 농축수가 배출되는 배출로를 가지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필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필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유입로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제1 이동통로, 상기 제1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로 진입한 원수가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유출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통로를 가지며, 농축수를 상기 배출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이동통로가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캡의 내주면과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경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경보다 작아서 상기 제2 고정부재가 상기 제1 고정부재 내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경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경의 차이에서 발생된 간격은 유입로 및 제1 이동로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경 및 캡의 내경의 차이에서 발생된 간격은 제3 이동통로 및 배출로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필터 조립체는 제2 이동통로를 제1 이동통로의 내측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한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에 의해 커넥터의 내부 공간이 구획됨으로 인해, 커넥터의 금형 구조가 단순화되었다. 따라서, 금형의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제조 단가가 절감되고 제작 과정간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를 제외한 필터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필터 조립체(10)를 도시한 것이다. 필터 조립체(10)는 필터(100), 하우징(200), 캡(300), 커넥터(400), 제1 고정부재(500) 및 제2 고정부재(6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필터(100)는 필터부재(110) 및 결합부재(120)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터부재(110)는 필터(100)의 내부에 구비된 역삼투막으로서, 필터(100)의 운용간 역삼투압을 조성하여 필터(100)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로 전환시킬 수 있다.
결합부재(120)는 필터부재(110)의 상단에 결합되어 필터부재(110)가 필터(100) 내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결합부재(120)의 외주면에는 오링(O-ring)을 설치할 수 있는 다수개의 홈이 마련되어 있어, 원수가 제1 고정부재(500)와 연결되는 틈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오링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결합부재(120)로 인해 원수가 이동되는 제1 이동통로(121) 및 농축수가 이동되는 제2 이동통로(122)가 분획되기 때문에, 분획을 위한 별도의 실링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결합부재(120)는 제1 이동통로(121), 제2 이동통로(122), 파이프부(123)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이동통로(121)는 원수의 유입로(410)에서부터 제1 고정부재(500)와 제2 고정부재(600)에 의해 형성된 유로를 통해 결합부재(120)의 내부와 연결된 유로이다. 즉, 제1 고정부재(500)의 내경과 제2 고정부재(600)의 외경의 차이로 인해 발생된 간격은 유입로(410) 및 제1 이동통로(121)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이동통로(121)를 통해 이송되는 원수는 필터부재(110)의 상단으로 접근하여 필터부재(1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이송된 원수는 다른 우회로를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제1 이동통로(121)를 통해 필터부재(110)로 진입하기 때문에 필터 조립체(10)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수의 오염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원수는 필터부재(110) 내부에서 역삼투압에 의해 필터링되어 정수로 전환됨에 따라, 제2 이동통로(122)로 이송되어 정수 유출로(420)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이동통로(122)는 필터부재(110)의 중공부로부터 정수의 유출로(420)의 사이에 형성된 유로이다. 제1 이동통로(121)를 통해 필터부재(110)로 진입한 원수는 필터링되어 정수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된 정수는 제2 이동통로(122)를 통해 정수의 유출로(420)로 이송된다.
파이프부(123)는 필터부재(110)의 중공부로부터 결합부재(120)의 내측 중앙부 사이를 연결하는 관이다. 파이프부(123)는 결합부재(120)의 내측 중앙에 삽입되며, 파이프부(123)와 커넥터(400) 사이에는 제2 고정부재(600)가 존재하여 파이프부(123)와 커넥터(40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부(123)가 결합부재(120)의 내측 중앙에 삽입됨에 따라, 제2 이동통로(122)가 제1 이동통로(121)의 내측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파이프부(123)는 커넥터(400)와의 원활한 연결을 위해 결합부재(120)의 상단으로부터 적당한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파이프부(123)는 커넥터(400)와 연결되도록 원기둥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파이프부(123)의 외주면에는 오링을 설치할 수 있는 다수개의 홈이 마련되어 있어, 정수가 제2 고정부재(600)와 연결되는 틈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오링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부(123)는 필터부재(110)로부터 이송되는 정수의 유로를 단일화시켜 추가적인 이동로의 설치 소요를 줄일 수 있다.
하우징(200)은 필터부재(11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그 외형은 필터부재(110)의 외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200)의 개구부의 선단에는 캡(300)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캡(300)은 결합부재(120)를 수용하는 공간으로서, 상기 결합부재(120)의 외주면을 감싼 다단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캡(300)은 하우징(200)의 상단부에 위치하며, 파이프부(123)를 수용한다. 캡(300)의 하단부 끝단에는 하우징(200)과 결합이 가능한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캡(300)과 하우징(200)의 연결부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실링 부재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캡(300)의 외주면에는 오링을 설치할 수 있는 다수개의 홈이 마련되어 있어, 농축수가 커넥터와 연결되는 틈으로 누출되지 않도록 오링을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400)는 원수의 유입과 정수의 유출 및 농축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공간으로서, 캡(3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커넥터(400)는 유입로(410), 유출로(420), 배출로(430)로 이루어져 있다.
유입로(410)는 외부의 원수가 필터 조립체(1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로서, 유입로(410)는 제1 이동통로(121)와 연결되어 있다. 즉, 유입로(410)에 진입하는 원수는 제1 이동통로(121)를 통해 하단으로 이송되어 필터부재(110)의 상단부에 진입될 수 있다.
유출로(420)는 필터부재(110)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정수가 필터 조립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유출로(420)는 제2 이동통로(122)와 연결되어 있다. 즉, 필터부재(110)의 내부에서 필터링된 정수는 제2 이동통로(122)를 통해 유출로(420)로 이송되어 필터 조립체(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로(430)는 필터부재(110)의 내부에서 필터링되지 못한 농축수가 필터 조립체(10)의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로서, 배출로(430)는 제3 이동통로(700)와 연결되어 있다.
제1 고정부재(500) 및 제2 고정부재(600)는 커넥터(400)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커넥터(400) 및 필터(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고정부재(500) 및 제2 고정부재(600)의 외관은 커넥터(400) 및 필터(100)의 내부와 잘 결합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고정부재(500) 및 제2 고정부재(600)는 커넥터(4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함으로써, 유입된 원수가 이동하는 통로인 제1 이동통로(121)와 정수가 이동하는 제2 이동통로(122) 및 농축수가 이동하는 제3 이동통로(700)의 일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재(500) 및 제2 고정부재(600)가 커넥터(400)의 내부에서 유로를 구성하는데 기여함에 따라, 커넥터(400)의 내부에 유로를 위한 별도의 공간을 제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커넥터(400)를 제작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필터 조립체의 제작이 용이해지고 제작 과정간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3 이동통로(700)는 필터(100)의 외주면과 하우징(200)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 및 캡(300)의 내주면과 결합부재(120)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된 유로이다. 또한, 제1 고정부재(500)의 외경 및 캡(300)의 내경의 차이에서 발생된 간격은 제3 이동통로(700) 및 배출로(430)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필터부재(110)의 내부에서 필터링되지 못한 농축수는 필터부재(110)의 하단부로부터 배출되어 제3 이동통로(700)를 따라 배출로(430)로 이송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10 : 필터 조립체
100 : 필터
110 : 필터부재
120 : 결합부재
121 : 제1 이동통로
122 : 제2 이동통로
123 : 파이프부
200 : 하우징
300 : 캡
400 : 커넥터
410 : 유입로
420 : 유출로
430 : 배출로
500 : 제1 고정부재
600 : 제2 고정부재
700 : 제3 이동통로

Claims (5)

  1.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
    상기 필터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캡;
    상기 필터 및 캡과 결합되며,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로, 상기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정수가 유출되는 유출로 및 농축수가 배출되는 배출로를 가지는 커넥터;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필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커넥터를 상기 필터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고정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는,
    원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재; 및
    상기 필터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유입로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를 상기 필터부재의 상단으로 진입시키기 위한 제1 이동통로, 상기 제1 이동통로를 통해 상기 필터부재로 진입한 원수가 필터링된 정수를 상기 유출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이동통로를 가지며,
    농축수를 상기 배출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3 이동통로가 상기 필터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간격 및 상기 캡의 내주면과 상기 결합부재의 외주면 사이의 간격에 의해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경은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경보다 작아서 상기 제2 고정부재가 상기 제1 고정부재 내에 삽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내경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의 외경의 차이에서 발생된 간격은 유입로 및 제1 이동통로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의 외경 및 캡의 내경의 차이에서 발생된 간격은 제3 이동통로 및 배출로를 연결하는 통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5. 제2 이동통로를 제1 이동통로의 내측 중심에 위치시키기 위한 파이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조립체.

KR1020100073169A 2010-07-29 2010-07-29 필터 조립체 KR101364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69A KR101364155B1 (ko) 2010-07-29 2010-07-29 필터 조립체
PCT/KR2010/006016 WO2012015098A1 (ko) 2010-07-29 2010-09-03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3169A KR101364155B1 (ko) 2010-07-29 2010-07-29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407A true KR20120011407A (ko) 2012-02-08
KR101364155B1 KR101364155B1 (ko) 2014-02-17

Family

ID=4553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3169A KR101364155B1 (ko) 2010-07-29 2010-07-29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64155B1 (ko)
WO (1) WO201201509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631A1 (ko) *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가 측면에 형성되는 역삼투막 필터
US20170036168A1 (en) * 2014-04-21 2017-02-09 Picogram Co., Ltd. Side Stream Flow Typ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5400A1 (zh) * 2014-12-19 2016-06-23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复合滤芯和具有它的净水系统
CN106964193B (zh) * 2016-09-08 2019-08-30 开能健康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滤芯及包含其的净水机
KR101974523B1 (ko) * 2018-11-02 2019-05-03 주식회사 선도전자 필터세척이 용이한 정수기
CN112551711B (zh) * 2019-09-26 2024-05-07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机
KR102279491B1 (ko) 2021-01-11 2021-07-19 명성희 필터 카트리지의 덮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266B1 (ko) * 2005-03-24 2007-05-17 주식회사 피코그램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정수용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장치
KR200433506Y1 (ko) 2006-09-07 2006-12-13 주식회사 피코그램 정수용 역삼투막 필터 카트리지
KR20090098581A (ko) * 2008-03-14 2009-09-17 주식회사 파라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63631A1 (ko) * 2014-04-21 2015-10-29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가 측면에 형성되는 역삼투막 필터
KR20150121779A (ko) * 2014-04-21 2015-10-30 주식회사 피코그램 유로가 측면에 형성되는 역삼투막 필터
US20170036168A1 (en) * 2014-04-21 2017-02-09 Picogram Co., Ltd. Side Stream Flow Type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5098A1 (ko) 2012-02-02
KR101364155B1 (ko) 2014-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4155B1 (ko) 필터 조립체
WO2021164335A1 (zh) 一种中心管、卷式膜组件、复合滤芯组件和净水系统
CN107899279B (zh) 滤芯组件和净水系统
US8197688B2 (en)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CN103153445B (zh) 包括具有密封凸起部的端盖的流体过滤组件
US20160220956A1 (en) Reverse Osmosis Membrane Filter Having Fluid Channel Formed On Side Surface Thereof
WO2016095401A1 (zh) 一体复合滤芯和具有其的净水系统
CN209934478U (zh) 一种中空纤维膜滤芯
CN103068471A (zh) 包括手柄的流体过滤组件
CN103566757A (zh) 一种一体式逆渗透净水过滤器
WO2022188731A1 (zh) 滤芯总成以及净水器
CN213623531U (zh) 复合滤芯结构和净水系统
CN213966013U (zh) 一种反渗透滤芯及净水系统
CN211311078U (zh) 一种超滤膜过滤组件
CN104144885A (zh) 过滤装置
CN210710999U (zh) 一种滤芯组件
CN216764512U (zh) 一种复合滤芯结构及净水机
CN207918544U (zh) 一种复合滤芯以及净水设备
CN113490646A (zh) 液体净化系统
CN210874861U (zh) 一种膜元件中心管
CN217708969U (zh) 管式超滤膜组件
CN217555856U (zh) 反渗透膜滤芯、滤芯组件及其净水器
CN216472536U (zh) 水路板总成及净水机
CN220550025U (zh) 一种净水滤芯
CN212127729U (zh) 滤芯和净水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