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1340A -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1340A
KR20120011340A KR1020100070048A KR20100070048A KR20120011340A KR 20120011340 A KR20120011340 A KR 20120011340A KR 1020100070048 A KR1020100070048 A KR 1020100070048A KR 20100070048 A KR20100070048 A KR 20100070048A KR 20120011340 A KR20120011340 A KR 20120011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consumption
condition
specific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292B1 (ko
Inventor
황승오
세르게이 니코레이에비치 세레즈네브
송재연
이병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0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292B1/ko
Priority to EP11809874.8A priority patent/EP2596597A4/en
Priority to JP2013520653A priority patent/JP5490319B2/ja
Priority to CN201180035441.XA priority patent/CN103004131B/zh
Priority to PCT/KR2011/005363 priority patent/WO2012011747A2/en
Priority to US13/187,128 priority patent/US20120023594A1/en
Publication of KR20120011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 H04N21/6377Control signals issued by the client directed to the server or network components directed to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04N21/835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using a structured language for describing usage rules of the content, e.g. R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6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by decomposing the content in the time domain, e.g. in time seg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단계 또는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서비스에 대한 각 단계별 소비 권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권한 발행 서버가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나타내는 권한객체(RO)에, 각 단계별로 RO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조건을 포함시켜 디바이스로 전달하고, 디바이스는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게 되면, 해당 단계 대응하는 접근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접근 정보를 권한 발행 서버 또는 서비스의 제공자에게서 획득하여 RO에 전달함으로써, RO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며, RO를 이용해 해당 단계의 서비스를 실행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SUMPTION RIGHT OF MULTIMEDIA SERVIC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권한에 대한 것으로, 특히, 여러 단계 또는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서비스에 대한 각 단계별 소비 권한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송 서비스 혹은 주문형 콘텐츠 전송 서비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콘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이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서비스 제공자들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콘텐츠를 제공하며, 디바이스의 서비스 제공 서버 접속한 시간이나 서비스받은 데이터량만큼의 이용료를 부과한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자들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또는 콘텐츠 보호 및 정당한 과금을 위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관리한다.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보호를 위한 기술로서, 불법 유통 및 배포로부터 서비스 또는 콘텐츠를 보호하는 기술의 하나로, 유료 서비스 또는 유료 콘텐츠의 안전한 배포를 보장하고, 불법 배포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DRM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콘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복제를 막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서비스 또는 콘텐츠의 생성에서 유통, 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한다.
멀티미디어 서비스들 중에는 게임이나 혹은 연속된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드라마와 같이, 복수의 에피소드 또는 복수의 단계로 구성되는 단계적 서비스들이 있다. 이러한 단계적 서비스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도, 콘텐츠 보호 기술인 DRM이 사용되고 있다.
이를 도1에 도시하였다. 도1은 종래의 RO(Right Object) 제공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RO(Right Object)는 해당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권한을 나타내는 권한 객체이다. 도1에서 디바이스(1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아 실행하는 사용자 장치이며, 권한 발행 서버(right issuer)(20)는 각종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소비 권한을 나타내는 RO를 발행하는 서버이다. 그리고 인증 서버(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 server)(30)는 디바이스(10)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사용에 있어서, 인증을 담당하는 서버이다.
디바이스(10)의 사용자가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 예를 들어, 게임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디바이스를 조작함에 따라, 디바이스(10)는 101단계에서 RO 요청 메시지(RO request message)를 사용하여 권한 발행 서버(20)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게임 서비스의 RO를 요구한다.
이에 따라, 권한 발행 서버(210)는 103단계에서 인증 서버(30)에게 RO를 요청한 디바이스(10)가 RO에 요청할 권한을 가지고 있는 적절한 디바이스인지를 문의한다(OCSP Request). 인증 서버(30)는 디바이스에 대한 공개키 정보 혹은 인증서 정보를 가지고 디바이스(10)의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하는 인증 프로토콜을 가지는 서버이다. 인증 서버(30)는 디바이스(10)가 제공하는 공개키 혹은 인증서 정보를 바탕으로 인증 작업을 수행한 후, 그 결과를 305단계에서 OCSP 응답 메시지(OCSP response message)를 사용하여 권한 발행 서버(20)로 전달한다.
OCSP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권한 발행 서버(20)는 OSCP 응답 메시지(RO Response message)의 내용이 긍정이면, 즉 디바이스(10)에 대한 인증이 적합하게 이루어졌다면, 적정 RO를 생성하고, 107단계에서 RO 응답 메시지를 사용하여 생성된 RO를 디바이스(10)로 전달한다.
109단계에서 디바이스(10)는 107단계에서 수신한 RO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음을 RO 확인 요청 메시지(ROconfirmRequest message)를 이용해 권한 발행 서버(20)에게 알린다. 권한 발행 서버(20)는 RO 확인 요청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211단계에서 RO 확인 응답 메시지(ROconfirmrespone message)를 통해 디바이스(10)로 알린다.
권한 발행 서버가 107단계에서 생성하는 RO는 두 가지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RO에 게임 서비스의 모든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 암호화키들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고, 두 번째 방법은 RO에 게임 서비스의 각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 개별 암호화키와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첫 번째 방법의 경우 RO가 1회만 전송되므로, 게임 서비스의 이용에 있어서 RO의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지만, 모든 단계에 대한 암호화 키가 전송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불필요한 비용을 지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1단계를 실행해 본 후, 게임의 내용이 흥미롭지 않아 더 이상 실행할 필요를 못 느낀다 하더라도, 이미 모든 단계를 실행할 수 있는 RO을 수신하였기에 그에 따른 비용은 지출된 상태이다.
두 번째 방법은 사용자가 원하는 단계별로 RO을 수신할 수 있어, 사용자의 비용이 최소화될 수 있지만, 매 단계를 실행할 때마다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모든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RO가 매번 전송되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디바이스(10)의 자원, 권한 발행 서버(20)의 자원 및 인증 서버(30)의 자원이 낭비되게 된다.
다수의 단계 혹은 다수의 시리즈로 구성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보호하기 위해서 콘텐츠 보호 기술인 DRM의 사용은 필수이나, DRM을 바탕으로 서비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DRM 시스템의 관리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현재의 DRM 기술로서도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매 단계별로 소비 권한인 RO를 생성하고 단계마다 콘텐츠와 함께 RO를 전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필요한 RO를 획득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RO 전송에 따른 오버헤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다른 방식으로 하나의 서비스에 대응하는 하나의 RO를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각 단계의 개별 콘텐츠에 대한 보호 및 과금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불편 및 DRM의 RO 관리 오버헤드를 최소로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보호할 수 있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최소의 오버헤드로 소비 권한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권한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실행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소비 권한에 대한 접근 조건이, 상기 소비 권한에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접근 정보를 서비스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접근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근 정보가 상기 접근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소비 권한에 의해 규정된 범위만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권한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 실행에 대응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수신함에 따른 확인 결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소비 권한에 대한 접근 조건이, 상기 소비 권한에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접근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부로 요청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부에서 전달된 상기 접근 정보가 상기 접근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소비 권한에 의해 규정된 범위만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어로 제공하는 에이전트와,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실행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에이전트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에이전트의 상기 접근 정보 요청에 따라 서비스 네트워크로 상기 접근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접근 정보를 상기 에이전트로 전달하고, 상기 에이전트에서 전달되는 상기 콘텐츠를 실행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게임이나 드라마와 같은 복수의 개별 콘텐츠로 구성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 콘텐츠에 대한 단계별 소비 권한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하며, 최소의 오버헤드로 소비 권한을 제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업자의 다양한 서비스 모델을 지원할 수 있는 적절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도1은 일반적인 소비 권한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권한 관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방송 응용 표준 단체인 OMA(Open Mobile Alliance)의 DRM(Digital Right Management)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술 및 개체들의 명칭을 동일하게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소비 권한 관리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방송 서비스 혹은 주문형 콘텐츠 전송 서비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 중에는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게임이나, 여러 편의 에피소드로 구성되는 드라마 시리즈와 같이 단계별로 개별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있다. 이러한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경우, 하나의 서비스에 대해 복수의 개별 콘텐츠가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각각의 개별 콘텐츠별로 소비 권한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콘텐츠 보호 및 과금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게임의 경우 복수의 스테이지가 존재하고, 하나의 스테이지를 완료하고 다름 스테이지로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각 스테이지별로 소비 권한을 획득하게 함으로써, 스테이지별로 과금을 책정할 수 있다. 복수의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드라마 시리즈의 경우에도, 다음 순서의 에피소드를 시청하기 위해서 각 에피소드별로 소비 권한을 획득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DRM 시스템에서는 각 단계마다 사용자의 소비 권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권한 객체(Right Object;RO)의 생성 및 전달을 위한 일련의 과정, 즉, 도1에 도시된 과정을 거쳐 RO를 디바이스로 전달하거나, 최초 서비스 제공시 모든 RO를 디바이스로 전달하였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과금이나 추가적인 자원 소비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권한 발행 서버는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나타내는 RO에, 각 단계별로 RO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조건을 포함시켜 디바이스로 전달한다. 그리고 디바이스는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수행하게 되면, 해당 단계 대응하는 접근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접근 정보를 권한 발행 서버 또는 서비스의 제공자에게서 획득하여 RO에 전달함으로써, RO에 접근할 수 있게 되며, RO를 이용해 해당 단계의 서비스를 실행한다. 이때, RO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조건으로 특정 액세스 코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RO에는 각 단계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코드값이 접근 조건으로 포함되어 있고, 디바이스는 특정 단계에 해당하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특정 단계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를 획득하여, RO에 전달하고, 적정한 액세스 코드를 전달하는 경우에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이 적용되는 DRM 시스템의 구성을 도2에 나타내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RM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서비스 네트워크(300)는 콘텐츠 발행 서버(content issuer)(310)와, 권한 발행 서버(right issuer)(320)가 포함되고, 디바이스(200)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와 DRM 에이전트(220)를 포함한다. 네트워크(10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또는 콘텐츠를 공급하는 사업자 및 콘텐츠 공급자의 영역이고, 디바이스(200)는 멀티미디어 서비스 또는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의 영역이다.
네트워크(300)는, 미 도시하였지만, 콘텐츠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를 포함한다. 콘텐츠 제공자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제공할 각종 콘텐츠를 콘텐츠 발행 서버(310)로 제공한다. 콘텐츠 발행 서버(310)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된 콘텐츠를 적절한 형태로 콘텐츠를 가공한다. 그리고 콘텐츠 발행 서버(310)는 DRM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에서 콘텐츠에 대한 승인, 사용자가 보내온 콘텐츠 제공 요청에 대한 처리, 선택적으로 권한 발행 서버(320)와의 협약에 따라 암호화된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암호화 키 및 상기 콘텐츠의 재생 권리 및 소비 권한을 나타내는 RO를 사용자의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권리 발행 서버(320)는 DRM을 사용할 사용자 디바이스(200)의 등록 및 인증,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200)가 요구한 콘텐츠에 대한 RO의 생성 및 전달을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권리 발행 서버(320)는 RO에 설정된 권한대로 콘텐츠가 소비되는지에 대한 감시를 하게 되며, 디바이스(200)로부터 콘텐츠의 소비 현황에 대한 보고를 받는다.
디바이스(200)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와 DRM 에이전트(agent)(22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200)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장치로서, DRM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300)측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미디어 플레이어(210)는 콘텐츠 및 광고를 재생할 수 있는 엔터티로서, DRM 에이전트(220)로부터 복호된 콘텐츠를 받아 재생하게 된다. 또한 미디어 플레이어(210)는 DRM 에이전트(220)로부터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키를 수신하여, 복호작업을 수행한 후 콘텐츠를 재생할 수도 있다.
DRM 에이전트(220)는 콘텐츠 관리부(Content Processing Engine)(221)와 권한 관리부(Right Manager)(223)를 포함한다. 콘텐츠 관리부(221)는 콘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암호화된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미디어 플레이어(210)로 제공하고, 상기 복호작업을 위해 권한 관리부(223)에서 복호화 과정에 사용될 키를 가져온다.
권한 관리부(223)는 디바이스(200)의 권한 발행 서버(320)에 대한 등록, 상기 디바이스(110)가 소비할 콘텐츠에 대한 RO 획득, RO의 소비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2의 네트워크(300)상의 엔터티들은 서로 다른 엔터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합 엔터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200)상의 엔터티들도 서로 다른 엔터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합 엔터티로도 구성될 수 있다.
도2와 같이 구성되는 각 엔티티들이 본 발명에 따라 디바이스(200)로 제공된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을 도3에 도시하였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 권한 관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하기 도 3의 동작에 있어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게임 서비스로 가정하고 설명하지만, 유사한 구조를 가진 여려 편으로 구성된 드라마 서비스와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3을 참조하면, 디바이스(200)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게임 서비스의 실행 요청이 있으면, 게임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사용자의 요청에 대응하여 401단계에서 게임 실행 요청 메시지(Request for Game Execution message)를 DRM 에이전트(220)로 전송하여, DRM 에이전트(220)에게 특정 게임 서비스가 실행될 수 있도록 암호화된 게임 데이터에 대한 복호를 요청한다. 암호화된 게임 데이터는 게임 전체가 암호화된 상태일 수도 있고, 게임의 실행에 필요한 실행 파일을 혹은 메타 데이터 부분만이 암호화되어 있을 수도 있다.
DRM 에이전트(220)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가 요청한 게임 서비스에 대한 RO가 있는지를 판별하여, 해당 RO가 없을 시에는 403단계에서 게임 실행을 위한 RO 요청 메시지(RO request for Game Execution message)를 권한 발행 서버(320)로 전송하여, 권한 발행 서버(320)에게 해당 게임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RO를 요청한다. 상기 RO는 이미 DRM 에이전트(220)에 존재할 수 있으나, 도 3의 실시예에서 DRM 에이전트(220)가 401단계에서 게임 실행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이후에 요청하는 것을 가정한다.
권한 발행 서버(320)는 적합한 인증 과정 후에 405단계에서 해당 게임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나타내는 RO를 생성하여 디바이스(200)의 DRM 에이전트(220)로 전송한다. 생성된 RO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나타내는 정보 및 RO에 대한 접근 조건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접근 조건으로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이용한다. 즉, RO에는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전체 콘텐츠 중에서 각 단계에 이용될 일부 콘텐츠 데이터에 대응하는 단계별 액세스 코드값이 포함되게 된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200)는 RO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RO에 대한 접근 정보로서 해당 액세스 코드를 획득해야 한다. 이러한 RO에 포함되는 정보는 표1, 표2, 표3, 표4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표1은 OMA DRM에서 RO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REL(Right Expression Language)에서 사용하는 허가 엘리먼트(permission element)에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접근(access) 조건이 반영된 새로운 허가 엘리먼트의 일례를 나타낸다.
element<permission>
element
Figure pat00001
semantics
Figure pat00002
허가 엘리먼트(permission element)는, 허가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RO의 권한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허가 엘리먼트에 대한 기본적인 제약 사항, 허가 엘리먼트가 사용될 수 있는 콘텐츠 식별자, 콘텐츠가 실행 혹은 전시되는지, 또한 수행가능한지, 인쇄 가능한지 혹은 다른 디바이스로 RO가 보내어 질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구성 인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본 발명에 따라 액세스(Access)라는 새로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액세스 엘리먼트(Access element)는 관련 RO에 접근하기 위한 접근 조건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제안된 액세스 엘리먼트(Access element)의 구조는 표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lement<access>
element
Figure pat00003
semantics
Figure pat00004
표2에서 액세스 엘리먼트(Access element)는 제약 엘리먼트(Constraint element)와 요구 엘리먼트(Requirement element)를 포함한다. 제약 엘리먼트(Constraint element)는 상기 액세스 엘리먼트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제약 사항을 포함하고 있으며, 제약 사항의 일 예는 액세스 엘리먼트(Access element)의 유효기간이 될 수 있다. 요구 엘리먼트(Requirement element)는 RO를 이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조건을 표시한다. 요구 엘리먼트(Requirement element)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허가 엘리먼트(Permission element)를 실행할 수 없게 된다.
표2의 요구 엘리먼트(Requirement element)는 표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lement<requirement>
element
Figure pat00005
semantics
Figure pat00006
표3을 참조하면, 요구 엘리먼트(Requirement element)는 액세스 코드 엘리먼트(Access Code element)를 가진다. 액세스 코드 엘리먼트(Access code element)는 RO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자 혹은 DRM 에이전트(220)에 입력돼야 하는 값으로서 적합한 값이 입력되지 않으면 허가 엘리먼트(Permission element)와 연결된 RO에 대한 접근이 불허된다. 액세스 엘리먼트(Access code element)는 키 정보 엘리먼트(keyinfo element)를 포함하는데, 키 정보 엘리먼트(keyinfo element)가 지정하는 키로 액세스 코드(Access code)는 암호화되어 보관되게 된다. 액세스 코드 엘리먼트(Access code element)는 표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element<access code>
element
Figure pat00007
semantics
Figure pat00008
상기와 같은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RO가 디바이스(200)로 전달되면, 사용자는 관련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RO에 포함된 액세스 코드 엘리먼트에 저장된 액세스 코드와 동일한 액세스 코드를 획득하여 DRM 에이전트(220)에 전달되게 해야 한다.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사용자 또는 디바이스(200)에게 전달하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에서 사용되는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이용될 수도 있고,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를 이용해서 전달할 수도 있다. 또는 DRM 에이전트(220)에게 전달하기 위한 별도의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획득한 또는 입력한 액세스 코드(Access code)가 액세스 코드 엘리먼트(Access code element)에 저장되어 있는 값과 일치하지 않을 시에는 해당 RO가 사용되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해당 멀티미디어 서비스도 실행되지 않는다. 이러한 액세스 코드(Access code)의 사용 방법은 다양하다. 제1단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콘텐츠 실행시부터 사용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특정 단계의 콘텐츠를 실행할 때부터 사용할 수도 있다.
도3으로 돌아와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생성된 RO는 405단계에서, 디바이스(200)의 DRM 에이전트(310)에게 전달된다. 이때 사용되는 메시지는 RO 응답 메시지(ROResponse message)가 될 수 있다. DRM 에이전트(220)는 407단계에서 수신된 RO를 해석하여 제1단계의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게임 데이터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로 전송한다. 제1단계에 해당하는 게임 데이터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호된 게임 자체 혹은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파일 혹은 제1 단계의 게임에 사용될 메타 데이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단계의 해당하는 게임 데이터에 대한 소비 권한은 액세스 코드(Access code) 없이도 접근 가능하거나, 405단계에서 전달된 RO에 필요한 액세스 코드(Access code)가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1단계의 게임의 플레이를 완료한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에게 제2단계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2단계의 게임을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409단계에서 전달 받은 데이터에 포함된 내용에 따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동작하게 된다.
409단계에서 제2단계의 실행을 위해서는 액세스 코드(access code)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에게 전달된다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액세스 코드(access code) 요청 메시지를 권한 발행 서버(320)에게 바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409단계에서 단순히 콘텐츠 실행을 위한 데이터만이 전송되었다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DRM 에이전트(220)에게 제2단계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요청할 것이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두 번째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411단계에서 DRM 에이전트(220)에게 제2단계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요청한다. 그리고 DRM 에이전트(220)는 413단계에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에게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전송해 달라는 요청을 하게 된다.
액세스 코드(access code)가 필요하다는 것은 팝업 창 혹은 별도의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동작을 취해서 적합한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의 설정을 이용해, 사용자의 요구가 있을 시에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가 자동으로 액세스 코드를 권한 발행 서버(320)로 요청할 수도 있다. 권한 발행 서버(320)의 위치(주소)는 DRM 에이전트(220)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에게 알려줄 수도 있고, 별도의 방법을 통해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에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별도의 방법의 일예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의 설치시에 권한 발행 서버(320)의 주소를 입력해 놓는 것이 될 수 있다.
도3에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DRM 에이전트(220)의 요청에 따라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권한 발행 서버(320)에게 요청한다. 요청을 수신한 권한 발행 서버(320)는 417단계에서 액세스 코드(Access code)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 또는 디바이스(200) 사용자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을 시에는 권한 발행 서버(320)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 혹은 사용자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없게 된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의 인증 혹은 사용자에 대한 인증이 끝난 후에 권한 발행 서버(320)는 419단계에서 디바이스(200)로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전송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세스 코드(Access code)의 전송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3의 실시예에서는 권한 발행 서버(320)가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발행하는 주체로 설명되었으나, 콘텐츠 발행 서버(310)도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콘텐츠 발행 서버(310)가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발행할 시에는 권한 발행 서버(320) 간에 사전에 정해둔 값으로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발행하거나 혹은 권한 발행 서버(120)에게 콘텐츠 발행 서버(310)가 정한 액세스 코드(access code)값을 전송해 달라고 할 수도 있다.
419단계에서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전송받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421단계에서 제2단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실행을 위한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DRM 에이전트(220)로 전송한다.
DRM 에이전트(220)는 표1 내지 표4의 엘리먼트를 가지고 있는 RO에서 표4의 액세스 코드 엘리먼트(access code element)에 저장되어 있는 값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로부터 전달 받은 액세스 코드(access code)를 비교한다. 전달 받은 액세스 코드(access code)가 RO에 저장된 액세스 코드값에 부합하면, DRM 에이전트(220)는 423단계에서 제2단계 실행을 위한 데이터를 복호하여 전송한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210)는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2단계에 해당하는 게임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다음 단계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콘텐츠를 실행하기 위해 상기한 411단계 내지 423단계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RO에, 각 단계별로 RO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조건을 포함시키고, 디바이스가 해당 단계마다 접근 조건을 만족시키는 정보를 획득하게 함으로써, 단계적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사용자 또한 단계별 소비 권한을 편리하게 획득할 수 있게 하며, 최소의 오버헤드로 소비 권한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26)

  1. 디바이스가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권한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실행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소비 권한에 대한 접근 조건이, 상기 소비 권한에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접근 정보를 서비스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접근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근 정보가 상기 접근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소비 권한에 의해 규정된 범위만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단계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 조건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접근 정보를 서비스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과정은,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실행 요청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상기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콘텐츠를 파악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된 콘텐츠에 대응하여, 소비 권한에 특정 접근 조건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특정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특정 접근 정보를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로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은,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접근 정보가 상기 특정 접근 조건을 만족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특정 접근 정보가 상기 특정 접근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요청된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조건 및 상기 접근 정보는 액세스 코드이며,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와 상기 접근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조건이 만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권한과 관련된 정보는, 권한 발행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권한 객체(Right Object;RO)에 포함되어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되며, 상기 접근 조건은 상기 권한 객체에서 상기 소비 권한의 범위를 설정하는 허가 엘리먼트(permission element)에 종속되는 액세스 엘리먼트(access element)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엘리먼트는 상기 액세스 엘리먼트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제약 엘리먼트(Constraint element)와, 상기 접근 조건의 내용이 포함되는 요구 엘리먼트(Requirement element)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엘리먼트는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는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에 포함된 상기 권한 발행 서버와 콘텐츠 발행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11. 디바이스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권한을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 실행에 대응하는 특정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수신함에 따른 확인 결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의 소비 권한에 대한 접근 조건이, 상기 소비 권한에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접근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부로 요청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부에서 전달된 상기 접근 정보가 상기 접근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소비 권한에 의해 규정된 범위만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콘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어로 제공하는 에이전트와,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실행 요청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에이전트로 상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송신하고, 상기 에이전트의 상기 접근 정보 요청에 따라 서비스 네트워크로 상기 접근 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고, 상기 접근 정보를 상기 에이전트로 전달하고, 상기 에이전트에서 전달되는 상기 콘텐츠를 실행하는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단계적으로 제공되는 복수의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접근 조건은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에이전트는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에 해당하는 콘텐츠에 대응하여 설정된 특정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특정 접근 정보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요청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특정 접근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에이전트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상기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접근 조건이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접근 조건이 설정된 콘텐츠에 대한 실행 요청이 있으면,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로부터 해당 접근 정보를 획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조건 및 상기 접근 정보는 액세스 코드이며,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와 상기 접근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조건이 만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비 권한과 관련된 정보는, 권한 발행 서버에 의해 생성되는 권한 객체(Right Object;RO)에 포함되어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되며, 상기 접근 조건은 상기 권한 객체에서 상기 소비 권한의 범위를 설정하는 허가 엘리먼트(permission element)에 종속되는 액세스 엘리먼트(access element)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엘리먼트는 상기 액세스 엘리먼트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제약 엘리먼트(Constraint element)와, 상기 접근 조건의 내용이 포함되는 요구 엘리먼트(Requirement element)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엘리먼트는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는 상기 서비스 네트워크에 포함된 상기 권한 발행 서버와 콘텐츠 발행 서버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장치.
  21.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권한을 발행하는 권한 발행 서버가 소비 권한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로부터 복수의 콘텐츠를 단계적으로 제공하는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소비 권한 발행 요청을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권한의 범위를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복수의 콘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상기 소비 권한에 대한 접근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접근 조건을 포함하는 권한 객체(Right Object;RO)를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복수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의 콘텐츠에 대응하는 접근 조건을 만족하는 접근 정보에 대한 요청을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접근 정보를 상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조건 및 상기 접근 정보는 액세스 코드이며,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와 상기 접근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접근 조건이 만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조건은 상기 권한 객체에서 상기 소비 권한의 범위를 설정하는 허가 엘리먼트(permission element)에 종속되는 액세스 엘리먼트(access element)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엘리먼트는 상기 액세스 엘리먼트의 유효 기간을 나타내는 제약 엘리먼트(Constraint element)와, 상기 접근 조건의 내용이 포함되는 요구 엘리먼트(Requirement element)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엘리먼트는 상기 접근 조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정보에 대응하는 액세스 코드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HTTP(Hypertext Transport Protocol)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상기 디바이스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비 권한 관리 방법.
KR1020100070048A 2010-07-20 2010-07-20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731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48A KR101731292B1 (ko) 2010-07-20 2010-07-20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EP11809874.8A EP2596597A4 (en) 2010-07-20 2011-07-20 METHOD AND DEVICE FOR ADMINISTERING CONSUMPTION RIGHTS FOR MULTIMEDIA SERVICES
JP2013520653A JP5490319B2 (ja) 2010-07-20 2011-07-20 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に対する消費権限管理方法及び装置
CN201180035441.XA CN103004131B (zh) 2010-07-20 2011-07-20 管理多媒体服务的消费权限的方法和装置
PCT/KR2011/005363 WO2012011747A2 (en) 2010-07-20 2011-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sumption right for multimedia service
US13/187,128 US20120023594A1 (en) 2010-07-20 2011-07-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sumption right for multimedia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48A KR101731292B1 (ko) 2010-07-20 2010-07-20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340A true KR20120011340A (ko) 2012-02-08
KR101731292B1 KR101731292B1 (ko) 2017-05-02

Family

ID=4549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048A KR101731292B1 (ko) 2010-07-20 2010-07-20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023594A1 (ko)
EP (1) EP2596597A4 (ko)
JP (1) JP5490319B2 (ko)
KR (1) KR101731292B1 (ko)
CN (1) CN103004131B (ko)
WO (1) WO201201174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32454B2 (en) * 2011-08-29 2016-08-30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loud-to-cloud peering
CN111260375B (zh) * 2019-11-26 2023-09-26 泰康保险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服务处理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6735A (en) * 1992-04-17 1994-01-04 Secure Computing Corporation Data enclave and trusted path system
US5790664A (en) * 1996-02-26 1998-08-04 Network Engineering Software, Inc. Automated system for management of licensed software
JP2002297926A (ja) * 2001-03-30 2002-10-11 Fujitsu Ltd 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用の情報処理装置、コンテンツ・データ配信用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データを配信する方法
JP2003016401A (ja) * 2001-06-28 2003-01-17 Dainippon Printing Co Ltd Icカード、ソフトウェア配信装置、icカードプログラム及びソフトウェア配信プログラム
JP2003323515A (ja) * 2002-02-27 2003-11-14 Ricoh Elemex Corp 商品提供方法、商品提供システム、サーバー装置、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貸与システム、コンテンツ実行装置、コンテンツ解除装置、コンテンツ提供方法、コンテンツ実行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貸与方法
JP2003331145A (ja) * 2002-05-17 2003-11-21 Ntt Communications Kk コンテンツ販売方法及びコンテンツ販売プログラム
JP2003345762A (ja) * 2002-05-27 2003-12-05 Ntt Me Corp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システム、方法ならびにそ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891007B2 (en) * 2002-06-28 2011-02-1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ssuing usage licenses for digital content and services
JP2004194255A (ja) * 2002-12-13 2004-07-08 Canon Inc 代行録画システム
JP2005038167A (ja) * 2003-07-14 2005-02-10 Sony Corp 情報送信装置及び方法、情報受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提供システム
US7477740B2 (en) * 2005-01-19 2009-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cess-controlled encrypted recording system for site, interaction and process monitoring
US7849100B2 (en) * 2005-03-01 2010-12-0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generating usage rights for an item based upon access rights
KR20060105934A (ko) * 2005-04-01 2006-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자와 단말기간에 디지털 저작권 관리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그리고 그 시스템
US8321690B2 (en) * 2005-08-11 2012-11-27 Microsoft Corporation Protecting digital media of various content types
JP4868801B2 (ja) * 2005-09-13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ライセンス認証装置
KR20070053032A (ko) * 2005-11-18 2007-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장치 간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1401104B (zh) * 2006-03-15 2010-12-0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从服务器取回医疗数据的数字权利管理
US8190918B2 (en) * 2006-11-13 2012-05-29 Disney Enterprises, Inc. Interoperable digital rights management
WO2008113959A1 (fr) * 2007-02-28 2008-09-25 France Telecom Utilisation de droits d'acces a un contenu
US20090199287A1 (en) * 2007-06-26 2009-08-06 Luc Vantal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ditional access and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090082068A (ko) * 2008-01-25 2009-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의 메타데이터 제공 방법 및 장치와 컨텐츠의 이용권한 제한 방법 및 장치
US8387150B2 (en) * 2008-06-27 2013-02-26 Microsoft Corporation Segmented media content rights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1747A2 (en) 2012-01-26
JP2013532863A (ja) 2013-08-19
KR101731292B1 (ko) 2017-05-02
US20120023594A1 (en) 2012-01-26
EP2596597A4 (en) 2014-06-04
CN103004131A (zh) 2013-03-27
CN103004131B (zh) 2016-08-03
JP5490319B2 (ja) 2014-05-14
WO2012011747A3 (en) 2012-04-19
EP2596597A2 (en)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048B1 (ko) 클라우드 기반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와 그 시스템
US9548859B2 (en) Ticket-based implementation of content leasing
KR100753181B1 (ko) 사용자 및 디바이스 기반의 도메인 시스템의 도메인 관리방법 및 도메인 콘텍스트
KR101944800B1 (ko) Drm 모듈 다운로드 방법 및 장치
US8806208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abling a user to consume protected contents of a content provider
US20090228450A1 (en) Digital right management client system and method thereof as well as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KR20080058833A (ko) 개인 정보 보호 장치 및 방법
US20050044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ime management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130085540A (ko)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107737A (ko) 스마트 홈에서 디지털 콘텐츠를 사용하는 멀티유저/디바이스의 사용 권한을 제어하기 위한 접근 제어장치및 그 제어방법
JP5712283B2 (ja) 広告を強制視聴させる装置及び方法
US200803129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ata Product License-Modification Coupons
KR101731292B1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소비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JP5538618B2 (ja) Drmを用いる広告視聴を通した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装置
KR20090003420A (ko) 휴대단말의 콘텐츠 권리객체 획득방법 및 장치
KR100814064B1 (ko) Drm 컨텐츠 패키징 방법 및 시스템
KR101830968B1 (ko)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693483B1 (ko) 디.알.엠 기반의 기간 정액제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82230A (ko) 암호화된 콘텐츠의 복수 사용자 적용이 가능한 drm 방법
KR20100038525A (ko) 저작권자의 저작물 직접 관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747470B1 (ko) 온라인 권한 객체를 이용한 컨텐츠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클라이언트
KR20060128072A (ko) 디.알.엠 기반의 패키지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060014284A (ko) 복수의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drm 방법
JP2008527526A (ja) 許諾ドメイン管理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8003967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決済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