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0968B1 -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0968B1
KR101830968B1 KR1020100082187A KR20100082187A KR101830968B1 KR 101830968 B1 KR101830968 B1 KR 101830968B1 KR 1020100082187 A KR1020100082187 A KR 1020100082187A KR 20100082187 A KR20100082187 A KR 20100082187A KR 101830968 B1 KR101830968 B1 KR 101830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ghts object
advertisement
content
requested content
co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9072A (ko
Inventor
황승오
세르게이 니코레이에비치 세레즈네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2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0968B1/ko
Priority to EP11820172.2A priority patent/EP2609553B1/en
Priority to JP2013525826A priority patent/JP5630930B2/ja
Priority to PCT/KR2011/006227 priority patent/WO2012026745A2/en
Priority to CN201180040134.0A priority patent/CN103069448B/zh
Priority to US13/216,771 priority patent/US10102540B2/en
Publication of KR20120019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0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0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컨텐츠에 대한 권한 객체로부터 광고 강제 시청에 대한 정보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광고 강제 시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 및 광고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재생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컨텐츠에 대한 권한 객체와 연계된 공통의 권한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있을 경우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광고 소비와 연계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재생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AN ADVERTISEMENT WATCHING}
본 발명은 광고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이전에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송 서비스 혹은 주문형 컨텐츠 전송 서비스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디바이스는 기본적으로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이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디바이스가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한 시간이나 서비스받은 데이터량만큼의 이용료가 부과되게 된다. 이러한 과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 중의 하나로 서비스와 같이 제공되는 광고를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푸시(push) 방식을 이용한 서비스가 있다. 이와 같이 광고를 연계한 서비스의 경우 디바이스의 사용자에게 강제적으로 광고를 시청하게 한 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저렴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보호를 위해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이 사용되는 데, 이러한 DRM은 불법 유통 및 배포로부터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보호하는 기술의 하나로, 유료 서비스 또는 유료 컨텐츠의 안전한 배포를 보장하고, 불법 배포를 방지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DRM은 서비스 제공자 또는 컨텐츠 제공자의 권리와 이익을 안전하게 보호하며 불법복제를 막고 사용료 부과와 결제대행 등 서비스 또는 컨텐츠의 생성에서 유통,관리까지를 일괄적으로 지원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비스나 컨텐츠의 보호에 사용된 DRM 기술은 대가를 지불함으로써 정당한 권리를 구입한 사용자의 디바이스에만 서비스 또는 컨텐츠가 재생되게 하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DRM 기술은 서비스 혹은 컨텐츠를 특정 기기에 종속시켜 재생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으며, 그 기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컨텐츠의 종류 및 횟수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고가의 서비스나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이용 비용 개선이 주요 관심 사항일 것이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때 광고를 함께 제공하는 방식은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이용 비용을 개선할 수 있어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소비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기능은 서비스와 같이 제공되는 광고를 사용자가 반드시 시청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방법이며, 따라서 광고 시청을 강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지속적인 확대 및 증가로 인해, 멀티미디어 서비스에서의 광고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다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광고 소비와 연계된 권한과 제약 조건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와 함께 일반적으로 영상 광고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음성 광고, 지면 광고, 그림 및 플래시(flash)와 같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된 광고도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광고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도 함께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광고를 강제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보호하는 DRM 기술과 연계하여 광고 시청을 강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광고들에 대한 시청을 강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광고를 공통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서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의 재생 요청이 있으면,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권한 객체와 연계된 공통의 권한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있을 경우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광고 소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획득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권한 객체와 연계된 공통의 권한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있을 경우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광고 소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획득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광고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달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의 광고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달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에이전트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는 미리 정해진 강제 재생 시간 동안 상기 광고를 재생한 후, 상기 광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DRM 에이전트로 상기 컨텐츠의 제공을 요청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가 연계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전에 사용자가 반드시 광고를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광고주의 입장에서는 광고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다양한 종류의 광고들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광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고를 일정 시간 동안 강제로 시청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저렴하게 이용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시장이 확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연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O 구조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통의 RO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개별 RO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DRM 에이전트 간의 동작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내부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있어서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방송 응용 표준 단체인 OMA(Open Mobile Alliance)의 DRM(Digital Right Management)에서 정의하고 있는 기술 및 개체들의 명칭을 동일하게 사용할 것이나, 이러한 표준 및 명칭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다음과 같이 분리하여 기술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컨텐츠에 대한 권한 객체로부터 광고 강제 시청에 대한 정보의 포함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광고 강제 시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 및 광고의 종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재생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컨텐츠에 대한 권한 객체와 연계된 공통의 권한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있을 경우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광고 소비와 연계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재생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고를 연계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하는 시스템의 구성도를 예시하고 있는데, 특히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보호하는 DRM 기술과 연계하여 광고 강제 시청 방법에 관여하는 엔터티들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DRM 기술이 보호하고자 하는 서비스 또는 컨텐츠를 통칭하여 멀티미디어 서비스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 1에서 컨텐츠 프로바이더 및 컨텐츠 승인 서버만 도시되어 있으나, 서비스 프로바이더 및 서비스 승인 서버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컨텐츠 프로바이더가 컨텐츠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100) 측에는 컨텐츠 혹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CP)(101)가 있으며,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 프로바이더(Advertisement Provide: AP)(102)가 있다.
상기 컨텐츠 프로바이더(101)는 컨텐츠를 컨텐츠 승인 서버(Content Issuer: CI)(103)로 제공하고, 광고 프로바이더(102)는 광고를 컨텐츠 승인 서버(103)로 제공한다.
컨텐츠 승인 서버(103)의 역할은 DRM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에서 컨텐츠에 대한 승인, 사용자가 보내온 컨텐츠 제공 요청에 대한 처리, 선택적으로 권리 승인 서버(Right Issuer: RI)(104)와의 협약에 따라 암호화된 컨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암호화 키 및 상기 컨탠츠의 재생 권리를 수록한 권한 객체(Right Object:이하, RO)를 사용자의 디바이스(11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승인 서버(130)는 컨텐츠와 함께 전송될 광고를 선택하여 컨텐츠 및 광고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컨텐츠 및 광고는 같이 전송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디바이스(110)에게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컨텐츠와 광고의 패키지 구성 정보는 컨텐츠 승인 서버(103) 혹은 권리 승인 서버(104)가 사업 협약에 따라 각각 서로 역할을 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바이스(110)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와 DRM 에이전트(agent)(112)로 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110)는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복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장치로서, DRM 기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00)측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소비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는 컨텐츠 및 광고를 재생할 수 있는 엔터티로서, DRM 에이전트(112)로부터 복호화된 컨텐츠 혹은 광고를 받아 재생하게 된다. 또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는 DRM 에이전트(112)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 혹은 광고 및 상기 컨텐츠와 광고를 복호할 수 있는 키를 수신하여, 복호작업을 수행한 후 컨텐츠 혹은 광고를 재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DRM 에이전트(112)는 DRM 컨텐츠 처리 엔진(Content Processing Engine)(이하 DCPE)(113)와 권리 관리부(Right Manager, 이하 RM)(114)로 구성된다. DCPE(113)는 컨텐츠 제공 요청에 따라 암호화된 컨텐츠 혹은 광고를 복호화하여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로 제공하고, 상기 복호작업을 위해 RM(114)에게 복호화 과정에 사용될 키를 가져온다.
RM(114)은 디바이스(110)의 권리 승인 서버(104)에 대한 등록, 상기 디바이스(110)가 소비할 컨텐츠에 대한 RO 획득, 상기 RO의 소비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도 1의 네트워크(100)상의 엔터티들은 서로 다른 엔터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합 엔터티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110)상의 엔터티들도 서로 다른 엔터티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합 엔터티로도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M(114)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광고들을 일정 시간 동안 강제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RO를 획득 및 이를 분석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RM(114)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요청된 컨텐츠의 RO를 확인하고, 그 확인된 RO와 연계된 공통의 RO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공통의 RO가 있을 경우 그 공통의 RO를 분석함으로써 요청된 컨텐츠를 재생하기 이전에 보여져야 하는 광고 및 그 광고의 종류를 판단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공통의 RO는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광고를 공통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공통의 권한 및 제어 조건을 나타낸다. 이러한 공통의 RO는 다수의 컨텐츠에 대해 다양한 종류의 광고 소비와 연계된 권한과 제어 조건을 공통적으로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개개의 RO에 권한과 제약 조건을 일일이 부여할 필요없이 하나의 공통된 RO만으로도 연계된 모든 컨텐츠의 광고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권한과 제약 조건의 갱신이 요구될 때에는 공통된 RO만을 갱신하면 되므로, 광고와 연계된 RO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O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에 이어지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REL(Right Expression Language)에서 설명하고 있는 일반적인 내용은 생략될 것이나, 본 발명에서 생략된 REL의 내용은 OMA DRM REL 규격에 따르며, 본 발명과 관계된 내용만이 설명될 것이다. 여기서, REL은 OMA DRM 기술에서 RO를 표현하기 위해 정의된 기술 규격이다.
도 2를 참조하면, RO는 ‘right’라는 최상위 엘리먼트로 시작하고, 상기 ‘right’는 ‘context’와 ‘agreement’라는 부엘리먼트를 가진다. 여기서, ‘context’ 엘리먼트는 상기 RO의 식별자와 사용된 DRM 버전 등의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며, 도 2에서는 상기 RO의 식별자가 ‘RightsObjectID’, 사용된 DRM 버전이 ‘2.2’임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agreement’ 엘리먼트는 상기 RO와 부합하여 사용되는 컨텐츠의 식별자, 컨텐츠의 암호/복호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컨텐츠의 권한에 대한 내용을 가지는 부엘리먼트이다.
이어, 도 3에서 ‘permission’엘리먼트(300)는 상기 RO와 연결된 컨텐츠의 권한 범위를 설정하며, ‘agreement’ 엘리먼트의 하위 엘리먼트이다. 이러한 ‘permission’ 엘리먼트(300)는 RO가 가르키는 컨텐츠의 play(재생), display(표시), execute(실행), print(인쇄) 등의 동작 범위 및 제한 조건을 규정한다. ‘asset’ 엘리먼트(305)는 상기 RO와 연결된 컨텐츠 식별자를 제공하며, ‘permission’ 엘리먼트(300)의 부엘리먼트이다.
‘play’ 엘리먼트(310)는 ‘asset’ 엘리먼트(305)가 가리키는 컨텐츠의 재생이 허가됨을 알려주는 것이다. 이때, ‘play’ 엘리먼트(310)를 수행하기 전에 ‘ requirement’ 엘리먼트(315) 안에 있는 내용이 충족이 되어야, DRM 에이전트(112)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에게 복호된 컨텐츠 혹은 컨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복호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에 대한 광고의 강제 재생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컨텐츠와 결합시키기 위해 ‘requirement’ 엘리먼트(315)가 이용되며, 그 ‘requirement’ 엘리먼트(315)는 ‘playout’(320), ‘displayout’(330), ‘executeout’(340) 이라는 하위 엘리먼트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requirement’ 엘리먼트(315)의 예는 하기 표 1과 같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112010054689906-pat0000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requirement’ 엘리먼트(315)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A/V 형태의 광고의 재생 방법, 텍스트 또는 그림 형태의 광고의 재생 방법 및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광고의 재생 방법이 정의되며, 광고의 종류별로 하나 이상의 광고 재생 방법들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고의 종류별 재생 방법 중의 하나로 ‘playout’은 A/V 형태의 광고를 특정 시간동안 강제로 시청하여야 상기 광고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권한에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playout’ 엘리먼트를 예시하면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54689906-pat00002
상기 표 2는 "Element <playout>"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playout’ 엘리먼트(320) 내의 ‘asset’ 엘리먼트가 가리키는 광고 컨텐츠가 ‘enforcement duration’ 엘리먼트 동안 반드시 재생되어야 함을 정의하고 있다. 즉, ‘playout’ 엘리먼트(320)는 광고의 종류가 A/V 형태의 광고임을 나타내며, 그 A/V 형태의 광고에 대한 최소 재생 시간이 정의되어 있다. 도 3의 ‘playout’ 엘리먼트(320)에서는 “Advertisement Content#1”이라는 컨텐츠가 ‘180’초 동안 재생되어야 함을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enforcement duration'은 광고 강제 재생 시간 상태를 가리키며, 'Enforcement Period'와 'Grace time'으로 구성된다. 'Enforcement Period'는 광고가 반드시 재생되어야 하는 기간을 가르키며, 'Grace time'은 광고 재생 후에, 끊김없이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도록, DPCE(113)가 컨텐츠의 복호에 사용될 키를 권리 승인 서버(104)에 요청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한편,‘displayout’은 텍스트(text), 그림 혹은 정지 영상 형태의 광고를 특정 시간 동안 강제로 시청함으로써 상기 광고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권한에 접근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displayout’ 엘리먼트를 예시하면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54689906-pat00003
상기 표 3은 "Element <displayout>"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displayout’ 엘리먼트(330) 내의 ‘asset’ 엘리먼트가 가리키는 컨텐츠가 ‘enforcement duration’ 엘리먼트 동안 반드시 표시되어야 함을 정의하고 있다. 즉, ‘displayout’ 엘리먼트(330)는 광고의 종류가 텍스트 또는 그림 형태의 광고임을 나타내며, 그 텍스트 또는 그림 형태의 광고에 대한 최소 표시 시간이 정의되어 있다.
‘executeout’은 프로그램 혹은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광고를 특정 시간 동안 강제로 시청 혹은 이용하여야 상기 광고와 연결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권한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executeout’ 엘리먼트를 예시하면 하기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0054689906-pat00004
상기 표 4는 "Element <executeout>"을 나타낸 것으로, 도 3의 ‘executeout ’ 엘리먼트(340) 내의 ‘asset’ 엘리먼트가 가르키는 어플리케이션 광고가 컨텐츠의 이용 전에 반드시 실행되어야 함을 정의하고 있다. 즉, ‘executeout’ 엘리먼트(340)는 광고의 종류가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광고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executeout’이 ‘playout’ 및 ‘displayout’과 다른 점은 ‘enforcement duration’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는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또는 플래시와 같은 리치 미디어(rich media)들은 고유의 실행 시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별도의 강제 재생 시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playout’, ‘displayout’, ‘executeout’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광고들의 시청을 강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playout’, ‘displayout’, ‘executeout’을 사용한 R0의 예를 나타낸 도 3을 상세히 설명하면, ‘requirement’ 엘리먼트(315) 내에 하나의 ‘playout’ 엘리먼트(320)는 1개의 A/V 광고를 나타내며, ‘displayout’ 엘리먼트(330)는 1개의 텍스트 광고를 나타내며, ‘executeout’ 엘리먼트(340)는 1개의 어플리케이션 A/V 광고를 나타낸다.
‘playout’, ‘displayout’, ‘executeout’을 이용하여 광고의 종류를 지정할 수 있으며, ‘playout’, ‘displayout’, ‘executeout’의 각 개수에 따라 각각의 종류의 광고의 개수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7개의 A/V 광고, 2개의 텍스트 광고, 5개의 어플리케이션 광고를 제어하기 위해서 7개의 ‘playout’, 2개의 ‘displayout’, 5개의 ‘executeout’ 엘리먼트들을 ‘requirement’ 엘리먼트(315) 내에 규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2 및 도 3에서는 RO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제안된 내용을 이용하여 다른 방법으로 RO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에서는 컨텐츠와 결합된 광고의 수가 3개이며, 영상광고, 텍스트 광고, 어플리케이션 광고 등 3가지 종류의 광고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광고들의 수와 종류 등에 대한 구성은 사업 모델에 따라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각 광고의 재생순서는 ‘playout’, ‘displayout’, ‘executeout’이 ‘requirement’ 엘리먼트(315)에 규정되어 있는 순서에 따라 재생됨을 가정하나, 별도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만일 ‘playout’ 혹은 ‘displayout’이 ‘requirement’ 엘리먼트(315) 내의 최하위에 위치할 경우에는 ‘gracetime’을 optional 하부 엘리먼트로 가짐으로써 광고 재생 후 컨텐츠를 재생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O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4에 이어지는 도면으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통의 RO 구조도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에 대한 개별 RO 구조도를 예시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공통의 RO를 부모 권한 객체(Parent Right Object: PRO)라 칭하며, 개별 RO를 자식 권한 객체(Child Right Object: CRO)라 칭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PRO 및 CRO에 대해 설명되지 않은 부분들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직접 관련이 없는 부분들이며, OMA DRM REL 2.2에 상세한 내용들이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CRO는 각 컨텐츠마다 하나씩 규정된 컨텐츠의 권한을 의미하며, 이러한 CRO는 PRO와 연결될 수 있는 참조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반면, PRO는 다수의 컨텐츠에 대한 광고를 공통적으로 강제할 수 있는 공통의 권한 및 제한 조건을 나타낸다.
이를 위해 PRO는 하나의 RO로써, 다수의 컨텐츠들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permission' 및 'constraint'를 규정하고 있다. CRO는 컨텐츠들마다 하나씩 규정되므로, 그 각각의 CRO는 상기 'permission' 을 가지고 있는 PRO와의 연결 고리를 제공하기 위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되는 컨텐츠가 달라지더라도 공통적으로 'permission' 및 'constraint'를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CRO와 PRO 간의 관계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유한 다수의 컨텐츠들을 시청할 때 다양한 종류의 광고들을 강제로 시청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CRO와 PRO는 하기 표 5에서와 같은 엘리먼트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Figure 112010054689906-pat00005
상기 표 5는 "Element <Inherit>"을 나타낸 것이다. 이 'inherit' 엘리먼트는 도 6에서와 같이 CRO 내에 규정되며,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PRO에 규정된 권한 및 제한 조건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 PRO와의 연결 정보를 가리킨다.
구체적으로, 'Inherit' 엘리먼트는 PRO에 규정되어 있는 'permission'과 'constraint'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인자로 가진다. 이에 따라 DRM 에이전트(112)가 상기 CRO를 처리할 때에 상기 PRO도 함께 처리함으로써 PRO에 규정되어 있는 'permission'과 'constraint'를 CRO에 연계된 컨텐츠에 적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와 연계된 컨텐츠를 공급하는 CI(Content Issuer) 혹은 RI(Right Issuer)들이 다수의 컨텐츠에 대해서 광고 소비와 연계된 공통의 권한과 제약 조건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 개개의 RO에 권한과 제약 조건을 일일이 부여할 필요 없이, 하나의 RO를 가지고 연계된 모든 컨텐츠에 대해서 동일한 권한과 졔약 조건을 부여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권한과 제약 조건을 갱신하고 싶은 경우에는 PRO 하나만을 갱신하면 되기 때문에, 광고와 연계된 RO의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먼저, 도 5의 'asset' 엘리먼트(400)은 도 6의 CRO의 'inherit' 엘리먼트(600)를 통해 참조할 PRO의 식별자를 정의하는 엘리먼트이다. 이 'asset' 엘리먼트(400)는 'context'(401)를 인자로 가진다. 이 'context'(401)는 'ParentAssetUID'(403)를 제공함으로써 CRO가 도 4 및 도 5의 PRO의 권한과 제어 조건을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permission' 엘리먼트(510)는 상기 PRO와 연계된 CRO들이 권한을 가지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허가 조건을 규정하는 엘리먼트이다. 도 5에서의 'permission' 엘리먼트(510)은 CRO와 연계된 컨텐츠에 대해서 재생, 표시 및 실행 등의 동작을 허용하는 'play'(520)와 'display'(530) 및 'execute'(540)의 각 엘리먼트를 가지고 있다.
도 5에서는 컨텐츠의 종류에 상관없이 'play'(520)와 'display'(530) 및 'execute'(540)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재생, 표시 및 실행 등의 권한을 부여하고 있지만, 만일 컨텐츠가 오디오/비디오 컨텐츠인 경우 'play'(520)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재생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컨텐츠가 그림 혹은 문서인 경우 'display'(530)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표시 권한만을 설정할 수 있으며, 컨텐츠가 게임 등의 프로그램인 경우 'execute'(540) 엘리먼트를 이용하여 실행 권한만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재생, 표시 및 실행 등의 다수의 권한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DRM 에이전트(112)는 CRO와 연계된 컨텐츠 종류에 최적인 권한을 사용하게 된다.
컨텐츠에 대한 동작 범위 및 제한 조건을 규정한 각각의 엘리먼트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play'(520) 엘리먼트는 CRO와 연계된 컨텐츠의 실행 이전에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인 'requirement'(521)를 가진다. 'requirement'(521)는 'playout'(522)과 'enforcement duration'(526)을 인자로 가지고 있다. 이러한 'playout'(522)에 따르면, 'enforcement duration'(526)에 정의된 기간 예컨대, '180'초 동안 advertisement content #1(525)을 강제로 재생하게 된다.
'display'(530)는 CRO와 연계된 컨텐츠의 실행 이전에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인 'requirement'(531)를 가진다. 'requirement'(531)는 'displayout'(532)과 'enforcement duration'(536)을 인자로 가지고 있다. 이러한 'displayout'(532)에 따르면, 'enforcement duration'(536)에서 정의된 기간 예컨대 '30'초 동안 advertisement content #2(535)을 강제로 표시하게 된다.
'execute'(540)는 CRO와 연계된 컨텐츠의 실행 이전에 충족되어야 하는 조건인 'requirement'(541)를 가진다. 'requirement'(541)는 'executeout'(542)을 인자로 가지고 있으며, advertisement content #3(545)을 강제로 실행하게 된다.
상기 도 5에서는 'play'(520)와 'display'(530) 및 'execute'(540)의 권한들이 각각 'playout'(522), 'displayout'(532) 및 'executeout'(542) 엘리먼트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대한 예가 도시되었지만, 반드시 보여져야 하는 광고들의 종류에 따라 'play'(520) 권한이 'playout'(522), 'displayout'(532) 및 'executeout'(542) 엘리먼트를 모두 가질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의 방식이 'display'(530) 및 'execute'(540) 권한들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6의 CRO는 그 CRO와 연계된 컨텐츠를 지시하는 컨텐츠 식별자(610)를 제공한다. 이러한 컨텐츠 식별자(610)는 그 컨텐츠 식별자(610)에 의해 지시되는 컨텐츠가 도 6의 CRO에 의해 권한이 설정됨을 의미한다. 또한 CRO는 도 4 및 도 5의 PRO를 참조할 수 있는 참조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를 위해 'inherit' 엘리먼트(600)를 가진다. 'inherit' 엘리먼트(600)는 도 5의 PRO의 권한 및 제어 조건에 대한 식별자인 'ParentAssetUID'(602)를 제공한다. 이 'ParentAssetUID'(602)는 참조할 PRO의 식별자를 나타내며, 도 4의 'ParentAssetUID'(403)와 동일하게 정의된다. 이러한 'ParentAssetUID'(602)를 통해 도 5의 PRO에서 정의된 권한 및 제어 조건을 컨텐츠 식별자(610)가 가르키는 컨텐츠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의 CRO에는 컨텐츠에 대한 별도의 권한 및 제어 조건을 규정하지 않고, 컨텐츠 식별자(610)에 의해 지시되는 컨텐츠에 대해서는 도 5의 PRO의 권한 및 제어 조건이 적용된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은 CRO는 컨텐츠마다 정의되며, 'inherit' 엘리먼트(600)를 사용함으로써 도 5의 PRO와 연결되게 된다. 이에 따라 컨텐츠 재생 전에 반드시 보여져야 하는 다양한 종류의 광고들에 대해서 동일한 권한 및 제어 조건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컨텐츠와 연계된 RO를 디바이스(110)가 수신한 후, DRM 에이전트(112)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 간의 동작 흐름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는 705단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 재생 요청(request to play content)를 DRM 에이전트(112)로 전송한다. 여기서, 그 컨텐츠 재생 요청이 가르키는 컨텐츠는 특정 광고의 시청 후에 볼 수 있는 컨텐츠이며, 도 7에서는 상기 컨텐츠에 관련된 권한 및 특정 광고의 시청을 강제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RO는 DRM 에이전트(112)에 이미 전송되어 있다고 가정하나, 이와 달리 RO는 사용자의 컨텐츠 재생 요청 이후에도 수신받을 수도 있다.
DRM 에이전트(112)는 710단계에서 요청된 컨텐츠의 RO를 확인한다. 즉, 컨텐츠 재생 요청이 가르키는 컨텐츠에 대한 RO를 찾은 후 그 RO를 해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RO에는 컨텐츠 재생 요청이 가르키는 컨텐츠를 제공하기 이전에 광고 시청이 강제되어야 한다는 제약뿐만 아니라 광고의 종류도 더 반영되어 있다. 예를 들어, RO의 ‘requirement’ 엘리먼트 내에는 A/V 컨텐츠의 광고 재생을 강제하는 ‘playout’, 텍스트 또는 그림 형태의 광고 표시를 강제하는 ‘disp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리치 미디어 형태의 광고를 강제로 이용하게 하는 ‘executeout’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요청된 컨텐츠의 RO를 확인함으로써 광고 강제 시청에 대한 정보 및 광고의 종류를 분석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RO는 개별 RO에 해당하므로 요청된 컨텐츠의 개별 RO를 확인함으로써 그 개별 RO로부터 공통의 RO로의 참조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이에 따라 DRM 에이전트(112)는 712단계에서 공통의 RO가 있다고 판단되면, 713단계로 진행하여 다수의 컨텐츠들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권한 및 제한 조건을 규정하고 있는 공통의 RO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확인하게 되면, DRM 에이전트(112)는 715단계에서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의 전달을 위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DRM 에이전트(112)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로의 광고 전달을 위한 처리 동작으로써 어떠한 종류의 광고인지와 그 광고의 위치와 해당 종류의 광고 개수, 재생 순서 등을 파악하며, 상기 광고가 암호화되어 있을 경우 복호화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DRM 에이전트(112)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로의 광고 전달을 위한 처리 동작으로써 공통의 RO로부터 어떠한 종류의 광고인지와 그 광고의 위치와 해당 종류의 광고 개수, 재생 순서 등을 파악하게 되며, 상기 광고가 암호화되어 있을 경우 복호화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나서 DRM 에이전트(112)는 720단계에서 광고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로 광고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도 7에서는 광고 및 컨텐츠의 복호 작업이 DRM 에이전트(112)에서 수행됨을 가정했으나,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에서도 복호 과정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DRM 에이전트(112)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에 제공하는 것은 상기 복호 과정에 사용될 암호화 키값이 될 수 있다.
반면, 광고를 전달한 DRM 에이전트(112)는 725단계에서 강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강제 상태란 “enforcement” 상황을 유지하는 것으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가 컨텐츠의 재생을 위하여 상기 컨텐츠를 요구하더라도, DRM 에이전트(112)는 그 요구에 응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한다. 상기 “enforcement” 상황의 유지 시간은 모든 ‘playout’ 엘리먼트들의 ‘enforcement duration’, 모든 ‘displayout’ 엘리먼트들의 ‘enforcement duration’ 및 ‘executeout’ 엘리먼트가 가르키는 모든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 시간의 합이 된다.
한편, DRM 에이전트(112)가 제공한 광고를 모두 재생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는 730단계에서 컨텐츠 재생 요청(request to play content)를 DRM 에이전트(112)로 보내게 된다. 그러면 DRM 에이전트(112)는 735단계에서 RO에서 규정한 시간동안 광고가 재생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 740단계에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가 요구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작업이라 함은 상기 컨텐츠의 위치 파악 후, 컨텐츠를 확보하여 복호 과정을 수행하는 것 혹은 상기 컨텐츠의 복호화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컨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암호화 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DRM 에이전트(112)는 745단계에서 복호화된 컨텐츠를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로 전달하면, 멀티미디어 플레이어(111)는 상기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에서 제안된 DRM 기반의 다양한 종류의 광고 시청 강제 기술을 구현한 디바이스(110) 내의 DRM 에이전트(112)에서의 동작 알고리즘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805단계에서 DPCE(113)는 RM(114)에게 특정 컨텐츠의 복호를 위한 암호화 키의 전송을 요구한다. 즉, 컨텐츠 키(content key)를 요청한다. RM(114)은 810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컨텐츠의 RO를 해석한다. 이러한 해석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825단계에서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가 컨텐츠의 소비 이전에 광고 시청이 강제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RO의 해석을 통해 공통의 RO로의 참조 정보가 있는 경우 815단계에서 공통의 RO가 있다고 판단하여 820단계에서 공통의 RO를 분석한다.
RM(114)은 825단계에서 상기 요청된 컨텐츠가 광고 소비가 필요 없는 컨텐츠로 판단되면, RM(114)은 830단계에서 DCPE(113)에게 상기 DCPE(113)가 요청한 컨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키를 제공한다. 이와 달리 RM(114)이 825단계에서 요청된 컨텐츠의 재생을 위해서는 광고 시청이 선행되어야 함을 인지하면, 835단계에서 광고 선택 동작 즉, 상기 컨텐츠의 재생 이전에 재생되어야 하는 광고들 및 상기 광고들의 종류를 파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서의 RO를 분석함으로써 광고들 및 상기 광고들의 종류를 파악하게 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의 CRO를 이용하여 도 4 및 도 5의 PRO를 분석함으로써 광고들 및 상기 광고들의 종류를 파악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RM(114)은 컨텐츠의 재생 이전에 재생되어야 하는 광고들 뿐만 아니라 그 광고들의 종류도 함께 파악한다. 이때, 상기 파악된 광고들의 재생 순서도 파악한다. 이때, 광고들의 재생 순서는 'requirement' 엘리먼트 내에 정의된 순서에 따를 수 있으며, 다르게는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광고가 우선적으로 재생되도록 하는 등의 광고의 종류에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방법 등 재생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나서 840단계에서는 상기 파악된 광고들 중 제일 먼저 재생되어야 하는 광고의 식별자 및 상기 광고의 복호화를 위한 암호키를 DCPE(113)에게 전달한다. RM(114)은 845단계에서 강제 상태(enforcement state)로 모드를 전환한다. DCPE(113)는 850단계에서 컨텐츠에 대한 접근 권한 및 컨텐츠의 복호에 사용할 암호키를 RM(114)에게 요구한다. 여기서, 컨텐츠의 복호에 사용할 암호키를 컨텐츠키(content key)라 칭한다.
RM(114)은 855단계에서 상기 DCPE(113)가 요청한 컨텐츠가 상기 DCPE(113)가 805단계에서 암호키를 요청한 컨텐츠와 동일한 컨텐츠인지에 대한 판별 작업을 수행한다. 만일 RM(114)이 DCPE(113)가 850단계에서 요청한 컨텐츠가 805단계에서 요청한 컨텐츠와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하면, 88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805에서 요청된 컨텐츠 때문에 유지하고 있던 강제 상태(enforcement state)를 해제한 후, 890단계로 진행하여 850단계에서 요청한 컨텐츠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며, 상기 작업은 810단계에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반면, 855단계에서 상기 RM(114)이 850단계에서 받은 요청이 가르키는 컨텐츠가 805단계에서 요청 받은 컨텐츠가 동일하다고 판별하면, 860단계를 수행한다. RM(114)은 860단계에서 RO의 'requirement' 엘리먼트에 규정되어 있는 모든 광고들의 강제 시청 시간이 지났는지에 대한 판별을 수행하여, 광고 강제 시청 시간이 지났으면, 810단계로 진행하여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DCPE(113)가 요청한 컨텐츠를 복호할 수 있는 암호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860단계에서 광고 강제 시청 시간이 지나지 않았다고 판별되면, RM(114)은 865에서 'grace period' 기간 동안 요청을 받은 것인지에 대한 판단을 한다. 단, 상기 'grace period'는 'requirement' 엘리먼트의 제일 마지막에 위치한 'playout' 혹은 'displayout'의 값을 사용하며, 상기 'requirement' 엘리먼트의 제일 마지막에 'executeout'이 규정되어 있으면 860단계는 수행되지 않는다. 여기서,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플래시와 같은 리치 미디어들은 고유의 실행 시간을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광고 강제 재생 시간이 지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860단계의 동작은 생략될 수 있는 것이다.
RO가 'grace period'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grace period' 내에 요청이 들어왔으면, RM(114)은 870단계에서 강제 상태(enforcement state)를 벗어나서, 875단계로 진행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광고의 상태(status)를 시청으로 변경하는 등의 업데이트를 수행한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컨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키를 제공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반면, 865단계에서 RM(114)은 'grace period' 외의 시간대에서 요청이 들어온 것을 확인하면, 880단계에서 DCPE(113)로 잘못된 요청을 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도 8은 DRM 에이전트(112)가 단 하나의 강제 상태로 모든 컨텐츠를 관리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된 DRM 에이전트(112)의 동작이며, 상기 DRM 에이전트(112)가 각각의 컨텐츠에 대해서 강제 상태를 별도로 관리한다면, 다른 알고리즘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8에서 855단계, 885단계 및 890단계에서의 동작은 필요 없게 된다.

Claims (16)

  1. 장치에서 광고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의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개별 권한 객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공통의 권한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광고 소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광고 소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재생하는 과정
    을 포함하고,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는 상기 개별 권한 객체 보다 상위 계층의 권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광고 재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에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의 참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에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의 참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권한 객체는,
    하나 이상의 A/V 형태의 광고를 재생하는 방법, 하나 이상의 텍스트 또는 그림 형태의 광고를 재생하는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광고를 재생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권한 객체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권한,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의 식별자, 상기 광고의 종류에 따른 재생 방법 및 미리 정해진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상기 미리 정해진 재생 시간 동안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재생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확인하는 과정
    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의 위치 및 종류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가 암호화되어 있을 경우,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복호화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방법.
  9. 광고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재생 요청을 전송하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와,
    상기 컨텐츠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개별 권한 객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공통의 권한 객체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공통의 권한 객체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광고 소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달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의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달하고,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광고 소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되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달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서의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요청된 컨텐츠를 상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 전달하는 DRM(Digital Right Management) 에이전트를 포함하고,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는 상기 개별 권한 객체 보다 상위 계층의 권한 객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개별 권한 객체에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의 참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의 참조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권한 객체는,
    하나 이상의 A/V 형태의 광고를 재생하는 방법, 하나 이상의 텍스트 또는 그림 형태의 광고를 재생하는 방법 및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형태의 광고를 재생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권한 객체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에 대한 권한,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의 식별자, 상기 광고의 종류에 따른 재생 방법 및 미리 정해진 재생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확인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와 연결된 상기 공통의 권한 객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된 개별 권한 객체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의 위치 및 종류를 파악하고,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가 암호화되어 있을 경우, 상기 광고를 복호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RM 에이전트는,
    상기 요청된 컨텐츠와 연계된 광고를 상기 미리 정해진 재생 시간 동안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재생 장치.
KR1020100082187A 2010-08-24 2010-08-24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30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87A KR101830968B1 (ko) 2010-08-24 2010-08-24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EP11820172.2A EP2609553B1 (en) 2010-08-24 2011-08-23 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advertisement viewing
JP2013525826A JP5630930B2 (ja) 2010-08-24 2011-08-23 多様な種類の広告を強制視聴するようにするデバイス及び方法
PCT/KR2011/006227 WO2012026745A2 (en) 2010-08-24 2011-08-23 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advertisement viewing
CN201180040134.0A CN103069448B (zh) 2010-08-24 2011-08-23 用于强制收看广告的装置和方法
US13/216,771 US10102540B2 (en) 2010-08-24 2011-08-24 Device and method for enforcing advertisement view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87A KR101830968B1 (ko) 2010-08-24 2010-08-24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072A KR20120019072A (ko) 2012-03-06
KR101830968B1 true KR101830968B1 (ko) 2018-02-21

Family

ID=4569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187A KR101830968B1 (ko) 2010-08-24 2010-08-24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02540B2 (ko)
EP (1) EP2609553B1 (ko)
JP (1) JP5630930B2 (ko)
KR (1) KR101830968B1 (ko)
CN (1) CN103069448B (ko)
WO (1) WO20120267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181B1 (ko) * 2012-08-07 2019-04-22 네이버 주식회사 광고 수익 공유를 이용한 동영상 저작권 보호 방법 및 시스템
CN112423078B (zh) * 2020-10-28 2022-08-30 卡莱特云科技股份有限公司 运用在led显示屏幕中的广告播放方法及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0242A1 (en) * 2007-04-24 2008-10-30 Cvon Innovations Ltd.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ntent to multimedia devices
JP2009206535A (ja) * 2006-06-02 2009-09-10 Keiichiro Sugiyam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および再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251A (ja) * 2000-09-27 2002-04-12 Sanyo Electric Co Ltd 著作物の配信方法及び著作物の記憶媒体
KR100576581B1 (ko) 2001-03-15 2006-05-04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실시간 동영상 광고 삽입 방법 및시스템
KR100761270B1 (ko) * 2004-11-06 200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컨텐츠가 첨부된 디지털저작권관리 컨텐츠 처리 방법및 장치
KR20080027040A (ko) * 2006-09-22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US8769275B2 (en) * 2006-10-17 2014-07-01 Verifone, Inc. Batch settlement transactions system and method
US20080115228A1 (en) * 2006-11-15 2008-05-15 Yahoo! Inc. Rights engine
CN101296359A (zh) * 2007-04-24 2008-10-29 宋亚民 基于广告付费的视频节目数字版权管理方法
KR20090021514A (ko) * 2007-08-27 2009-03-04 (주)미디어스메일커뮤니케이션 콘텐츠 저작권 클리어링 기반 광고 오픈 마켓 시스템에서의저작권 등록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32217A (ko) 2007-09-27 2009-04-01 (주) 엘지텔레콤 제휴 디알엠 컨텐츠의 정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90094160A1 (en) * 2007-10-09 2009-04-09 Webster Kurt F Portable digital content devic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892390B2 (en) * 2007-12-12 2018-0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igital content packaging, licensing and consumption
US20090198542A1 (en) * 2008-02-01 2009-08-06 D Amore Tianyu L Distributing premium content with advertising sponsorship
EP2345000A1 (en) * 2008-09-18 2011-07-2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echnique for content management using group rights
US8904191B2 (en) * 2009-01-21 2014-12-02 Microsoft Corporation Multiple content protection systems in a file
KR101734563B1 (ko) 2010-04-02 2017-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Drm을 이용한 광고 시청을 통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847977B1 (ko) * 2010-04-02 2018-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CN102822842B (zh) * 2010-04-05 2016-11-16 Lg电子株式会社 使用drm更新广告内容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6535A (ja) * 2006-06-02 2009-09-10 Keiichiro Sugiyam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および再生方法
US20080270242A1 (en) * 2007-04-24 2008-10-30 Cvon Innovations Ltd.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ntent to multimedia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543608A (ja) 2013-12-05
EP2609553A2 (en) 2013-07-03
CN103069448A (zh) 2013-04-24
WO2012026745A2 (en) 2012-03-01
WO2012026745A3 (en) 2012-05-31
KR20120019072A (ko) 2012-03-06
EP2609553B1 (en) 2021-03-31
JP5630930B2 (ja) 2014-11-26
US20120054006A1 (en) 2012-03-01
EP2609553A4 (en) 2014-04-16
CN103069448B (zh) 2017-09-15
US10102540B2 (en)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1331B2 (ja) コンテンツ権利管理装置及びコンテンツ権利管理方法
US20090313665A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licensing over third party networks
US20020107806A1 (en) Content usage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usage management method
US200400033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free licensing of digital media content
US8806208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enabling a user to consume protected contents of a content provider
WO2005060257A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配信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KR20100057817A (ko) 동적 미디어 구역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2002507868A (ja) メディア・コンテンツの連続制御および保護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091254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tent protection and distribution using alternate contents to provide access to protected primary content
KR101953090B1 (ko) 블록체인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유통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47977B1 (ko)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830968B1 (ko) 다양한 종류의 광고를 강제 시청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612909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1000643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module
JP2004110277A (ja) コンテンツ配信管理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5490319B2 (ja) マルチメディアサービスに対する消費権限管理方法及び装置
US2012005400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advertisements depending on use of multimedia service
Serrão et al. From OPIMA to MPEG IPMP-X: A standard's history across R&D projects
KR20040073265A (ko) 주문형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EP232463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module
US2014015654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ontent distribution and royalties
KR20170043494A (ko)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에 따른 광고 재생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