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013A - 골프연습판 및 이를 이용한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연습판 및 이를 이용한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013A
KR20120010013A KR1020100071457A KR20100071457A KR20120010013A KR 20120010013 A KR20120010013 A KR 20120010013A KR 1020100071457 A KR1020100071457 A KR 1020100071457A KR 20100071457 A KR20100071457 A KR 20100071457A KR 20120010013 A KR20120010013 A KR 20120010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line
mat
practice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7199B1 (ko
Inventor
방지거 박
이한형
성연국
Original Assignee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스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1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71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0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7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7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6Vide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3Sensors arranged on the exercise apparatus or sports imp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2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picking-up or collect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은, 매트; 상기 매트에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매트를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폭방향으로는 상이한 골프 클럽을 감지하고 길이방향으로는 동일한 골프 클럽을 감지하도록 상기 매트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을 사용함으로써, 협소한 장소에서도 골프연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제 사용하는 골프 클럽이 동일하여도 여러 종류의 골프 클럽을 선택해가며 골프 연습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연습판 및 이를 이용한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GOLF TRAINING BOARD AND GOLF TRAINING AND ON-LINE GAME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골프연습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설치 가능하고, 한 종류의 연습용 골프클럽으로 다양한 포즈의 스윙연습을 골프공 없이 수행할 수 있는 골프연습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야외에서 경기를 진행하는 것으로, 이러한 야외 골프장은 주로 도심에서 벗어난 외곽 지역에 위치한다. 따라서 일정이 바쁜 현대인들은 야외 골프장에서 골프를 즐기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실내 골프연습장을 이용하였다. 실내 골프연습장의 경우, 전방에 형성된 표적을 향하여 골프공을 직접 치면서 골프 연습이 진행되었다. 이때, 타격하고자 하는 표적의 위치에 따라 여러 가지 종류의 골프 클럽을 변경함으로써, 골프 클럽의 길이에 따라 골퍼와 공 사이의 거리, 스윙 플랜 및 스윙 포즈를 변경해가며, 공을 칠 때의 자세를 교정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사용되는 골프 클럽의 경우, 그 길이는 최고 45인치, 즉, 114.3cm 가량이기 때문에, 실제 골프 클럽을 사용하여 스윙 연습을 할 경우, 골프클럽이 천장에 닿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내에서 골프 연습을 하더라도, 천장고가 높은 장소가 아니면 연습이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길이가 짧은 골프 클럽을 이용하여 골프연습을 할 경우, 실제 사용하고자 하는 골프클럽과 연습용 골프 클럽의 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연습용 골프 클럽을 이용할 때에는 다양한 스윙 플랜 및 스윙 포즈를 연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실내에서 골프를 연습할 경우, 연습 장소의 크기에 따라 연습할 수 있는 스윙 플랜 및 스윙 포즈가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가정집에서 스윙 연습을 할 때에는 연습용 골프 클럽의 길이가 더욱 제한적이라는 것뿐만 아니라, 골프공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스윙 연습을 할 때 현실감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골프 클럽의 속도 및 방향을 측정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 내에서도 다양한 스윙 자세를 연습할 수 있는 골프연습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골프연습판를 통하여 측정한 값을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골프공 없이 협소한 장소에서도 실제로 골프를 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매트;
상기 매트에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매트를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폭방향으로는 상이한 골프 클럽으로 감지하고 길이방향으로는 동일한 골프 클럽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매트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드라이버 라인, 우드 라인, 롱아이언 라인, 미들아이언 라인, 퍼터 라인, 및 숏아이언 라인을 포함하는 클럽 라인이 각각 매트의 폭방향 순서대로 구비되고,
상기 클럽 라인을 따라 센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부의 선택 여부에 따라 발광이 조절되는 발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지지대는 상기 롱아이언 라인, 우드 라인, 및 드라이버 라인에 걸쳐 설치되되, 상기 드라이버 라인이 상기 롱아이언 라인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 단부 일측에는 골프공 수집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골프연습판;
상기 골프연습판에서 감지한 값을 검출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검출된 값에 따라 골프장의 전경 및 골프공의 낙하지점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골퍼의 형상을 전송시키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송된 골퍼의 아바타 형상에 가상으로 의상을 착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는, 복수의 골퍼가 동시에 골프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각 연산처리부에서 입력된 값을 송수신하는 인터넷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습용 골프 클럽의 길이가 짧아도 여러 종류의 스윙 포즈를 연습할 수 있기 때문에, 연습용 골프 클럽의 길이에 따른 연습 장소의 제약이 줄어들어, 협소한 장소에서도 골프연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골프를 치는 모습을 디스플레이로 확인할 수 있어 자세교정이 가능하며, 가정에서 편한 복장으로 연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은, 매트(110);
상기 매트(110)에 구비되는 센서부(120); 및
상기 매트(110)를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지지대(130)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120)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폭방향으로는 상이한 골프 클럽(50)으로 감지하고 길이방향으로는 동일한 골프 클럽(50)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매트(110)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매트(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클럽라인이 각각 매트의 폭방향으로 복수개 배열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은, 상기 클럽 라인으로 드라이버 라인(ℓ1), 우드 라인(ℓ2), 롱아이언 라인(ℓ3), 미들아이언 라인(ℓ4), 퍼터 라인(ℓ6), 및 숏아이언 라인(ℓ5)을 각각 매트의 폭방향 순서대로 구비하게 된다.
골프 클럽은 그 용도에 따라 공을 치는 클럽 헤드의 형상과 샤프트의 길이가 달라진다. 골프 클럽은 우드, 아이언, 퍼터로 크게 나뉜다. 우드의 경우, 팅 그라운드에서 주로 사용된다. 아이언의 경우, 페어웨이에서 그린 위의 홀로 붙이는 역할을 하고 퍼터의 경우, 그린 위의 홀에 공을 넣을 때 사용한다. 쉽게 말해, 우드는 공을 멀리 날리고자 할 때, 아이언은 정확도를 가해 공을 홀에 근접하게 이동시킬 때, 퍼터는 마무리로 공을 홀에 넣을 때 사용되는 클럽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여기서 골프 클럽의 길이는 우드 클럽, 아이언 클럽, 퍼터 순으로 길다. 즉, 우드클럽이 가장 길다.
골프공의 비(飛)거리를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는 골프 클럽의 길이이다. 이는 골프 클럽의 길이가 길수록 더 큰 원심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을 멀리 날리는 우드 클럽이 가장 골프 클럽의 길이가 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우드 클럽 중 가장 긴 드라이버의 경우, 길이가 45인치 즉, 약 114.3cm의 길이이기 때문에, 일반 가정집과 같이 천장이 낮고 장소가 협소한 공간에서는 스윙 연습을 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짧은 골프 클럽을 사용할 경우에는 스윙 플랜 및 스윙 포즈를 다양하게 연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골프 클럽의 종류에 따른 샤프트의 스윙각도인 스윙 플랜을 다양하게 변경하면서 연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은, 길이가 짧은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사용하여도 다양한 스윙 플랜 및 스윙 포즈를 연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협소한 실내 공간에서도 골프 연습이 용이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매트(110)를 경사지게 하는 지지대(130)를 매트(110)의 하부면에 구비한다. 따라서, 퍼터와 같이 길이가 짧은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사용하더라도 드라이버 라인(ℓ1)은 매트(110)의 경사에 의해 상부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실제 드라이버를 사용해서 골프공을 치는 것 같은 스윙플랜 및 스윙포즈를 연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의 지지대(130)는 골퍼의 신장이나 골퍼가 사용하는 연습용 골프클럽(50)의 길이에 따라 지지대(13)를 조절함으로써, 매트(110)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매트(110)의 폭방향으로는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드라이버, 우드, 롱아이언, 미들아이언, 퍼터, 및 숏아이언으로 인식하는 센서부(120)가 각각 순서대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버 라인(ℓ1)을 따라 매트(110)에 형성된 센서부(120)를 선택하면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드라이버로 인식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드라이버 라인(ℓ1), 우드 라인(ℓ2), 롱아이언 라인(ℓ3), 미들아이언 라인(ℓ4), 퍼터 라인(ℓ6), 및 숏아이언 라인(ℓ5)을 따라 형성된 각각의 센서부(120)는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각각 드라이버, 우드, 롱아이언, 미들아이언, 퍼터, 및 숏아이언으로 인식한다.
매트(110)의 길이방향 단부 일측에는 골프공 수집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퍼터 라인(ℓ6) 위치에 실제로 골프공을 구비한 뒤 그린 위의 공을 홀에 넣는 퍼팅 연습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퍼팅의 경우, 공이 높이 뜨지 않기 때문에, 실내에서 실제 공을 사용하여 연습하더라도 안전하다. 이때 수평면이 형성된 매트(110)의 단부에 골프공 수집구(140) 및 수거홈(142)을 형성함으로써, 퍼팅 연습에 사용된 공을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골프공 수집구(140)는 수거홈(142) 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하여 공이 원활하게 수거홈(142) 측으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의 경우, 미들아이언 라인(ℓ4) 및 숏아이언 라인(ℓ5) 사이에 퍼터 라인(ℓ6)을 설치하였다. 즉, 수평면 상의 매트(110)의 폭방향 중간 지점에 퍼터 라인(ℓ6)을 배치함으로써, 퍼팅시 홀인하기 위한 스윙 플랜의 각도와 상이하게 퍼팅을 하더라도 공의 최종 도착지점이 골프공 수집구(140) 측이 되도록 함으로써, 공이 매트(110) 밖에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때, 골프공 수집구(140)는, 퍼팅을 제외한 스윙 연습 시에 탈착 가능하도록 형성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10)로부터 골프공 수집구(140)가 이격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스윙 연습을 할 때 연습용 골프 클럽(50)이 골프공 수집구(140)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은, 야외 골프장에서 연습할 때의 여러 가지 스윙 플랜 및 스윙 포즈를 연습할 수 있도록, 각 클럽 라인을 따라서 센서부가 복수 개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골프를 칠 때, 골프공이 낙하된 지점이 벙커인지, 페어웨이인지, 그린인지에 따라서, 공을 골퍼(10)의 정중앙 위치, 좌측 위치, 또는 우측 위치에 골프공을 배치해야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드라이버 라인(ℓ1), 우드 라인(ℓ2), 롱아이언 라인(ℓ3), 미들아이언 라인(ℓ4), 퍼터 라인(ℓ6), 및 숏아이언 라인(ℓ5) 각각에 센서부(120)를 복수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매트(110)의 단부에 검출 센서(128)를 구비함으로써, 연습용 골프클럽(50)의 스윙속도, 및 스윙플랜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부(120) 중 하나를 선택한 뒤, 선택된 센서부를 연습용 골프클럽(50)이 통과하는 시점부터 검출센서(128)를 통과하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과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스윙 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연습용 골프클럽(50)이 통과한 검출센서(128)의 위치와 선택된 센서부(120)의 위치를 통하여 연습용 골프클럽(50)의 스윙 플랜을 검측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 일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면도는 매트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을 사용할 때,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어떤 종류의 골프 클럽(50)으로 인식할지 결정하기 위하여 센서부(120)를 선택하는 것 이외에, 선택한 골프 클럽(50)으로 타격을 가할 골프공이 골퍼(10)로부터 어느 위치에 구비되도록 할지 선택할 수 있다. 이때, 골퍼(10)가 선택한 센서부(120)의 위치를 용이하게 판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20)가 설치된 홈에 발광기(L)가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의 골프공을 놓을 위치에 구비된 센서부(120)를 선택하면, 발광기(L)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사용될 센서부(120) 위치에 구비된 발광기(L)에서 빛이 발산되는 것이다. 이때, 센서부(120)의 커버(C)는 상기 발광기(L)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발광기(L)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인가장치(미도시)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커버(C)의 돌출여부에 따라 전원인가장치의 구동여부를 결정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되시된 바와 같이, 커버(C)가 돌출되면 전원인가장치가 구동되면서 발광기(L)가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센서부(120) 중 하나를 선택하면, 그 센서부(120) 내에 위치한 센서(S)가 연습용 골프 클럽(50)의 스윙 속도 및 클럽 헤드가 향하는 방향 등을 측정하게 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골프연습판의 형상을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골프공 수집구(140), 수거홈(142), 검출센서(128)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센서부(120)는 위치를 원활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돌출하여 도시한 것으로, 그 형상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의 지지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110)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매트(110)의 하부면을 지탱하기 때문에, 동일한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사용하더라도, 각 센서부(120)에서 감지하는 골프 클럽(50)의 길이에 맞춰 연습자가 그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제로 드라이버 클럽을 이용하여 풀 스윙을 할 때, 공이 놓이는 위치가 P1이고 골퍼(10)의 손위치가 P0라면,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은, 골퍼(10)의 위치에서 연습용 골프 클럽(50)이 P1을 향하는 각도(α1)에 위치했을 때, 연습용 골프 클럽(50)의 헤드 측에 드라이버 라인(ℓ1)의 센서부(121)가 위치하도록 매트(110)에 기울기를 주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지지대(130)를 사용하여 매트(110)를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우드로 인식하도록, 연습용 골프클럽(50)이 P2을 향하는 각도(α2)에 위치했을 때, 연습용 골프 클럽(50)의 헤드 측에 우드 라인(ℓ2)의 센서부(122)가 위치한다. 또한,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롱아이언으로 인식하도록, 연습용 골프클럽이 P3을 향하는 각도(α3)에 위치했을 때, 연습용 골프 클럽(50)의 헤드 측에 롱아이언 라인(ℓ3)의 센서부(123)가 위치한다. 또,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미들아이언으로 인식하도록, 연습용 골프클럽(50)이 P4를 향하는 각도(α4)에 위치했을 때, 연습용 골프 클럽(50)의 헤드 측에 미들아이언 라인(ℓ4)의 센서부(124)가 위치한다.
또한,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숏아이언으로 인식하도록, 연습용 골프클럽(50)이 P5를 향하는 각도(α5)에 위치했을 때, 연습용 골프 클럽(50)의 헤드 측에 숏아이언 라인(ℓ5)의 센서부(125)가 위치한다. 또한,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퍼터로 인식하도록, 연습용 골프클럽(50)이 P6를 향하는 각도(α6)에 위치했을 때, 연습용 골프 클럽(50)의 헤드 측에 퍼터 라인(ℓ6)의 센서부(126)가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숏아이언 라인(ℓ5)과 퍼터 라인(ℓ6)의 위치는, 실제 골프 클럽의 길이 순서대로 나열된 라인들(ℓ1, ℓ2, ℓ3, ℓ4)과 달리 클럽의 길이가 더 짧은 퍼터 라인(ℓ6)이 미들아이언 라인(ℓ4)의 다음에 위치한다. 따라서, 골퍼의 손위치(P0)를 변경함으로써, 퍼팅 시에는, 연습용 골프클럽(50)이 P6를 향하는 각도(α6)가 되게 하고, 숏아이언 라인(ℓ5)에서는 P5를 향하는 각도(α5)가 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30)는 특히 롱아이언 라인(ℓ3), 우드 라인(ℓ2), 및 드라이버 라인(ℓ1)이 형성되어 있는 위치의 매트(110)가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30)는 일정한 기울기로 형성되어 매트(110)가 평판형으로 경사지도록 하였지만, 매트(110)가 곡면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지지대(130)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각 위치의 센서부(120)와 연습용 골프 클럽(50)의 헤드 간의 거리가 근사한 값을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지지대(130)의 형상을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골퍼(10)의 신장이나 연습용 골프클럽(50)의 길이에 따라 매트(110)의 경사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대(130)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에 사용되는 연산처리부(200) 및 인터넷서버(500)는 디스플레이 및 골프연습판(100)과의 연결관계를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은 길이가 짧은 연습용 골프 클럽(50)을 사용하면서도 여러 가지 길이의 골프 클럽으로 연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센서부(120)를 선택함으로써, 골프공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골프연습판(100)에 골프공을 배치시키지 않더라도 골프 연습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100)을 사용할 경우, 골프공을 타격하면서 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골프공이 날아가면서 기물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골프연습을 보다 실감나게 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는, 상기 골프연습판(100);
상기 골프연습판(100)에서 감지한 값을 검출하는 연산처리부(200);
상기 연산처리부(200)에서 검출된 값에 따라 골프장의 전경 및 골프공의 낙하지점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골프연습판(100)의 센서부(120)에서 감지한 연습용 골프 클럽(50)의 속도, 방향 등의 값을 통하여 골프공의 비거리 및 방향을 연산처리부(200)에서 산출하게 되면, 그 값에 따라 골프공의 낙하지점을 디스플레이(300)에서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디스플레이(300)는 골프장의 전경(320)뿐만 아니라, 골프장의 기상상태 및 잔디의 각도와 같은 골프장의 상태, 골프공의 비거리, 골퍼(10)가 선택한 골프 클럽(50)의 종류, 현재 스코어 등을 문자(330)로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300)에는 골퍼(10)의 모습을 아바타(310)로 전시함으로써, 골퍼(10)가 스스로의 스윙 및 퍼팅 모습을 보면서 자세를 교정할 수 있다. 이때, 골퍼(10)의 실제 스윙 영상이 디스플레이(300)에 전시되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는, 디스플레이(300)에 골퍼(10)의 형상을 전송시키는 카메라(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300)에 전시되는 영상을 통하여 골프 연습을 할 때 좀 더 현실감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는, 연산처리부(200)에서 인식된 자료를 네트워크를 통해 다수의 플레이어가 순서에 따라 실시간으로 골프 경기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에는 각 연산처리부(200)에서 입력된 값을 송수신하는 인터넷 서버(5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터넷 서버(500)를 형성할 경우, 시간이나 기상 조건 등에 구애받지 않고, 실내에서 가상의 골프 경기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300)에서 실제 야외 골프장의 전경이 전시되기 때문에 실제 경기를 진행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골프 훈련 및 교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100) 및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는 그 설치 위치가 한정되지 않지만, 집과 같이 개인적인 실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골퍼(10)가 자유로운 복장을 착용한 상태에서 경기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400)가 촬영한 골퍼(10)의 형상이 그대로 디스플레이(300)에 전송되지 않고, 가상으로 선택한 의상을 입은 상태의 아바타(310)가 디스플레이(300)에 전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300)에 전시되는 아바타(310)의 의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골퍼(10)가 실제 착용한 복장과 상관없이 다른 플레이어들은 가상의 아바타(310)의 모습만 관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산처리부(200)에서는 골퍼(10)의 실력을 여러 단계로 나눔으로써, 선택된 레벨에 따라 골퍼의 스윙 값을 필터링함으로써, 경기의 재미를 부가할 수 있다. 즉, 연습용 골프클럽(50)의 스윙 속도 및 스윙 플랜이 일정 범위 내의 값이 되어야 홀에 공을 넣을 수 있다고 할 때, 상기 골퍼(10)가 초급을 선택할 경우, 스윙 속도 및 스윙 플랜의 범위가 넓어도 홀에 공을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중급을 선택할 경우, 그 범위가 초급에 비해 좁아지며, 고급을 선택할 경우, 초,중급에 비해 범위가 더 좁아져야만 홀에 공을 넣을 수 있도록 연산처리부(200)에서 필터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10: 골퍼 50: 골프 클럽
100: 골프연습판 110: 매트
120: 센서부 128: 검출센서
130: 지지대 140: 골프공 수집구
142: 수거홈 200: 연산처리부
300: 디스플레이 310: 아바타
330: 정보 400: 카메라
500: 인터넷 서버 C: 커버
L: 발광기 S: 센서
1: 드라이버 라인 ℓ2: 우드 라인
3: 롱아이언 라인 ℓ4: 미들아이언 라인
5: 숏아이언 라인 ℓ6: 퍼터 라인

Claims (9)

  1. 매트;
    상기 매트에 구비되는 센서부; 및
    상기 매트를 경사지게 고정시키는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연습용 골프 클럽을 폭방향으로는 상이한 골프 클럽으로 감지하고 길이방향으로는 동일한 골프 클럽으로 감지하도록 상기 매트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드라이버 라인, 우드 라인, 롱아이언 라인, 미들아이언 라인, 퍼터 라인, 및 숏아이언 라인을 포함하는 클럽 라인이 각각 매트의 폭방향 순서대로 구비되고,
    상기 클럽 라인을 따라 센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선택 여부에 따라 발광이 조절되는 발광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롱아이언 라인, 우드 라인, 및 드라이버 라인에 걸쳐 설치되되, 상기 드라이버 라인이 상기 롱아이언 라인보다 높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 단부 일측에는 골프공 수집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골프연습판;
    상기 골프연습판에서 감지한 값을 검출하는 연산처리부;
    상기 연산처리부에서 검출된 값에 따라 골프장의 전경 및 골프공의 낙하지점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골퍼의 형상을 전송시키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송된 골퍼의 아바타 형상에 가상으로 의상을 착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는, 복수의 골퍼가 동시에 골프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각 연산처리부에서 입력된 값을 송수신하는 인터넷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KR1020100071457A 2010-07-23 2010-07-23 골프연습판 및 이를 이용한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KR101247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457A KR101247199B1 (ko) 2010-07-23 2010-07-23 골프연습판 및 이를 이용한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457A KR101247199B1 (ko) 2010-07-23 2010-07-23 골프연습판 및 이를 이용한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013A true KR20120010013A (ko) 2012-02-02
KR101247199B1 KR101247199B1 (ko) 2013-03-25

Family

ID=4583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457A KR101247199B1 (ko) 2010-07-23 2010-07-23 골프연습판 및 이를 이용한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71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0950A (ja) 2001-09-03 2003-03-11 Takasago Electric Ind Co Ltd ゴルフ練習装置
US6821211B2 (en) 2001-09-14 2004-11-23 Golftech Sport swing analysis system
JP2005328993A (ja) 2004-05-19 2005-12-02 Honda Motor Co Ltd ゴルフ練習機
KR20100026389A (ko) * 2008-08-29 2010-03-10 김무현 골프 숏게임 연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7199B1 (ko) 2013-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90218B (zh) 虚拟高尔夫模拟器、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器的传感方法
US5221082A (en) Enhanced golf simulation system
TWI453057B (zh) 用於虛擬高爾夫球練習場模擬的裝置與方法
JP5334185B2 (ja) 仮想ゴルフシミュレータ及びそれに備えられるセンシング装置
CN105999677B (zh) 一种可联网的便携式高尔夫模拟系统及模拟方法
JP2009285453A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パッティングシステム
US6059672A (en) Golf training device particularly for the short game
CN101934134B (zh) 虚拟高尔夫模拟装置、设置在其中的传感器及虚拟高尔夫模拟装置的传感方法
KR20120077906A (ko) 유무선통신기반 다자간 실시간 시뮬레이션골프게임 및 스윙연습이 가능한 이동형 스크린골프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190003925A (ko) 가상현실 운동 시스템
KR100972819B1 (ko) 포터블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52310B1 (ko) 혼합 현실공간을 활용한 골프 게임 시스템
JP2007152057A (ja) 打撃系練習機
KR101235649B1 (ko) 골프 시뮬레이팅 장치 및 방법
KR20060082350A (ko) 가상 골프 게임 시스템
KR101247199B1 (ko) 골프연습판 및 이를 이용한 골프연습 및 온라인게임 장치
KR20180085843A (ko) 스윙 자세의 교정과 게임이 가능한 스윙 분석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US20150209636A1 (en) Target ball
KR102574496B1 (ko) 가상 스포츠용 인터페이스 기기,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및 가상 스포츠 장치
KR20110119026A (ko) 화상 골프채를 이용한 컴퓨터 골프 게임 시스템
KR102382730B1 (ko) 영상처리 기술을 활용한 스크린 파크골프 시스템
KR20130057101A (ko) 듀얼 센서를 이용한 스크린 골프 연습장치
KR101963080B1 (ko) 모의 골프클럽을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004646B1 (ko) 모의 골프클럽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플레이 방식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TW202106358A (zh) 高爾夫球虛擬實境之球桿更換方法、程式產品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