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844A -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 - Google Patents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844A
KR20120008844A KR1020100070079A KR20100070079A KR20120008844A KR 20120008844 A KR20120008844 A KR 20120008844A KR 1020100070079 A KR1020100070079 A KR 1020100070079A KR 20100070079 A KR20100070079 A KR 20100070079A KR 20120008844 A KR20120008844 A KR 20120008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pso
hull
mooring line
inner turret
turr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문
김홍수
박병태
안영규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0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844A/ko
Publication of KR20120008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1/507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with moorin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35/4413Floating drilling platform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6Floating storage vessels, other than vessels for hydrocarbon production and storage, e.g. for liquid carg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FPSO용 선체를 정박하기 위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이 결합하는 내부 튜렛(internal turret)이 설치되는 FPSO용 선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렛이 설치되는 FPSO용 선체의 선수 부분의 저면에는 상기 내부 튜렛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무어링 라인과 상기 FPSO용 선체의 하단부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방으로 패인 홈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내부 튜렛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무어링 라인이 결합하는 부분까지의 거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용 선체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에프피에스오(EPSO)용 선체구조{Hull for FPSO}
본 발명은 선체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FPSO용 선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나 원유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하여 운반되거나 액화된 천연가스 내지는 원유 상태로 수송선에 저장된 채 원거리의 소비처로 운반된다.
천연가스나 원유의 시추가 해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일시적으로 저장을 하거나 그 처리를 위한 해양구조물인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의 사용이 빈번해지고 있다.
도 1은 FPSO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에서 도면부호 1로 표시된 구조물이 FPSO이고, 도면부호 2로 표시된 것이 시추구조물이며, 도면부호 3으로 표시된 것은 FPSO로부터 가스나 원유를 운반하기 위한 파이프라인으로 그 일부만 도시하였다.
FPSO는 시추선에서 포집된 가스나 원유를 받아서 운송선이나 파이프라인을 통하여 운송하기 전에 처리하고, 저장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한편, 가스나 원유의 처리는 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저장만 하는 경우에는 FSU(Floating Storage Unit)라고 부른다.
FPSO의 디자인 형태는 그 설치위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데, 잔잔한 해역에서는 Converted oil tanker라 불리우는 비교적 간단한 형태의 모양이 제작될 수 있고, 파랑이 심한 해역에서는 Purposedbuilt라 불리우는 비교적 복잡한 형태의 모양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FPSO에는 튜렛(turret) 구조물이 마련되는데, 튜렛은 파이프 라인이 FPSO와 결합되는 결합구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FPSO를 해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의 고정구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튜렛에는 FPSO의 외부에 장착되는 external turret과 FPSO의 안쪽 하부에 마련되는 internal turret이 있는데, 잔잔한 해역에서는 외부 튜렛(external turret)을 많이 사용하고, 파랑이 심한 해역에서는 내부 튜렛(internal turret)을 많이 사용한다.
한편, 내부 튜렛에 무어링 라인이 결합하는 경우 내부 튜렛 중 무어링 라인이 결합하는 부분인 튜렛의 하단부가 FPSO의 저면에 비하여 그리 높지 않은 위치에 마련되는 경우 FPSO를 운용하는 과정에서 무어링 라인과 FPSO 선체가 서로 충돌을 일으킬 수 있다. 도 2는 이러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FPSO용 선체(4)의 선미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렛(5)의 하단부가 FPSO용 선체(4)의 하단부와 동일한 높이인 경우에도 도면부호 7로 표시한 부분에서 FPSO용 선체(4)의 저면부와 무어링 라인(6)이 간섭을 일으켜 FPSO용 선체(4)의 저면부나 무어링 라인(6)에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튜렛(5)의 하단부는 FPSO 선체의 저면에 비하여 아랫쪽에 위치하도록 내부 튜렛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어링 라인(6)의 각을 조절하여 FPSO용 선체(4)와 무어링 라인(6)의 간섭을 줄일 수 있으나 FPSO용 선체(4)를 고정할 수 있는 충분한 파지력을 위해서는 무어링 라인(6)의 각 조절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으므로, 내부 튜렛(5)의 하단부가 FPSO용 선체(4)의 저면에 비하여 하부쪽에 위치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특성에 의해 FPSO용 선체의 건조과정에서 반목의 높이를 높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반목의 높이를 무한적으로 높일 수는 없는 것이므로 내부 튜렛의 하단부가 FPSO용 선체의 저면에 비하여 과도하게 돌출하는 경우에는 도크(dock)내에서 내부 튜렛의 설치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부 튜렛을 도크 내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FPSO용 선체를 정박하기 위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이 결합하는 내부 튜렛(internal turret)이 설치되는 FPSO용 선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렛이 설치되는 FPSO용 선체의 선수 부분의 저면에는 상기 내부 튜렛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무어링 라인과 상기 FPSO용 선체의 하단부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방으로 패인 홈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내부 튜렛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무어링 라인이 결합하는 부분까지의 거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용 선체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홈부의 선미 쪽 부분은 상기 FPSO용 선체의 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갈 수록 그 폭이 작아지도록 구성되고, 그 폭이 작아지는 정도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설치 각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FPSO용 선체의 저면부 중 내부 튜렛이 설치되는 부분에 홈을 마련하여 그 홈부의 저면에 비하여 내부 튜렛의 하단부가 하부쪽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무어링 라인이 FPSO용 선체의 저면부와 마찰하거나 충격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여 선체의 손상을 방지하면서도 내부 튜렛을 도크 내에서 용이하게 건조할 수 있는 FPSO용 선체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부에는 테이퍼부를 마련하여 홈부의 부피를 최소화함으로써 FPSO용 선체의 내부공간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FPSO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FPSO용 선체의 저면과 무어링 라인의 간섭에 의한 손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FPSO용 선체구조 중 내부 튜렛이 설치되는 선수 부분의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에프피에스오용 선체구조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FPSO용 선체구조 중 내부 튜렛이 설치되는 선수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FPSO용 선체구조는 FPSO용 선체(10), 내부 튜렛(20), 무어링 라인(30), 상기 FPSO용 선체(10) 중 상기 내부 튜렛(20)이 설치되는 선수 부분에 마련되는 홈(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FPSO용 선체(10), 내부 튜렛(20) 및 무어링 라인(30)은 종래의 FPSO용 선체구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상기 홈부(100)에 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홈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 튜렛(20)이 설치되는 부분인 FPSO용 선체(10)의 선수 부분의 저면 쪽에 마련되어 상기 내부 튜렛(20)의 하단부를 수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내부 튜렛(20)의 하단부는 상기 홈부(100)에 수용됨으로써 내부 튜렛(20)의 하단부가 FPSO용 선체(10)의 홈부(100)가 형성되지 않는 저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FPSO용 선체구조의 운용중에 무어링 라인(30)과 FPSO용 선체(10)의 저면부가 마찰을 하거나 서로 충돌하여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내부 튜렛(20)의 하단부가 FPSO용 선체(10)의 저면에 비하여 하방으로 돌출함에 의해 생기는 건조 상의 문제도 해결된다.
이때 상기 홈부(100)에는 테이퍼부(110)가 마련되는데 상기 테이퍼부(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부(100)의 선미 쪽 부분에 마련되며, FPSO용 선체(10)의 저면으로부터 내부 튜렛(20)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져 있으며, 테이퍼부(110)의 각도는 무어링 라인(30)의 설치 각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퍼부(110)를 마련함으로써 테이퍼부(110)가 없이 직각형상으로 홈부가 형성될 때에 비하여 선체의 내부용적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어긋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다양한 형태의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로 구체화될 수 있다.
10 : FPSO용 선체 20 : 내부 튜렛
30 : 무어링 라인 100 : 홈부
110 : 테이퍼부

Claims (3)

  1. FPSO용 선체를 정박하기 위한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이 결합하는 내부 튜렛(internal turret)이 설치되는 FPSO용 선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내부 튜렛이 설치되는 FPSO용 선체의 선수 부분의 저면에는 상기 내부 튜렛의 하부를 수용하고, 상기 무어링 라인과 상기 FPSO용 선체의 하단부가 간섭하지 않도록 상방으로 패인 홈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홈부의 깊이는 상기 내부 튜렛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무어링 라인이 결합하는 부분까지의 거리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용 선체구조.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선미 쪽 부분은 상기 FPSO용 선체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내부 튜렛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진 테이퍼부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용 선체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의 선미 쪽 테이퍼부의 경사각도는 상기 무어링 라인의 설치 각에 따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PSO용 선체구조.
KR1020100070079A 2010-07-20 2010-07-20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 KR20120008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79A KR20120008844A (ko) 2010-07-20 2010-07-20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079A KR20120008844A (ko) 2010-07-20 2010-07-20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844A true KR20120008844A (ko) 2012-02-01

Family

ID=4583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079A KR20120008844A (ko) 2010-07-20 2010-07-20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8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09U (ko) 2016-07-21 2018-01-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pso 또는 flng의 선체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309U (ko) 2016-07-21 2018-01-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pso 또는 flng의 선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14186A (ko) 해상부유물용 계류장치
JP2008030702A (ja) 浮体間係留方法および装置
RU2012138450A (ru) Носовая станция загрузки с двойной палубой для криоген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KR20110027404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WO2012104309A2 (en) Production unit for use with dry christmas trees
KR101524206B1 (ko) 터렛 계류장치
KR20120008844A (ko) 에프피에스오(fpso)용 선체구조
US20190144083A1 (en) Offshore vessel for production and storage of petroleum products
US10189553B2 (en) Water intake system and floating vessel equipped with such a system
KR20160015874A (ko) 선박 계류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3096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US20110192336A1 (en) Floating unit
KR200434344Y1 (ko) 선박의 라이저 파이프 설치구조
KR20140140751A (ko) 유조선 및 셔틀탱커 겸용 일점계류 시스템
KR102418121B1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20120003251U (ko) 터릿을 가지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101503279B1 (ko) 계류장치의 배치구조를 갖는 드릴십
KR20160150416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 및 그의 스프레드 계류 라인 간섭 방지구조
KR20170089611A (ko) 선박
KR101972181B1 (ko) 부유식 발전 구조물 고정장치
KR20170000688U (ko) 계류 장치를 구비한 해양 구조물
KR20210034199A (ko) 일점계류 셔틀탱커
KR200484765Y1 (ko) 단차를 이용하여 계류삭을 고정하는 부유식 해양 구조물
KR20180000309U (ko) Fpso 또는 flng의 선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