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592A -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592A
KR20120008592A KR1020100069382A KR20100069382A KR20120008592A KR 20120008592 A KR20120008592 A KR 20120008592A KR 1020100069382 A KR1020100069382 A KR 1020100069382A KR 20100069382 A KR20100069382 A KR 20100069382A KR 20120008592 A KR20120008592 A KR 20120008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ressure valve
filler
filler tube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1747B1 (ko
Inventor
오원석
김기홍
이동철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0006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17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256Fuel tanks characterised by special valves, the mounting thereof
    • B60K2015/03296Pressure regulating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필러넥)의 필러 튜브 측벽에 압력밸브를 위치시키고 항상 신선한 외부 공기가 압력밸브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는, 차량의 연료탱크에 액체 연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로 역할을 하는 필러 튜브와, 필러 튜브의 측벽에 구비되어 연료탱크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밸브와, 필러 튜브와 결합되며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외부 공기와 접하는 필러 하우징 안쪽으로 압력 밸브의 에어 유출입 경로를 형성하는 에어 드레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CAPLESS FILLER TUBE ASSEMBLY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필러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연료장치 중 연료 주유노즐로부터 유입되는 액체 연료를 이송 받아 연료탱크까지 액체 연료가 원활히 이송되도록 기밀을 유지하면서 액체 연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로 역할을 하는 필러 튜브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을 위한 액체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와, 연료탱크에 연료 주입을 위한 연료 주입관(필러넥)이 마련된다.
종래의 연료 주입관은 연료탱크의 누유 방지 및 압력 해소를 위해 연료 캡이 있으며, 이 연료 캡에 연료탱크의 압력조절을 위한 정/부압 또는 부압밸브 등 압력밸브가 구비되어 있어 연료탱크에서 발생하는 정압 또는 부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종래의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은 연료 캡이 없기 때문에 압력밸브를 연료 주입구의 안쪽에 위치시켜 연료탱크 압력을 해소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은 연료 주입구의 필러 튜브에 외부로 별도의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구비해야 하며, 이때, 공기 흡입구의 위치가 타이어 주변 휠하우스의 안쪽에 위치하게 된다. 휠하우스 안쪽은 타이어와 노면의 마찰로 주행 중 많은 이물질, 예컨대 먼지가 발생하는 부분으로 이 곳의 공기를 흡입 시 다량의 먼지 유입으로 압력밸브가 막힐 수 있고, 압력밸브를 통해 연료탱크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어 엔진 정지 등 자동차 운행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필러넥)의 필러 튜브 측벽에 압력밸브를 위치시키고 항상 신선한 외부 공기가 압력밸브에 공급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는, 차량의 연료탱크에 액체 연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로 역할을 하는 필러 튜브와, 상기 필러 튜브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밸브와, 상기 필러 튜브와 결합되며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외부 공기와 접하는 필러 하우징 안쪽으로 상기 압력 밸브의 에어 유출입 경로를 형성하는 에어 드레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 밸브는 상기 필러 튜브의 측벽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에어 드레인부는, 상기 필러 하우징의 안쪽으로 에어 입구가 형성되는 에어 드레인 포트와, 상기 에어 드레인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에어 입구를 상기 압력 밸브와 연결하는 내부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 밸브의 외곽을 밀폐하는 압력 밸브 커버와, 상기 압력 밸브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필러 튜브에 고정 설치되는 에어 드레인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드레인 포트는 상기 필러 튜브의 플랜지에 형성된 포트 조립공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 드레인 포트의 상기 에어 입구는 상기 압력 밸브 커버의 내부 통로와 연결되는 제 1 에어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에어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압력 밸브 커버의 내부 통로를 통해 상기 압력 밸브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입구는 상기 에어 드레인 케이스의 내부 통로와 연결되는 제 2 에어 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에어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 드레인 케이스의 내부 통로를 통해 에어 벤트 파이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드레인 케이스에는 상기 제 2 에어 입구를 통해 상기 에어 드레인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수발공이 마련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에 따르면, 연료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필러넥)의 필러 튜브 측벽에 압력밸브를 위치시키고 압력밸브를 압력 밸브 커버를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시킨 후 가장 신선한 외부 공기의 공급이 가능한 위치인 필러 하우징의 안쪽으로 에어 드레인 포트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항상 신선한 외부 공기가 압력밸브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압력 밸브의 수명이 길어지고 연료탱크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엔진 고장 등 자동차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러 튜브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러 튜브 조립체가 필러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러 튜드 조립체의 요부 분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에어 드레인 포트의 배면도,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에어 드레인 포트의 저면도,
도 9는 에어 드레인 포트로 유입되는 공기가 압력 밸브 커버를 통해 압력 밸브로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10은 에어 드레인 포트로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 드레인 케이스를 통해 에어 벤트 파이프로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등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 전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 또는 필러넥(filler neck)(10)은 연료 주유노즐(미도시)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필러 튜브 조립체(100)와, 필러 튜브 조립체(100)와 연료탱크(미도시) 사이를 연결하여 연료를 연료탱크까지 이송시키는 필러 파이프(200)와, 필러 튜브 조립체(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에어 필터(미도시)로 연결되는 에어 벤트 파이프(300)와, 필러 튜브 조립체(1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연료 주유 시 증발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 파이프(4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필러 파이프(200), 에어 벤트 파이프(300), 가스 파이프(400)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필러 튜브 조립체(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필러 튜브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필러 튜브 조립체가 필러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러 튜드 조립체의 요부 분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에어 드레인 포트의 배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에어 드레인 포트의 저면도이다.
도 2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필러 튜브 조립체(100)는 필러 튜브(110), 압력 밸브(120) 및 에어 드레인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러 튜브(110)는 차량의 연료탱크에 액체 연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로 역할을 한다.
필러 튜브(110)는 입구단(상단부)이 플랜지(119)에 의해 필러 하우징(1)과 결합되고, 출구단(하단부)이 필러 파이프(200)와 연결된다. 여기서, 필러 하우징(1)은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이물질 유입이 어렵고 안쪽이 신선한 외부 공기와 접촉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필러 튜브(110)는 내부 튜브(111)와 외부 튜브(112)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튜브(111)의 상단부 외주연과 외부 튜브(112)의 상단부 내주연 사이에는 O-Ring(112a)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기밀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내부 튜브(111)는 무연과 디젤 연료 주유노즐을 구분하고 주유노즐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내부 튜브(111)에는 연료 주유노즐을 가이드 하는 연료 주유통로(111a) 및, 주유통로(111a)와 나란하게 가스통로(111b)가 마련된다. 여기서, 가스통로(11b)는 평소에는 후술할 플랩 밸브(113)로 인해 연료탱크 내부의 증기 가스가 밖으로 나가지 못하지만 연료 주유 시 주유노즐 삽입에 의해 플랩 밸브(113)가 열리면서 가스통로(111b)를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주유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부 튜브(111)의 하단부에는 플랩 밸브(113)가 피봇 결합되어 주유통로(111a) 및 가스통로(111b)를 개폐한다. 여기서, 플랩 밸브(113)는 이상 연료 주유 시 주입 방지 및 주유 중 또는 주유 후 연료의 과다한 역류를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플랩 밸브 스프링(114)이 마련되어 플랩 밸브(113)가 열리고 닫힐 수 있게 하는 텐션 기능을 한다.
또한, 플랩 밸브(113)에는 실링 플레이트(115)가 끼움식으로 결합되며, 플랩 밸브(113)가 폐쇄 위치로 이동 시 내부 튜브(111)의 하단부를 밀폐하도록 접촉하여 연료 및 가스 누출 방지 역할을 한다. 즉, 연료 주유 후 주유노즐이 빠지면서 플랩 밸브(113)가 닫히고 실링 플레이트(115)에 의해 내부 튜브(111)와 플랩 밸브(113) 사이에 실링이 되는 구조이다.
외부 튜브(112)는 내부 튜브(111)를 수용하고 내부 튜브(111)의 하단부 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필러 파이프(200)와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튜브(112)의 하단부 외주연과 필러 파이프(200)의 상단부 내주연 사이에는 O-Ring(미도시) 등과 같은 실링부재가 개재되어 기밀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튜브(112)의 측벽에는 후술하는 압력 밸브(120)가 삽입 장착될 수 있도록 압력밸브포트(1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캡 홀더(116)는 필러 튜브(110)의 상단부(입구측)와 결합되어 내부 튜브(11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노즐 삽입구(116a)에 삽입되는 주유노즐을 안착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캡 홀더(116)는 필러 하우징(1)의 안쪽으로 나와 있다.
더스트 밸브(117)는 노즐 삽입구(116a)를 개폐 가능하게 캡 홀더(116) 내에 피봇 결합되며, 먼지 등 이물질이 필러 튜브(110)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더스트 밸브 스프링(118)이 마련되어 더스트 밸브(117)가 열리고 닫힐 수 있게 하는 텐션 기능을 한다.
압력 밸브(120)는 연료탱크의 정압 또는 부압 발생 시 압력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 밸브(120)는 필러 튜브(110)의 측벽에 형성된 압력밸브포트(121)에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압력밸브포트(121)의 일단은 외부 튜브(112)의 내부와 연통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압력 밸브 커버(133)의 내부 통로와 연통된다. 압력 밸브(120)는 밸브요소들(축, 플레이트)(123), 스프링(124)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압력 밸브(120)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에어 드레인부(130)는 필러 튜브(110)에 장착되며,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신선한 외부 공기와 접하는 필러 하우징(1) 안쪽으로 압력 밸브(120)의 에어 유출입 경로를 형성한다.
에어 드레인부(130)는 에어 드레인 포트(131), 압력 밸브 커버(133) 및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로 구성될 수 있다.
에어 드레인 포트(131)는 필러 하우징(1) 안쪽으로 에어 입구(131a,131b)가 형성되어 신선한 외부 공기 통로의 입구 역할을 한다.
에어 드레인 포트(131)는 필러 하우징(1)의 안쪽으로 나와 있고, 필러 튜브(110)의 플랜지(119)에 형성된 포트 조립공(119a)에 끼움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에어 드레인 포트(131)는 양측에 형성된 로크돌기가 포트 조립공(119a)의 로크홈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에어 드레인 포트(131)에는 공기 이동 경로가 두 방향으로 나누어져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드레인 포트(131)에 형성된 에어 입구는 압력 밸브 커버(133)의 내부 통로와 연결되는 제 1 에어 입구(131a)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에어 입구(131a)로 유입되는 공기는 압력 밸브 커버(133)의 내부 통로를 통해 압력 밸브(120)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에어 입구는 후술할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의 내부 통로와 연결되는 제 2 에어 입구(131b)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제 2 에어 입구(131b)로 유입되는 공기는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의 내부 통로를 통해 에어 벤트 파이프(300)로 이동하게 된다.
압력 밸브 커버(133)는 에어 드레인 포트(131)와 구멍(133a)을 통해 연결되고, 후술하는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의 밸브관통홀(136) 상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먼지 등 이물질이 압력 밸브(120)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압력 밸브(120)의 외곽을 밀폐한다.
압력 밸브 커버(133)는 에어 드레인 포트(131)의 제 1 에어 입구(131a)를 압력 밸브(120)의 압력밸브포트(121)와 연결하도록 내부 통로가 형성된다.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는 압력 밸브 커버(133)가 결합되고, 필러 튜브(110)의 측벽에 고정 설치된다.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는 상부 케이스(135a)와 하부 케이스(135b)를 분리형으로 구비하여 로크돌기와 로크홈에 의한 체결방식으로 필러 튜브(110)에 조립식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의 상부 케이스(135a)는 압력밸브포트(121)가 관통하는 밸브관통홀(136)이 형성되어 압력 밸브 커버(133)의 내부 통로와 연통되고 저면이 개방된 형태로 필러 튜브(110) 측벽에 밀착되게 조립된다.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는 에어 드레인 포트(131)의 제 2 에어 입구(131b)로 들어온 외부 공기가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의 내부 통로를 통해 에어 벤트 파이프(3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의 에어 출구단(137)에는 에어 벤트 파이프(300)가 결합되어 에어 필터(미도시)에 연결된다.
또한,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에는 제 2 에어 입구(131b)를 통해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의 내부로 수분(물)이 유입될 경우, 수분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수발공(138)이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필러 튜브 조립체(100)는 필러 하우징(1)의 안쪽으로 연결된 에어 드레인 포트(131)를 통해 신선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 밸브 커버(133)와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로 각각 공기가 이동한다. 이하, 도 9 및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필러 튜브 조립체(100)의 작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는 에어 드레인 포트로 유입되는 공기가 압력 밸브 커버를 통해 압력 밸브로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튜브(110)의 측벽에 마련된 압력 밸브(120)는 연료탱크의 정압 또는 부압 발생 시 압력을 해소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필러 하우징(1)의 안쪽으로 연결된 에어 드레인 포트(131)의 제 1 에어 입구(131a)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압력 밸브 커버(133)의 내부 통로로 공급되고, 압력 밸브 커버(133)로 들어온 신선한 외부 공기는 압력 밸브(120)를 통해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110) 안으로 공급된다. 반대로, 필러 튜브(110) 내의 공기는 위와 역방향 경로를 따라 제 1 에어 입구(131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0은 에어 드레인 포트로 유입되는 공기가 에어 드레인 케이스를 통해 에어 벤트 파이프로 이동하는 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 하우징(1)의 안쪽으로 연결된 에어 드레인 포트(131)의 제 2 에어 입구(131b)로 신선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의 내부 통로로 공급되고, 에어 드레인 케이스(135)로 들어온 신선한 외부 공기는 에어 출구단(137)을 통해 에어 벤트 파이프(300)로 공급된다. 반대로 에어 벤트 파이프(300) 내의 공기는 위와 역방향 경로를 따라 제 2 에어 입구(131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 캡이 없는 연료 주입관(필러넥)(10)의 필러 튜브(110) 측벽에 압력 밸브(120)를 위치시키고 압력 밸브(120)를 압력 밸브 커버(133)를 이용하여 외부와 차단시킨 후 가장 신선한 외부 공기의 공급이 가능한 위치인 필러 하우징(1)의 안쪽으로 에어 드레인 포트(131)를 이용하여 연결시켜 항상 신선한 외부 공기가 압력 밸브(120)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압력 밸브(120)의 수명이 길어지고 연료탱크 내부로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엔진 고장 등 자동차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필러 하우징 10 : 필러넥
100 : 필러 튜브 조립체 110 : 필러 튜브
111 : 내부 튜브 112 : 외부 튜브
113 : 플랩 밸브 115 : 실링 플레이트
116 : 캡 홀더 117 : 더스트 밸브
120 : 압력 밸브 130 : 에어 드레인부
131 : 에어 드레인 포트 133 : 압력 밸브 커버
135 : 에어 드레인 케이스

Claims (6)

  1.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의 연료탱크에 액체 연료를 이송시키는 이송로 역할을 하는 필러 튜브;
    상기 필러 튜브에 구비되어 상기 연료탱크의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밸브; 및
    상기 필러 튜브와 결합되며, 차체를 매개로 격리되어 외부 공기와 접하는 필러 하우징 안쪽으로 상기 압력 밸브의 에어 유출입 경로를 형성하는 에어 드레인부를 포함하는 필러 튜브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밸브는 상기 필러 튜브의 측벽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튜브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드레인부는,
    상기 필러 하우징의 안쪽으로 에어 입구가 형성되는 에어 드레인 포트;
    상기 에어 드레인 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에어 입구를 상기 압력 밸브와 연결하는 내부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압력 밸브의 외곽을 밀폐하는 압력 밸브 커버; 및
    상기 압력 밸브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필러 튜브에 고정 설치되는 에어 드레인 케이스를 포함하는 필러 튜브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드레인 포트는 상기 필러 튜브의 플랜지에 형성된 포트 조립공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튜브 조립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드레인 포트의 상기 에어 입구는 상기 압력 밸브 커버의 내부 통로와 연결되는 제 1 에어 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에어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압력 밸브 커버의 내부 통로를 통해 상기 압력 밸브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튜브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입구는 상기 에어 드레인 케이스의 내부 통로와 연결되는 제 2 에어 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에어 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에어 드레인 케이스의 내부 통로를 통해 에어 벤트 파이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러 튜브 조립체.
KR20100069382A 2010-07-19 2010-07-19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 KR101191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9382A KR101191747B1 (ko) 2010-07-19 2010-07-19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69382A KR101191747B1 (ko) 2010-07-19 2010-07-19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592A true KR20120008592A (ko) 2012-02-01
KR101191747B1 KR101191747B1 (ko) 2012-10-15

Family

ID=45833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69382A KR101191747B1 (ko) 2010-07-19 2010-07-19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7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319B1 (ko) * 2014-09-18 2016-02-25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압력 조절밸브 및 이를 갖는 필러튜브 조립체
CN106494223A (zh) * 2015-09-04 2017-03-15 韩国Ft股份有限公司 加油口组装体及其制造方法
JP2018083599A (ja) * 2016-11-25 2018-05-31 コリア、フューエル−テク、コーポレイションKorea Fuel−Tech Corporation フィラーネック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7865A (ko) * 2017-03-23 2018-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정압 제어 장치
KR20210073123A (ko)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캡리스 필러 넥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7234B1 (ko) * 2014-08-20 2015-11-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탱크 벤팅 시스템
KR102383327B1 (ko) * 2016-07-12 2022-04-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탱크 벤팅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5316A (en) 1999-06-30 2000-12-05 Eaton Corporation Capless fuel tank filler assembly
KR100648080B1 (ko) 2005-07-27 2006-12-08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캐니스터 성능 향상용 압력조절밸브
KR100736410B1 (ko) 2006-05-17 2007-07-16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자동차 캐니스터의 에어 드레인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319B1 (ko) * 2014-09-18 2016-02-25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압력 조절밸브 및 이를 갖는 필러튜브 조립체
CN106494223A (zh) * 2015-09-04 2017-03-15 韩国Ft股份有限公司 加油口组装体及其制造方法
CN106494223B (zh) * 2015-09-04 2019-06-28 韩国Ft股份有限公司 加油口组装体及其制造方法
JP2018083599A (ja) * 2016-11-25 2018-05-31 コリア、フューエル−テク、コーポレイションKorea Fuel−Tech Corporation フィラーネックアセンブリ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80107865A (ko) * 2017-03-23 2018-10-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정압 제어 장치
KR20210073123A (ko) 2019-12-10 2021-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캡리스 필러 넥 구조
US11745582B2 (en) 2019-12-10 2023-09-05 Hyundai Motor Company Capless filler neck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1747B1 (ko) 2012-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747B1 (ko) 차량용 연료 캡이 없는 필러 튜브 조립체
US5819796A (en) Fuel storage system
US9340105B2 (en) Fuel tank opening-closing device
US8910652B2 (en) Fuel ventilation system valve
US8360089B2 (en) Fuel cut-off valve
US6058970A (en) Refueling vapor recovery system with differential pressure valve
JP2006097674A (ja) 燃料遮断弁
EP1300579A2 (en) Fuel tank ventila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6012722B2 (ja) 蒸気制御装置における静的な漏れを防ぐための、蒸気排気弁と液漏れ防止機構とを備えたアセンブリ
US9573461B2 (en) Filter device and arrangement for ventilating a tank comprising a filter device
CN105705362A (zh) 翻盖模块
US20060032546A1 (en) Fuel tank for a motor vehicle
US20080251138A1 (en) Fuel Volatilizing Control System of Fuel Tank
WO2008105725A1 (en) Fuel tank arrangement for a vehicle
US6302133B1 (en) Fuel tank
JP2008132989A (ja) 車両用燃料タンク装置
US20150068617A1 (en) Valve and fuel tank structure
KR101567234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벤팅 시스템
KR101209739B1 (ko) 연료 필러 넥의 공기 흡입 장치
JP4822806B2 (ja) ウオッシャ液分配ジョイント及びウオッシャ装置
US20220242226A1 (en) Capless closure assembly for fuel-tank filler pipe
KR20120008895A (ko) 침수 방지 필러넥 패킹 구조
JP2010105468A (ja) 燃料遮断弁
CN201428841Y (zh) 一种溢油切断阀
KR100719218B1 (ko) 삼방향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