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328A -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328A
KR20120008328A KR1020100069123A KR20100069123A KR20120008328A KR 20120008328 A KR20120008328 A KR 20120008328A KR 1020100069123 A KR1020100069123 A KR 1020100069123A KR 20100069123 A KR20100069123 A KR 20100069123A KR 20120008328 A KR20120008328 A KR 20120008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layer
main display
sub
main
touch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909B1 (ko
Inventor
이형남
유미전
김현이
김운영
조유석
정연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909B1/ko
Priority to EP11173662.5A priority patent/EP2407871B1/en
Priority to CN201110255368.9A priority patent/CN102339210B/zh
Priority to US13/184,280 priority patent/US8624860B2/en
Publication of KR2012000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23D-info-object: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internal or external surface of a three dimensional manipulable object, e.g. on the faces of a cube that can be rotated by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고,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를 검출하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고,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풀링시킨다.

Description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touch screen display, a interface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가 감지될 때 감지된 터치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3 차원 영상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 및 활용되고 있다. 특히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을 활용하여, 3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전자 장치가 주목을 받고 있다.
3 차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기술은 양안의 시차로 관찰자가 입체감을 느끼게 되는 양안 시차의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안경 방식(shutter glass method), 무안경 방식, 완전 3차원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안경 방식에는 사용자가 별도의 편광 안경과 같은 별도의 장비를 착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무안경 방식에는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만 3차원 영상을 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안경 방식 및 무안경 방식에는 여러 문제점들이 존재하므로, 최근에는 완전 3차원 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현재 전자 장치는 이동의 편의를 위해 슬림화되고 있고, 조작을 편의를 위해 터치 패드 및 터치 스크린 등의 입력장치를 구비하도록 개발되고 있다. 현재 전자 장치는 터치 패드 및 터치 스크린이 터치되면 해당 동작들을 수행한다. 이 동작들은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선택을 하는 것에 대응한다. 또한 이 동작들은 페이지 넘김(paging), 스크롤링, 패닝(panning), 줌잉(zooming), 기타 등등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에 있어서, 입력 포인터의 움직임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의 표면을 따라 움직일 때, 사용자의 손가락의 상대적 움직임에 대응한다. 반면에, 터치 스크린은 화면을 덮고 있는 터치 감지 투명 패널을 갖는 일종의 디스플레이 화면이다.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보통 스타일러스 또는 손가락으로)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 직접 GUI 객체를 가리킴으로써 해당 GUI 객체를 선택을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2차원 디스플레이 상에서 3차원 디스플레이를 보는 듯한 착시 효과를 주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영상을 시청하는 중에 메뉴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인터페이스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방법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상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는 단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풀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풀링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방법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3 위치에서 객체의 객체-업 이벤트(Object-up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하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이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뒤로 들어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어 레이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페이스 방법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상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하나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업 이벤트(Object-up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를 검출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풀링시키는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뒤로 들어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어 레이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풀링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일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는 명령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를 검출하는 명령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는 명령어,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풀링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매체는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게 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게 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를 검출하게 하고,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풀링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은,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입체적으로 배열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2차원 디스플레이 상에서 3차원 디스플레이를 보는 듯한 착시 효과를 줄 수 있고, 감지된 터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시키고 풀링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3차원 디스플레이를 조작하는 느낌을 줄 수 있다. 또한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원하는 화면을 용이하게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하고, 영상을 시청하는 중에 다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디스플레이하는 메뉴를 바로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는 보다 신속하게 편리하게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c는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수행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변경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변경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수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변경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변경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수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레이어 간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객체를 이동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레이어 간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객체를 이동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수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신호 처리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음성 출력부(160), 입력장치(170), 저장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또는 핸드헬드 컴퓨터 등의 퍼스널 컴퓨터 시스템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일 수 있고, 디지털 TV 같은 고정형 가전기기일 수 있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는 신호처리부(84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 튜너부는 제1튜너부와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2 튜너부는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 튜너부는 주기적으로 모든 방송 채널의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장치(100)는 제1 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방송 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제2 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여러 채널의 영상을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튜너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제2 튜너부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i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5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60)로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튜너부가 구비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수의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패킷(packet)들을 수신하고, 네트워크 망으로 패킷을 전송한다. 즉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전달하는 IP 패킷을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데이터는 컨텐츠, 컨텐츠 업데이트 여부를 알리는 업데이트 메시지, 메타데이터, 서비스 정보 데이터, 소프트웨어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서비스 정보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 및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터넷 서비스는 CoD(Content's on Demand) 서비스, 유튜브 서비스, 날씨, 뉴스, 지역 정보 및 검색 등의 인포메이션 서비스, 게임, 노래방 등의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TV 메일, TV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등 인터넷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네트워크 TV, 웹 TV 및 브로드밴드 TV를 포함한다. 또한 방송 서비스는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을 통해 제공되는 방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인터넷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명령어를 실행하고 전자 장치(100)와 연관된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저장부(180)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를 사용하여, 제어부(190)는 전자 장치(100)의 컴포넌트들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단일 칩, 다수의 칩, 또는 다수의 전기 부품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또는 임베디드 프로세서, 단일 목적 프로세서, 컨트롤러, ASIC, 기타 등등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아키텍처가 제어부(190)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운영 체제와 함께 컴퓨터 코드를 실해하고 데이터를 생성 및 사용하는 동작을 한다. 운영 체제는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는다. 예로서, 운영 체제는 Window 계열 OS, Unix, Linux, Palm OS, DOS, 안드로이드 및 매킨토시 등일 수 있다. 운영 체제, 다른 컴퓨터 코드 및 데이터는 제어부(190)와 연결되어 동작하는 저장부(180)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100)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를 제공한다. 예로서, 저장부(180)는 판독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그램 코드 및 데이터는 분리형 저장 매체에 존재할 수 있고, 필요할 때, 전자 장치(100) 상으로 로드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분리형 저장 매체는 CD-ROM, PC-CARD, 메모리 카드, 플로피 디스크, 자기 테이프, 및 네트워크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90)와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예를 들어, 능동 매트릭스, 수동 매트릭스,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부(150)는 단색 디스플레이, CGA(Color Graphics adapter) 디스플레이, EGA(enhanced graphics adapter) 디스플레이, VGA(variable-graphics-array) 디스플레이, 슈퍼 VGA 디스플레이, CRT(cathode ray tube), 기타 등등의 모니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적 링크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전자 장치의 사용자와 운영 체제 또는 운영 체제 상에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 간의 사용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153)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GUI(153)는 프로그램, 파일, 및 동작 옵션들을 그래픽 이미지로 표현한다. 그래픽 이미지는 윈도우, 필드, 대화상자, 메뉴, 아이콘, 버튼, 커서 및 스크롤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는 미리 정의된 레이아웃으로 정렬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취하고 있는 특정의 조치를 돕기 위해 동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동작 동안에, 사용자는 여러 가지 그래픽 이미지와 연관된 기능 및 작업을 제기하기 위해 그 이미지를 선택 및 활성화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는 윈도우의 열기, 닫기, 최소화, 또는 최대화를 행하는 버튼, 또는 특정 프로그램을 가동시키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입력장치(170)는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또는 그 전방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150)와 일체로 되어 수 있거나 별개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부(150)와 일체로 된 경우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 명명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이 디스플레이부(150)의 전방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GUI(153)를 직접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지 제어될 객체 상에 그의 손가락을 올려 놓을 수 있다. 터치패드에서는, 이것과 같은 일대일 관계가 없다.
터치패드에 있어서, 터치패드는 디스플레이부(150)로부터 떨어져 일반적으로 다른 평면에 놓여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0)는 일반적으로 수직 평면에 위치해 있고, 터치패드는 일반적으로 수평 평면에 위치해 있다. 이것은 그의 사용을 덜 직관적이게 하며, 따라서 터치 스크린과 비교할 때 더 어렵다. 터치 스크린인 것에 부가하여, 입력장치(170)는 다중점 입력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입력장치(170)에 가해지는 제스처(171)를 인식하고 이 제스처(171)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스처는 하나 이상의 특정의 컴퓨팅 동작에 매핑되는, 입력장치(170)와의 양식화된 상호작용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제스처(171)는 여러가지 손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 움직임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다른 대안으로서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제스처는 스타일러스로 행해질 수 있다. 여기서 손가락, 스타일러스 등 제스처(171)를 일으키는 대상을 객체라고 명명한다.
입력장치(170)는 제스처(171)를 수신하고, 제어부(190)는 제스처(171)와 연관된 동작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실행한다. 게다가, 저장부(180)는 운영 체제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의 일부일 수 있는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181)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181)은 일반적으로 제스처(171)의 발생을 인식하고 그 제스처(171) 및/또는 제스처(171)에 응답하여 무슨 조치(들)이 취해져야 하는지를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에이전트에게 알려주는 일련의 명령어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제스처를 행할 때, 입력장치(170)는 제스처 정보를 제어부(190)로 전달한다. 저장부(180)로부터의 명령어, 보다 상세하게는 제스처 작동 프로그램(181)을 사용하여, 제어부(190)는 제스처(171)를 해석하고 저장부(180), 디스플레이부(150). 음성 출력부(160), 신호 처리부(14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및 입력장치(170) 등의 전자 장치(100)의 서로 다른 컴포넌트를 제어한다. 제스처(171)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동작을 수행하고, 디스플레이부(150) 상에 나타난 GUI 객체를 수정하며, 저장부(18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정하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신호 처리부(140)에서의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으로서 식별될 수 있다. 예로서, 이들 명령은 줌잉, 패닝, 스크롤링, 페이지 넘김, 회전, 크기조정, 영상 채널 변경, 컨텐츠 수신, 인터넷 접속 등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명령은 또한 특정의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것, 파일 또는 문서를 여는 것, 메뉴를 보는 것, 선택을 하는 것, 명령어를 실행하는 것, 인터넷 사이트 시스템에 로그온하는 것, 인가된 개인에게 컴퓨터 시스템의 제한된 영역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것, 바탕화면의 사용자 선호 배열과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것, 및/또는 기타 등등과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광범위한 서로 다른 제스처가 이용될 수 있다. 예로서, 제스처는 단일점(single point) 또는 다중점(multipoint) 제스처, 정적 또는 동적 제스처, 연속적(continuous) 또는 구분된(segmented) 제스처, 및/또는 기타 등등일 수 있다. 단일점 제스처는 단일의 접촉점으로 수행되는 제스처이다, 예를 들어, 이 제스처는 예를 들어 하나의 손가락, 손바닥 또는 스타일러스로부터와 같이 단일의 터치로 수행된다. 다중점 제스처는 다수의 점으로 수행될 수 있는 제스처이다, 예를 들어, 이 제스처는 예를 들어 다수의 손가락, 손가락과 손바닥, 손가락과 스타일러스, 다수의 스타일러스 및/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와 같이 다수의 터치로 수행된다. 정적 제스처는 움직임을 포함하지 않는 제스처이고, 동적 제스처는 움직임을 포함하는 제스처이다. 연속적 제스처는 단일의 스트로크로 수행되는 제스처이고, 구분된 제스처는 별개의 스텝 또는 스트로크의 시퀀스로 수행되는 제스처이다.
객체와 터치 스크린의 접촉은 통상적으로 여러 상이한 패턴을 갖는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단일점 제스처는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 및 그에 뒤이은 객체-다운 이벤트와 동일한 위치 또는 거의 동일한 위치에서의 객체-업 이벤트(Object-up event)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상에서의 동적 제스처는 객체-다운 이벤트와 그에 뒤이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 그리고 그 다음에 오는 객체-업 이벤트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접근하고,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접촉하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멀어져가는 프로세스를 기술하기 위해 파라미터가 사용된다. 이 파라미터는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거리,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누르는 압력,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간의 접촉 면적,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간의 전압,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커패시턴스, 또는 물리 파라미터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함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파라미터(예를 들어,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이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넘을 때, 객체-다운 이벤트가 일어나고, 이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진 문턱값을 넘고 있는 동안에 손가락의 대응하는 커서 위치가 위치 A로부터 위치 B로 이동할 때, 객체-드래깅 이벤트가 일어나며, 이 파라미터가 문턱값 레벨 아래로 떨어질 때 객체-업 이벤트가 일어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레이어(210, 211, 212, 213, 214)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된다. 하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하나의 화면이 될 수 있고, 하나의 채널로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윈도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화면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디스플레이 레이어만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화면의 중앙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어(21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이고,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어(211, 212, 213, 214)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명명한다. 여기서,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1, 212, 213, 214)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뒤로 들어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즉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1, 212, 213, 214)는 화면이 입체적으로 보이도록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의 측면에 배치되고,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공간 상 뒤로 들어가 보이도록 배치된다.
일실시예로,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1, 212, 213, 214)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청자는 박스 내부를 보는 듯한 느낌을 가질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시청자에게 3차원 영상을 보는 듯한 착시 효과를 줄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의 좌측면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1)는 멀티 채널의 방송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1)에 디스플레이 되는 방송 중 특정 방송을 선택하여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에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의 상측면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2)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가 디스플레이하는 방송에 대한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한다.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의 우측면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3)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한다.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3)는 복수의 채팅창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사용자는 특정 채팅창을 선택하여 채팅을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된 채팅창이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의 하측면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4)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2b의 실시예에서,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214)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21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선수에 대한 선수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310)는 포토 파일들을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310)에 디스플레이된 포토 파일 중 특정 파일을 선택하여, 확대해서 볼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311)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한다.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시청하는 중에, 사용자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311)의 메뉴를 조작하여 원하는 동작이 전자 장치(100)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312)는 방송을 디스플레이하고,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313)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314)는 폴더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한다(S400). 여기서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도 2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배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를 검출한다(S410).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를 검출한다(S420).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해당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풀링되게 제어한다(S430). 여기서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객체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도록 디스플레이된다. 즉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제1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픽셀이 제2 위치로 이동되도록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한다. 해당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이동에 따라 당겨지도록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해당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3 위치에서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한다(S440). 여기서 객체-업 이벤트는 객체-드래깅 이벤트와 같은 위치에 검출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을 중지한다(S450). 즉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제2 위치에 디스플레이된 픽셀이 제3 위치로 이동되도록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한 후,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이동을 중지한다. 또한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당겨진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당겨진 상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수행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510) 상의 제1 위치(511)에서 객체-다운 이벤트를 검출한다. 객체(501)는 제1 위치(511)에서 제 2위치(512)로 이동한다. 이때 객체(50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50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객체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파라미터가 소정의 문턱값을 넘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제2 위치(512)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를 검출하면,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510)를 제1 위치(511)에서 제2 위치(512)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 시킨다.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510)의 이동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520)가 당겨진다. 즉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520)의 일축(521)은 고정되고 타축(522)은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510)의 이동에 따라 이동됨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520)는 당겨지는 것처럼 디스플레이된다.
객체(501)는 제3 위치(513)로 이동하고, 객체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500)로부터 떨어지거나 파라미터가 소정의 문턱값보다 작아지면, 제어부(190)는 제3 위치(513)에서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한다.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하면,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510)를 제2 위치(512)에서 제3 위치(513)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이동시키고,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510)의 이동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520)가 당겨지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변경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한다(S600). 여기서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도 2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배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를 검출한다(S610).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한다(S620).
제어부(190)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와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변경한다(S630). 즉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위치로 이동되어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되고,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위치로 이동되어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된다.
도 7a 내지 도 7c 본 발명에 따른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변경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수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720) 상의 제1 위치(721)에서 객체-다운 이벤트를 검출한다. 객체(701)는 제1 위치(721)에서 제2 위치(711)로 이동한다. 이때 객체(70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70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객체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파라미터가 소정의 문턱값을 넘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710) 상의 제2 위치(711)에서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한다. 제1 위치(721)에서 객체-다운 이벤트가 검출되고, 제2 위치(711)에서 객체-업 이벤트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720)와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710)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720)가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변경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한다(S800). 여기서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도 2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배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를 검출한다(S810).
제어부(190)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한다(S820).
제어부(190)는 객체-다운 이벤트 검출 시간과 객체-업 이벤트 검출 시간의 차이값을 산출한다(S830).
제어부(190)는 산출된 차이값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보다 작거나 같은 여부를 확인한다(S840). 여기서 사전에 설정된 시간은 동적 제스처 상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가 검출되는 딜레이 시간이 될 수 있고,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정해진 시간일 수 있으며, 프로그램 설계시에 디볼트로 정해진 시간일 수 있다.
제어부(190)는 산출된 차이값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보다 작은 경우에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와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변경한다(S850). 즉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위치로 이동하여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되고, 제2 위치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위치로 이동되어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된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변경 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수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910) 상의 제 1위치(911)에서 객체_다운 이벤트를 검출한다. 객체(901)는 제 1위치(911)에서 제 2위치(921)로 이동한다. 이때 객체(901)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900)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고, 객체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간의 파라미터가 소정의 문턱값을 넘는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0)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920) 상의 제 2위치(921)에서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한다.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하면, 제 1위치(911)에서 객체_다운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과 제 2위치(921)에서 객체_업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산출된 차이값이 사전에 설정된 시간보다 작어나 같은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910)와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920)를 도 9c와 같이 변경한다. 이에 따라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92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레이어 간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객체를 이동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150)는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한다(S1000). 여기서 멀티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도 2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배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를 검출한다(S1010).
제어부(190)는 제1 위치상에 GUI 객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20).
GUI 객체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한다(S1030).
제어부(19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다른지 확인한다(S1040).
다른 경우에는, 제어부(190)는 GUI 객체를 제2 위치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레이어로 이동하고,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과 관련된 동작을 수행한다(S1050). 이동 GUI 객체가 특정 컨텐츠(또는 파일)와 연관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특정 컨텐츠가 이동된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이동된 위치에 해당하는 폴더로 복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컨텐츠는 이동된 위치에 해당하는 장치 또는 주소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레이어 간의 GUI(Graphic User Interface) 객체를 이동시키는 인터페이스 방법이 수행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제어부(190)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1110) 상의 제1 위치(1111)에서 객체-다운 이벤트를 검출한다. 제어부(190)는 제1 위치(1111)에 디스플레이 객체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11a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객체(1113)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객체는 GUI 객체, 파일 객체, 폴더 객체, 사진 및 채널 영상 썸네일 화면 등일 수 있다.
객체(1101)의 이동에 따라, 도 11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객체(1113)는 드래그 된다. 여기서 제어부(190)는 객체(1101)의 이동에 따라 객체-드래깅 이벤트를 검출한다.
제어부(190)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1120) 상의 제2 위치(1121)에서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한다.
객체-업 이벤트가 검출되면, 제어부(190)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1120) 상의 제2 위치(1121)에 디스플레이 객체(1101)를 위치시키고, 이동을 중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장치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0)

  1.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상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는 단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풀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3 위치에서 객체의 객체-업 이벤트(Object-up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객체-업 이벤트를 검출하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이동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4.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상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하나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업 이벤트(Object-up event)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뒤로 들어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6.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7.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9.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어 레이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페이스 방법.
  11.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를 검출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풀링시키는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2.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도록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는 명령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를 검출하는 명령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는 명령어; 및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풀링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가 뒤로 들어가 보이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4.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향하는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도록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5.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상측면, 하측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6.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의 방송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7.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어 레이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와 연관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8.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의 하나는 채팅창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19.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풀링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0. 명령어들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및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디스플레이하게 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화면의 중앙에 위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는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의 측면에 위치되게 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1 위치에서 객체-다운 이벤트(Object-down event)를 검출하게 하며;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상의 제2 위치에서 객체-드래깅 이벤트(Object-dragging event)를 검출하게 하고; 및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를 이동 시키고,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레이어 이동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디스플레이 레이어 중 적어도 하나를 풀링하게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KR1020100069123A 2010-07-16 2010-07-16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1712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123A KR101712909B1 (ko) 2010-07-16 2010-07-16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EP11173662.5A EP2407871B1 (en) 2010-07-16 2011-07-12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display, interface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CN201110255368.9A CN102339210B (zh) 2010-07-16 2011-07-15 电子设备以及用于控制设备中多个层的显示的界面方法
US13/184,280 US8624860B2 (en) 2010-07-16 2011-07-15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uch screen display, interface method using the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123A KR101712909B1 (ko) 2010-07-16 2010-07-16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328A true KR20120008328A (ko) 2012-01-30
KR101712909B1 KR101712909B1 (ko) 2017-03-22

Family

ID=44675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123A KR101712909B1 (ko) 2010-07-16 2010-07-16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24860B2 (ko)
EP (1) EP2407871B1 (ko)
KR (1) KR101712909B1 (ko)
CN (1) CN102339210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746A (ko) * 2012-10-29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WO2015012451A1 (en) * 2013-07-26 2015-01-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WO2015012449A1 (en) * 2013-07-26 2015-01-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629B1 (ko)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3257704B (zh) * 2012-02-20 2016-12-14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设备和方法
CN103941954B (zh) 2013-01-17 2018-06-1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展示界面的方法和装置、用户界面交互的方法和装置
KR101801554B1 (ko) 2013-07-11 201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CN103914224B (zh) * 2014-03-24 2018-03-23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装置
US9772725B2 (en) 2014-09-24 2017-09-26 Synaptics Incorporated Hybrid sensing to reduce latency
US10275142B2 (en) 2014-10-29 2019-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anaging content displayed on a touch screen enabled device
KR102358749B1 (ko) * 2014-12-26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403A (en) * 1996-04-30 1999-12-14 Sony Corporation Graphical navigation control for selecting applications on visual walls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6822A (en) * 1995-10-27 1999-01-05 02 Micro, Inc. Touch-pad digital computer pointing-device
KR100764677B1 (ko) * 2005-01-27 2007-10-08 주식회사 애트랩 데이터 검색 및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방법
US20070257891A1 (en) 2006-05-03 2007-11-08 Esenther Alan W Method and system for emulating a mouse on a multi-touch sensitive surface
US7880728B2 (en) * 2006-06-29 2011-02-01 Microsoft Corporation Application switching via a touch screen interface
US8619038B2 (en) *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CN101127621A (zh) 2007-09-26 2008-02-20 许立新 虚拟互联网跨媒体系统
US9513765B2 (en) * 2007-12-07 2016-12-06 Sony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sliding object arrangement method and system
CN101464771A (zh) 2007-12-21 2009-06-24 Ge医疗系统环球技术有限公司 信息处理装置和集成信息系统
EP2134083A1 (en) 2008-06-12 2009-12-16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video sources
JP4632102B2 (ja) * 2008-07-17 2011-02-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00069123A (ko) 2008-12-16 2010-06-24 김종옥 오뚝이 발전기
JP2011141753A (ja) * 2010-01-07 2011-07-21 Sony Corp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636678B2 (ja) * 2010-01-19 2014-12-1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KR101651135B1 (ko) * 2010-07-12 2016-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2403A (en) * 1996-04-30 1999-12-14 Sony Corporation Graphical navigation control for selecting applications on visual walls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746A (ko) * 2012-10-29 2014-05-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WO2015012451A1 (en) * 2013-07-26 2015-01-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WO2015012449A1 (en) * 2013-07-26 2015-01-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12949A (ko) * 2013-07-26 2015-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US9892313B2 (en) 2013-07-26 2018-02-13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222928B2 (en) 2013-07-26 2019-03-0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39210A (zh) 2012-02-01
US8624860B2 (en) 2014-01-07
EP2407871A3 (en) 2015-12-02
CN102339210B (zh) 2014-08-13
EP2407871B1 (en) 2019-03-13
US20120013557A1 (en) 2012-01-19
EP2407871A2 (en) 2012-01-18
KR101712909B1 (ko) 201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2909B1 (ko)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
KR10211145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US9609381B2 (en) Method for playing contents
US20110273540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n image display apparatus
US10200738B2 (en) Remote controller and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538245B2 (en) Media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ecommended search term corresponding to an image
US20120050267A1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CN105323623B (zh) 显示设备、包括显示设备的多显示器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719989B1 (ko) 전자 장치 및 메뉴를 구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EP2262235A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15005176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EP2444884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using the same
EP2793104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image display device
JP5887994B2 (ja) 映像送信装置、端末装置、映像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10122556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057313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1789617B1 (ko) 전자 장치 및 메뉴 편집 인터페이스 방법
KR20150006276A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921176B1 (ko) 전자 장치 및 가상 터치스크린을 제공하는 방법
KR20160046719A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4012562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210545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70025562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2026728B1 (ko) 미디어 시스템, 전자 장치, 화면 인터페이스 피드백 방법
KR20120038826A (ko) 전자 다이어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다이어리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전자 다이어리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