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6719A -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719A
KR20160046719A KR1020150132611A KR20150132611A KR20160046719A KR 20160046719 A KR20160046719 A KR 20160046719A KR 1020150132611 A KR1020150132611 A KR 1020150132611A KR 20150132611 A KR20150132611 A KR 20150132611A KR 20160046719 A KR20160046719 A KR 20160046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view mode
display device
user
recomme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2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리한트 자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4/919,27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119685A1/en
Publication of KR20160046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e.g. interacting with MPEG-4 objects, editing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 1 뷰 모드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뷰 모드로부터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뷰 모드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METHOD FOR DISPLAYING AND DISPLAY DEVICE}
개시된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화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트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smart TV)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뷰 모드의 변경을 감지함에 따라 추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제 1 뷰 모드(view mode)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뷰 모드로부터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뷰 모드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 2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컨텐트와 상기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컨텐트와 상기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컨텐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컨텐트와 상기 제 2 컨텐트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매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컨텐트가 표시되는 상기 제 2 뷰 모드의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컨텐트를 자동으로 런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추천 컨텐트의 제공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컨텐트를 리스트(list), 그리드(grid), 팝업(pop-up), 알림, 사용자 지정 형식 중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 1 뷰 모드 및 상기 제 2 뷰 모드는 싱글 뷰(single view) 모드, 멀티 뷰 모드(multi view), 싱글 유저(single user) 모드, 및 멀티 유저(multi user)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제 1 뷰 모드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제 1 뷰 모드로부터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뷰 모드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제 2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컨텐트와 상기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키고, 매핑시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컨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트와 상기 제 2 컨텐트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매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추천 컨텐트가 표시되는 제 2 뷰 모드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상기 추천 컨텐트를 자동으로 런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추천 컨텐트의 제공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제 1 뷰 모드 및 상기 제 2 뷰 모드는 싱글 뷰 모드, 멀티 뷰 모드, 싱글 유저 모드, 및 멀티 유저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 있는 환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멀티 뷰 모드에서 컨텐트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멀티 유저 모드에서 컨텐트를 표시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추천 컨텐트 제공 기능을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는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제 1 뷰 모드”는, 사용자가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트를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 2 뷰 모드”는 제 1 뷰 모드에서 표시된 컨텐트에 대응되는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 1 뷰 모드 및 제 2 뷰 모드 각각은 싱글 뷰 모드, 멀티 뷰 모드, 싱글 유저 모드, 멀티 유저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싱글 뷰 모드(single view mode)”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 전체에 하나의 컨텐트가 표시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멀티 뷰 모드(multi view mode)”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이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분할된 복수의 영역 각각에 서로 다른 컨텐트가 제공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멀티 뷰 모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을 두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듀얼 뷰 모드(dual view mode), 세 개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트리플 뷰 모드(triple view mo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싱글 유저 모드(single user mode)”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화면을 바라보는 방향과 상관없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하나의 컨텐트를 표시하는 모드를 의미한다.
“멀티 유저 모드(multi user mode)”는, 사용자가 화면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서로 다른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는 모드를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 있는 환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TV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등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뷰 모드(100)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뷰 모드(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싱글 뷰 모드, 멀티 뷰 모드, 싱글 유저 모드, 멀티 유저 모드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1 뷰 모드(100)가 싱글 뷰 모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컨텐트는,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웹 컨텐트, 및 방송 컨텐트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뷰 모드에서 제 2 뷰 모드로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뷰 모드에서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는, 리모트 컨트롤(remote control), 터치 패드(touch pad), 제스처 보이스(gesture voice), 터치 볼(touch ball), 집중 사용자 인터페이스(AUI, attentive user interface),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 및 전자 마우스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이 감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2 뷰 모드(110)에서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추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뷰 모드(110)는, 싱글 뷰 모드, 멀티 뷰 모드, 싱글 유저 모드, 멀티 유저 모드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멀티 뷰 모드는, 듀얼 뷰 모드 및 트리플 뷰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 2 뷰 모드(110)가 듀얼 뷰 모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듀얼 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화면을 2개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2개의 영역 중 제 1 영역(110a)에 제 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추천 컨텐트를 제 2 영역(110b)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듀얼 뷰 모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을 세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면을 가로 방향으로 분할하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추천 컨텐트는, 방송 컨텐트, 웹 컨텐트,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클라우드(cloud)/서버(server)(140), 외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와 서로 다른 종류의 추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트가 방송 컨텐트인 경우, 추천 컨텐트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 컨텐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멀티 뷰 모드(11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멀티 뷰 모드(11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화면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여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화면을 두 개의 영역(110a, 110b)으로 분할하는 듀얼 뷰 모드(110)에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실시예에 따라, 두 개의 영역(110a, 110b)에 서로 독립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서로 관련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두 개의 영역 중 제 1 영역(110a)에 방송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고, 제 1 영역(110a)에 표시되는 방송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210)를 제 2 영역(110b)에 표시할 수 있다. 제 2 영역(110b)에 표시되는 정보(210)는, 제 1 영역(110a)에 표시된 방송 컨텐트의 채널 이름, 프로그램 이름, 다음에 방송될 프로그램 이름, 방송 시간(dur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멀티 유저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멀티 유저 모드에서, 제 1 사용자는 멀티 유저 안경(220)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화면(240)에서 하나의 컨텐트(230)를 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 2 사용자는 다른 멀티 유저 안경(221)을 이용하여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화면(240)에서 다른 컨텐트(231)를 볼 수 있다. 여기서, 멀티 유저 안경(220, 221)은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하나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서 각자 원하는 컨텐트(230, 231)만 보기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는 서로를 간섭하지 않고, 각자의 컨텐트(230, 231)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를 참조하면, 제 1 사용자는 멀티 유저 안경(220)을 이용하여 축구와 관련된 컨텐트(230)를 볼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제 2 사용자는, 멀티 유저 안경(221)을 이용하여 동일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화면(240)에서 만화와 관련된 컨텐트(231)를 볼 수 있다.
뷰 모드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화면을 두 개의 영역(241a, 241b)으로 분할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두 개의 영역 중 제 1 영역(241a)에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가 보는 컨텐트(230, 231)를 표시하고, 제 1 영역(241a)에 표시된 컨텐트(230, 231)와 관련된 정보(250, 251)를 제 2 영역(241b)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영역(241b)에 표시되는 정보(250, 251)는 서로 중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사용자는, 멀티 유저 안경(220)을 사용하여 축구와 관련된 컨텐트(230) 및 컨텐트(230)와 관련된 정보(250)를 볼 수 있다. 또한, 제 2 사용자는, 멀티 유저 안경(221)을 사용하여 만화와 관련된 컨텐트(231) 및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251)를 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화면을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할 수 있으며,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S31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뷰 모드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제 1 컨텐트는, 방송 컨텐트, 웹 컨텐트,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서버, 및 외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32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뷰 모드에서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 1 뷰 모드에서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제 1 뷰 모드에서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은, 싱글 뷰 모드에서 멀티 뷰 모드, 멀티 뷰 모드에서 싱글 뷰 모드, 멀티 뷰 모드에서 멀티 뷰 모드로의 변경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330 단계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뷰 모드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 2 뷰 모드가 듀얼 뷰 모드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듀얼 뷰 모드의 제 1 영역에 제 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추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가 제공되는 제 2 뷰 모드의 속성을 변경시킬 수 있다. 변경시킬 수 있는 제 2 뷰 모드의 속성은, 추천 컨텐트가 제공되는 영역의 크기, 위치, 투명도, 추천 컨텐트가 표시되는 형식, 색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추천 컨텐트가 표시되는 형식은, 리스트(list), 그리드(grid), 웹 페이지(web page), 팝업(pop-up), 알림(notification), 사용자 지정(custom) 형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추천 컨텐트의 정렬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와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추천 컨텐트를 정렬하거나, 또는 업데이트된 시간 순으로 정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를 자동으로 런칭(launch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컨텐트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컨텐트를 런칭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가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컨텐트가 방송 컨텐트인 경우, 컨텐트를 런칭하는 것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가 추천 컨텐트를 재생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모드(400)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드(400)는 싱글 뷰 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모드(400)에서 제 2 모드(410)로의 변경이 감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2 모드(410)에서 추천 컨텐트(200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 2 모드(41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블 뷰 모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를 참조하면, 제 2 모드(410)에서 화면은 제 1 영역(410a) 및 제 2 영역(4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를 제 1 영역(410a)에 표시할 수 있고,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트(2000)를 제 2 영역(410b)에 제공할 수 있다. 추천 컨텐트(200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채널, 추천 어플리케이션, 추천 웹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텐트가 축구에 관련된 방송 컨텐트이면, 추천 채널(543 내지 545)는 FIFA 월드컵, 세계의 축구 뉴스와 관련된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추천 어플리케이션(App1 내지 App3)은 축구 게임 어플리케이션, 축구 중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실시예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 1 모드(401)에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체스 게임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 1 모드(401)에서 표시할 수 있다.
그 후에, 제 1 모드(401)에서 제 2 모드(411)로의 변경이 감지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체스 게임에 대응되는 추천 컨텐트(2000)를 제 2 모드(411)에서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와 서로 다른 타입의 컨텐트를 추천 컨텐트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텐트가 방송 컨텐트인 경우, 추천 컨텐트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컨텐트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추천 컨텐트는 방송 컨텐트 또는 웹사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제 1 뷰 모드에서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이 감지됨에 따라(단계 S510),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를 분석할 수 있다(단계 S52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PG, Electronic Program Guide)를 분석하고, EPG로부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여기서, EPG는, TV 방송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이나 부가 채널을 이용하여 TV 프로그램 방송 시간과 내용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송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는, 프로그램 이름, 채널 이름, 장르(genre), 메타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키워드(keyword)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트가 월드컵 축구 경기와 관련된 방송 컨텐트인 경우,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키워드는 "FIFA 월드컵", "스포츠", "축구"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단계 S53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 및 생성된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 및 키워드는, 제 1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뷰 모드에 표시되는 제 1 컨텐트가 변경될 때마다,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소정의 주기마다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단계 S540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컨텐트와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킬 수 있다.
제 2 컨텐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서 이용할 수 있는 모든 컨텐트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컨텐트는, 방송 컨텐트, 웹 컨텐트, 및 클라우드/서버와 외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제 1 컨텐트에 관련된 정보 및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 1 정보, 제 2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 및 키워드를 포함하는 제 2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정보는, 뷰 모드의 변경이 감지되기 전에, 미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2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제 2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거나, 또는 소정의 주기마다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컨텐트와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하나의 제 1 컨텐트를 복수의 제 2 컨텐트와 매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컨텐트가 방송 컨텐트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와 다른 방송 컨텐트, 어플리케이션, 및 웹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컨텐트와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컨텐트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와 다른 어플리케이션, 방송 컨텐트, 및 웹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를 제 1 컨텐트와 매핑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와 제 2 컨텐트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제 1 컨텐트와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키워드와 제 2 컨텐트에 대응되는 키워드가 적어도 2개 이상 일치하면, 제 1 컨텐트와 제 2 컨텐트가 유사하다고 판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컨텐트와 제 2 컨텐트의 유사도를 판단하는 기준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추천 컨텐트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는 도 3 및 도 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A에 도시된 단계 S610 내지 S630 은, 도 3에 도시된 단계 S310, 단계 S320, 및 단계 S330 중 일부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640 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추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 설치(install)되어 있지 않다면(S640a),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저장 매체 등에 저장된 컨텐트를 추천 컨텐트로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저장 매체 등을 외부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외부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트를 추천 컨텐트로 제공하는 단계는, 이하에서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추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 설치되어 있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가 복수인지 추가로 판단할 수 있다(단계 S650).
추천 컨텐트가 복수인 경우(S650b),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제 2 뷰 모드에 표시할 추천 컨텐트를 확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트를 확정하는 단계는, 이하에서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추천 컨텐트가 1개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 제공과 관련된 기능을 설정하고(단계 S660), 추천 컨텐트를 제 2 뷰 모드에서 제공할 수 있다(단계 S670). 추천 컨텐트 제공과 관련된 기능을 설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단계 S66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천 컨텐트를 런칭할 수 있다(단계 S662). 추천 컨텐트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런칭은 추천 컨텐트를 설치거나 실행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추천 컨텐트가 런칭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단계 S663),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변경된 제 2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6B 및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단계들에 연속되는 단계들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추천된 컨텐트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됨에 따라(S640a),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추천 컨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를 분석하고(단계 S641),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추천된 컨텐트가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단계 S642).
추천 컨텐트가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표시하고(단계 S644), 추천 컨텐트를 제 2 뷰 모드에서 제공할 수 있다(단계 S645).
그리고, 단계 S646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추천 컨텐트가 제 1 컨텐트에 대응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지 않고, 제 1 컨텐트만 표시할 수 있다(단계 S643). 이때,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2 모드에서 제 1 모드로 다시 변경하고, 제 1 모드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제 2 모드가 듀얼 뷰 모드인 경우, 제 1 영역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하고, 제 2 영역에서 추천 컨텐트가 없다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6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트를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단계 S650에서 추천 컨텐트가 복수인 경우(S650b), 사용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제 2 뷰 모드에서 표시할 추천 컨텐트를 확정할 수 있다.
단계 S651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히스토리 데이터(history data)를 분석할 수 있다. 히스토리 데이터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서 선택했던 컨텐트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652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획득한 사용자의 선호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그래픽 기반의 어플리케이션보다 비디오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선호한다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그에 대응하는 추천 컨텐트를 확정할 수 있다.
단계 S653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단계 S652에서 확정된 추천 컨텐트를 제 2 뷰 모드에서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654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서 추천 컨텐트 제공과 관련된 항목을 설정하는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기능을 온(ON)/오프(OFF)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관련된 여러가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설정 테이블(setting table, 71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 테이블(710)은, 볼륨 설정(volume setting, 710-1), 색상 설정(color setting, 710-2), 채널 설정(channel setting, 710-3), 멀티 뷰 모드 설정(710-4), 추천 컨텐트 설정(710-5), 일반 설정(general setting, 710-6)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설정할 항목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선택된 항목과 관련된 옵션(option)들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설정 테이블(710)과 구분되는 영역(711)에 선택된 항목과 관련된 옵션들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설정 테이블(710)에서 추천 컨텐트 설정(710-5)이 선택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설정 테이블(710)과 구분되는 영역(711)에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기능과 관련된 옵션들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기능과 관련된 옵션들은,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기능의 온/오프(711-1), 제공되는 추천 컨텐트가 표시되는 형식(711-2)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리스트 형식을 선택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추천 컨텐트를 리스트 형식(list format)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용자 지정 형식(custom format)으로 추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를 통해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사용자 지정 형식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지정 형식을 결정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더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트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 위치, 투명도, 색상 등을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8A 내지 도 8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서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는 형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리스트 형식이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컨텐트(810)를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채널, 추천 어플리케이션, 추천 웹사이트 등의 추천 컨텐트(810)를 제 2 뷰 모드(800)에서 리스트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811)를 그리드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드 형식은, 추천 컨텐트(811)를 격자 형태로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 각각을 사각형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천 컨텐트(812)를 웹 페이지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컨텐트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웹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추천 컨텐트가 제공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추천 컨텐트들을 복수의 탭을 포함하는 웹페이지 형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감지부(1010), 제어부(1020), 및 디스플레이부(10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디바이스(1000)가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 입력부(1040), 터치/제스처/보이스 컨트롤러(1041), 통신부(1050), 버스(1051), 저장부(1060), 메모리(1061)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튜너부(1081), 입/출력부(1070), 비디오 처리부(1080), 오디오 처리부(1082), 오디오 출력부(1090), 전원부(10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감지부(1010)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0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01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뷰 모드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뷰 모드에서 제 2 뷰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감지부(1010)는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020)로 전달할 수 있다.
뷰 모드의 변경은,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함에 따라 수행되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미리 지정해놓은 설정에 따라서 뷰 모드의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기본 설정에 따라서 뷰 모드의 변경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감지부(1010)는, 실시예에 따라 마이크(1011), 카메라부(1012), 광 수신부(1023)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마이크(1011)는, 외부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 신데호로 변환하여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음성 신호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101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011)는 통신부(1050) 또는 입/출력부(10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부(1012)는, 카메라의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움직임(motion)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사용자 움직임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움직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012)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2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020)는, 수신된 움직임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커서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01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01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050) 또는 입/출력부(10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부(1012)는, 실시예에 따라, 2개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012)가 복수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광 수신부(1013)는 외부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030)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013)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움직임)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감지부(1010)는,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020)와 별도로 구성되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제어부(102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020)는, 메모리(1061)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30), 통신부(1050), 입출력부(107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제 1 뷰 모드에서 표시된 제 1 컨텐트를 분석하고,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뷰 모드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020)는, 제 1 분석부, 제 2 분석부, 및 추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020)는, 램(RAM, 1024), 롬(ROM, 1025), 프로세서(processor, 1026), 그래픽 처리부(1027), 제 1 내지 n 인터페이스(1028-1 내지 1028-n)을 포함할 수 있다. 램(1024)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저장 영역으로 사용될 수 있다. ROM(1025)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6)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83)는 코어(core, 도시되지 아니함)와 GPU(도시되지 아니함)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26)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6)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026)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027)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101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1030)에서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028-1 내지 1028-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1024), 롬(1025), 프로세서(1026), 그래픽 처리부(1027),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028-1 내지 1028-n)는 내부 버스(bus)(1029)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에 도시된 제어부(1020)는, 도 9에 도시된 제어부(1020)의 일 실시예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030)는, 방송 컨텐트, 웹 컨텐트, 어플리케이션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 1 뷰 모드 또는 제 2 뷰 모드에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0)는, 제 1 컨텐트를 제 1 뷰 모드에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뷰 모드로부터 제 2 뷰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가 감지되면, 디스플레이부(130)는 제 2 뷰 모드에서 추천 컨텐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추천 컨텐트는,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추천되는 컨텐트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3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설정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0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디스플레이부(1030)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03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0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04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040)는,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로부터 독립적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040)는, 리모트 컨트롤, 마우스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독립적인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040)는, 터치 패드, 제스처, 보이스 컨트롤, 터치 볼, 집중 사용자 인터페이스,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 마우스, 디스플레이부(1030) 상에서 커서(cursor)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커서 방향 키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제스처, 사용자의 보이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터치/제스처/보이스 컨트롤러(10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081)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하여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를 포함한다.
튜너부(1081)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081)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081)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1081)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060)에 저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튜너부(1081)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08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포함하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도시되지 아니함), 입/출력부(1070)에 연결되는 튜너부(도시되지 아니함))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05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통신부(10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로 컨텐츠를 송/수신할 수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05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051), 블루투스(10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105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50)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050)는 블루투스(1052)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30)로부터 블루투스 타입의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5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06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60)는, 비디오 처리부(1080), 디스플레이부(1030), 오디오 처리부(1082), 오디오 출력부(1090), 전원부(1001), 튜너부(1081), 통신부(1050), 감지부(1010), 입/출력부(1070)의 구동에 필요한 입/출력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06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소 제공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시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9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라는 용어는 도 11에 도시된 저장부(1060), 제어부(1020)의 램(1024), 롬(1025)을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08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108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082)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1082)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1082)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082)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1081)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082)는 통신부(1050) 또는 입/출력부(10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1082)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082)는 스피커(1091), 헤드폰 출력 단자(1092)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109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082)는 스피커(1091), 헤드폰 출력 단자(1092) 및 S/PDIF 출력 단자(109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01)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1001)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에 공급할 수 있다.
입/출력부(1070)는, 제어부(10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0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0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072), PC 포트(PC port, 1073), 및 USB 포트(USB port, 10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070)는 HDMI 포트(1071), 컴포넌트 잭(1072), PC 포트(1073), 및 USB 포트(10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A를 참조하면, 제어부(1020)는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030)가 제 2 뷰 모드에서 추천 컨텐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020)는, 실시예에 따라, 제 1 분석부(1021), 제 2 분석부(1022), 및 추천 모듈(10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분석부(1021)는, 제 1 뷰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 1 컨텐트를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분석부(1021)는, EPG를 분석하고, EPG로부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제 1 분석부(1021)는,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텐트가 CHANNEL 1에서 방송되는 월드컵 경기인 경우, 제 1 정보는 프로그램 이름, 채널 이름, 장르, 키워드, 제 1 컨텐트에 대한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그램 FIFA 월드컵
채널 CHANNEL 1
장르 스포츠, 축구
키워드 축구, 브라질, 월드컵
설명 브라질 vs 독일,
Rio de Janerio에서 열린 준결승전
제 1 분석부(1021)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및 클라우드/서버(1220)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제 2 분석부(1022)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클라우드/서버, 및 외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트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할 컨텐트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제 2 분석부(1022)는 어플리케이션 내에 있는 구성 파일(configuration file)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구성 파일은, RSS(Rich Site Summary) 형식,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식,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형식, 텍스트 형식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분석부(1022)는, 구성 파일로부터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추출하고, 제 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정보는,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 이름, 타입, 카테고리, 및 설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 이름 타입 카테고리 설명
APP1 뉴스 스포츠 실시간 축구 소식
APP2 VOD 비디오 미국 드라마
APP3 3D 게임 게임 액션 게임
APP4 2D 게임 게임 농구 게임
APP5 비디오 비디오 온라인 비디오
제 2 분석부(1022)는, 제 2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할 수 있다.
추천 모듈(1023)은,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추천 모듈(1023)은 제 1 컨텐트와 제 2 컨텐트를 매핑(mapping)시킬 수 있다. 이때, 추천 모듈(1023)은, 하나의 제 1 컨텐트에 복수의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추천 모듈(1023)은, 매핑시킨 결과에 기초하여, 매핑된 제 2 컨텐트를 추천 컨텐트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30)은, 추천 모듈(1023)에 의해 제공된 추천 컨텐트를 제 2 뷰 모드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추천 모듈(102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및 외부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구현될 수 있다. 추천 모듈(1023)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 구현되는 경우, 추천 모듈(1023)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에 이미 저장된 컨텐트를 추천할 수 있다.
제어부(1020)는, 실시예에 따라, 컨텐트 분석부(1200)와 추천 모듈(10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컨텐트 분석부(1200)는, 도 12A에 도시된 제 1 분석부(1021) 및 제 2 분석부(1022)에 대응될 수 있다.
도 12B를 참조하면, 컨텐트 분석부(1200)는 제 1 모드에서 표시되는 제 1 컨텐트를 분석하여, 제 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분석부(12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0), 클라우드/서버(1220), 및 외부 저장 디바이스 중 하나에 저장된 복수의 제 2 컨텐트를 분석하여, 제 2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 제 1 정보 및 제 2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한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제 1 컨텐트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추천 모듈(1023)에 의해 제공되는 추천 컨텐트는 제 1 컨텐트와 다른 어플리케이션, 방송 컨텐트, 및 웹 컨텐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020)는, 제 1 컨텐트와 서로 다른 종류의 컨텐트를 추천 컨텐트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컨텐트가 어플리케이션인 경우, 추천 컨텐트는 방송 컨텐트 또는 웹 컨텐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제 1 뷰 모드(view mode)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 1 뷰 모드로부터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뷰 모드로의 변경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뷰 모드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컨텐트와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1 컨텐트와 상기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추천 컨텐트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 1 컨텐트와 상기 제 2 컨텐트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매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컨텐트가 표시되는 상기 제 2 뷰 모드의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컨텐트를 자동으로 런칭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추천 컨텐트의 정렬 순서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추천 컨텐트의 제공 여부를 선택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추천 컨텐트를 리스트(list), 그리드(grid), 팝업(pop-up), 알림, 사용자 지정 형식 중 하나의 형태로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방법은,
    상기 제 1 뷰 모드 및 상기 제 2 뷰 모드는 싱글 뷰(single view) 모드, 멀티 뷰 모드(multi view), 싱글 유저(single user) 모드, 및 멀티 유저(multi user) 모드 중 하나인, 디스플레이 방법.
  11. 제 1 뷰 모드에서 제 1 컨텐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뷰 모드의 변경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하고, 상기 제 1 컨텐트를 분석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뷰 모드에서 추천 컨텐트를 제공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컨텐트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컨텐트와 관련된 정보 및 상기 키워드를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컨텐트와 제 2 컨텐트를 매핑시키고, 매핑시킨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추천 컨텐트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컨텐트와 상기 제 2 컨텐트의 유사도에 기초하여 매핑시키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추천 컨텐트가 표시되는 제 2 뷰 모드의 속성을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천 컨텐트를 자동으로 런칭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추천 컨텐트의 정렬 순서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상기 추천 컨텐트의 제공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뷰 모드 및 상기 제 2 뷰 모드는 싱글 뷰(single view) 모드, 멀티 뷰 모드(multi view), 싱글 유저(single user) 모드, 및 멀티 유저(multi user) 모드 중 하나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0. 제 1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132611A 2014-10-21 2015-09-18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60046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19,279 US20160119685A1 (en) 2014-10-21 2015-10-21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4CH5254 2014-10-21
IN5254/CHE/2014 2014-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719A true KR20160046719A (ko) 2016-04-29

Family

ID=55915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2611A KR20160046719A (ko) 2014-10-21 2015-09-18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67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130A1 (en) * 2019-12-10 2021-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2050761A1 (ko) * 2020-09-04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130A1 (en) * 2019-12-10 2021-06-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709526B2 (en) 2019-12-10 202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2050761A1 (ko) * 2020-09-04 2022-03-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04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2984564A (zh) 遥控器和由遥控器可控制的图像显示设备
KR2016009786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US1150050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KR101708691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20150026360A (ko)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60119685A1 (en) Display method and display device
EP2743814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EP3024220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2017002670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associated with broadcast content and method thereof
KR20160084237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6007186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20170006203A (ko) 뉴스 콘텐트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84238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영상 표시 방법
KR20160084059A (ko) 음성 인식 검색 결과를 이용하여 카테고리를 배열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30212629A1 (en) Television system operated with remote touch control
KR20150005131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10207767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160046719A (ko) 디스플레이 방법 및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601343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14661B1 (ko) 영상표시기기의 데이터 입력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08646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EP3041248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075547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including shadows based on light source 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