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273U - 의자의 편한 상판 - Google Patents

의자의 편한 상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273U
KR20120008273U KR2020110004509U KR20110004509U KR20120008273U KR 20120008273 U KR20120008273 U KR 20120008273U KR 2020110004509 U KR2020110004509 U KR 2020110004509U KR 20110004509 U KR20110004509 U KR 20110004509U KR 20120008273 U KR20120008273 U KR 2012000827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top plate
present
pelvis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5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금자
Original Assignee
정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금자 filed Critical 정금자
Priority to KR20201100045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273U/ko
Publication of KR201200082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73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의 상판에 관한 것으로서, 체형에 상관없이 누구나 앉은 자세에서 골반형상에 맞게 골반을 받쳐주고, 고관절과의 각도에 맞게 대퇴골을 모으고, 고관절을 보호하며, 정면측이 배면측 보다 낮게 경사를 주어 요추에서 척추에 이르는 라인을 바로 세워주어 자세를 바르게 함으로 편안함을 주는 의자의 편한 상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자의 편한 상판{Comfortable cushion of the chair}
의자의 상판이 "ㅡ"형상이라는 통상적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V" 형상을 의자의 상판에 적용한 것으로써, V" 형상의 배면 측이 정면 측보다 높게, 상판 뒤로 경사를 주고 "V" 형상 쿠션을 장착하는 것으로 체격이 다른 어느 누가 앉아도 엉덩이가 상판에 접하는 각도가 "V"형상의 사이 각과 각도가 동일하도록 고안 한 것으로써, 앉았을 때 꼬리뼈(미추)가 상판에 닿지 않으며, "V"형상 날개가 골반을 받쳐주고, 대퇴골이 벌어지지 않도록 잡아주어 고관절이 적정 각도를 유지하고, 정면측이 배면측 보다 낮게 경사를 주어 척추가 바로 서고, 바른 자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므로 엉덩이가 편안하여, 앉은 자세를 바르게 하는 의자의 편한 상판에 관한 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골반부위를 안착하는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받침과, 바닥에 닿아 전체를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된다.
종래 의자의 상판은 보통 "ㅡ" 형상으로 되었거나, 또는 둔부 바닥면의 형상으로 만들었고, 등받이는 의자 외곽으로 경사를 주며 척추의 굴곡에 맞게 곡선을 형성하며, 머리받침 및 허리을 편안하게 받쳐주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종래 의자의 "ㅡ" 형상의 상판은 골반이 체중에 의해 눌려 지면 고관절이 벌어져, 앉으면 양쪽 다리가 벌어지고 특히, 의자상판의 정면 측이 배면 측 보다 높은 경우는 더욱더 고관절이 심하게 벌어졌다
결국, 이러한 자세는 고관절을 외전 되게 하고, 심하면 고관절 이상을 일으키고, 급기야 골반까지 틀어지게 하며, 골반의 틀어짐 및 고관절의 이상은 척추 이상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골반에 맞게 상판의 형상을 정확하게 제작하는 것이지만, 사람의 골반 크기는 서로 다르므로, 모든 사람이 개인별 맞춤 제작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하므로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 및 한계로 인하여, 의자에 앉는 사람은 자기 신체에 맞지도 앉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억지로 다리를 모으고 허리에 힘을 줘야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였다.
또한, 보편적으로 의자의 등받이는, 가끔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나 앉은 자세를 바로 잡는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즉, 의자의 등받이는 앉은 자세에서 등을 뒤로 기울일 때에만 등에 닿게 하여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아울러, 등을 기대지 않은 상태로 앉아 있을 때에 요추에서 척추에 이른 라인을 바로 잡아 주지도 못하였다.
KR 10-2007-0116303 A, 공개 : 2007.12.10. KR 20-0260631 Y1, 공고 : 2002.01.12.
본 고안의 목적은, 앉았을 때, 체형에 상관없이 다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골반과 고관절을 바로 잡아주고, 척추를 바로 세워 바른 자세를 유지시켜 편안함을 주는, 편안한 의자의 상판을 제공하는 것 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에 "V" 형상의 쿠션을 정면 측 보다 배면 측의 높이가 높은 경사 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판을 "V"형상으로 하여 골반의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안하게 앉을 수 있고, 벌어진 골반을 모아주고, 앉았을 때 다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관절을 바로 잡아주고, 정면측이 배면측보다 낮게 경사를 주어 척추가 바로 세워지므로 편한 자세를 유지 시켜 주는 효과를 갖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편한 상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서, 의자의 편한 상판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서, 의자의 편한 상판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서, 의자의 편한 상판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서, 의자의 편한 상판의 측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편한 상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서, 의자의 편한 상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서, 의자의 편한 상판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서, 의자의 편한 상판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서, 의자의 편한 상판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의자의 편한 상판의 상면에는 경사가 있는 "V"형상의 쿠션을 장착하고 있다.
상기 "V" 형상의 상판은 좌, 우 대칭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판은, 사람이 앉았을 때에 골반을 세우고 대퇴골을 모아 주어서 고관절의 외전과 골반의 벌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고관절이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관절임에 따라 종래 "ㅡ" 형상의 상판에 앉으면, 양쪽 대퇴골이 벌어지고 이에 따라 고관절은 외전 되고 골반은 벌어져 엉덩이가 커보인다.
본 고안은 "V" 형상으로 각을 주어서 "V" 형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날개는 골반을 편안하게 감싸주고 두 다리의 대퇴부를 모아주게 되므로 고관절의 외전 즉 벌어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V" 형상의 각은 일정한 값으로 주어지며, 엉덩이가 큰 사람은 위쪽에, 작은 사람은 아래쪽에 안착 되므로, 골반의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같은 조건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앉았을 때 "V"형상의 중심과 미추골(꼬리뼈)의 사이에 공간이 있으므로 인하여 체중으로 미추골을 압박하지 않으므로 미추골 변형으로 인한 현상도 없다.
상기 본 고안의 의자의 편한 상판은, 거실용의자, 식탁용의자, 간이의자, 사무용의자, 장의자의 상판, 쇼파의 상판 외 항공기용 사출좌석 상판, 모터 차량용 좌석 상판, 자동차용 좌석 상판, 철도 객차 좌석상판, 지하철 객차 좌석 상판등 으로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으며, "V"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에 의해서 골반과 고관절을 모아주고, 골반 수평을 잡아주며, 배면보다 정면이 낮게 경사를 주어 척추를 바로 세우고, 골반과 고관절의 각도를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 편안함을 느끼고, 미추골(꼬리뼈)이 상판에 닿지 않으므로 미추골 압박으로 인한 미추골 변형도 방지되고, 아울러, 요추에서 척추에 이르는 라인도 바르게 교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고안의 실시를 위한형태"를 구체적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에만 국한되지 아니하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의자의 상판, 쇼파의 상판, 장의자의 상판, 항공기용 사출 좌석 상판, 자동차용 좌석 상판, 모터차량용 좌석 상판, 철도객차 좌석 상판, 지하철 객석좌석 상판 등

Claims (1)

  1. 상기 의자의 편한 상판은,
    "V" 형상의 상판으로 "V" 형상의 쿠션을 장착한, 정면 측 보다 배면측이 높은, 즉 "V" 형상과 경사기울기를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상판.
KR2020110004509U 2011-05-24 2011-05-24 의자의 편한 상판 KR20120008273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09U KR20120008273U (ko) 2011-05-24 2011-05-24 의자의 편한 상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509U KR20120008273U (ko) 2011-05-24 2011-05-24 의자의 편한 상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73U true KR20120008273U (ko) 2012-12-04

Family

ID=4751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509U KR20120008273U (ko) 2011-05-24 2011-05-24 의자의 편한 상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273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76070A (en) Contoured seat cushion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EP2559358B1 (en) Lumbar support seat
JPH05508331A (ja) 身体障害者椅子
JP6028108B2 (ja) 椅子
US9700147B2 (en)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US9687078B2 (en) Portable therapeutic seat device
JP2005533538A (ja) 着座装置
US4911502A (en) Seats
KR20190137991A (ko) 허리 및 골반 교정용 의자
JPH11510712A (ja) 支持シート
KR20180004482A (ko) 앉은 자세 교정 및 허리 받침용 쿠션방석
EP3195761B1 (en) Seating system
EP1261263B1 (en) Ergonomically designed chair
KR20120008273U (ko) 의자의 편한 상판
KR20060109602A (ko) 자세교정방석
KR20180133674A (ko) 다기능 좌식의자
KR20120005819U (ko) 자세 교정 경사의자
EP4059380B1 (en) Chair for reducing load on buttocks and waist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CN218571818U (zh) 一种倾斜调节座椅结构及正姿护脊椅
JP6910095B2 (ja) 車両のシートの構造
JP3245958U (ja) 椅子
CN215126350U (zh) 一种正姿座椅的椅背结构及支撑部结构
CN210169457U (zh) 一种带有可调节靠垫的座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