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819U - 자세 교정 경사의자 - Google Patents

자세 교정 경사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819U
KR20120005819U KR2020110001081U KR20110001081U KR20120005819U KR 20120005819 U KR20120005819 U KR 20120005819U KR 2020110001081 U KR2020110001081 U KR 2020110001081U KR 20110001081 U KR20110001081 U KR 20110001081U KR 20120005819 U KR20120005819 U KR 20120005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hape
upper plate
pos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0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금자
Original Assignee
정금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금자 filed Critical 정금자
Priority to KR20201100010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5819U/ko
Publication of KR20120005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023/0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stretching exerci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체형에 상관없이 누구나 앉은 자세에서 골반형상에 맞게 골반을 받쳐주고, 고관절과의 각도에 맞게 대퇴골을 모으고, 고관절을 보호하며, 요추에서 척추에 이르는 라인을 바로 세워주어 전체적인 자세를 바르게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상면에 "V" 형상의 쿠션을 고정한 "V" 형상의 상판(100), 상기 상판(100)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상판지지대(200,), 및 상기 상판지지대(200)의 저부에 장착되는 다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세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V"형상에 정면측 보다 배면측이 높은, 경사가 있는 "V" 형상이다.

Description

자세 교정 경사의자 { SLOPE CHAIR FOR POSTURE CORRECTION }
의자의 상판이 "ㅡ"형상이라는 통상적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V" 형상을 의자의 상판에 적용한 것으로써, V" 형상의 배면 측이 정면 측보다 높게, 상판 뒤로 경사를 주고 "V"형상의 프레임 안에 "V" 형상 쿠션을 장착하는 것으로 체격이 다른 어느 누가 앉아도 엉덩이가 상판에 접하는 각도가 "V"형상의 사이 각과 각도가 동일하도록 고안 한 것으로써, 앉았을 때 꼬리뼈(미추)가 상판에 닿지 않으며, "V"형상 날개가 골반을 받쳐주고, 대퇴골이 벌어지지 않도록 잡아주어 고관절이 적정 각도를 유지하므로 척추가 바로 서고, 바른 자세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가슴 부위가 스트레칭 되므로, 피로가 감소되면서, 집중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등 앉은 자세를 바르게 하는 자세 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 입니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골반부위를 안착하는 상판과, 상판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와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받침과,바닥에 닿아 전체를 지지하는 다리로 구성된다.
종래 의자의 상판은 보통 "ㅡ" 형상으로 되었거나, 또는 둔부 바닥면의 형상으로 만들었고, 등받이는 의자 외곽으로 경사를 주며 척추의 굴곡에 맞게 곡선을 형성하며, 머리받침 및 허리을 편안하게 받쳐주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종래 의자의 "ㅡ" 형상의 상판은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고관절의 각도에 맞게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지 아니하여서, 앉으면 양쪽 다리가 벌어지고 특히, 의자상판의 정면 측이 배면 측 보다 높은 경우는 더욱더 고관절이 심하게 벌어졌다
결국, 이러한 자세는 고관절을 외전 되게 하고, 심하면 고관절 이상을 일으키고, 급기야 골반까지 틀어지게 하며, 골반의 틀어짐 및 고관절의 이상은 척추 이상의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골반에 맞게 상판의 형상을 정확하게 제작하는 것이지만, 사람의 골반 크기는 서로 다르므로, 모든 사람이 개인별 맞춤 제작을 하는 것은 거의 불가하므로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여러 문제점 및 한계로 인하여, 의자에 앉는 사람은 자기 신체에 맞지도 앉는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바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억지로 다리를 모으고 허리에 힘을 줘야하는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였다.
또한, 보편적으로 의자의 등받이는, 가끔 등을 기댈 수 있도록 형성되었으나 앉은 자세를 바로 잡는 역할을 하지 못하였다. 즉, 의자의 등받이는 앉은 자세에서 등을 뒤로 기울일 때에만 등에 닿게 하여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 것이며, 아울러, 등을 기대지 않은 상태로 앉아 있을 때에 요추에서 척추에 이른 라인을 바로 잡아 주지도 못하였다.
KR 10-2007-0116303 A, 공개 : 2007.12.10. KR 20-0260631 Y1, 공고 : 2002.01.12.
본 고안의 목적은, 앉았을 때, 체형에 상관없이 다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골반과 고관절을 바로 잡아주고, 척추를 바로 세워 바른 자세를 유지시켜 편안함을 주는, 편안한 자세교정 경사 의자를 제공하는 것 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앉았을 때에, 골반 및 고관절을 바르게 잡아준 상태로 요추에서 척추에 이르는 라인도 바로 잡아주며, 종래의 등받이를 대신 할 수 있고, 더불어, 똑바로 앉은 자세에서 가슴 스트레칭도 가능한 자세 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면에 쿠션(110)을 고정한 상판(100), 상기 상판(100)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상판지지대(200), 및 상기 상판지지대(200)의 저부에 장착되는 다리(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세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V"형상과 정면 측 보다 배면 측의 높이가 높은 경사 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지지대(200)의 배면 측에는, 상부 방향으로 세워지는 등받이 겸 가슴 스트레칭대(400)가 장착된다,
상기 등받이 겸 가슴스트레칭대(400)의 지지대(410)는, 양측 방향으로 돌출된 팔받침(500)을 구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판(100)은, 상면에 각도를 조성하여 배면 측 상면 이 정면 측 상면 보다 높게 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판을(100)을 "V"형상으로 하여 골반의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편안하게 앉을 수 있고, 벌어진 골반을 모아주고, 앉았을 때 다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관절을 바로 잡아주어서 척추가 바로 세워지므로 앉은 자세를 교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춘다.
또한 본 고안은, 등받이 겸 가슴 스트레칭대(400)를 구비하여, 상판(100)의 "V"형상적 특징에 의해 척추를 바로 세운 상태에서 등을 받쳐주어 골반 및 고관절로부터 요추를 경유하여 척추에 이르는 라인의 자세를 바르게 교정 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춘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세교정 경사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서, 의자본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서, 의자본체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서, 의자본체의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서, 의자본체의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있어서,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의자본체의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 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세교정 경사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서, 의자본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서, 의자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서, 의자본체의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 예에서, 의자본체의 측면도이다.
상기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세 교정용 의자는 상판(100), 상판지지대(200),다리(300), 등받이 겸 가슴스트레칭대(400) 및 팔받침(500)으로 의자본체(10)를 구성하며, 상판의 상면에는 "V"형상의 쿠션을 장착하고 있다.
상기 "V" 형상의 상판(100)은 좌, 우 대칭이며,"V"형상의 쿠션(110)을 삽입하는 입체형이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상판(100)은, 사람이 앉았을 때에 대퇴골을 모아 주어서 고관절의 외전과 골반의 벌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고관절이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관절임에 따라 종래 "ㅡ" 형상의 상판에 앉으면, 양쪽 대퇴골이 벌어지고 이에 따라 고관절은 외전 되고 골반은 벌어져 엉덩이가 커 보인다.
본 고안은 "V" 형상으로 각을 주어서 "V" 형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날개는 골반을 편안하게 감싸주고 두 다리의 대퇴부를 모아주게 되므로 고관절의 외전 즉 벌어짐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V" 형상의 각은 일정한 값으로 주어지며, 엉덩이가 큰 사람은 위쪽에, 작은 사람은 아래쪽에 안착 되므로, 골반의 크기에 상관없이 누구나 같은 조건으로 사용 할 수 있으며, 앉았을 때 "V"형상의 중심과 미추골(꼬리뼈)의 사이에 공간이 있으므로 인하여 체중으로 미추골을 압박하지 않으므로 미추골 변형으로 인한 현상도 없다.
상기 상판지지대(200)는, 상기 상판(100)을 저부에서 지지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상판(100)을 견고하게 지지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아울러, 후술하는 다리(300), 등받이 겸 가슴스트레칭대(400) 및 팔받침(500)을 장착 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다리(300)는, 상기 상판지지대(200)를 저부에서 지지하여 바닥 면에 안착되게 하며, 재질이 다를때 4발 내지 6발의 회전의자용 다리와 의자높이 조절용 실린더를 장착한다.
상기 팔받침(500)은, 상기 상판(100)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 장치되어서, 가슴 스트레칭이 용이 하도록 바닥 면과 수평 되도록 한다.
등받이 겸 가슴스트레칭대는 의자의 상판 배면에 하늘방향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며 가슴 스트레칭이 될 수 있도록 배면 측에 일정 공간을 띄우고 마감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있어서, 다른 형태를 보여주는 의자본체의 사시도
상기 본 고안의 자세교정 경사의자는, 거실용의자, 식탁용의자, 간이의자 사무용의자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으며, "V"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판(100)에 의해서 골반과 고관절을 모아주고, 골반 수평을 잡아주며, 척추를 바로 세우고, 골반과 고관절의 각도를 바람직한 상태로 유지시킴으로 편안함을 느끼고, 미추골(꼬리뼈)이 상판(100)에 닿지 않으므로 미추골 압박으로 인한 미추골 변형도 방지되고, 아울러, 요추에서 척추에 이르는 라인도 바르게 교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고안의 실시를 위한형태"를 구체적 실시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에만 국한되지 아니하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학교 교실의자, 사무용의자, 거실용의자, 식탁용의자 등
100 : 상판 110 : 쿠션
200 : 상판지지대
300 : 다리
400 : 등받이 겸 가슴스트레칭대 410 : 등받이 겸 가슴스트레칭대 지지대
500 : 팔받침 510 : 팔받침 지지대

Claims (3)

  1. 상면에 쿠션을 삽입한 상판(100), 상기 상판(100)을 저부에서 지지하는 상판지지대(200), 및 상기 상판지지대(200)의 저부에 장착되는 다리(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세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상판(100)은,
    "V" 형상의 상판으로 "V" 형상의 쿠션을 장착한, 정면 측 보다 배면측이 높은, 즉 "V" 형상과 경사기울기를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 경사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지지대(200)의 배면 측에는, 상부 방향으로 세워지는 등받이 겸 가슴스트레칭대(40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 경사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지지대(200) 및 상판 측면 양 방향으로 돌출된 팔받침(500)을 구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 경사의자.
KR2020110001081U 2011-02-09 2011-02-09 자세 교정 경사의자 KR201200058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81U KR20120005819U (ko) 2011-02-09 2011-02-09 자세 교정 경사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081U KR20120005819U (ko) 2011-02-09 2011-02-09 자세 교정 경사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19U true KR20120005819U (ko) 2012-08-20

Family

ID=53683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081U KR20120005819U (ko) 2011-02-09 2011-02-09 자세 교정 경사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58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59U (ko) 2020-01-09 2021-07-19 노현 자세 교정용 기능성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659U (ko) 2020-01-09 2021-07-19 노현 자세 교정용 기능성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1247B (fi) Stol.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JPH05508331A (ja) 身体障害者椅子
US6655731B2 (en) Therapeutic chair
US20160296024A1 (en) Chair
US10172464B2 (en) Chair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2250315B1 (ko) 무브 체어
KR102109497B1 (ko) 허리 및 골반 교정용 의자
JP2007000570A5 (ko)
KR20120005819U (ko) 자세 교정 경사의자
EP3195761B1 (en) Seating system
CN210077162U (zh) 一种半站立式坐垫
KR200449832Y1 (ko) 자세 교정용 의자
AU2005232245B2 (en) Improved Seat
KR20060109602A (ko) 자세교정방석
JP6112768B2 (ja) 着座器具
KR20120008273U (ko) 의자의 편한 상판
KR20190081416A (ko) 자세 유도용 의자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JP3241681U (ja) 背当てクッション
RU221009U1 (ru) Ортопед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ррекции угла таза ребёнка
KR20100107288A (ko) 의자
KR20200078437A (ko) 바른 자세에 최적화된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