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484U -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 - Google Patents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484U
KR20120007484U KR2020110003412U KR20110003412U KR20120007484U KR 20120007484 U KR20120007484 U KR 20120007484U KR 2020110003412 U KR2020110003412 U KR 2020110003412U KR 20110003412 U KR20110003412 U KR 20110003412U KR 20120007484 U KR20120007484 U KR 201200074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rizontal member
fixing jig
horizonta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인섭
김한용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3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7484U/ko
Publication of KR201200074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4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53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aligning cylindrical work; Clamping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1Railings with an access door or the like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좌우반체로 이루어져 일측 이음부에 힌지 블록이 마련되고, 타측 이음부에 클램핑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 블록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균등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몸체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가압봉으로 이루어진 정렬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용접 토치가 출입하는 작업창을 포함하는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가 개시된다. 이로부터 난간의 어긋난 수평부재의 끝단을 정렬부의 가압봉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가용접할 수 있어 작업자의 근력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체인블록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난간의 수평부재 연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FIXED JIG FOR JOIN OF HAND RAI}
본 고안은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난간의 수평부재를 연이어 연결할 때 단절된 수평부재 사이를 고정하여 난간의 연결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선박 블록의 상층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떨어지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선박 블록의 상부 둘레에 난간이 설치된다.
상기 난간은 선박 블록의 상부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고소(高所) 작업을 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선박의 갑판, 층계, 다리 높은 위치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들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난간은 구조물의 연부를 따라 수직부재가 일정 간격을 두고 마련되고, 상기 수직부재를 가로지르는 수평부재가 수직부재와 일체로 고정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난간을 구조물에 설치하기 위해 일정 길이로 절단가공된 수평부재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부재들이 수평부재에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시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단위화 시킨다.
이렇게 단위화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크레인을 사용하여 구조물의 상부로 운반한 뒤 수직부재의 끝단을 구조물의 상부 바닥면에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단위화된 수평부재와 수직부재를 구조물의 상부로 운반한 뒤 구조물의 상부 바닥면에 고정시키고 상기 단위화된 수평부재와 또 다른 수평부재를 용접으로 연결하여 연속적인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구조물의 상부 바닥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부재들을 고정한 뒤 상기 수직부재들을 가로지르는 수평부재를 연이어 연결시켜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이 연속된 형태를 갖도록 수평부재와 또 다른 수평부재를 연결하기 위해 용접을 할 때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과 또 다른 수평부재의 끝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수평부재의 끝단과 또 다른 수평부재의 끝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작업자의 근력을 통해 일치하지 않는 수평부재의 끝단을 또 다른 수평부재의 끝단과 일치하게 끌어당긴 상태에서 용접으로 연결하게 되지만, 대부분의 난간은 금속재 또는 이와 동등한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의 근력 부담이 상당하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상승시키고 따라서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와 함께, 엇갈린 수평부재의 끝단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용접하는 중에 수평부재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용접 중에 어느 하나의 수평부재가 튕겨지며 작업자의 신체를 타격하거나 또는 튕겨지는 반동에 의해 구조물의 상부 바닥면에 고정된 수직부재의 고정이 흔들려 구조물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의 근력에 의존하지 않고 엇갈린 수평부재의 끝단을 일치시킨 상태로 용접을 수행할 수 있게 체인블록으로부터 인출된 체인을 수평부재에 묶고 수평부재의 끝단과 또 다른 수평부재의 끝단이 일치된 상태를 유지시킨 후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체인블록을 이용한 수평부재의 고정은 작업자의 근력 부담이 어느 정도 해소되지만 상기 체인블록의 체인을 수평부재에 묶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체인블록을 조정하여 엇갈린 수평부재의 끝단이 서로 일치되게 조절하는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어긋난 난간의 수평부재 끝단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용접하여 연속된 난간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좌우반체로 이루어져 일측 이음부에 힌지 블록이 마련되고, 타측 이음부에 클램핑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 블록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균등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몸체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가압봉으로 이루어진 정렬부 및 상기 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용접 토치가 출입하는 작업창을 포함하는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체결되는 가압봉은 끝단에서 출발하는 가상의 축선이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서로 교차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의한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는, 난간의 어긋난 수평부재의 끝단을 정렬부의 가압봉으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가용접할 수 있어 작업자의 근력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체인블록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난간의 수평부재 연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의 사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의 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는 크게,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좌우반체로 이루어져 일측 이음부에 힌지 블록(112)이 마련되고, 타측 이음부에 클램핑부재(114)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 블록(11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균등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관통홀(122)과, 상기 관통홀(122)과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몸체(110)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가압봉(124)으로 이루어진 정렬부(120) 및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22)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 상기 몸체(110)에 형성되어 용접 토치가 출입하는 작업창(1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10)는 짧은 길이를 갖는 관의 형상을 갖도록 그 내부가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몸체(110)의 중공에 난간의 수평부재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단절된(어긋난) 난간의 수평부재가 몸체(110)의 내측에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상기 몸체(110)는 좌우반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110)의 일측 이음부에 힌지 블록(112)이 마련되어 상기 힌지 블록(112)을 중심으로 각각의 반체가 회전하여 타측 이음부가 개폐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타측 이음부에 클램핑부재(114)가 마련되어 반체로 이루어진 몸체(110)가 하나의 관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체결된다. 상기 클램핑부재(1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반체(110a)에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홀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의 반체(110b)에 외경으로 나사산을 갖는 볼트가 구비되어 몸체(110)의 타측 이음부가 대면한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의 체결에 의해 몸체(110)가 하나의 관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클램핑부재(114)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클램핑부재(114)는 어느 하나의 반체(110a)에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고리(미도시)와 다른 하나의 반체(110b)에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고리가 회전하여 돌출부에 걸림되어 클램핑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둘레에는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단절된 수평부재를 가압하는 정렬부(120)가 마련된다. 상기 정렬부(120)는 관통홀(122)과 가압봉(124)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관통홀(122)은 상기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균등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가압봉(124)은 상기 관통홀(122)과 나사산 체결되게 외경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가압봉(124)이 관통홀(122)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가압봉(124)이 몸체(110)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거나 또는 몸체(110)의 외측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정렬부(120)는 바람직하게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균등한 간격을 두고 3군데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균등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각각의 가압봉(124)이 몸체(110)의 내측에 위치하는 가상의 중심점에 그 끝단이 모아질 수 있게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는 가압봉(124)은 끝단에서 출발하는 가상의 축선이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서 서로 교차하게 마련되어,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단절된 난간의 수평부재와 또 다른 수평부재가 일치하는 부분을 각각의 가압봉(124) 끝단이 가압하여 일치된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에는 정렬부(120)에 의해 일치한 상태를 유지하는 수평부재 사이를 가용접하여 상기 가압봉(124)이 제거되어도 그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시키는 용접 토치가 출입하는 작업창(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작업창(130)은 바람직하게 몸체(110)에 형성된 관통홀(122)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작업창(130)을 출입하는 용접 토치가 몸체(110)의 둘레에 마련된 가압봉(124)에 간섭받지 않는 범위 내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의 사용을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의 사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구조물의 상부에 난간이 설치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게 되는 바, 상기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난간이 연속된 형태를 갖도록 수평부재(10a)와 또 다른 수평부재(10b)를 연결하기 위해 용접을 할 때 상기 수평부재(10a)의 끝단과 또 다른 수평부재(10b)의 끝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수평부재(10a)의 끝단과 또 다른 수평부재(10a)의 끝단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를 사용하게 된다.
부연하자면,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에서 몸체(110)의 클램핑부재(114)를 해지하여 상기 몸체(110)의 내측으로 수평부재(10a)(10b)가 위치할 수 있게 개방하게 되고, 개방된 몸체(110)를 수평부재(10a)(10b)에 끼워 상기 수평부재를 몸체(110)의 내측에 위치시키게 된다. 그리고, 개방된 몸체(110)를 클램핑부재(114)로 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수평부재(10a)의 끝단과 또 다른 수평부재(10b)의 끝단이 연결되는 부분이 위치할 수 있게 몸체(110)를 조정하게 되는데, 특히 수평부재(10a)의 끝단과 또 다른 수평부재(10b)의 끝단이 연결되는 부분으로 상기 몸체(110)의 둘레에 마련된 각각의 가압봉(124) 끝단이 수평부재(10a)(10b)를 가압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가압봉(124)을 회전조작하여 상기 가압봉(124)의 끝단이 수평부재(10a)(10b)를 가압하게 접촉시켜 서로 어긋난 난간의 수평부재(10a)(10b) 끝단을 일치시키게 된다.
이렇게 본 고안의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에 의해 서로 어긋난 난간의 수평부재(10a)(10b) 끝단이 일치되면, 몸체(110)에 형성된 작업창(130)을 통해 용접 토치(30)를 수평부재(10a)(10b)의 이음 부분에 근접시키고, 상기 끝단이 서로 일치한 수평부재(10a)(10b)의 이음 부분을 용접 토치(30)로 가용접하게 된다.
이렇게, 수평부재(10a)(10b)의 이음 부분이 가용접되면, 수평부재(10a)(10b)를 가압하고 있는 가압봉(124)을 몸체(110)의 외측으로 이동시킨 후 클램핑부재(114)를 해지하여 수평부재(10a)(10b)로부터 몸체(110)를 분리시키게 된다. 그리고, 가용접된 수평부재(10a)(10b)의 이음 부분을 용접 토치(30)로 완전하게 용접하여 수평부재(10a)(10b)의 연결을 단단히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는 난간의 어긋난 수평부재(10a)(10b)의 끝단을 정렬부(120)의 가압봉(124)으로 가압하여 일치시킨 상태에서 가용접할 수 있어 작업자의 근력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체인블록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난간의 수평부재 연결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a, 10b : 수평부재 20 : 수직부재
30 : 용접 토치 110(110a, 110b) : 몸체
112 : 힌지 블록 114 : 클램핑부재
120 : 정렬부 122 : 관통홀
124 : 가압봉 130 : 작업창

Claims (2)

  1. 중공된 원기둥의 형상을 갖고 좌우반체로 이루어져 일측 이음부에 힌지 블록이 마련되고, 타측 이음부에 클램핑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힌지 블록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균등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나사산 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몸체의 내측을 향해 이동하는 가압봉으로 이루어진 정렬부;
    상기 몸체에 형성된 관통홀과 간섭되지 않는 범위 내에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용접 토치가 출입하는 작업창;을 포함하는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형성된 관통홀에 체결되는 가압봉은 끝단에서 출발하는 가상의 축선이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서로 교차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
KR2020110003412U 2011-04-21 2011-04-21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 KR201200074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12U KR20120007484U (ko) 2011-04-21 2011-04-21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412U KR20120007484U (ko) 2011-04-21 2011-04-21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484U true KR20120007484U (ko) 2012-10-31

Family

ID=4751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412U KR20120007484U (ko) 2011-04-21 2011-04-21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7484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5261A (zh) * 2016-08-26 2018-03-0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焊接装置
CN108500672A (zh) * 2017-05-22 2018-09-07 太仓市伦文机械有限公司 一种零件定位组件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75261A (zh) * 2016-08-26 2018-03-09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焊接装置
CN107775261B (zh) * 2016-08-26 2019-12-10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焊接装置
CN108500672A (zh) * 2017-05-22 2018-09-07 太仓市伦文机械有限公司 一种零件定位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528787A (ja) 落下阻止アセンブリ
CN104989093B (zh) 一种上挂下顶悬挑式施工作业平台
DE2707704A1 (de) Metallgelaender
EP2567044B1 (en) Apparatus for forming temporary guardrails on stairs
KR20120007484U (ko) 난간 연결용 고정지그
KR101590961B1 (ko) 철도 선로용 안전펜스
KR101680772B1 (ko) 족장 고정용 볼트 및 족장 설치 구조
KR101179916B1 (ko) 수평 이동식 곤돌라 정착장치
KR200477671Y1 (ko) 설치가 용이한 안전 난간대
PL330918A1 (en) Jointing fastener for scaffolding ledgers
JP2018044343A (ja) 手摺装置
JP2020176464A (ja) 仮設用衝撃吸収冶具
KR200410996Y1 (ko) 건축용 비계틀의 난간구조
US11471720B2 (en) Playground
JP2006143136A (ja) フレキシブル幌枠
KR101851505B1 (ko) 철골용 안전 난간대
DE19821323A1 (de) Absturzsicherung
KR200467302Y1 (ko) 안전난간용 난간지주
KR20090006264U (ko) 비계용 클램프어셈블리
DE3307650C1 (de) Spindeltreppe
KR102131807B1 (ko) 롤러가 구비된 사다리 고정장치
CN213449792U (zh) 水上作业防护系统
KR101219633B1 (ko) 고정식 곤돌라 정착장치
CN211775976U (zh) 一种临边防护简易栏杆
KR101346725B1 (ko) 자립식 낙하방지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