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355A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355A
KR20120007355A KR1020100068077A KR20100068077A KR20120007355A KR 20120007355 A KR20120007355 A KR 20120007355A KR 1020100068077 A KR1020100068077 A KR 1020100068077A KR 20100068077 A KR20100068077 A KR 20100068077A KR 20120007355 A KR20120007355 A KR 20120007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organic light
light emitting
sealant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0291B1 (ko
Inventor
이정민
강태욱
신장환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8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0291B1/ko
Priority to US13/067,034 priority patent/US8581294B2/en
Publication of KR20120007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0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가지는 제1 기판,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제2 영역을 노출하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서로 합착 밀봉시키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둘러싸며, 다른 부분에 비해 상기 상기 제2 영역과 더 가까운 일 부분의 제1 폭이 상기 다른 부분의 제2 폭에 비해 더 넓은 실런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런트로서 프릿(frit)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장치로서, 최근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가 주목 받고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체 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을 서로 합착 밀봉하는 프릿(frit) 등의 실런트(sealant)를 포함한다.
그런데, 제1 기판 및 제2 기판 중 하나 이상이 유리 등과 같이 취성이 있는 재료로 형성될 경우, 외부로부터 충격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 가해지면 제1 기판, 제2 기판 및 프릿 중 하나 이상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내충격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가지는 제1 기판,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제2 영역을 노출하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서로 합착 밀봉시키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둘러싸며, 다른 부분에 비해 상기 상기 제2 영역과 더 가까운 일 부분의 제1 폭이 상기 다른 부분의 제2 폭에 비해 더 넓은 실런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실런트는 프릿(frit)일 수 있다.
상기 실런트의 상기 일 부분의 상기 제1 폭은 상기 다른 부분의 상기 제2 폭 대비 1.1 내지 3배 넓을 수 있다.
상기 실런트의 상기 일 부분의 상기 제1 폭은 상기 다른 부분의 상기 제2 폭 대비 1.5배 넓을 수 있다.
상기 실런트의 상기 다른 부분의 상기 제2 폭은 450um이며, 상기 실런트의 상기 일 부분의 상기 제1 폭은 550um 내지 950um일 수 있다.
상기 실런트의 상기 다른 부분은 상기 일 부분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실런트의 상기 다른 부분과 상기 일 부분 사이의 절곡된 부분은 곡선 형태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일부 실시예 중 하나에 의하면, 내충격성이 향상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의 구조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도출된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도출된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상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는, 하나의 화소에 두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구조를 갖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00), 제2 기판(200), 배선부(300), 유기 발광 소자(400) 및 실런트(500)를 포함한다.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유리, 폴리머 또는 스테인리스 강 등을 포함하는 절연성 기판이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 중 하나 이상은 광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기판(100) 상에는 배선부(300) 및 유기 발광 소자(400)가 위치하며, 제2 기판(200)은 배선부(300) 및 유기 발광 소자(400)를 사이에 두고 제1 기판(100)과 대향하고 있다.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은 유기 발광 소자(400)를 사이에 두고 실런트(500)에 의해 상호 합착 밀봉되어 있으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은 배선부(300) 및 유기 발광 소자(400)를 외부의 간섭으로부터 보호한다.
또한, 제1 기판(100)은 제1 영역(A1) 및 제1 영역(A1)과 이웃하는 제2 영역(A2)을 포함한다.
제1 영역(A1)은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의 영역이며, 실런트(500)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실런트(500)에 의해 둘러싸인 제1 영역(A1)에는 유기 발광 소자(400)가 위치한다.
제2 영역(A2)은 제1 영역(A1)과 이웃하며, 제2 기판(200)의 단부 측에 위치하여 외부로 노출된 부분이다. 즉, 제2 기판(200)은 제2 영역(A2)을 노출하도록 유기 발광 소자(400)를 사이에 두고 제1 기판(100)과 대향하고 있다. 제2 영역(A2)은 회로칩 등이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는 구동부(110)가 위치한다. 구동부(110)는 배선부(300)로 신호를 전달하여 유기 발광 소자(400)를 구동할 수 있다.
배선부(300)는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10, 20)(도 2에 도시)를 포함하며, 유기 발광 소자(400)에 신호를 전달하여 유기 발광 소자(400)를 구동한다. 유기 발광 소자(400)는 배선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에 따라 빛을 발광한다.
배선부(300) 상에는 유기 발광 소자(400)가 위치하고 있다.
유기 발광 소자(400)는 제1 영역(A1)에 대응하여 제1 기판(100) 상에 위치하며, 배선부(300)로부터 신호를 전달 받아 전달 받은 신호에 의해 이미지(image)를 표시한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화소의 구조를 나타낸 배치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를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배선부(300) 및 유기 발광 소자(400)의 구체적인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배선부(300) 및 유기 발광 소자(400)는 해당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 도면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서, 하나의 화소에 두개의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를 구비하는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표시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개수, 축전 소자의 개수 및 배선의 개수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화소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이미지를 표시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하나의 화소마다 각각 형성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축전 소자(80) 및 유기 발광 소자(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 및 축전 소자(80)를 포함하는 구성을 배선부(300)라 한다. 그리고, 배선부(300)는 제1 기판(100)의 일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게이트 라인(151), 게이트 라인(1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더 포함한다. 여기서,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151), 데이터 라인(171) 및 공통 전원 라인(1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발광 소자(400)는 제1 전극(710)과, 제1 전극(710) 상에 형성된 유기 발광층(720)과, 유기 발광층(720) 상에 형성된 제2 전극(730)을 포함하며, 제1 전극(710), 유기 발광층(720) 및 제2 전극(730)은 유기 발광 소자(4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제1 전극(710)은 정공 주입 전극인 양극(anode)이 되며, 제2 전극(730)은 전자 주입 전극인 음극(cathode)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에 따라 제1 전극(710)이 음극이 되고, 제2 전극(730)이 양극이 될 수도 있다. 제1 전극(710) 및 제2 전극(730)으로부터 각각 정공 및 전자가 유기 발광층(720) 내부로 주입되며, 유기 발광층(720) 내부로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유기 발광층(720)의 발광이 이루어진다. 또한, 제1 전극(710) 및 제2 전극(730) 중 하나 이상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며, 이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전도성 재질로서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및 인듐징크옥사이드(indium zinc oxide, IZO) 등이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유기 발광 소자(400)는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 중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빛을 방출한다. 즉,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면, 후면 또는 양면 발광형이다.
축전 소자(80)는 층간 절연막(161)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축전판(158, 1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161)은 유전체가 되며, 축전 소자(80)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판(158, 1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 소자(80)의 축전 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스위칭 반도체층(131),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 스위칭 소스 전극(1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구동 반도체층(132), 구동 게이트 전극(155), 구동 소스 전극(1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177)을 포함한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152)은 게이트 라인(1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173)은 데이터 라인(1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은 스위칭 소스 전극(1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어느 한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400)의 유기 발광층(720)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제1 전극(710)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155)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174)과 연결된 축전판(158)과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176) 및 다른 한 축전판(1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172)과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177)은 컨택홀(contact hole)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400)의 제1 전극(710)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는 게이트 라인(1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하여 데이터 라인(1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172)으로부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40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400)가 발광하게 된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런트(500)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위치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유기 발광 소자(400)를 둘러싸며,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을 서로 합착 밀봉시킨다. 실런트(500)는 프릿(frit) 등을 포함하며, 레이저 등의 경화 수단에 의해 경화된 상태이다.
실런트(500)는 제1 부분(510) 및 제2 부분(520)을 포함한다. 제1 부분(510)은 일 부분을 의미하며, 제2 부분(520)은 다른 부분을 의미한다.
제1 부분(510)은 제2 부분(520)에 비해 제2 영역(A2)과 더 가까운 부분이며, 실런트(500)의 제2 부분(520)은 제1 부분(510)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있다.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과 제2 부분(520) 사이의 절곡된 부분은 곡선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과 제2 부분(520) 사이의 절곡된 부분이 곡선 형태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충격이 인가될 때,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에 가해지는 최대 주 응력은 제2 부분(520)으로 용이하게 전이되며, 이로 인해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에 가해지는 최대 주 응력은 감소한다.
또한, 실런트(500)의 제2 영역(A2)과 가까운 제1 부분(510)의 제1 폭(W1)은 제2 부분(520)의 제2 폭(W2)에 비해 더 넓다. 실런트(500)의 제1 폭(W1)은 제2 부분(520)의 제2 폭(W2) 대비 1.1 내지 3배 넓을 수 있으며, 이 범위 중 1.5배 넓을 수 있다. 또한, 실런트(500)의 제2 부분(520)의 제2 폭(W2)이 450um일 때,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의 제1 폭(W1)은 550um 내지 950um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의 제1 폭(W1) 및 제2 부분(520)의 제2 폭(W2)에 대한 수치는 실험에 의해 도출된 최적의 수치임을 우선적으로 밝히는 바이다.
이와 같이,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의 제1 폭(W1)이 실런트(500)의 제2 부분(520)의 제2 폭(W2)보다 넓음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슬림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즉,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의 제1 폭(W1)만이 다른 부분에 비해 넓은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의 제1 폭(W1)을 실런트(500)의 제2 부분(520)의 제2 폭(W2)보다 넓게 형성시키게 된 원인 및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실런트에 사용되는 프릿은 유리 가루를 주 원료로 하는 고온 용해 접착제로서, 그 자체가 유리의 취성 성질을 가진다. 따라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가요성 재료인 에폭시 등의 실런트에 의해 양 기판이 합착된 액정 표시 장치 대비 기구적 강도가 취약하였다. 특히,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기구적 강도가 가장 취약한 경우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낙하(drop)될 때이며,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낙하시킨 후 깨진 부분을 관찰하면 깨짐 근원이 양 기판을 합착시키고 있는 프릿인 실런트인 경우가 80% 이상이었다. 이러한 실런트의 손상을 억제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기구적 강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실런트의 전체적인 폭을 넓히면 되나, 전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 유기 발광 소자가 위치하는 유효 화소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하지 않다. 이에 슬림하면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발명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도출된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도출된 실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우선 도 5에 도시된 사이즈를 가진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3.1 인치(inch) 큐빅 형태의 패널(Cubic panel)을 마련하였다. 이 패널(panel)에서 유리(glass)인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를 합착시키는 유리 프릿(glass frit)인 실런트(500)의 폭은 450um로 설정하였다. 이하에서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panel로서 설명하고, 실런트(500)를 glass frit으로서 설명한다.
이 panel을 가지고 drop test를 진행하려고 하면 panel을 바닥에 그대로 던지는 것이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휴대폰 등과 같은 mobile 기기를 모사한 drop jig에 panel을 삽입하여 일정 높이에서 바닥으로 떨어트리게 된다. 이 때, drop jig의 무게는 73g 정도이며, 여기에 8.26g의 panel이 더해져서 1.5m 이상에서 panel 및 drop jig를 철판 바닥으로 guided drop 하였다.
이를 Dassault Systemes 사의 SIMULIA에서 판매하는 구조, 전기 및 열 해석 툴인 ABAQUS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simulation)하면, 도 7과 같이, 제1 기판(100)의 제2 영역(A2) 부근의 glass frit에서 파손이 발생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glass frit과 제1 기판(100)이 접하는 glass frit의 단부 중 유기 발광 소자와 인접한 부분에서 파손이 발생하였다(도 7에 도시된 glass frit의 최대 응력 지점). 이러한 파손이 일어나는 원인을 찾으면, glass frit에 발생하는 파손은 panel이 처음 바닥과 충돌했을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한 것이 아니라, panel이 바닥과 충돌한 이후 수십 마이크로초(us) 지난 다음 도 8과 같이 drop jig가 W자 형태로 꺾이면서 panel을 변형시켜서 발생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를 simple beam theory에 기반하여 판단하면 제1 기판(100)의 제2 영역(A2)이 제2 기판(200)보다 커서 제2 기판(200)의 단부 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glass frit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panel 입장에서 보면 제1 기판(100)의 제2 영역(A2)만 두께가 얇아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인 bending moment가 주어지면 두께가 얇은 영역이 더 많이 휘어지게 되며 이 부분에 더 큰 stress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제1 기판(100) 및 제2 기판(200)를 이루는 glass보다는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200) 사이에 위치하는 glass frit의 극한 강도(ultimate strength)가 낮으므로 파손은 glass frit에서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원인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 대책을 생각하였다.
"제1 기판(100)의 제2 영역(A2)과 인접한 glass frit에 발생하는 최대 주 응력을 감소시킨다"
위와 개선 대책을 달성하기 위하여 panel 단변에 대응하는 glass frit 폭을 도 9와 같이 증가시켰다. 이 때, glass frit의 두께는 4um이다. 도 9를 보면 panel에 2개의 단변 glass frit이 있는데, 상측 단변 glass frit(도 9에는 glass frit-top으로 표시됨)의 폭을 증가시키면 glass frit의 접착 면적 증가에 따라 패널 접착 강도가 증가하기는 해도 낙하에 의한 panel 변형 시 제1 기판(100)의 제2 영역(A2)에 대응하는 부분이 꺾이면서 발생하는 변형에 의해 panel에 발생되는 최대 주 응력을 낮출 수 없다. 따라서 glass frit 폭을 증가시키려면 제1 기판(100)의 제2 영역(A2)과 가까운 하측 단변 glass frit(도 9에는 glass frit-bottom으로 표시됨)의 폭을 증가시켜야 한다.
상측 단변 glass frit의 폭 및 하측 단변 glass frit의 폭 각각을 증가 시킬 때의 효과를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하였는데, 이를 도 10에 그래프로서 도시하였다. 도 10에서 도시된 그래프에서 x축은 하측 단변 glass frit의 폭[Bottom frit width(um)]을 나타내고, y축은 하측 단변 glass frit에 인가되는 최대 주 응력[Max. (S.Max.Principal)(MPa)]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단변 glass frit의 폭을 450um 내지 750um[REF(T450), VAR1(T550), VAR1(650), VAR1(750)]로 설정하고, 하측 단변 glass frit의 폭을 450um 내지 950um로 설정하며, 사이드측 장변의 glass frit의 폭(도 9에는 glass frit-side으로 표시됨)을 450um로 설정할 경우, 상측 단변 glass frit의 폭의 넓이와는 상관없이 하측 단변 glass frit의 폭이 사이드측 장변 glass frit 폭에 비해 대략 두 배가 되면 하측 단변 glass frit에 가해지는 최대 주 응력이 50% 정도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상측 단변 glass frit의 폭의 변화는 하측 단변 glass frit에 가해지는 최대 주 응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즉, 하측 단변 glass frit인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의 제1 폭(W1)을 상측 단변 glass frit의 폭 또는 사이드측 장변 glass frit 폭인 제2 부분(520)의 제2 폭(W2) 대비 1.1 내지 3배 또는 1.5배 넓게 형성하거나, 또는 제2 부분(520)의 제2 폭(W2)이 450um일 때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의 제1 폭(W1)을 550um 내지 950um로 형성할 경우,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에 인가되는 최대 주 응력이 감소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충격이 가해질 때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에 인가되는 최대 주 응력이 감소함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특히,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의 제1 폭(W1)만이 제2 부분(520)의 제2 폭(W2)에 비해 넓게 형성되기 때문에, 내충격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슬림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과 제2 부분(520) 사이의 절곡된 부분이 곡선 형태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충격이 가해질 때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에 가해지는 최대 주 응력은 제2 부분(520)으로 용이하게 전이되며, 이로 인해 실런트(500)의 제1 부분(510)에 가해지는 최대 주 응력은 감소하기 때문에,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제1 기판(100), 제1 영역(A1), 제2 영역(A2), 유기 발광 소자(400), 제2 기판(200), 실런트(500)

Claims (6)

  1. 제1 영역 및 상기 제1 영역과 이웃하는 제2 영역을 가지는 제1 기판;
    상기 제1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제1 기판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
    상기 제2 영역을 노출하도록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을 서로 합착 밀봉시키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유기 발광 소자를 둘러싸며, 다른 부분에 비해 상기 상기 제2 영역과 더 가까운 일 부분의 제1 폭이 상기 다른 부분의 제2 폭에 비해 더 넓은 실런트
    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실런트는 프릿(frit)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실런트의 상기 일 부분의 상기 제1 폭은 상기 다른 부분의 상기 제2 폭 대비 1.1 내지 3배 넓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3항에서,
    상기 실런트의 상기 일 부분의 상기 제1 폭은 상기 다른 부분의 상기 제2 폭 대비 1.5배 넓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2항에서,
    상기 실런트의 상기 다른 부분의 상기 제2 폭은 450um이며,
    상기 실런트의 상기 일 부분의 상기 제1 폭은 550um 내지 950um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실런트의 상기 다른 부분은 상기 일 부분으로부터 절곡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실런트의 상기 다른 부분과 상기 일 부분 사이의 절곡된 부분은 곡선 형태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100068077A 2010-07-14 2010-07-1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0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77A KR101400291B1 (ko) 2010-07-14 2010-07-1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3/067,034 US8581294B2 (en) 2010-07-14 2011-05-03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077A KR101400291B1 (ko) 2010-07-14 2010-07-1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55A true KR20120007355A (ko) 2012-01-20
KR101400291B1 KR101400291B1 (ko) 2014-05-27

Family

ID=4546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077A KR101400291B1 (ko) 2010-07-14 2010-07-14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81294B2 (ko)
KR (1) KR1014002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0698A (ko) * 2014-07-17 2016-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379354B2 (en) 2014-05-19 2016-06-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US9825251B2 (en) 2015-02-03 2017-1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seal portion having two different thicknesses
US10734601B2 (en) 2015-03-27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0131A (ko) * 2011-11-29 2013-06-0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밀봉체, 발광 장치, 전자 기기, 및 조명 장치
KR101954984B1 (ko) * 2012-09-25 2019-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13600B1 (ko) * 2012-12-07 2020-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637886B (zh) 2013-11-12 2017-09-22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折叠式封装结构
KR102172231B1 (ko) 2013-11-14 2020-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90449B1 (ko) * 2015-08-19 2022-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493B1 (ko) * 1998-11-23 2001-07-12 김순택 액정표시장치_
KR100529110B1 (ko) 2003-09-08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058651A (ja) 2004-08-20 2006-03-02 Optrex Corp 液晶表示パネル
KR100641738B1 (ko) * 2004-12-29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017950B2 (en) * 2005-12-29 2011-09-13 L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facturing the same
KR20080032696A (ko) * 2006-10-10 2008-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24531B1 (ko) 2006-11-10 2008-04-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TW200836580A (en) 2007-02-28 2008-09-01 Corning Inc Seal for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KR100910971B1 (ko) * 2007-08-14 200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11018686A (ja) * 2009-07-07 2011-01-27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9354B2 (en) 2014-05-19 2016-06-2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KR20160010698A (ko) * 2014-07-17 2016-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US9753332B2 (en) 2014-07-17 2017-09-0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9825251B2 (en) 2015-02-03 2017-1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seal portion having two different thicknesses
US10734601B2 (en) 2015-03-27 2020-08-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183663B2 (en) 2015-03-27 2021-11-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12890A1 (en) 2012-01-19
US8581294B2 (en) 2013-11-12
KR101400291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029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074711B2 (en) AMOLED display device
CN104851902B (zh) 有机发光显示装置
CN107195663B (zh) Amoled显示面板结构
US913650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856974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get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931210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20140132487A1 (en) Flexible display device
CN109119448B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1696483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CN102024422B (zh) 有机电致发光显示器模块
KR20160029192A (ko) 표시장치
KR20120076065A (ko) 터치타입 유기전계 발광소자
US886003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03787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2010001021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9093443B2 (en) Tape packag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89623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KR102055281B1 (ko) 표시 장치
US20120146059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N100508206C (zh) 有机电致发光显示器件及其制造方法
KR20150003581A (ko) 표시 장치
KR2015001995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745305B (zh) 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KR20110060427A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06

Effective date: 2014042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101033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21206

Effective date: 201404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