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493B1 - 액정표시장치_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_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493B1
KR100294493B1 KR1019980050233A KR19980050233A KR100294493B1 KR 100294493 B1 KR100294493 B1 KR 100294493B1 KR 1019980050233 A KR1019980050233 A KR 1019980050233A KR 19980050233 A KR19980050233 A KR 19980050233A KR 100294493 B1 KR100294493 B1 KR 10029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width
seal portion
crystal displa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3389A (ko
Inventor
이정석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80050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4493B1/ko
Priority to JP11319101A priority patent/JP2000155331A/ja
Publication of KR20000033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4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면에 투명한 상판 전극이 형성된 상판과; 내측면에 투명한 하판 전극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액정 충전용 셀을 형성하며 그 일부에 상기 상판 전극이 접촉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도전성 시일부와;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판의 내측에 형성된 도전 베이스;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도전성 시일부의 일부분의 폭(W4)은 연결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도전성 시일부의 다른 부분의 폭(W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판 전극이 접촉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시일부의 일부분의 폭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판 전극에 대한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연결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시일부의 폭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셀 갭의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전성 시일재의 폭을 상이하게 형성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는 문자 및 화상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평판 표시 장치의 일종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액정 표시 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다. 액정 표시 장치의 기본 구조는 내측면에 소정 형태의 투명 전극을 각각 형성한 상판 및 하판을 서로 대향하게 배치하고, 상판과 하판 사이에 시일 재료를 배치함으로써 액정 셀을 형성하게 된다. 액정 셀에는 액정이 충전되며, 상판 및 하판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가 그 사이에 배치되기도 한다. 선택적으로는, 상판에 형성된 투명 전극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기 위하여 시일 재료에 도전성 볼(ball)을 혼합하기도 한다.
도 1에는 통상적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액정 표시 장치는 도전성 재료인 볼(ball)을 시일 재료와 혼합하여 상판의 전극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예에 해당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판(11)의 내측면에는 스트립 형태의 투명 전극(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판(12)의 내측면에도 스트립 형태의 투명 전극(15)이 형성되어 있다. 투명 전극(14,15)들은 상호 교차되게 형성된다.
하판(12)의 상부 표면에는 도전성 볼을 혼합한 시일 재료를 이용하여 시일부(13)가 프린트된다. 시일부(13)는 도전성 볼의 작용에 의해 도전성을 가지게 된다. 상판(11)이 하판(12)에 대하여 조립되었을때, 상판 전극(14)의 단부는 시일부(13)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부(16)에 접촉한다. 연결부(16)는 시일부(13)에 형성된 상판 전극(14)의 접촉 부분이다. 이러한 연결부(16)는 하판(12)의 내측 표면에 형성된 도전 베이스(17)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판 전극(14)은 시일부(13)에 형성된 연결부(16)를 통해서 도전 베이스(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도전 베이스(17)는 외부 회로와 연결된다. 하판 전극(15)은 하판(12)의 단부까지 연장되는데, 하판 전극(15)과 시일부(13) 사이에는 전기적으로 절연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판(12)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시일부(13)는 하판(12)이 상판과 결합하였을때 액정을 주입할 수 있는 셀을 형성하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시일부(13)는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셀내에 액정을 충전될 수 있도록 개구부(21)가 일측에 형성된다. 개구부(21)는 액정 충전 작업이 종료된 이후에 폐쇄된다.
종래 기술에서, W1 과 W2 로 표시된 시일부(13)의 폭은 동일하게 형성된다. 즉, 연결부(16)가 형성되는 부분의 폭인 W2는 다른 부분의 폭인 W1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통상적으로 W1 과 W2 는 0.3 mm 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것은 두가지의 상반된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즉, 시일부(13)의 폭이 너무 커지면 셀의 두께인 셀 갭(cell gap)을 제어하기가 곤란해지므로, 시일부(13)의 폭은 적절한 수준에서 작아져야 한다. 반대로, 시일부(13)의 폭이 너무 작아질 경우, 연결부(16)의 도전성이 나빠져서 상판 전극에 대하여 필요한 전압을 인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시일부(13)는 적절한 수준에서 가능한한 커져야 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두가지의 상반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시일부(13)의 두께를 약 0.3 mm 의 동일한 폭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할 경우, 액정 표시 의 바탕색에 있어서 위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전성 시일부의 폭을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하판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하판에 대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1. 상판 12. 하판
13. 시일부 14. 상판 전극
15. 하판 전극 16. 연결부
17. 도전 베이스 21. 개구부
32. 하판 33. 시일부
36. 연결부 37. 도전 베이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면에 투명한 상판 전극이 형성된 상판과; 내측면에 투명한 하판 전극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액정 충전용 셀을 형성하며 그 일부에 상기 상판 전극이 접촉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도전성 시일부와;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판의 내측에 형성된 도전 베이스;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도전성 시일부의 일부분의 폭(W4)은 연결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도전성 시일부의 다른 부분의 폭(W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도전성 시일부의 일부분의 폭(W4)은 0.35 mm 이고, 연결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도전성 시일부의 다른 부분의 폭(W3)은 0.25 mm 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시일부의 폭이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상판 전극에 대한 연결부가 형성되는 부분의 시일부 폭은 크게 형성되는 반면에, 그 이외의 다른 부분에 대한 시일부 폭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유사하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상판 전극(14)이 내측면에 형성된 상판(11)과, 하판 전극(15)이 내측면에 형성된 하판(12)과,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액정이 충전될 수 있는 셀(cell)을 형성할 수 있도록 시일부가 형성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하판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일부(33)는 도전성 볼을 시일 재료와 혼합한 것으로서, 상판 전극(14)이 접촉하는 연결부(36)가 시일부(33)의 일부에 형성된다. 연결부(36)는 도전 베이스(37)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판 전극(14)이 연결부(36)와 도전 베이스(37)를 통해서 외부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판 전극(14)이 접촉하는 연결부(36)가 형성된 시일부(33)의 일부의 폭(W4)은 다른 시일부 부분의 폭(W3)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연결부(36)가 형성된 부분의 시일부(36)를 크게 하면 그에 포함된 도전성 볼의 숫자가 증가하므로, 도전성이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연결부(36)가 형성되지 아니한 시일부의 폭(W3)은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셀 갭의 두께 제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36)가 형성되는 시일부(33)의 폭(W4)을 0.35mm 로 형성하고, 다른 부분의 시일부(33)의 폭(W3)은 0.25 mm 로 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또한 다른 변형예에서는 연결부(36)만의 폭을 상대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즉, 연결부와 연결부 사이에 형성된 시일부의 폭을 연결부 자체의 폭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판 전극이 접촉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시일부의 일부분의 폭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판 전극에 대한 도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연결부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시일부의 폭을 작게 형성함으로써 셀 갭의 제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에 따라서, 액정 표시의 바탕색이 화면 위치에 따라 달라지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내측면에 투명한 상판 전극이 형성된 상판과; 내측면에 투명한 하판 전극이 형성된 하판과;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서 액정 충전용 셀을 형성하며 그 일부에 상기 상판 전극이 접촉하는 연결부가 형성된 도전성 시일부와; 상기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판의 내측에 형성된 도전 베이스;를 구비한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도전성 시일부의 일부분의 폭(W4)은 연결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도전성 시일부의 다른 부분의 폭(W3)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형성되는 도전성 시일부의 일부분의 폭(W4)은 0.35 mm 이고, 연결부가 형성되지 아니한 도전성 시일부의 다른 부분의 폭(W3)은 0.25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
KR1019980050233A 1998-11-23 1998-11-23 액정표시장치_ KR10029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33A KR100294493B1 (ko) 1998-11-23 1998-11-23 액정표시장치_
JP11319101A JP2000155331A (ja) 1998-11-23 1999-11-10 液晶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233A KR100294493B1 (ko) 1998-11-23 1998-11-23 액정표시장치_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389A KR20000033389A (ko) 2000-06-15
KR100294493B1 true KR100294493B1 (ko) 2001-07-12

Family

ID=19559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233A KR100294493B1 (ko) 1998-11-23 1998-11-23 액정표시장치_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0155331A (ko)
KR (1) KR1002944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144B1 (ko) * 2002-07-26 2009-08-14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JP2007171363A (ja) * 2005-12-20 2007-07-05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8151969A (ja) * 2006-12-15 2008-07-03 Sharp Corp 液晶表示パネ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子機器並びに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400291B1 (ko) * 2010-07-14 2014-05-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WO2018131602A1 (ja) * 2017-01-10 2018-07-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調光セル、調光部材、移動体、調光セル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518A (ja) * 1989-09-25 1991-05-10 Stanley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0518A (ja) * 1989-09-25 1991-05-10 Stanley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389A (ko) 2000-06-15
JP2000155331A (ja) 200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80070766A (ko) 액정표시장치
CN110147018B (zh)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及阵列基板制作方法
CN110806666B (zh) Coa基板和显示面板
KR100294493B1 (ko) 액정표시장치_
KR970066681A (ko) 액정패널용 기판, 그 제조방법, 액정장치 및 전자기기
CN107037644A (zh) 显示基板母板及其制作方法、显示基板、面板及装置
JPS61210325A (ja) 液晶表示素子
CN211061817U (zh) 液晶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20180138558A1 (en) Battery with display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9980045970U (ko) 액정표시장치용 전극
US1152019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0139374B1 (ko)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패널의 트랜스퍼 컨택트 형성방법 및 그 구조
KR100692323B1 (ko) 액정 표시 장치
US4643498A (en) Anisotropic electric conductive rubber connector
CN114690487A (zh) 液晶显示面板和显示装置
JP2006053592A (ja) 液晶表示装置
JP2759677B2 (ja) 電気光学表示セル
JPH1010551A (ja) 液晶表示素子
JPS612126A (ja) 液晶表示装置
KR950003165Y1 (ko) 액정 표시 소자
KR940006913Y1 (ko) 액정표시소자
KR20010004603A (ko) 광시야각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CN217767138U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5616817A (zh) 显示面板和电子装置
CN111103735A (zh) 水平电场型的显示面板、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