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350U -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 Google Patents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350U
KR20120007350U KR2020110003247U KR20110003247U KR20120007350U KR 20120007350 U KR20120007350 U KR 20120007350U KR 2020110003247 U KR2020110003247 U KR 2020110003247U KR 20110003247 U KR20110003247 U KR 20110003247U KR 20120007350 U KR20120007350 U KR 201200073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row
protrusions
convex protrusions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2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7477Y1 (ko
Inventor
윤택승
장광은
Original Assignee
(주)수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프로 filed Critical (주)수프로
Priority to KR20201100032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747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73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3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7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7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6Foldable pots

Abstract

가요성을 갖는 화분 제조용 부재가 공개된다.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제1 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이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은,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구부렸을 때에 서로 끼워 맞추어 질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Description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Pot-constituting member and pot made from the same}
본 고안은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분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제조하는 데에 사용되는 화분 제조용 부재와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화분에 관한 것이다.
화분은 각종 조경수 또는 조경수의 모나무를 키우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모나무가 어느 정도 자란 후에는 더 큰 재배 용기, 화단, 밭 또는 대지에 옮겨 심을 수 있다. 침엽수, 활엽수 및 관상용 꽃나무의 모나무를 포함하는 다양한 식물을 화분에 심을 수 있다.
조경수 또는 그 모나무는 수령, 수종 등에 따라 그 크기가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난대 조경수(暖帶 造景樹)는 넓은 잎을 가진다. 따라서 화분에 난대 조경수의 모나무를 재배하는 경우, 화분 안으로 물과 비료가 잘 들어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난대 조경수의 모나무를 재배하가 위한 화분의 상부 직경은 일반적인 재배 용기에 비해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른 예로서, 일반적으로 덩굴류는 수목의 줄기나 가지를 타고 위로 자라기 때문에 다른 수종에 비하여 줄기나 가지가 옆으로 퍼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난대 조경수의 화분보다 더 작은 크기의 화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르게는, 침엽수의 경우에는 잎이 좁기 때문에 옆으로 넓게 퍼져서 자라더라도 화분 안으로 물과 비료가 잘 들어갈 수 있기 때문에 난대 조경수보다는 더 작은 크기의 화분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수종과 수령에 따라 바람직한 화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화분을 구비할 필요가 있으나, 이를 보관하거나 조달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보관과 조달이 간편한 화분 또는 화분용 부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화분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보관이 편리한 화분 제조용 부재 및 이를 통해 만들어진 화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범위가 상술한 과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가 제공된다. 이 화분 제조용 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부재이며,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제1 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이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은,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구부렸을 때에 서로 끼워 맞추어 질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쪽의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이 서로 끼워 맞추어질 때에, 끼워 맞추어지는 한 쌍의 볼록 돌기 중 제1 볼록 돌기의 상기 제1 면 쪽 표면은, 상기 한 쌍의 볼록 돌기 중 제2 볼록 돌기의 상기 제2 면 쪽 표면과 결합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의 중앙부에는 각각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볼록 돌기 및 상기 제2 볼록 돌기의 중앙부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 홀들을 통해 결합 부재를 결합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제2 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열의 오목 돌기들이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열의 오목 돌기들의 중앙부에는 각각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열의 오목 돌기들은 상기 제1 열의 볼록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수직선부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수직선부는 각각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수직선부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양상에 따른 원통형 화분의 가요성 측벽 부재가 제공된다. 이 원통형 화분의 가요성 측벽 부재는 상기 측벽 부재의 제1 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이 상기 측벽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볼록 돌기 중 적어도 한 쌍의 볼록 돌기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결합 된 것이다.
여기서, 원통형이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으로서 완벽한 원에서 그 모양이 변형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벽 부재의 제2 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열의 오목 돌기들이 상기 측벽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면 방향은 상기 측벽 부재의 바깥 방향이고, 상기 제2 면 방향은 상기 측벽 부재의 안쪽 방향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른 화분이 제공된다. 이 화분은 측벽에는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열의 오목 돌기들이 상기 화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분의 밑면은 상기 제1 열의 오목 돌기들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밑면은 제1 열의 오목 돌기들 상에 얹혀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화분의 측벽에는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2 열의 오목 돌기들이 상기 화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밑면은 상기 제1 열의 오목 돌기들과 상기 제2 열의 오목 돌기들 사이에 걸려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화분을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보관이 편리한 화분 제조용 부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범위가 상술한 효과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단면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양 단이 결합되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번호가 제공된다. 이 참조번호는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갖는다.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참조번호는 괄호 안에 표시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화분 제조용 부재(100)는 복수 개의 볼록 돌기들과 복수 개의 오목 돌기들이 형성된 가요성 판형 부재일 수 있다. 볼록 돌기는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제1 면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를 지칭하며, 오목 돌기는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제2 면 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기를 지칭할 수 있다.
볼록 돌기들과 오목 돌기들은 번갈아 형성될 수 있다. 볼록 돌기들과 오목 돌기들에 의해 화분 제조용 부재(100)에는 다수 개의 행(column)과 열(row)을 갖는 격자 모양의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행(column)은 길이 방향(II)을 따라 배열되고, 다수 개의 열(row)은 폭 방향(I)을 따라 배열된다.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각 행은 길이 방향(II)의 왼쪽으로부터 [1, 2, 3, 4, 5, ..., ]와 같이 숫자로 구분되고, 각 열은 폭 방향(I)의 위쪽으로부터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와 같이 영문자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각 행은 길이 방향(II)의 오른쪽으로부터 [B1, B2, B3, ...]와 같이 표기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화분 제조용 부재(100)에 형성된 각 볼록 돌기와 오목 돌기의 중심부는 상술한 각 행과 열의 교차점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하, 각 행과 열의 교차점은 이하 다음과 같이 대괄호 안에 표기할 수 있다.
[식 1] [행, 열]
예를 들어, 도 1의 (a)에서, 교차점 [2, b]에는 오목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교차점 [2, a], [1, b], [3, b], [2, c]에는 볼록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오목 돌기의 상하좌우에는 볼록 돌기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볼록 돌기의 상하좌우에는 오목 돌기가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오목 돌기와 볼록 돌기가 상하로 번갈아 배치되고, 또한 좌우로도 번갈아 배치됨을 알 수 있다. 도 1의 (a)에서 밝은 점은 볼록 돌기에 해당하고, 어두운 점은 오목 돌기에 해당한다.
도 1의 (a)가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정면도에 해당한다면, 도 1의 (b)는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사시도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영역을 구분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도 2에서 구분된 영역이 어떤 모양을 갖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에 영역(S, S1, S2, S3, S4)을 구분하여 표시한 것이고, 도 2의 (b)는 도 2의 (a)의 영역(S)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2의 (b)에는 영역(S1, S2, S3, S4)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해 설정한 절취선(L1, L2, L3, L4)이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3의 (a)는 도 2의 (a)의 영역(S1)을 폭 방향(I)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모습이다. 마찬가지로, 도 3의 (b)는 도 2의 (a)의 영역(S2)을 폭 방향(I)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모습이다. 도 3의 (c)는 도 2의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폭 방향(I)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모습이다.
도 4의 (a)는 도 2의 (a)의 영역(S3)을 길이 방향(II)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마찬가지로, 도 4의 (b)는 도 2의 (a)의 영역(S4)을 길이 방향(II)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도 4의 (c)는 도 2의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길이 방향(II)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바라본 모습이다.
도 5의 (a), (b), (c), (d)는 각각 도 2의 절취선(L1), 절취선(L2), 절취선(L3), 절취선(L4)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이 단면도들을 살펴보면, 볼록 돌기들과 오목 돌기들의 단면은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제1 면(102) 쪽으로 돌출된 볼록 돌기들의 중심부에는 관통 홀(H)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단면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a), (b), (g), (h)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단면으로서, 각각 도 5의 (a), (b), (c), (d)에 대응된다.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제1 면(102) 쪽으로 돌출된 볼록 돌기들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제2 면(101) 쪽으로 돌출된 오목 돌기들의 중심부에도 관통 홀(H)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c), (d), (i), (j)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단면으로서, 각각 도 5의 (a), (b), (c), (d)에 대응된다.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제1 면(102) 쪽으로 돌출된 볼록 돌기들의 중심부뿐만 아니라, 제2 면(101) 쪽으로 돌출된 오목 돌기들의 중심부가 모두 막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의 (e), (f), (k), (l)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단면으로서, 각각 도 5의 (a), (b), (c), (d)에 대응된다.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제2 면(101) 쪽으로 돌출된 오목 돌기들의 중심부에 관통 홀(H)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에 따른 화분(110)은 도 1에 도시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길이 방향(II)으로 구부려 양 단을 연결하여 형성한 화분(110)을 나타낸 것이다. 다르게는, 화분(1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길이 방향(II)에 따른 임의의 지점에서 폭 방향(I)을 따라 절취한 다음, 이렇게 얻어진 부재를 이용하여 화분(110)을 제조할 수 있다. 이 화분(110)에는 밑면이 없을 수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밑면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하, 도 7에 따른 화분(110)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화분(110)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 본 것이다. 도 8의 (a)는 도 1의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구부린 상태를 나타내고, 도 8의 (b)는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절취하여 얻은 부재의 양 단을 결합시켜 완성한 화분(110)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8에서 숫자 1, 2, 3, 4, B1은 상술한 행(column)의 번호를 나타낸다. 이하, 도 8에서 화분 제조용 부재(100)가 결합되는 부분을 나타낸 영역(S5)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양 단이 결합되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교차점 [1,a]에 형성된 오목 돌기와 교차점 [B2,a]에 형성된 오목 돌기가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교차점 [1,c]에 형성된 오목 돌기와 교차점 [B2,c]에 형성된 오목 돌기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교차점 [2,a]에 형성된 볼록 돌기와 교차점 [B1,a]에 형성된 볼록 돌기가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교차점 [2,c]에 형성된 볼록 돌기와 교차점 [B1,c]에 형성된 볼록 돌기가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즉, 오목 돌기는 오목 돌기끼리 결합하고 볼록 돌기는 볼록 돌기끼리 결합할 수 있다. 이 중, 볼록 돌기들의 중심부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 관통 홀에 결합부재(40, 41)를 결합함으로써 화분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결합부재로서 볼트와 너트를 도시하였으나, 두 쌍 이상의 볼록 돌기들에 형성된 구멍을 철끈 등으로 엮어 화분의 제조를 완료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양 단이 결합되는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도 9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교차점 [1,a]에 형성된 오목 돌기와 교차점 [B4,a]에 형성된 오목 돌기가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교차점 [3,a]에 형성된 오목 돌기와 교차점 [B2,a]에 형성된 오목 돌기가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교차점 [2,a]에 형성된 볼록 돌기와 교차점 [B3,a]에 형성된 볼록 돌기가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교차점 [4,a]에 형성된 볼록 돌기와 교차점 [B1,a]에 형성된 볼록 돌기가 서로 결합 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일 측의 두 개의 행과 타 측의 두 개의 행이 서로 결합 되었다면, 도 10에서는 일 측의 네 개의 행과 타 측의 네 개의 행이 서로 결합 된다는 점이 다르다. 도 10에 의한 제조되는 화분(110)의 크기는 도 9에 의해 제조되는 화분(110)의 크기보다 작다. 이와 같이 볼록 돌기들과 오목 돌기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화분 제조용 부재(100)로부터 다양한 크기의 화분(110)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에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는 도 1의 화분 제조용 부재(100)와 유사하지만, 오목 돌기들의 중심부에도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이 경우에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구부려 양 단을 결합시킨 후에, 볼록 돌기들에 형성된 관통 홀뿐만 아니라 오목 돌기들에 형성된 관통 홀을 함께 사용하여 화분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12의 (a)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에는 일정 간격으로 수직선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수직선부(30)는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110)의 크기는 도 9 및 도 10과 같이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겹치는 부분의 크기를 달리하여 조절할 수도 있지만,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길이 방향(II)의 임의 지점에서 폭 방향(I)을 따라 잘라 제공함으로써 화분(110)의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화분(1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길이 방향(II) 크기를 알 필요가 있는데, 도 11과 같이 수직선부(30)를 형성하면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길이 방향(II) 크기를 쉽게 알 수 있다.
도 12의 (b)는 도 12의 (a)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수직선부(30)에 관통 홀(T1~T9)이 형성된 것이다.
이 경우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길이 방향(II)으로 구부려 폭 방향(I)으로 뻗은 양 단(가장자리부)을 결합할 때에, 반드시 수직선부(30)끼리 겹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T1)이 형성된 수직선부(30)와 관통 홀(T8)이 형성된 수직선부(30)를 겹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관통 홀(T1)과 관통 홀(T8)이 서로 겹칠 수 있고, 관통 홀(T2)과 관통 홀(T9)이 서로 겹칠 수 있다. 겹친 관통 홀 쌍(T1, T8) 및 관통 홀 쌍(T2, T9)에 상술한 것과 유사한 결합 부재를 사용하여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양 단을 결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과 같이 볼록 돌기들에 형성된 관통 홀에 결합 부재를 통과시켜 결합하는 경우에는 볼록 돌기들의 돌출 형상 때문에 결합 작업이 쉽지 않을 수 있는데, 도 12의 (b)와 같은 물건을 사용할 경우에는 결합 부재가 통과하는 관통 홀의 주변부(즉, 수직선부(30))가 평평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 작업이 더 용이할 수 있다.
도 12의 (c)는 도 12의 (b)에서 도시한 관통 홀들이 각각 쌍을 이루어 인접한 경우이다. 이때에, 인접하여 쌍을 이루는 두 개의 관통 홀을 통해 철끈과 같은 물건을 통과시킨 후에 이를 엮어 간편하게 화분(110)을 완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110)은 밑면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화분은 나대지에 재배하는 모나무 등을 재배할 때에 사용될 수 있다. 밑면이 없더라도 나대지 및 여기에 놓인 밑면 없는 화분(110)이 화분(110) 안의 흙들이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에 화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에 밑면을 따로 결합시켜 밑면을 갖는 화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110)을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 따르면, 상술한 화분 제조용 부재(100)는, 완성된 화분(110)의 측벽의 역할을 한다.
상술한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이용한 측벽은 그 안쪽으로 돌출부가 형성된다. 이 안쪽으로 돌출된 돌기의 사이사이에 도 13의 (a)와 같이 밑면(120)을 걸쳐 놓을 수 있다.
밑면(120)은 도 13의 (b)와 같이 위 판(121), 아래 판(123), 및 지지대(12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3의 (a)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밑면(120)이 아래로 빠질 수 있는데, 도 13의 (b)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밑면(120)이 측면에 잘 고정될 수 있다.
도 13에 따른 화분을 사용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진 측벽의 모양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11에 도시한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참조하면, 가장 아래쪽에 있는 열(n,o)에 있는 볼록 돌기와 오목 돌기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이용하여 제조한 화분(110)의 아래쪽으로부터 물이 빠져나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가장 아래쪽에 있는 열들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 돌기 및/도는 오목 돌기에도 관통 홀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는 도 1 및 도 11에 도시한 것보다 훨씬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원통형으로 계속 말아 보관할 수 있다. 또는 화분 제조용 부재(100)는 판 형이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로 잘라 서로 포개어 보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르면 즉시 화분으로 전용할 수 있는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작은 공간에 손쉽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한 번 화분으로서 사용된 화분 제조용 부재(100)를 다시 펼친 다음 더 작은 화분으로 다시 만들 수 있다는 것은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화분은 화분으로서의 재활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실시예에 따라, 도 1 및 도 11에 도시한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가장 아래쪽에 있는 열-예컨대 열(n,o)-에 있는 볼록 돌기 및/또는 오목 돌기에도 관통 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 또는 화분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은 이 곳을 통해 화분 바깥으로 빠져나가려는 뿌리를 절단하는 단근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보통 뿌리가 성장하다가 공기에 닿게 되면 자연적으로 단근되며, 단근된 부위에서 잔뿌리들이 새로이 자라나게 된다. 화분에 모나무를 재배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잔뿌리들이 많이 형성되면, 모나무를 다른 곳에 옳겨 심을 때에 유리하므로 단근 현상을 유도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관통 홀은, 화분 제조용 부재의 양 단을 결합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분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단근을 유도하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의도된 것이며, 본 고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본 고안의 용이한 이해를 위하여 특정 용어를 사용하여 서술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특정 용어에 의해 본 고안의 범위가 제한되도록 의도한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각각 본 고안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본 고안의 사상에 반하지 않는다면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당업자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공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기술자라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로부터 본 고안의 사상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30: 수직선부
40, 41: 결합부재
100: 화분 제조용 부재
101, 102: 제2 면, 제1 면
110: 화분
120: 밑면

Claims (8)

  1. 화분 제조용 부재로서,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는 가요성을 갖는 부재이며,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제1 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이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은,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를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구부렸을 때에 서로 끼워 맞추어 질 수 있는 형상을 갖는,
    화분 제조용 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는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반대쪽의 제2 면을 가지며,
    상기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이 서로 끼워 맞추어질 때에, 끼워 맞추어지는 한 쌍의 볼록 돌기 중 제1 볼록 돌기의 상기 제1 면 쪽 표면은, 상기 한 쌍의 볼록 돌기 중 제2 볼록 돌기의 상기 제2 면 쪽 표면과 결합 되는,
    화분 제조용 부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의 중앙부에는 각각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 제조용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제2 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열의 오목 돌기들이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더 형성되어 있는, 화분 제조용 부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열의 오목 돌기들은 상기 제1 열의 볼록 돌기들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화분 제조용 부재.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라인이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나 이상의 라인은 각각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는, 화분 제조용 부재.
  7. 원통형 화분의 가요성 측벽 부재로서,
    상기 측벽 부재의 제1 면 방향으로 돌출된 제1 열의 볼록 돌기들이 상기 측벽 부재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측벽 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볼록 돌기 중 적어도 한 쌍의 볼록 돌기가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결합된 것인,
    원통형 화분의 측벽 부재.
  8. 원통형 화분으로서,
    상기 화분의 측벽에는 상기 화분의 내측으로 돌출된 제1 열의 오목 돌기들이 상기 화분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화분의 밑면은 상기 제1 열의 오목 돌기들 상에 놓여 배치되어 있는,
    원통형 화분.
KR2020110003247U 2011-04-15 2011-04-15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KR200467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247U KR200467477Y1 (ko) 2011-04-15 2011-04-15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247U KR200467477Y1 (ko) 2011-04-15 2011-04-15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350U true KR20120007350U (ko) 2012-10-24
KR200467477Y1 KR200467477Y1 (ko) 2013-06-14

Family

ID=4751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247U KR200467477Y1 (ko) 2011-04-15 2011-04-15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747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68B1 (ko) * 2013-08-26 2014-05-20 (주)도시와숲 이중 화분
KR200484126Y1 (ko) * 2017-01-04 2017-08-02 이정옥 공기전정 기능을 갖는 조립식 묘목 양육용 화분
KR20180010054A (ko) * 2016-07-20 2018-01-30 김세용 공기가 유통되도록 화분에 형성된 관통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8988B1 (ko) * 2020-11-19 2024-02-22 (주)수프로 화분 제조용 부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053A (ja) * 1998-03-10 1999-09-21 Ibaraki Shikan Kk 組立式器及びその筒状体形成部材
JP3276603B2 (ja) * 1998-04-23 2002-04-22 ビルマテル株式会社 ヘッドバンド
JP2001008552A (ja) * 1999-06-29 2001-01-16 Kenji Tsukahira 植木鉢
KR20110003724U (ko) * 2009-10-08 2011-04-14 조미영 크기조절용 화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468B1 (ko) * 2013-08-26 2014-05-20 (주)도시와숲 이중 화분
KR20180010054A (ko) * 2016-07-20 2018-01-30 김세용 공기가 유통되도록 화분에 형성된 관통홀에 체결되는 체결부재
KR200484126Y1 (ko) * 2017-01-04 2017-08-02 이정옥 공기전정 기능을 갖는 조립식 묘목 양육용 화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7477Y1 (ko) 2013-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596B1 (ko)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US20180220606A1 (en) Combination tiered modular kit assembly including hydroponic basket for growing plants in a bucket
CN102711441B (zh) 在支撑物上具有立杆形式树冠之榛树的栽培
KR101749871B1 (ko) 딸기 육묘와 재배를 겸하는 딸기복층고설재배장치
KR200467477Y1 (ko)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KR101035022B1 (ko) 조립식 화분장치
KR101498983B1 (ko) 육묘용 생분해성 용기
KR102322640B1 (ko) 조립식 화분체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JP3231863U (ja) 根鉢付きダブル苗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KR200416035Y1 (ko) 관상용 식물재배 화분
KR200461768Y1 (ko) 난대 조경수 재배 용기
KR102638988B1 (ko) 화분 제조용 부재
KR102617032B1 (ko) 가정용 원예재배기
KR200274709Y1 (ko) 모판
KR200477085Y1 (ko) 수목 채소용 컨테이너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KR20110008363U (ko) 활엽수용 육묘 포트
KR200435971Y1 (ko) 수직조립식화분(垂直組立式花盆)
KR200466079Y1 (ko) 덩굴류 조경수 재배 용기
JP7017201B2 (ja) 育苗容器
KR20170066191A (ko) 다단식 텃밭 재배기
KR101555671B1 (ko) 식물 재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