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988B1 - 화분 제조용 부재 - Google Patents

화분 제조용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988B1
KR102638988B1 KR1020200155649A KR20200155649A KR102638988B1 KR 102638988 B1 KR102638988 B1 KR 102638988B1 KR 1020200155649 A KR1020200155649 A KR 1020200155649A KR 20200155649 A KR20200155649 A KR 20200155649A KR 102638988 B1 KR102638988 B1 KR 102638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module
flower pot
manufacturing
hol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5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8652A (ko
Inventor
윤택승
안태원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주)수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프로 filed Critical (주)수프로
Priority to KR1020200155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9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68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8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1Pots formed in one piece; Materials used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제조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화분은 수목을 이식하는 경우 활착을 돕기 위하여 사전에 뿌리를 잘라 잔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식물의 뿌리를 잘라 식재하고 공기가 유입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화분이며,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에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을 뿌리가 자라는 방향을 조절하거나 조립하기 전에 불필요한 관통홀을 막아주는 막힘부재 등을 사용하고 분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해주는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화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형성된 메인모듈과, 상기 메인모듈의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부재와, 상기 메인모듈의 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중심부가 관통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메인모듈의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유도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분 제조용 부재{Pot-constituting member}
본 발명은 화분 제조용 부재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화분은 수목을 이식하는 경우 활착을 돕기 위하여 사전에 뿌리를 잘라 잔뿌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식물의 뿌리를 잘라 식재하고 공기가 유입가능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화분이며,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에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을 뿌리가 자라는 방향을 조절하거나 조립하기 전에 불필요한 관통홀을 막아주는 막힘부재 등을 사용하고 분리가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해주는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화분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형성된 메인모듈과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행렬구조로 배열되어 돌기를 이용한 결합구조와 관통홀을 통해 뿌리가 밖으로 자라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유도선이 형성되어 유도선을 기준으로 용량을 설정하거나 굴절하거나 절단하는 것이 가능한 화분 제조용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분은 꽃이나 나무를 심어 기르는 통을 일컫는다. 플라스틱으로 된 화분에서부터 도기로 된 화분까지 그 재질과 크기, 종류, 형태 등의 성질이 다양하다. 통상의 화분은 실내에 배치하여 소규모로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비닐하우스 등에서 꽃이나 나무 등의 식물, 특히 모종을 재배할 때에도 화분이 사용된다. 이때의 화분은 위아래가 모두 개방된 형태의 화분이 주로 쓰인다. 블루베리 등의 배수가 원활이 되야하는 식물을 재배할 경우 비닐하우스 내에 다수의 화분을 배치하여 재배한다. 이와 같은 화분은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것으로서, 물이 빠질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내경의 사이즈가 조절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식물의 재배 조건이나 시기에 따라 다른 사이즈로 교체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발생되며, 무엇보다도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화분에 관련된 선행기술 중 일 예로서 한국공개실용신안 KR 20-2011-0003724 U(2011.04.14) "크기조절용 화분"이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크기조절용 화분은 분갈이를 용이하게 하는 크기조절용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원통형이면서, 종방향으로 절단된 양단이 겹쳐져서 원통형태가 유지되고, 절개된 일단의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이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1가이드홈과 제2가이드홈에 각각 대응되는 제1체결공과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제1가이드홈과 제1체결공은 제1고정부재로 결합되고, 제2가이드홈과 제2체결공은 제2고정부재로 결합되어, 그 결합 위치에 따라 크기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화분본체와, 상기 화분본체의 가상의 횡단면의 내주와 접하는 외주를 갖는 원형이면서, 상기 화분본체의 크기를 크게 조절할수록 상기 화분본체의 하부에 접하도록 구성되는 바닥부를 포함한다. 화분본체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화초가 작을 때는 화분본체를 작게 하여 키우다가, 화초가 커지면 화분본체의 크기를 크게 하여 키울 수 있다. 따라서 별도로 분갈이를 하지 않고서도 화초를 키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둘레의 길이만 조절하고 상하측 부분만 개방된 원통형 구조이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수종과 수령에 따라 바람직한 화분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화분을 구비할 필요가 있으나, 이를 보관하거나 조달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보관과 조달이 간편하고 사용하기 원활한 화분 또는 화분용 부재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1. 한국공개실용신안 KR 20-2011-0003724 U(2011.04.1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전면부와 후면부가 형성된 메인모듈과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행렬구조로 배열되어 돌기를 이용한 결합구조와 관통을 통해 뿌리가 밖으로 자라나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유도선이 형성되어 유도선을 기준으로 용량을 설정하거나 굴절하거나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는,
전면부와 후면부가 형성된 메인모듈과, 상기 메인모듈의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부재와, 상기 메인모듈의 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부재와, 상기 제2부재의 중심부가 관통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메인모듈의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유도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인모듈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전면부 일측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후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인모듈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는 메인모듈의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체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인모듈에 상부로 연장되는 절수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수부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관통되는 지주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메인 모듈의 개수에 따라 용적 변경이 용이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용적 설정시에도 돌기 또는 유도선을 토대로 쉽게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고, 모듈이 하부방향의 가로 유도선을 따라서 접고 잘라서 겹치게 구성하면 바닥면이 형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바닥면을 구성할 필요가 없어지고 바닥부재를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결속을 위한 부자재가 필요 없기 때문에 일체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재고관리 및 보관이 용이하고 응용가능성이 높다. 상부에는 돌기가 형성되지 않아 관수시 상단면에서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관통홀이 형성하여 지주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정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평면도.
도 4은 도 3의 A-B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평면도.
도 5는 도 3의 A-B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확대평면도.
도 6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정면도.
도 7는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좌상단 확대도.
도 8은 도 7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a)는 L1의 절단면, (b)는 L2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7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a)는 L3의 절단면, (b)는 L4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화분 제조용 부재(100)는 복수 개의 제1부재(20)와 복수 개의 제2부재(30)가 형성된 변형이 용이한 플레이트일 수 있다.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전면부(A)쪽으로 돌출되는 제1부재(20)는 전면부 방향의 제1부재돌기(20a)와 후면부 방향의 제1부재홈(20b)으로 이루어지며, 제2부재(30)는 전면부 방향의 제2부재홈(30a)과 후면부 방향의 제2부재돌기(30b)으로 이루어지며 제2부재(30)는 중심부에 관통홀(31)이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번갈아가면서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화분 제조용 부재(100)는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배열에 의해 다수 개의 가로줄(행)과 세로줄(열)을 갖는 격자 모양의 배열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에서 도시된 각 행은 왼쪽으로부터 (1-2-3)순서의 넘버링으로 구분되고, 각 열은 위쪽으로부터 (a-b-c)와 같이 알파벳으로 구분되고 모든 순서를 배열하고 숫자 및 알파벳을 부여하기 어렵기 때문에 설명을 위해서 각 행은 오른쪽으로부터 (B1-B2)의 알파벳을 부여 한다. 따라서, 화분 제조용 부재(100)에 형성된 각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중심부를 각 행과 열의 교차점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정의한 내용과 같이 각 행과 열의 교차점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기할 수 있다.
[식 1]
식 1에 따라 설명하면, 도 6의 각 행열의 교차점 [2, a], [1, b], [3, b],[2, c]에는 상기 제1부재돌기(20a)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나의 제1부재(20)의 상하좌우에는 제2부재(30)가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하나의 제2부재(30)의 상하좌우에는 제1부재(20)가 배치됨을 알 수 있다. 오목 돌기와 볼록 돌기가 상하로 번갈아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그 반대 또한 가능하다.
도 7는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좌상단 확대도으로 구체적인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영역을 구분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도 7에서 구분된 영역이 어떤 모양을 갖는지를 도시한 것이다.(여기서 , 도 8과 도 9는 상기 관통홀(31)이 도시되지 않음.)
도 7의 영역을 나누어 섹터(S1, S2, S3, S4)로 구분하여 표시한 것이고, 설명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정한 절취선(L1, L2, L3, L4)이 함께 표시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a)는 L1의 절단면, (b)는 L2의 절단면을 나타내고, 도 9는 도 7의 절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a)는 L3의 절단면, (b)는 L4의 절단면을 도시한다.
도 8의 (a)는 도 7의 섹터(S1)를 절취선(L1)으로 절단하고 절단면과 절취선을 도시한 모습이다. 또한, 도 8의 (b)는 도 7의 섹터(S2)를 절취선(L2)으로 절단하고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절단면과 절취선을 도시한 모습이다.
도 9의 (a)는 도 7의 섹터(S3)를 절취선(L3)으로 절단하고 절단면과 절취선을 도시한 모습이다. 또한, 도 9의 (b)는 도 7의 섹터(S4)를 절취선(L4)으로 절단하고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100) 절단면과 절취선을 도시한 모습이다.
이 단면도을 통해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단면은 규칙적인 배열으로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정면도를 나타내고,도 2은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분 제조용 부재(100)는,
전면부(A)와 후면부(B)가 형성된 메인모듈(10)과, 상기 메인모듈(10)의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부재(20)와, 상기 메인모듈(10)의 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부재(30)와, 상기 제2부재(30)의 중심부가 관통형성되는 관통홀(31)과, 상기 메인모듈(10)의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유도선(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모듈(10)은 사용자가 힘을 가했을 때 원하는 굴절도를 가지도록 변형이 용이한 재질을 사용하고 플레이트 판 등의 납작한 형태를 이루어 전면부(A)와 후면부(B)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모듈(10)의 전면부(A)와 후면부(B)으로 규칙직으로 배열되는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부재(20)와 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부재(30)가 형성되고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번갈아가면서 규칙적인 배열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화분 제조용 부재(100)는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배열에 의해 다수 개의 가로줄(행)과 세로줄(열)을 갖는 격자 모양의 배열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부재(30)는 중심부가 관통되어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는 관통홀(31)이며, 상기 관통홀(31) 통해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뿌리돌림 현상을 원활히 작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식재되는 식물의 뿌리가 상기 화분의 바깥으로 빠져나가 단근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원하는 용도에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화분을 뿌리가 자라는 방향을 조절하거나 조립하기 전에 불필요한 관통홀(31)을 막아주는 막힘부재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모듈(10) 굴절시켜 양단을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배열에 의해서 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모듈(10)의 전면부(A) 일측에 형성된 제1부재돌기(20a)가 후면부(B) 타측에 형성된 제1부재홈(20b)에 인입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면부(A) 일측에 형성된 제2부재홈(30a)이 후면부(B) 타측에 형성된 제2부재돌기(30b)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모듈(10)의 양단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결합을 위해서 여러구성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모듈(10)의 가로축 및 세로축으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유도선(40)은 점선과 같은 형태로 선이 이루어지거나 절단이 쉽도록 절단선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상기 메인모듈(10)을 접거나 절단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와 폭의 유도선(40)을 설정하면 쉽게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완성된 화분의 용량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유도선(40a)을 접어서 화분을 제조한다면 또다른 바닥부재가 필요없이 화분의 바닥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모듈(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1부재(20) 및 제2부재(30)의 전면부 일측에 걸림부(50)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50)는 상기 제1부재(20) 및 제2부재(30)의 후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홈부(5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모듈(10) 굴절시켜 양단을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의 배열에 의해서 결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메인모듈(10)의 전면부(A) 일측에 형성된 제1부재돌기(20a)가 후면부(B) 타측에 형성된 제1부재홈(20b)에 인입결합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면부(A) 일측에 형성된 제2부재홈(30a)이 후면부(B) 타측에 형성된 제2부재돌기(30b)에 끼움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모듈(10)의 양단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는 결합을 위해서 여러구성으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서 상기 메인모듈(10)의 양단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1부재(20) 및 제2부재(30)를 변형하여 길죽한 형태의 돌출부와 인입부를 형성하는 상기 걸림부(50)와 홈부(51)를 형성하여 서로를 흡착결합하여 상기 제1부재(20)와 제2부재(30)로 형성되었을 때보다 강한 압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단일모듈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여러개의 모듈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메인모듈(10)에 상부로 연장되는 절수부(6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수부(60)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관통되는 지주관통홀(61)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수부(60)는 메인모듈(10)의 일측 방향으로 상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수부(60)는 상제 제1부재(20) 및 제2부재(30)가 형성되않는 평평한 영역으로 상기 제2부재(30)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제2부재(30)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홀(31) 또한 없기 때문에 절수부(60)가 형성된 화분은 관수시에 상단면에서 물이 세는 것을 방지하여 절수 효과를 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수부(60)의 일측에 관통되는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지주관통홀(6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주관통홀(61)은 화분 자체와 식재된 식물을 당기는 지주설치가 가능하고, 뿌리분 부근에 지중지주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굴절된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의 A-B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한 확대도이며, 상기 화분 제조용 부재(100)의 양단이 결합될 때 여러가지의 결합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메인모듈(10)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는 메인모듈(10)의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체결부(5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 5에서 상기 메인모듈(10)은 굴절하여 양측을 결합할 시에 원래대로 복원되려고하는 복원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측에 상기 연장부와 체결부(53)를 형성하여 서로 힘이 엇갈리도록 결합하게 되면 스스로는 절대 분리가 되지 않는 결합구성을 가지게 된다.
도 4에서 상기 제1부재(20)는 제1부재(20)끼리 결합하고 상기 제2부재(30)는 제2부재(30)끼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부재(30)의 중심부에는 상기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부재돌기(30b)의 말단부에 고리형태의 결속부(54)를 형성하여 상기 결속부(54)가 형성된 일측의 제2부재돌기(30b)를 타측의 제2부재홈(30a)의 관통홀(31)을 통해 관통하고 상기 결속부(54)에 의해 걸림되어 역방향으로 빠지는 것이 어렵도록하여 화분 제조를 완료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화분 제조용 부재
10 : 메인모듈
20 : 제1부재
20a : 제1부재돌기
20b : 제1부재홈
30 : 제2부재
30a : 제2부재홈
30b : 제2부재돌기
31 : 관통홀
40 : 유도선
40a : 제1유도선
40b : 제2유도선
50 : 걸림부
51 : 홈부
52 : 연장부
53 : 체결부
54 : 결속부
60 : 절수부
61 : 지주관통홀
A : 전면부
B : 후면부

Claims (5)

  1. 전면부와 후면부가 형성된 메인모듈;
    상기 메인모듈의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1부재;
    상기 메인모듈의 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행렬구조로 배열된 복수개의 제2부재;
    상기 제2부재의 중심부가 관통형성되는 관통홀;
    상기 메인모듈의 가로축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제1유도선과, 상기 메인모듈의 세로축으로 기설정된 간격으로 하나 이상 형성된 제2유도선을 포함하고, 점선 또는 절단선으로 이루어지는 유도선; 및
    상기 제2부재의 말단부에서 상기 제2부재의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구간 만곡지게 연장 형성되는 고리형태의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모듈에 상부로 연장되는 절수부가 더 형성되되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가 형성되지 않는 평평한 영역이고 상기 절수부는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관통되는 지주관통홀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용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전면부 일측에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부재 및 제2부재의 후면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용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모듈의 양측으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는 메인모듈의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후면부 방향이 인입형성되는 체결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제조용 부재.
  4. 삭제
  5. 삭제
KR1020200155649A 2020-11-19 2020-11-19 화분 제조용 부재 KR102638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49A KR102638988B1 (ko) 2020-11-19 2020-11-19 화분 제조용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5649A KR102638988B1 (ko) 2020-11-19 2020-11-19 화분 제조용 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52A KR20220068652A (ko) 2022-05-26
KR102638988B1 true KR102638988B1 (ko) 2024-02-22

Family

ID=8180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5649A KR102638988B1 (ko) 2020-11-19 2020-11-19 화분 제조용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9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642A (ja) * 2001-02-01 2002-08-13 Kobayashi Hardware Kk 植物栽培容器及び植物栽培キット
US20050279470A1 (en) 2004-06-21 2005-12-22 Redd Charles A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a tuft
KR200467477Y1 (ko) * 2011-04-15 2013-06-14 (주)수프로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WO2016044907A1 (pt) 2014-09-26 2016-03-31 Vieira De Sousa Claudio Vaso de papel montado, ecológico, reciclável e biodegradável, para cultivo de muda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I20050098A1 (it) * 2005-09-15 2007-03-16 Barghini Plast 2 Srl Recipiente per l' interramento di piante, fiori e suo sviluppo piano
KR20110003724U (ko) 2009-10-08 2011-04-14 조미영 크기조절용 화분
KR20170122436A (ko) * 2016-04-27 2017-11-06 이상준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화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3642A (ja) * 2001-02-01 2002-08-13 Kobayashi Hardware Kk 植物栽培容器及び植物栽培キット
US20050279470A1 (en) 2004-06-21 2005-12-22 Redd Charles A Fibrous structures comprising a tuft
KR200467477Y1 (ko) * 2011-04-15 2013-06-14 (주)수프로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WO2016044907A1 (pt) 2014-09-26 2016-03-31 Vieira De Sousa Claudio Vaso de papel montado, ecológico, reciclável e biodegradável, para cultivo de mud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8652A (ko) 2022-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596B1 (ko) 조립식 입체 녹화 식재박스
KR102638988B1 (ko) 화분 제조용 부재
KR200467477Y1 (ko)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
JP2017079680A (ja) 栽培具及び植木鉢
CN1090897C (zh) 无土垂直栽培装置
KR102205570B1 (ko) 뿌리식물 수경재배용 시트
US5134803A (en) Method of cultivating cut flower of rose
KR102322640B1 (ko) 조립식 화분체
ES2302107T3 (es) Elemento de vegetacion, unidad de venta con un elemento de vegetacion y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una unidad de venta.
CN108207401B (zh) 一种树枝花盆及其制作工艺
CN207604281U (zh) 植栽盘
KR200227662Y1 (ko) 육묘용 포트
KR200359219Y1 (ko) 활엽수용 양묘 포트
JP2001224244A (ja) 育苗方法及び育苗施設
KR20050109825A (ko) 침엽수용 양묘 포트
KR200359218Y1 (ko) 침엽수용 양묘 포트
JP7017201B2 (ja) 育苗容器
JP6554628B1 (ja) 多用途用収納ユニット
KR20200142386A (ko) 텃밭용 화분
KR200274673Y1 (ko) 활엽수 육묘용 포트
KR102087604B1 (ko) 작물 재배용 커버
CN109804887B (zh) 一种“以根代干”银杏盆景的培育方法
US20070107301A1 (en) Edge strip for edging plants and making in-ground plant pots
KR200247908Y1 (ko) 조립식 화분
TWM598596U (zh) 可堆疊的育苗裝置及育苗裝置的堆疊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