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519U -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519U
KR20120006519U KR2020110002078U KR20110002078U KR20120006519U KR 20120006519 U KR20120006519 U KR 20120006519U KR 2020110002078 U KR2020110002078 U KR 2020110002078U KR 20110002078 U KR20110002078 U KR 20110002078U KR 20120006519 U KR20120006519 U KR 201200065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pipe
panel
cap
construction
ship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0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문자
Original Assignee
백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문자 filed Critical 백문자
Priority to KR20201100020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519U/ko
Publication of KR20120006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51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 E04G7/34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with coupling elements using positive engagement, e.g. hooks or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계발판인 패널을 수평파이프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패널이 슬립되지 않도록 패널을 수평파이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를 개시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후면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패널의 일단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간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의 전면 양측에 부착되며 상기 수평파이프위 위쪽에 걸려지는 후크와, 상기 캡의 전면 중앙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우레탄쿠션패드를 사이에 두고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수평파이프의 아래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우레탄쿠션패드가 가지는 쿠션력으로 상기 수평파이프 아래쪽에 탄력적으로 압착되게 걸려지는 록커를 포함하여 구성한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Work for Die Securement Device}
본 고안은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계발판인 패널을 수평파이프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패널이 슬립되지 않도록 패널을 수평파이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비계는 건축 및 선박작업시 작업자들이 높은 곳에서 일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임시가설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대표적으로 강관비계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강관비계는 내구성이 우수하고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한 장점을 가진것으로서, 통상 수직 및 수평파이프와, 비계발판 그리고 다수개의 클램프들로 구성한다.
상기한 구성품들중 클램프들은 수직 및 수평파이프를 결속하고, 또한 비계발판을 수평파이프상에 지탱시키는 수단으로서, 강관비계의 내구성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중의 하나이다.
이러한 강관비계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 2003-0062397 호(명칭: 건축 비계용 안전발판)(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좌우단 양측에 걸고리(5)가 있는 몸체(1)를 구성함에 있어서 지지틀(2)과 망판(3) 및 힘살대(4)가 일체형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선행기술과 같은 구성으로 제작된 안전발판은 설치시, 양측의 걸고리를 수평파이프에 걸어서 설치하게 되는 데, 이때 안전발판은 단순히 걸고리를 수평파이프에 걸어 지탱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사용과정에서 안전발판이 수평파이프를 타고 미끄러지는 등의 슬립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자칫 안전사고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비계발판인 패널을 수평파이프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패널이 슬립되지 않도록 패널을 수평파이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비계발판을 구성하는 패널 양단에 각각 조립되며 상기 패널을 수평파이프에 고정시키는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후면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패널의 일단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간이 형성된 캡과, 상기 캡의 전면 양측에 부착되며 상기 수평파이프위 위쪽에 걸려지는 후크와, 상기 캡의 전면 중앙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우레탄쿠션패드를 사이에 두고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수평파이프의 아래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우레탄쿠션패드가 가지는 쿠션력으로 상기 수평파이프 아래쪽에 탄력적으로 압착되게 걸려지는 록커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캡의 전면 양측에 수평파이프 위쪽에 걸려지는 후크를 설치하여 패널을 수평파이프에 지지토록 하고, 특히 록커로 수평파이프 아래쪽을 압착 고정시켜 수평파이프에 지지된 패널이 사용과정에서 전, 후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고안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100)는 비계발판인 패널(200)을 기둥부재인 수직파이프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수평파이프(50)에 지지시키는 수단으로서, 이때 상기 고정장치(100)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패널(200)의 양측에 끼워져 구성하게 되는 바, 하기에서는 하나의 고정장치 구조에 대하여 대표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100)는 캡(10)과 후크(14) 및 록커(2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캡(10)은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그 단면은 " ㄷ" 단면 형태를 가지며 후면은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패널의 일단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간(12)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캡(10)의 끼움공간(12)에 패널(200)이 끼워지고 나면 상기 캡(10)과 패널(200)을 리벳팅시켜 서로 결합 구성토록 한다.
상기 후크(14)는 상기 캡(10)의 전면 양측에 리벳팅 됨과 동시에 용접 접합되는 수단으로서, 상기 후크(14)는 수평파이프(50)의 위쪽에서 아랫방향쪽으로 걸려지며 상기 캡(10)에 끼워져 있는 패널(200)을 수평파이프(50)에 지지시키게 된다.
상기 록커(22)는 상기 캡(10)의 전면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수평파이프(50)에 후크(14)가 걸려지고 나면 회전 동작하며 수평파이프(50)의 아래쪽에 탄력적으로 압착되게 걸려지며 패널(200)이 수평파이프(50)에서 전, 후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록커(22)와 캡(10)의 조립구조를 구체화하면 상기 록커(22)의 전면 중앙에 브라켓(16)을 용접 접합하고, 상기 브라켓(16)에는 볼트(18)를 수직으로 관통 체결하며, 상기 볼트(18)에 우레탄 쿠션패드(20)와, 록커(22)를 순차적으로 끼워넣은 상태에서 너트(24) 체결하여 록커(22)를 캡(10)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록커(22)를 수평파이프(50) 아래에 걸려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록커(22)를 잡은 상태에서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록커(22)는 수평파이프(50) 아래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록커(22)를 계속적으로 돌려주게 되면 우레탄 쿠션패드(20)가 수축하며 록커(22)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록커(22)가 수평파이프(50) 아래에 탄력적으로 압착되게 걸려지도록 함으로서 패널(200)이 수평파이프(50)에서 전, 후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록커(22)의 단부에는 턱(22a)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턱(22a)은 록커(22)가 수평파이프(50) 아래에 걸려질 때, 전술한 브라켓(16)의 하단에 접촉하며 록커(22)의 휨을 받쳐주도록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비계발판인 패널(200)의 양단에 본 고안의 고정장치를 끼워넣은 다음, 고정장치(100)의 후크(14)를 양쪽의 수평파이프(50) 위에 걸어주고, 이어서 고정장치(100)의 후크(14)를 수평파이프(50) 아래에 탄력적으로 걸어줌으로서 수평파이프(50) 사이로 패널(200)의 설치가 완료된다.
하나의 고정장치(100) 동작을 보다 더 상세하게 기술하면, 먼저 캡(10)의 끼움공간(12)에 패널(200)의 일단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리벳팅 결합하고, 이 상태에서 캡(1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크(14)를 수평파이프(50) 위쪽에서 아래쪽 방향으로 걸어주도록 한다.
다음, 록커(22)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록커(22)를 한쪽 방향으로 돌려주게 되면 록커(22)는 볼트(18)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수평파이프(50) 아래쪽에 접촉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도 4에서와 같이 록커(22)를 계속적으로 돌려주게 되면 우레탄 쿠션패드(20)가 수축하며 록커(22)의 회전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록커(22)가 수평파이프(50) 아래에 탄력적으로 압착되게 걸려지도록 함으로서 패널(200)이 수평파이프(50)에서 전, 후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캡 12: 끼움공간
14: 후크 16: 브라켓
18: 볼트 20: 우레탄 쿠션패드
22: 록커 24: 너트
50: 수평파이프 100: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200: 패널

Claims (1)

  1. 비계발판을 구성하는 패널(200) 양단에 각각 조립되며 상기 패널(200)을 수평파이프(50)에 고정시키는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에 있어서,
    후면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패널(200)의 일단이 끼워지기 위한 끼움공간(12)이 형성된 캡(10)과;
    상기 캡(10)의 전면 양측에 부착되며 상기 수평파이프(50)의 위쪽에 걸려지는 후크(14)와;
    상기 캡(10)의 전면 중앙에 결합되는 브라켓(16)과;
    상기 브라켓(16)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볼트(18) 및 ;
    상기 볼트(18)에 우레탄 쿠션패드(20)를 사이에 두고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수평파이프(50)의 아래쪽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우레탄 쿠션패드(20)가 가지는 쿠션력으로 상기 수평파이프(50) 아래쪽에 탄력적으로 압착되게 걸려지는 록커(22)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KR2020110002078U 2011-03-14 2011-03-14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KR2012000651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78U KR20120006519U (ko) 2011-03-14 2011-03-14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78U KR20120006519U (ko) 2011-03-14 2011-03-14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519U true KR20120006519U (ko) 2012-09-24

Family

ID=5368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078U KR20120006519U (ko) 2011-03-14 2011-03-14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51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5342A (zh) * 2021-12-27 2022-03-22 江西昱平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用防滑脚手架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5342A (zh) * 2021-12-27 2022-03-22 江西昱平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用防滑脚手架
CN114215342B (zh) * 2021-12-27 2023-02-17 江西昱平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工地用防滑脚手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40340A (ko) 비계장치
KR102173314B1 (ko) 경량 천장틀용 연결클립을 이용한 천장마감장치
KR101686749B1 (ko) 차량 리프트용 타이어 거치장치
KR20110127383A (ko) 그레이팅 스토퍼
JP5654710B1 (ja) 親綱支柱
EP3121349A1 (en) Formwork structure for the execution of horizontal castings for the provision of floor slabs
KR20120006519U (ko) 건설 및 조선용 작업발판 고정장치
KR100904066B1 (ko) 족장 고정용 클램핑 장치
KR200469390Y1 (ko) 선박용 비계
KR20150060069A (ko) 조립식 비계장치용 고정부재
JP5336015B1 (ja) 親綱支柱の取付構造
KR200454500Y1 (ko) 광케이블 행거 어셈블리
JP4886292B2 (ja) エレベータ据え付け工事における親綱の保持構造
JP3118179U (ja) 養生ネット等の支持装置
JP6748438B2 (ja) 吊り上げ装置
KR200473329Y1 (ko) 선체블록작업용 가설난간 지주대
KR200457923Y1 (ko) 광케이블용 걸이 받침대
KR20070119843A (ko) 갱폼 추락방지장치
JP2018071077A (ja) 外壁パネル用吊具
JP5479645B1 (ja) 親綱支柱および親綱支柱の取付構造
CN201027741Y (zh) 型钢支架固定装置
JP3199629U (ja) 足場用手摺取付金具
KR200472187Y1 (ko)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JP3205397U (ja) 物干し金具支持具
KR20120007080U (ko) 엘타입 러그 탑재용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