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526U - 수직도 검사기구 - Google Patents

수직도 검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526U
KR20120005526U KR2020110000652U KR20110000652U KR20120005526U KR 20120005526 U KR20120005526 U KR 20120005526U KR 2020110000652 U KR2020110000652 U KR 2020110000652U KR 20110000652 U KR20110000652 U KR 20110000652U KR 20120005526 U KR20120005526 U KR 201200055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iameter
angle pipe
smal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6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092Y1 (ko
Inventor
신정철
Original Assignee
신정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철 filed Critical 신정철
Priority to KR20201100006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09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5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5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0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0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01B5/24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for testing perpendicular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10Plumb lines
    • G01C15/105Optical plumb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 G01C9/14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movable in more than one dir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직도 검사기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는 하부 수직날개가 수직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수평바닥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하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단은 개구되어 있는 대경 각파이프와;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 각파이프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간 각파이프와;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중간 각파이프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소경 각파이프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부 수직날개에 대하여 수직선상으로 일치하는 상부 수직날개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상단에 고정 연결된 채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상단 일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동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상단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조절손잡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조절손잡이보다 높은 위치의 대경 각파이프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측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외측에서 하단을 경유하여 내측으로 삽입되어 중간 각파이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 하측 안내구멍을 통해 다시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이어서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외측에서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2 상측 안내구멍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외측에서 하단을 경유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2 하측 안내구멍을 통해 소경 각파이프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상측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봉을 경유하여 상기 고정케이스의 수평바닥을 향해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의 타단에 묶인 채 상기 고정케이스의 수평바닥에서 떠 있는 상태로 매달려 있는 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수직도 검사기구{Verticality inspecting device}
본 고안은 수직도 검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현장에서 문틀, 창문틀, 철골빔 등을 구축할 때 수직도를 측정하여 똑바르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수직도 검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건축할 때 문틀이나 창문틀 등을 설치할 때에는 미리 제작된 문틀 및 창문틀의 일측 상단에 대못을 박아준 다음 그 대못에 원뿔형의 추가 달린 끈(실, 피아노선 등)을 매달아놓고 상기한 끈과 문틀 및 창문틀 사이의 간격을 몇 군데 측정하여 그 값을 비교하는 방법으로 문틀이나 창문틀이 수직도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방법으로 수직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문틀 및 창문틀의 측면과 전면(또는 후면) 2곳 각각에 대못을 박아놓은 다음, 측면에 박아놓은 대못과 전면(또는 후면)에 박아놓은 대못 각각 추가 달린 끈을 매달아놓는 방법으로 좌우측 수직도 측정 및 전후측 수직도 측정을 각각 1번씩 총 2번해야 하므로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으며, 특히 문틀 및 창문틀이 금속제로 제작되었을 경우에는 대못을 박아줄 수 없기 때문에 추가 달리 끈을 매달아주는 것이 곤란해져 수직도를 측정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축현장에서 문틀이나 창문틀 각각에 대못을 박아놓지 않더라도 상기한 문틀이나 창문틀의 수직도를 쉽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한차례의 수직도 검사작업으로 전후좌우 사방의 수직도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으며, 나아가 금속재로 제작된 문틀이나 창문틀 또는 철구조물의 컬럼(column) 등의 수직도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을 두고 고안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연결줄에 매달린 추를 이용하는 수직도 검사기구에 있어서,
일측에는 하부 수직날개가 수직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수평바닥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하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단은 개구되어 있는 대경 각파이프와;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 각파이프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간 각파이프와;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중간 각파이프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소경 각파이프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부 수직날개에 대하여 수직선상으로 일치하는 상부 수직날개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상단에 고정 연결된 채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상단 일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동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상단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조절손잡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조절손잡이보다 높은 위치의 대경 각파이프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측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외측에서 하단을 경유하여 내측으로 삽입되어 중간 각파이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 하측 안내구멍을 통해 다시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이어서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외측에서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2 상측 안내구멍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외측에서 하단을 경유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2 하측 안내구멍을 통해 소경 각파이프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상측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봉을 경유하여 상기 고정케이스의 수평바닥을 향해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의 타단에 묶인 채 상기 고정케이스의 수평바닥에서 떠 있는 상태로 매달려 있는 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에는 수평바닥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추의 위치를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상단에는 끝이 뾰죽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보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건물 건축시 현관문이나 창문 등을 설치하기 위해 미리 제작되어 있는 문틀이나 창문틀을 설치할 때 상기한 문틀이나 창문틀에 대못을 박아주지 않고도 문틀 및 창문틀 각각의 전후좌우 사방의 수직도를 편리하게 측정 및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철구조물의 컬럼을 설치함에 있어서도 컬럼의 수직도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수직도 검사기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수직도 검사기구의 조립 및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수직도 검사기구의 사용상태 실시예이다.
본 고안에 의한 수직도 검사기구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은 수직도 검사기구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기 수직도 검사기구(1)는 지면이나 슬라브 바닥에 지지되는 고정케이스(2)와, 상기 고정케이스(2)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가동케이스(3) 및 상기 고정케이스(2)와 가동케이스(3) 사이에 안테나식으로 길이가 신축조절되도록 조립되어 있는 복수의 각파이프로 구성된 대경 각파이프(4)?중간 각파이프(5)?소경 각파이프(6)와, 일단은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상단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상단과 상기 중간 각파이프(5)의 하단을 경유하여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 내부에서 아래를 향해 길게 늘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줄(7)과, 상기 연결줄(7)의 타단(자유단)에 묶인 상태로 연결되어 상기 고정케이스(2) 내부에 떠 있는 상태로 매달려있는 원뿔형의 추(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케이스(2)는 지면이나 슬라브 바닥에 수평 지지되는 수평바닥(21)과, 수직도를 검사하고자 하는 문틀(M)이나 창문틀 또는 철구조물의 컬럼 등의 수직부에 수직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하부 수직날개(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케이스(2)의 내부에는 중간 칸막이(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중간 칸막이(23)를 기준하여 상기 중간 칸막이(23)보다 낮은 하측 부분에는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투시창(24)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투시창(24)은 작업자가 추(8)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육안으로 쉽게 관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케이스(2)의 사면 중 적어도 일면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수직날개(22)가 형성되어 있는 일면을 제외한 삼면에 투시창(24)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케이스(2)의 수평바닥(21)에는 추(8)가 수직상태로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수직표시부(25)가 표시되어 있다.(도 1 참조)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하단은 고정케이스(2)의 개구된 상부에서 삽입되어 중간 칸막이(23)에 걸림된 상태로 지지된 채 상기 고정케이스(2)에 고정 부착되는 구조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대경 각파이프(4)는 상단이 개구된 상태에서 그 내면에 복수의 고정돌기(41)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복수의 고정돌기(41)들은 상기 중간 각파이프(5)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작용과 함께 중간 각파이프(5)가 상방으로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중간 각파이프(5)는 대경 각파이프(4)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조립되어 있으며, 그 하단 외측 둘레에는 대경 각파이프(4)의 내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 외측 돌부(51)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중간 각파이프(5)의 상단 내면에는 소경 각파이프(6)가 상방으로 이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내측 돌부(52)가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경 각파이프(6)는 중간 각파이프(5)에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삽입 조립되어 있으며, 그 하단 외측 둘레에는 상기 중간 각파이프(4)와 마찬가지로 중간 각파이프(4)의 내면에 면접촉하는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외측 돌부(6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에는 가동케이스(3)가 고정 부착된다.
상기 가동케이스(3)의 내측에는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을 부착시키기 위한 양측 지지격판(31)이 마주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가동케이스(3)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양측 지지격판(31) 사이로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이 끼이도록 조립한 다음 상기 양측 지지격판(31)과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을 볼트 등으로 나사조립하게 되면, 상기 가동케이스(3)는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가동케이스(3)는 소경 각파이프(6) 상단에 고정 부착된 채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상단을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감쌀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케이스(3)의 일측에는 상부 수직날개(32)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상부 수직날개(32)는 고정케이스(2)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 수직날개(22)에 대하여 수직선상에서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동케이스(3)의 내면에는 상단에서부터 하단을 향해 일정길이까지 내측으로 돌출하는 스토퍼돌기(33)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스토퍼돌기(33)는 가동케이스(3)로 대경 각파이프(4)의 상단 일부를 감싸도록 조립하게 될 때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상단이 설정된 일부분만 삽입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대경 각파이프(4)와 중간 각파이프(5) 및 소경 각파이프(6)들 각각을 안테나식으로 신축조절이 가능하게 조립하고, 일단이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상단에 고정 연결된 상태에서 중간 각파이프(5)의 하단과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을 경유하여 고정케이스(2)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연결줄(7)의 타단(자유단)에 추(8)를 매달아 놓은 상태에서 상기 대경 각파이프(4)에 삽입되어 있는 중간 각파이프(5) 및 소경 각파이프(6)를 인출시켜서 수직도 검사기구(1)의 전체 길이를 신축조절하게 될 때 추(8)가 매달린 연결줄(7)의 길이는 변화하지 않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추(8)는 제자리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써 사용자는 눈으로 추(8)의 뾰죽한 하단이 수직표시부(25)의 중심에 정확하게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문틀이나 창문틀 등의 수직상태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상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조절손잡이(42)를 부착하고, 상기 조절손잡이(42)의 상측에는 제1 상측 안내구멍(43)을 형성하며,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내측에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 조립되는 중간 각파이프(5) 및 소경 각파이프(6) 각각의 일측 상부에 제2 및 제3 상측 안내구멍(53)(62)을 각각 형성하고, 또한 상기 중간 각파이프(5) 및 소경 각파이프(6) 각각의 일측 하부에도 제1 및 제2 하측 안내구멍(54)(63)을 뚫어준 다음,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일측 상단에 형성된 조절손잡이(42)에 연결줄(7)의 일단을 수회 감아준 상태로 연결시키고, 이어서 상기 연결줄(7)의 타단은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외측에서 제1 상측 안내구멍(43)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중간 각파이프(5)의 외측에서 중간 각파이프(5)의 하단을 경유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중간 각파이프(5)의 내측에서 제1 하측 안내구멍(54)을 통해 외측으로 인출되어 중간 각파이프(5)의 상부에 형성된 제2 상측 안내구멍(53)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중간 각파이프(5)의 상부 내측으로 삽입된 연결줄(7)의 타단(자유단)은 다시 소경 각파이프(6)의 하단을 경유하여 상기 소경 각파이프(6)의 내측에서 제2 하측 안내구멍(63)을 통해 소경 각파이프(6)의 외측으로 인출된 후 다시 소경 각파이프(6)의 상부에 형성된 제3 상측 안내구멍(62)을 통해 소경 각파이프(6) 내측 상부에서 고정케이스(2)의 중간 칸막이(23) 저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정케이스(2)의 중간 칸막이(23) 저부로 인출된 연결줄(7)의 타단(자유단)에는 원뿔형의 추(8)가 매달리게 되는데, 상기 추(8)는 그 뾰죽한 하단이 고정케이스(2)의 수평바닥(21)에 표시되어 있는 수직표시부(25)에 직접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로 매달려 있다.
또한 상기 소경 각파이프(6)의 내측 상부에는 연결줄(7)이 소경 각파이프(6)의 내부 중심으로 늘어진 상태가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봉(6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케이스(2)의 중간 칸막이(23)에는 추(8)가 매달린 연결줄(7)이 관통하는 조절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에는 끝이 뾰죽하게 돌출 형성된 보조기구(9)가 조립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기구(9)는 벽면에 타일(T) 등을 부착할 때 상기 타일(T)이 부착되는 벽면의 수직도를 검사할 때 상기 수직도 검사기구(1)의 상단을 천정에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줄(7)이 경유하는 대경 각파이프(4)와 중간 각파이프(5) 사이 및 중간 각파이프(5)와 소경 각파이프(6) 사이 각각에는 틈새(S1,S2)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한 틈새(S1,S2)는 수직도를 검사할 때 연결줄(7)이 움직이는 것을 허용하므로써 정밀한 수직도의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으로 수직도를 검사하는데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건물을 건축하는 현장에서 현관문이나 창문 등을 설치하기 위해 미리 제작된 문틀(M)이나 창문틀을 세워놓고 수직도를 검사하고자 할 때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상기한 문틀(M)의 일측에 수직도 검사기구(1)를 설치하게 되는데, 우선 상기 수직도 검사기구(1)의 고정케이스(2)를 슬라브 바닥에 수평상으로 고정시키고, 이어서 수직동 검사기구(1)의 가동케이스(3)를 문틀(M)의 높이에 맞추어 상향으로 인출하게 되면 지지격판(31)에 결합되어 있는 소경 각파이프(6)가 중간 각파이프(5) 내부에서 상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이 상승하는 높이만큼 그 하단(소경 각파이프의 하단을 말함) 역시 중간 각파이프(5)의 내부에서 동일한 높이로 상승하는 상태가 되므로, 결국 상기 소경 각파이프(6)의 하단을 경유하여 제2 하측 안내구멍(63)을 통과해서 소경 각파이프(6) 상부에 형성된 제3 상측 안내구멍(62)을 통해 삽입되어 안내봉(64)을 경유하여 고정케이스(2) 내부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줄(7)의 길이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는 상태가 되며, 따라서 상기 연결줄(7)의 자유단에 매달린 추(8)은 고정케이스(2)의 중간 칸막이(23)와 수평바닥(21) 사이의 공간에 떠 있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게 된다.(도 2 및 도 3 참조)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수직도 검사기구(1)의 고정케이스(2)의 일측에 형성된 하부 수직날개(22)를 문틀(M)의 하측에 밀착시키고 가동케이스(3)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수직날개(32)는 문틀(M)의 상측에 밀착시켜서 수직도를 검사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고정케이스(2)에 형성된 투시창(24)을 통해 추(8)의 뾰죽한 하단이 수직표시부(25)의 중심에 일치하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수단으로 문틀(M)이 수직상으로 설치되었는지를 검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일, 상기한 문틀(M)이 수직상으로 설치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한 추(8)가 수직표시부(25)의 중심에서 벗어나게 되므로 사용자는 추(8)의 위치를 눈으로 확인하고 상기 추(8)가 수직표시부(25)의 중심 부분에 고정될 때까지 문틀(M)의 설치상태를 전후 및 좌우로 조절하면서 수직도를 맞추게 되므로써 문틀(M)을 똑바르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의 도시와 같이 벽면에 타일(T)을 부착할 때에는 수직도 검사기구(1)의 소경 각파이프(6) 상단에 조립 설치되어 있는 보조기구(9)를 이용하여 타일(T)의 부착작업을 실시하는데, 이때에는 상기 수직도 검사기구(1)의 고정케이스(2)를 슬라브 바닥에 고정시키고 가동케이스(3)를 상승이동시켜서 소경 각파이프(6)의 상단에 조립되어 있는 상기 보조기구(9)의 뾰죽한 상단이 천정의 일점에 지지되게 하는 수단으로, 상기 수직도 검사기구(1)를 똑바르게 고정 설치해 놓고 벽면에 대하여 상부 수직날개(32) 및 하부 수직날개(22) 각각의 이격 간격을 비교하는 수단으로 벽면에 타일(T)을 부착하게 되면 상기한 타일(T)을 수직상태로 부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수직도 검사기구(1)가 대경 각파이프(4)에 중간 각파이프(5)와 소경 각파이프(6) 2개를 삽입 조립한 것을 실시예로 하고 있지만, 상기 대경 각파이프(4)의 내부에 3개 이상의 각파이프를 삽입 조립하는 구조로 수직도 검사기구(1)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 수직도 검사기구(1)에서 대경 각파이프(4) 내부에 삽입 조립되어 있는 중간 각파이프(5) 및 소경 각파이프(6)를 인출하여 신장조절하였을 때 인출된 각파이프들은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삽입시키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대경 각파이프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대경 각파이프(4)를 비롯하여 중간 각파이프(5) 및 소경 각파이프(6) 각각의 일단에 암나사를 형성하고 상기한 암나사에 키볼트를 나사조립하여 수직도 검사기구(1)의 길이를 신장조절하였을 때 키볼트를 나사조임하는 수단으로 신장 조절된 길이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1 : 수직도 검사기구 2 : 고정케이스
21 : 수평바닥 22 : 하부 수직날개
23 : 중간 칸막이 24 : 투시창
25 : 수직표시부 26 : 조절구멍
3 : 가동케이스 31 : 지지격판
32 : 상부 수직날개 33 : 스토퍼돌기
4 : 대경 각파이프 41 : 고정돌기
42 : 조절손잡이 43 : 제1 상측 안내구멍
5 : 중간 각파이프 51 : 외측 돌부
52 : 내측 돌부 53 : 제2 상측 안내구멍
54 : 제1 하측 안내구멍 6 : 소경 각파이프
61 : 외측 돌부 62 : 제3 상측 안내구멍
63 : 제2 하측 안내구멍 64 : 안내봉
7 : 연결줄 8 : 추
9 : 보조기구

Claims (3)

  1. 연결줄에 매달린 추를 이용하는 수직도 검사기구에 있어서,
    일측에는 하부 수직날개가 수직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부는 개구되어 있고 수평바닥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케이스와;
    상기 고정케이스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하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단은 개구되어 있는 대경 각파이프와;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고정 각파이프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중간 각파이프와;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중간 각파이프에 출몰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소경 각파이프와;
    일측에는 상기 고정케이스의 하부 수직날개에 대하여 수직선상으로 일치하는 상부 수직날개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상단에 고정 연결된 채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상단 일부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감쌀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가동케이스와;
    일단은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상단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조절손잡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조절손잡이보다 높은 위치의 대경 각파이프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상측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대경 각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외측에서 하단을 경유하여 내측으로 삽입되어 중간 각파이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 하측 안내구멍을 통해 다시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이어서 상기 중간 각파이프의 외측에서 상부 일측에 형성된 제2 상측 안내구멍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외측에서 하단을 경유하여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2 하측 안내구멍을 통해 소경 각파이프의 외측으로 인출되어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제3 상측 안내구멍을 통해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내측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안내봉을 경유하여 상기 고정케이스의 수평바닥을 향해 아래로 늘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연결줄과;
    상기 연결줄의 타단에 묶인 채 상기 고정케이스의 수평바닥에서 떠 있는 상태로 매달려 있는 추;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검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케이스에는 수평바닥 위에 떠 있는 상태로 설치되는 추의 위치를 육안으로 관측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검사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경 각파이프의 상단에는 끝이 뾰죽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보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도 검사기구.
KR2020110000652U 2011-01-24 2011-01-24 수직도 검사기구 KR2004650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52U KR200465092Y1 (ko) 2011-01-24 2011-01-24 수직도 검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652U KR200465092Y1 (ko) 2011-01-24 2011-01-24 수직도 검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526U true KR20120005526U (ko) 2012-08-01
KR200465092Y1 KR200465092Y1 (ko) 2013-02-01

Family

ID=46874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652U KR200465092Y1 (ko) 2011-01-24 2011-01-24 수직도 검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092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2230A (zh) * 2017-07-05 2017-12-1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塔尺扶正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443179A (zh) * 2018-10-18 2019-03-08 大同新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石墨电极端面垂直的设备
CN114061492A (zh) * 2021-11-17 2022-02-18 桂县 一种工程质量检测用垂直度检测装置
CN116892876A (zh) * 2023-09-11 2023-10-1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合肥供电公司 水泥电杆智能检测装置
CN117268353A (zh) * 2023-11-22 2023-12-22 山西六建集团有限公司 一种工程垂直度检测设备
CN117948953A (zh) * 2024-03-26 2024-04-30 邢台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交通工程施工的垂直度检测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9228U (ja) * 1992-01-17 1993-08-06 株式会社エビス 水準器
JP3692369B2 (ja) * 1996-01-17 2005-09-07 株式会社フジタ 垂直度表示方法及び装置
JPH09210603A (ja) * 1996-02-07 1997-08-12 Kobelco Kenki Eng Kk 垂直度センサ取付装置
JP3369832B2 (ja) * 1996-02-09 2003-01-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軸垂直度測定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62230A (zh) * 2017-07-05 2017-12-1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塔尺扶正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462230B (zh) * 2017-07-05 2023-02-28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塔尺扶正装置及其使用方法
CN109443179A (zh) * 2018-10-18 2019-03-08 大同新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石墨电极端面垂直的设备
CN109443179B (zh) * 2018-10-18 2020-07-28 大同新成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检测石墨电极端面垂直的设备
CN114061492A (zh) * 2021-11-17 2022-02-18 桂县 一种工程质量检测用垂直度检测装置
CN114061492B (zh) * 2021-11-17 2023-10-03 湖北精兴建设工程质量检测有限公司 一种工程质量检测用垂直度检测装置
CN116892876A (zh) * 2023-09-11 2023-10-1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合肥供电公司 水泥电杆智能检测装置
CN116892876B (zh) * 2023-09-11 2024-01-12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合肥供电公司 水泥电杆智能检测装置
CN117268353A (zh) * 2023-11-22 2023-12-22 山西六建集团有限公司 一种工程垂直度检测设备
CN117268353B (zh) * 2023-11-22 2024-02-09 山西六建集团有限公司 一种工程垂直度检测设备
CN117948953A (zh) * 2024-03-26 2024-04-30 邢台路桥建设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交通工程施工的垂直度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092Y1 (ko) 2013-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092Y1 (ko) 수직도 검사기구
JP6734749B2 (ja) 引戸装置
ES2539470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alinear puertas de caja de un ascensor
KR101322409B1 (ko) 유리 커튼 월 지지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리 커튼 월 시스템
US20200299978A1 (en) Holder for holding a railing component on a ceiling formwork panel
US10081926B2 (en) Trench wall support
KR102457474B1 (ko) 슬래브 거푸집 지지장치
KR200439297Y1 (ko) 건축물의 난간시공용 높이측정장치
US20110000150A1 (en) Construction insert
ES2608494T3 (es) Banco de pruebas para puertas, ventanas y fachadas
CN208458651U (zh) 一种建筑工程垂直度检测装置
KR200445330Y1 (ko) 레이저 표시장치
CN208968559U (zh) 一种建筑工程垂直检测尺
CN215407520U (zh) 一种砌筑墙体垂直度及平整度控制装置
CN208748719U (zh) 一种锚桩反力装置
CN111678418A (zh) 一种房建垂直度测量装置
CN205713157U (zh) 一种折叠式皮数杆
US20150075091A1 (en)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frame member and installation method
KR102553618B1 (ko) 시공이 편리한 서스펜션 시스템
CN211470492U (zh) 一种室内电梯门下侧运行轨道保护装置
RU2753020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лифтов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CN112212831A (zh) 一种房建垂直度测量装置
CN102930793A (zh) 一种支架
CN113670721B (zh) 一种拉拔监测装置及其施工方法
KR200459011Y1 (ko) 계단 난간대의 동자 절단을 위한 측정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