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486A -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486A
KR20120004486A KR1020117025556A KR20117025556A KR20120004486A KR 20120004486 A KR20120004486 A KR 20120004486A KR 1020117025556 A KR1020117025556 A KR 1020117025556A KR 20117025556 A KR20117025556 A KR 20117025556A KR 20120004486 A KR20120004486 A KR 201200044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link signal
transmission
uplink
signal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0321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2000448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04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4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73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transmission pow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저장치(100n)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11)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를 구비하고,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USER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이나, 고속 하향링크 패킷 액세스(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이나, 고속 상향링크 패킷 액세스(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방식 등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이,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에서 검토되고, 사양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LTE 방식에서의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접속(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이규정되며,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싱글 캐리어 주파수분할 다중접속(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O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여,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OFDMA 방식에 의하면,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축 상에 직교시키면서 촘촘히 나열함으로써 고속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리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SC-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 방식에 의하면, 단말간의 간섭을 용이하고 그리고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에 더해 송신전력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SC-FDMA 방식은,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커버리지의 확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LTE 방식에서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쌍방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하나 이상의 리소스 블록(RB:Resource Block)이 할당되어 통신이 수행된다.
기지국장치는, 서브프레임(LTE 방식에서는, 1ms)마다,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어느 이동국에 대해 리소스 블록을 할당할지에 대해 결정한다(상기 프로세스는 '스케줄링'이라 불린다.).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가,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이동국에 대해, 1 이상의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공유채널신호를 송신하고,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이동국이, 기지국장치에 대해, 1 이상의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공유채널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공유채널신호는,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의 신호이며,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의 신호이다.
또, LTE 방식의 후계 통신방식으로서, LTE-advanced 방식이, 3GPP에서 검토되고 있다.
LTE-advanced 방식에서는, 그 요구조건으로서, '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는 것이 합의되어 있다. 여기서, 'Carrier aggregation'이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에 있어서 'Carrier aggregation'이 수행되는 경우, 이동국은, 'Component Carrier'마다 다른 캐리어를 이용하여 송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한다. 또, 하나의 'Component Carrier' 내에서도, 멀티 캐리어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상기 멀티 캐리어 송신은,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2개 이상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10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20 리소스 블록을 이용한 싱글 캐리어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싱글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되지만, 상술한 20 리소스 블록의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2개 수행하는 경우에는, 멀티 캐리어 송신이 된다.
후자의 경우, UE는, 10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에 있어서, 합계 40개의 리소스 블록에서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 후자의 경우는, 상기 2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싱글 캐리어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멀티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된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했으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이고, 그리고, 그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복수의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도, 멀티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된다.
그런데, 전파를 이용한 시스템인 휴대전화 시스템이나 전파 천문 시스템이나 위성통신 시스템이나 항공·해상 레이더 시스템이나 지구자원 탐사시스템이나 무선 LAN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서로의 간섭을 막기 위해,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을 분리한다. 또, 예를 들면, 휴대전화 시스템용으로 할당된 주파수대역 중에, 더욱 복수의 시스템용으로 할당된 주파수대역이 존재하고, 각 시스템의 주파수대역은 분리되어 있다.
즉, 전파를 이용한 시스템은, 그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을 분리함으로써, 시스템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파를 방사하는 송신기는, 자(自) 시스템의 주파수대역의 외측의 대역에 불요파(undesired wave)(이하, 인접채널 간섭이라 부른다)를 방사해 버리기 때문에, 주파수대역이 분리되어 있다고 해도, 인접하는 복수의 시스템은, 서로 간섭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불요파의 전력 레벨이 큰 경우에는, 인접하는 시스템에 큰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접채널 간섭에 의한, 인접하는 시스템으로의 악영향을 막기 위해, 각 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인접채널 간섭이나 스퓨리어스(spurious) 방사에 관한 특성에 관한 퍼포먼스가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자 시스템의 주파수대역의 외측의 대역으로의 불요파를 억압하기 위해, 이동국은, 선형성이 높은 전력증폭기(전력 앰프)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동국의 코스트나 사이즈를 고려한 경우, 상술한 불요파를 저감하는 것, 혹은, 상술한 인접채널 간섭의 규정이나 스퓨리어스 방사의 규정을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최대 송신전력을 저감하는 것은, 'Maximum power reduction(MPR)'이라 불린다. 예를 들면, LTE 방식에 있어서는, 변조방식과 시스템 대역폭과 리소스 블록수에 기초하여, MPR이 정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대 송신전력을 저감함으로써, 보다 이동국의 코스트나 사이즈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LTE-Advanced 방식에서는, 'Carrier aggregation(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수행된다. 그런데, 상향링크에 있어서, 복수의 캐리어에서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한 경우, 'Intermodulation products(이하, 'IM products'라 부른다)'가 발생하여, 이 'IM products'가, 타(他) 시스템으로의 간섭이 된다.
이하에,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IM products'가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발생시키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하나의 송신캐리어의 대역폭을 '180kHz'라 가정한다. 또, 자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1920MHz'∼'1980MHz'라 가정하고, 피간섭 시스템(타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1880MHz'∼'1890MHz'라 가정한다.
도 8의 경우에는, 자 시스템에 있어서, 싱글 캐리어 전송이 수행되기 때문에, 'IM products'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일반적으로, 인접채널로의 간섭은, 송신대역폭의 2.5배의 영역에 발생한다고 언급되고 있으며, 송신대역폭이 '180kHz'인 경우에는, 송신대역의 양옆의 360kHz의 부분에 간섭이 발생한다.
이는, 송신신호의 주파수인 '1930MHz'가, 피간섭 시스템(타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인 '1880MHz'∼'1890MHz'로부터 크게 떨어져 있는 것을 고려하면, 간섭이라는 관점에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도 9의 경우, 자 시스템에 있어서, 멀티 캐리어 전송이 수행되기 때문에, 제1 송신캐리어와 제2 송신캐리어로부터 발생하는 'IM products'가, '1890MHz'의 주파수의 부분에 발생한다.
이는, 시스템대역이 '1880MHz'∼'1890MHz'인 피간섭 시스템(타 시스템)에 있어서는, 허용하기 힘든 간섭이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저장치의 송신전력은 유한하기 때문에, 송신대역폭이 커지는 경우에는, 전력밀도는 작아진다.
한편, 피간섭 시스템의 관점에서는, 간섭신호의 대역당 전력, 즉, 전력밀도가, 상기 시스템의 운용에 영향을 끼치는지 여부를 좌우한다.
따라서, 상술한 'IM products'에 의한 간섭의 영향은,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의 각 송신캐리어의 대역폭에 크게 의존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의 조건에 제약을 마련함으로써,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면서, 멀티 캐리어 전송에 의한 전송 특성의 증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와,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대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와,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A와,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와,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A와,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의 조건에 제약을 마련함으로써,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면서, 멀티 캐리어 전송에 의한 전송 특성의 증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는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제한정보에 의해 통지되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제한정보에 의해 통지되는 정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100n) 및 기지국장치(200)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 방식, 혹은, LTE-Advanced 방식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은, 기지국장치(eNB:eNode B)(200)와, 기지국장치(200)와 통신하는 복수의 유저장치(100n(1001, 1002, 1003, … 100n, n은 n>0 정수))를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며,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이동국(100n)은,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MME/SGW(Mobility Management Entity/Serving Gateway)라 불려도 좋다.
각 유저장치(1001, 1002, 1003, … 100n)는,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유저장치(100n)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여기서, 유저장치(UE:User Equipment)는, 기지국장치(200)와 무선통신하는 것으로서, 이동국이어도 좋으며, 이동단말이어도 좋으며, 고정단말이어도 좋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에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직교 주파수분할 다원접속) 방식'이 적용되며,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분할 다원접속) 방식'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또, SC-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또한,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는, '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는 것이 합의되어 있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Component Carrier(컴포넌트 캐리어)'를 복수 이용한 통신이 수행된다. 여기서, 'Component Carrier'란, LTE 방식에 있어서의 하나의 시스템 캐리어에 상당한다. 즉, LTE 방식에서는, 하나의 'Component Carrier'에서 통신이 수행되고 있었으나, LTE-Advanced 방식에서는, 2개 이상의 'Component Carrier'에서 통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상향링크에 있어서도, 2개 이상의 'Component Carrier'에서 통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또, LTE 방식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싱글 캐리어 송신이었으나, LTE-Advanced 방식에서는, 멀티 캐리어 송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여기서, 멀티 캐리어 송신은, 복수의 'Component Carrier'에 걸친 멀티 캐리어 송신이어도 좋으며, 하나의 'Component Carrier' 내에서의 멀티 캐리어 송신이어도 좋으며, 혹은, 복수의 'Component Carrier'에 걸친 멀티 캐리어 송신이고, 그리고, 하나의 'Component Carrier' 내에서 멀티 캐리어 송신이 수행되고 있어도 좋다.
즉, 상기 멀티 캐리어 송신은,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2개 이상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상기 싱글 캐리어는, LTE에 있어서의 싱글 캐리어 주파수분할 다중접속(SC-FDMA)에 의해 송신되는 싱글 캐리어에 대응한다. 혹은, 상기 싱글 캐리어 송신은, DFT-Spread OFDM에 의한 싱글 캐리어 송신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10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20 리소스 블록을 이용한 싱글 캐리어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싱글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되지만, 상술한 20 리소스 블록의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2개 수행하는 경우에는, 멀티 캐리어 송신이 된다.
후자의 경우, UE는, 10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에 있어서, 합계 40개의 리소스 블록에서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 후자의 경우는, 상기 2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싱글 캐리어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멀티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된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했으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이고, 그리고, 그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복수의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도, 멀티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된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LTE)' 방식으로 이용되는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통신채널은,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도 이용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및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이 이용된다.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 PDCCH에 의해, PDSCH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즉, 하향 스케줄링 정보)나,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즉,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 등이 통지된다.
PDCCH는, '하향 L1/L2 제어채널(Downlink L1/L2 Control Channel)'이라 불려도 좋다. 또, '하향 스케줄링 정보'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는, 묶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라 불려도 좋다.
또,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논리채널로서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이 송신된다.
BCCH의 일부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BCH:Broadcast Channel'에 맵핑되며, BCH에 맵핑된 정보는, 물리 채널인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에 의해, 해당하는 셀 내의 유저장치(100n)로 송신된다.
또, BCCH의 일부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에 맵핑되며, DL-SCH에 맵핑된 정보는, 물리 채널인 'PDSCH'에 의해, 해당하는 셀 내의 유저장치(100n)로 송신된다.
BCCH/DL-SCH/PDSCH에 의해 송신되는 알림채널은, 다이내믹 알림채널(D-BCH)이라 불려도 좋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PUSCH 및 PUCCH가 이용된다. 상기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PDSCH의 스케줄링 처리나 적응 변복조 및 부호화 처리(AMCS: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PDSCH의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가 전송된다.
상기 하향링크의 품질정보는, CQI나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를 묶은 인디케이터인 CSI(Channel State Indicator)라 불려도 좋다.
또, 상기 송달확인정보의 내용은, 송신신호가 적절히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긍정응답(ACK:Acknowledgement) 또는 송신신호가 적절히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정응답(NACK:Negative Acknowledgement) 중 어느 것으로 표현된다.
또한, 상술한 CQI나 송달확인정보의 송신타이밍이, PUSCH의 송신타이밍과 같을 경우에는, 상기 CQI나 송달확인정보를, PUSCH에 다중하여 송신해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0)는, 제1 송신부(21)와, 제2 송신부(22)와, 기억부(23)와, 수신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송신부(21)는, 유저장치(100n)에 대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송신부(21)는,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의해, 유저장치(100n)에 대해, 상기 제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송신부(21)는, 기억부(23)로부터, 상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한정보를 유저장치(100n)에 대해 송신해도 좋다.
제2 송신부(22)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송신부(22)는, PDCCH를 통해, 제어신호로서,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송신부(22)는, 기억부(23)로부터, 상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한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2 송신부(22)는, 기억부(23)로부터, 상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한정보에 기초하여,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이 경우,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유저장치(100n)에 대해 상향링크의 송신을 지시했는데, 상기 제한정보에 의해, 그 상향링크의 송신이 수행되지 않는다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또, 상기 제한정보에 포함되는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 상향링크의 신호의 채널종별, 상향링크의 신호의 신호종별,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輻射)에 관한 규정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송신대역폭은, 리소스 블록의 수로서 지정되어도 좋다. LTE 방식 및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의 1 리소스 블록의 송신대역폭은, 180kHz이며, 리소스 블록의 수가 지정됨으로써, 송신대역폭이 일의(一意)로 결정된다.
또, 상기 송신주파수는, 리소스 블록의 위치로서 지정되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대역의 중심주파수, 혹은, 시스템대역의 주파수를 지정하는 정보는, 알림정보 등에 의해 유저장치에 통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상향링크의 송신신호에 관한, 시스템대역 내의 리소스 블록의 위치가 지정됨으로써,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가 일의로 결정된다.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로서 2 이상이 지정되는 경우, 상향링크에 있어서, 멀티 캐리어 송신이 수행된다.
이 경우, 하나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멀티 캐리어 송신이 지시되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멀티 캐리어 송신이 지시되어도 좋다.
2개 이상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멀티 캐리어 송신이 지시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캐리어 송신에 대해, 1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대응지어져도 좋다.
또,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의 송신이 트리거되는 경우와, PUCCH에 의한 CQI/PMI(Pre-coding Indicator)/RI(Rank Indicator)의 송신이나, 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인 ACK/NACK의 송신 등,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이나,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멀티 캐리어 송신은,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지시를 트리거로 한 멀티 캐리어 송신뿐 아니라,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지시를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 또는,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의 조합에 의한 멀티 캐리어 송신이어도 좋다.
상술한 조합에는, 복수의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의한 멀티 캐리어 송신, 복수의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의한 멀티 캐리어 송신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제1 송신부(21)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구성을,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으로서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기억부(23)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억부(23)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의 동작을 규정하기 위한 사양 중에서, 유저장치의 동작의 일부로서 정의되고 있어도 좋다.
혹은, 기억부(23)는, 유저장치(100n)로부터 RRC 메시지에 의해 통지된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기억부(23)는, 상기 제한정보를 수신부(24)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부(24)는, 유저장치(100n)로부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제한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24)는, 상기 제한정보를 기억부(23)에 통지한다.
상기 제한정보는, 예를 들면, RRC 메시지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UE capability'의 일부로서 송신되어도 좋으며, 'UE capability'와는 다른 정보로서 송신되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 수신부(11)와, 기억부(12)와,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신호 수신부(11)는, 상향링크의 신호(구체적으로는, PUSCH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신호 수신부(11)는, PDCCH를 통해, 제어신호로서,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어신호는, 파라미터로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상향링크의 신호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신호는, 파라미터로서,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송신대역폭,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변조방식,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송신주파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기억부(12)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억부(12)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의해 통지된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기억부(12)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송신된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포함되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기억부(12)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송신된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포함되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대신에, 상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를 수신하는 처리는, 유저장치(100n) 내의 기억부(12) 이외의 기능부에서 수행되고, 기억부(12)는, 상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포함되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기억부(12)는, 유저장치(100n)의 Capability에 의해 결정된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기억부(12)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미리 결정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의 동작을 규정하기 위한 사양 중에서, 유저장치의 동작의 일부로서 정의되고 있어도 좋다.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 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신호란,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이다.
또,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UE capability'로서, 기지국장치(200)에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는, 기억부(12)에 있어서 보유되고,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가, 상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할 때에, 기억부(12)로부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에 부여되어도 좋다.
여기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즉,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바꿔말하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즉,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과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 즉,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송신 가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와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즉,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송신주파수의 차가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즉,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즉,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는, 서로 주파수적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Inter Modulation Products가, 보다 떨어진 주파수영역에 생기기 때문에, 결과로서, 타 시스템으로의 악영향이 커진다. 상술한 다른 주파수대역의 멀티 캐리어 송신을 피하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악영향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혹은,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같은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즉,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른 주파수대역의 신호는, 다른 Power Amplifier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 Power Amplifier나 안테나가 서로 충분히 분리되어 있는 경우, Inter Modulation Products는 생기지 않는다.
반대로, 같은 주파수대역의 신호는, 같은 Power Amplifier나 안테나로부터 송신되기 때문에, Inter Modulation Products가 발생하고, 결과로서, 다른 시스템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같은 주파수대역의 멀티 캐리어 송신을 피하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악영향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 주파수대역은, 다른 주파수밴드(Frequency Band)여도 좋다. LTE 방식 혹은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의 주파수밴드는, 3GPP TS36.101의 '5.5 Operating bands'에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Band1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주파수는, 1920MHz부터 1980MHz이며, Band6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주파수는, 830MHz부터 840MHz이다.
이 경우, 중심주파수가 1940MHz인 송신캐리어(Band1 내의 송신캐리어)와, 중심주파수가 835MHz인 송신캐리어(Band6 내의 송신캐리어)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에, 2개의 송신캐리어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라고 간주된다.
또, 반대로, 중심주파수가 1940MHz인 송신캐리어(Band1 내의 송신캐리어)와, 중심주파수가 1960MHz인 송신캐리어(Band1 내의 송신캐리어)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 2개의 송신캐리어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주파수밴드) 내의 신호라고 간주된다.
여기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가,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즉,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의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장치(200) 및 유저장치(100n)의 양방에 보유되어 있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200)가,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지시를 수행하지 않음으로써,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발생시킨다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는, 'False Alarm'이라는 현상이 존재하며, 기지국장치(200)가 송신하고 있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유저장치(100n)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가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송신되었다고 간주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 경우, 기지국장치(200)가 의도하지 않은 멀티 캐리어 송신이 수행되게 된다.
따라서, 유저장치(100n)에 있어서도,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와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보다 확실히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False Alarm'이라는 현상은, 예를 들면,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부여되어 있는 CRC 비트가, 우연히 OK가 됨으로써 발생하는 현상이다. CRC 비트가 16 비트인 경우, 그 확률은, 1/216이다.
또한, 하향 스케줄링 정보에 관해서도,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와 마찬가지로, False Alarm이 발생한다. 하향 스케줄링 정보의 False Alarm은, 상향링크에 있어서, 하향 스케줄링 정보에 대응하는 공유채널의 송달확인정보의 송신을 트리거한다.
또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즉,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하는 대신에,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의 일부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 중의 하나의 송신캐리어만을 이용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 중에서, 송신을 수행하는 하나의 송신캐리어를 선택하는 방법은, 임의로 선택한다는 방법이어도 좋으며, 우선도가 높은 송신캐리어를 선택한다는 방법이어도 좋으며, '앵커캐리어(Anchor Carrier)'로서 정의되고 있는 송신캐리어를 선택한다는 방법이어도 좋다.
여기서, 우선도는, 제어신호, 즉,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으며, 알림정보 또는 RRC 메시지에 의해, 기지국장치로부터 유저장치에 대해 통지되어도 좋다.
혹은, 상기 우선도는, 미리 결정된 우선도여도 좋다. 여기서, 상기 우선도가,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통지되는 경우, 상기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의 정보요소로서, 각 송신캐리어의 우선도가 정의되어도 좋다.
또, 상기 우선도가, 알림정보 또는 RRC 메시지에 의해, 기지국장치로부터 유저장치에 대해 통지되는 경우, 예를 들면, 주파수대역(주파수밴드)마다 우선도가 통지되어도 좋다.
상기 우선도가, 미리 결정된 우선도인 경우, 예를 들면, 채널마다, 혹은, 신호의 종류마다 정의된 우선도여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ACK/NACK는, CQI나 PUSCH보다도 우선도가 높다, 등의 우선도나, PUCCH는 PUSCH보다도 우선도가 높다, 등의 우선도나, ACK/NACK는, Sounding Reference Signal(Sounding RS)보다도 우선도가 높다, 등의 우선도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채널에, 예를 들면, PUCCH, PRACH, PUSCH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 상술한 신호에, 예를 들면, ACK/NACK, CQI, Scheduling Request, Sounding RS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 상술한 앵커캐리어는, 2개 이상의 'Component Carrier'를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메인의 'Component Carrier'여도 좋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100n)는, 앵커캐리어를 이용하여, 알림정보의 수신이나, RRC 메시지를 이용한 호설정이나, 채널의 설정을 수행하는 등의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의 상세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인덱스에 대응하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이 미리 정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덱스 #1은, 유저장치(100n)에 대해, 멀티 캐리어 송신에 관한 제약이 없는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1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특별히 제약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멀티 캐리어 송신을 수행한다, 즉,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송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인덱스 #2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2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을 지시받은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덱스 #3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각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이 64QAM인 경우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3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각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이 64QAM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받은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64QAM이라는 값은 일 예이며, QPSK나 16QAM, 8PSK 등이어도 좋다. 또,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이 64QAM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 중, 모든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이 64QAM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인덱스 #4는, 3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4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3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을 지시받은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인덱스 #2 또는 #4에 있어서의 송신캐리어의 수 '2'나 '3' 등의 값은 일 예이며, 그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덱스 #5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각 송신캐리어의 대역폭이 360kHz 이하인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5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각 송신캐리어의 대역폭이 360kHz 이하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360kHz라는 값은 일 예이며, 360kHz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또, 360kHz라는 값 대신에, 2 리소스 블록이라는 값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LTE 방식 및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는, 1 리소스 블록의 송신대역폭은 180kHz이다. 즉, 주파수대역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 메트릭이라면, 360kHz 이외의 값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덱스 #6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캐리어의 대역폭이 360kHz 이하인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6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캐리어의 대역폭이 360kHz 이하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360kHz라는 값은 일 예이며, 360kHz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또, 360kHz라는 값 대신에, 2 리소스 블록이라는 값이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LTE 방식 및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는, 1 리소스 블록의 송신대역폭은 180kHz이다. 즉, 주파수대역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는 메트릭이라면, 360kHz 이외의 값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덱스 #7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다른 주파수대역에서 송신되는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7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다른 주파수대역에서 송신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덱스 #8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주파수 간격이, 10MHz 이상인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8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주파수 간격이, 10MHz 이상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10MHz라는 값을 일 예이며, 그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덱스 #9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주파수 간격이 10MHz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캐리어의 대역폭이 360kHz 이하인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9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주파수 간격이 10MHz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 중, 적어도 하나의 송신캐리어의 대역폭이 360kHz 이하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덱스 #10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주파수 간격이, 10MHz 이상이고, 그리고, 각 송신캐리어의 송신전력이 15dBm 이상인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10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각 송신캐리어의 송신전력이 15dBm 이상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15dBm이라는 값은 일 예이며, 상기 이외의 값이어도 좋다.
즉, 인덱스가 #10인 경우, 유저장치(100n)는, 각 송신캐리어의 송신전력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이라 간주하고,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예를 들면, 인덱스 #11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각 송신캐리어에서 송신하는 채널 또는 신호가 소정의 채널종별 또는 소정의 신호종별인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11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각 송신캐리어에서 송신하는 채널 또는 신호가 소정의 채널종별 또는 소정의 신호종별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소정의 채널종별이란, 예를 들면, PUCCH나 PUSCH나 PRACH 등이다. 또, 소정의 신호종별이란, CQI나 ACK/NACK, Scheduling request, Sounding RS 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2개의 송신캐리어 중, 하나의 송신캐리어에서 PUCCH가 송신되고, 또 하나의 송신캐리어에서 PUSCH가 송신되는 경우에,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이라 간주하고,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즉, 인덱스가 #11인 경우, 유저장치(100n)는, 각 송신캐리어의 채널 또는 신호가 소정의 채널종별 또는 소정의 신호종별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이라 간주하고,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즉, 도 4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캐리어의 수와, 각 송신캐리어의 송신전력과, 송신대역폭과, 송신주파수, 송신전력, 송신에 이용되는 채널종별 혹은 신호종별,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덱스가 정의되어도 좋다.
혹은,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인덱스에 대응하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이 미리 정의되어도 좋다.
도 5의 인덱스 #1, #2, #3에 관해서는, 각각, 도 4의 인덱스 #1, #2, #3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인덱스 #4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소정의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4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소정의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이란, 예를 들면, PHS 시스템에 대한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인덱스 #5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소정의 스펙트럼 에미션 마스크 규정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5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소정의 스펙트럼 에미션 마스크 규정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인덱스 #6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소정의 ACLR(Adjacent Carrier Leakage Ratio) 규정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제한하는(금지한다) 것을 나타내는 인덱스이다.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인덱스 #6인 경우, 유저장치(100n)의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를 이용한 상향링크의 송신이고, 그리고, 소정의 ACLR 규정을 만족시킬 수 없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도 5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캐리어의 수와,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의 규정, 즉,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 스펙트럼 에미션 마스크 규정, ACLR 규정의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덱스가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만족되어야 하는 규정은,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 스펙트럼 에미션 마스크 규정, ACLR 규정이지만, 대신에, 하향링크의 수신감도의 규정이어도 좋다.
이 경우, 상향링크의 신호에 기인하는 불요파가, 이동기 내부의 자(自) 간섭, 즉, Self Interference, 혹은, De-sense에 의해, 하향링크의 수신감도를 열화시키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혹은, 도 4와 도 5의 정보의 조합으로, 상기 인덱스가 정의되어도 좋다. 즉, 송신캐리어의 수와, 각 송신캐리어의 송신전력과, 송신대역폭과, 송신주파수, 송신전력, 송신에 이용되는 채널종별 혹은 신호종별,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의 규정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덱스가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인덱스 및 각 인덱스에 대응하는 정보는, 기지국장치(200) 및 유저장치(100n)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정보로서 보유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각 인덱스에 대응하는 정보만이, 기지국장치(200) 및 유저장치(100n)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정보로서 보유되고, 상술한 인덱스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유저장치(100n)에 대해, 알림정보 또는 RRC 메시지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인덱스 및 각 인덱스에 대응하는 정보는 일 예이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통지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시그널링이어도 좋다.
혹은, 각 인덱스에 대응하는 정보만이, 기지국장치(200) 및 유저장치(100n)에 있어서, 미리 결정된 정보로서 보유되고, 상기 인덱스가, 유저장치(100n)로부터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RRC 메시지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인덱스 및 각 인덱스에 대응하는 정보는 일 예이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가 통지되는 것이라면, 어느 형태의 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01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유저장치(100n)에 대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하고, 단계 S1002에 있어서, 유저장치(100n)는, 상기 제한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12)에,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단계 S101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는, 스케줄링 대상의 유저장치(100n)에 대해, PDCCH를 통해, 제어신호(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
단계 S1011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즉,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과 합치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정한다.
상기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즉,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과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012에 있어서, 제어신호(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를 이용한 PUSCH를 통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가 아닌 경우에, 멀티 캐리어 전송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또,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가 아닌 경우, 혹은,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송신주파수의 차가 소정 임계값 이상이 아닌 경우에, 멀티 캐리어 전송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또한,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는,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가 아닌 경우, 혹은,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가 아닌 경우에, 멀티 캐리어 전송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한편, 상기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즉, 기억부(12)에 기억되어 있는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과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 제어신호(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할당된 리소스를 이용한 PUSCH를 통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송신주파수의 차가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술한 단계 S1001, S1002, S1010, S1011, S1012의 처리에 있어서, 단계 S1001은 수행되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유저장치(100n)는, 미리 결정된 제한정보를 보유하고, 단계 S1002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제한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12)에,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해도 좋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다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200)가, 유저장치(100n)에 대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했으나, 도 7에 있어서는, 대신에, 유저장치(100n)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2001에 있어서, 유저장치(100n)는,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한다.
단계 S2002에 있어서, 유저장치(100n)는,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송신한, 상기 제한정보에 기초하여, 기억부(12)에,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기억한다.
단계 S2010, 단계 S2011, 단계 S2012에 관한 설명은, 각각, 단계 S1010, 단계 S1011, 단계 S1012와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또한, 상술한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는, 'UE capability'의 일부로서 송신되어도 좋으며, 'UE capability'와는 다른 정보로서 송신되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유저장치는, 핸드셋과 같은 크기나 배터리의 유지시간, 단말 코스트에 대해 높은 요구조건이 적용되는 것과, PC 내장의 통신 디바이스와 같이, 크기나 배터리의 유지시간, 단말 코스트에 대해 낮은 요구조건이 적용되는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ACLR 규정이나 스퓨리어스 발사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고가의 Power amplifier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와,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유저장치로부터 기지국장치에 대해, 'UE capability'로서 통지함으로써, 상술한, 다양한 요구조건마다에 대해, 최적의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핸드셋과 같은, 코스트나 사이즈, 배터리의 유지시간에 대해 높은 요구조건이 적용되는 단말에 대해서는, 멀티 캐리어 송신을 금지하고, 저가격의 Power amplifier라도 LTE-Advanced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PC 내장의 단말과 같은, 코스트나 사이즈, 배터리의 유지시간에 대해 높은 요구조건이 적용되는 단말에 대해서는, 멀티 캐리어 송신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멀티 캐리어 송신에 의한 스루풋의 증대 등의 전송 특성의 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 캐리어 송신이 가능한지 여부는, 단말의 코스트나 사이즈에 의존한다. 이는, 어느 단말은, ACLR이나 SEM, 스퓨리어스 에미션의 규정을 만족시키면서, 멀티 캐리어 송신이 가능하지만, 다른 단말은, 멀티 캐리어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ACLR이나 SEM, 스퓨리어스 에미션의 규정을 만족시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즉,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과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라는 동작은,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아도 좋다는 동작이어도 좋다.
이 경우, 이동국은,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즉, 멀티 캐리어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라면, 예를 들면, ACLR이나 SEM, 스퓨리어스 에미션의 규정을 만족시켜야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따르면,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즉,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과 합치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즉,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면서, 멀티 캐리어 전송에 따른 전송 특성의 증대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한정보, 즉,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알림정보나 RRC 메시지에 의해 통지함으로써, 지역마다, 혹은, 나라마다에 적절한 방법으로,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면서, 멀티 캐리어 전송에 따른 전송 특성의 증대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에, 본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면서, 멀티 캐리어 전송에 따른 전송 특성의 증대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지역마다, 나라마다 다른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PHS 시스템은, 일본에는 존재하나, 유럽이나 미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멀티 캐리어 송신을 수행함으로써, PHS 시스템에 간섭을 끼치는 경우에도,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멀티 캐리어 송신을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이라 간주할 필요는 없다, 즉, PHS 시스템에 간섭을 끼칠 수 있는 멀티 캐리어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PHS 시스템이 존재하는 일본에 있어서는, PHS 시스템에 간섭을 끼치기 때문에, 멀티 캐리어 송신을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이라 간주할 필요가 있다, 즉, PHS 시스템에 간섭을 끼칠 수 있는 멀티 캐리어 송신을 금지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상술한 제한정보를, 알림정보 또는 RRC 메시지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유저장치(100n)에 통지함으로써, 지역마다, 혹은, 나라마다 적절한 방법으로,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면서, 멀티 캐리어 전송에 따른 전송 특성의 증대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1000) 내에서 기지국장치(200)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100n)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11)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를 구비하고,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채널종별,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신호종별,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또한,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술한 제한정보에 의해 통지되는 정보에 대응한다. 즉,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은,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 스펙트럼 에미션 규정, ACLR 규정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송신주파수의 차가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같은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의해 통지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유저장치(100n)의 Capability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을,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통지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1000) 내에서 기지국장치(200)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100n)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11)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를 구비하고,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채널종별,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신호종별,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또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술한 제한정보에 의해 통지되는 정보에 대응한다. 즉,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에 관한 정보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은,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 스펙트럼 에미션 규정, ACLR 규정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송신주파수의 차가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3)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같은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의해 통지되고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유저장치(100n)의 Capability에 의해 결정되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을,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통지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1000) 내에서 유저장치(100n)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 유저장치(100n)에 대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21)와,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22)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에 있어서,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채널종별,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신호종별,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에 있어서, 제1 송신부(21)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구성을,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으로서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4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1000) 내에서 유저장치(100n)와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A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고, 공정 B에 있어서,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5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1000) 내에서 유저장치(100n)와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A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고, 공정 B에 있어서,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멀티 캐리어 송신은,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지시를 트리거로 한 멀티 캐리어 송신뿐 아니라,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지시를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 또는,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의 조합에 의한 멀티 캐리어 송신이어도 좋다.
여기서,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는, 주기적인 CQI의 송신이나, Sounding RS의 송신, Scheduling request의 송신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는, 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인 ACK/NACK의 송신이 포함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유저장치(100n)나 기지국장치(200)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유저장치(100n)나 기지국장치(20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유저장치(100n)나 기지국장치(200)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Claims (27)

  1.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채널종별,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신호종별,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은,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 스펙트럼 에미션 규정, ACLR 규정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송신주파수의 차가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의해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기 유저장치의 Capability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을,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0.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채널종별,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신호종별,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은,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 스펙트럼 에미션 규정, ACLR 규정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송신주파수의 차가 소정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의해 통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은, 상기 유저장치의 Capability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8.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을,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19.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대해,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정하는 제한정보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채널종별, 상향링크의 신호의 신호종별, 만족되어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신부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그리고,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인 구성을, 상기 송신 불능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으로서 지정하는 제한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2.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A;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23.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A;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는 내용과 합치하는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2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같은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가 2개 이상이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소정 임계값 이하이고, 그리고, 상기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같은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인 경우에,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일부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7.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신호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KR1020117025556A 2009-04-27 2010-04-22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1200044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08376 2009-04-27
JP2009108376 2009-04-27
JPJP-P-2010-030748 2010-02-15
JP2010030748A JP5111536B2 (ja) 2009-04-27 2010-02-15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486A true KR20120004486A (ko) 2012-01-12

Family

ID=43032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556A KR20120004486A (ko) 2009-04-27 2010-04-22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20099527A1 (ko)
EP (1) EP2426973A1 (ko)
JP (1) JP5111536B2 (ko)
KR (1) KR20120004486A (ko)
CN (1) CN102415124A (ko)
BR (1) BRPI1016090A2 (ko)
MX (1) MX2011011306A (ko)
WO (1) WO20101259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0677B2 (en) 2010-12-07 2018-03-27 Sharp Kabushiki Kaisha Prioritizing multipl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with carrier aggregation
US8681627B2 (en) * 2010-12-07 2014-03-25 Sharp Kabushiki Kaisha Prioritizing multiple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reporting with carrier aggregation
JP5724632B2 (ja) * 2011-05-25 2015-05-27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及び通信方法
KR101599164B1 (ko) * 2011-09-30 2016-03-14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무선 통신 방법
EP3634063B1 (en) * 2011-10-03 2022-03-16 Sun Patent Trust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13146830A1 (ja) * 2012-03-27 2013-10-0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チャネ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974415B2 (en) 2012-04-10 2015-03-10 Smiths Medical Asd, Inc. Flow stop insert apparatus and methods
US11546787B2 (en) 2012-05-09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SI definitions and feedback modes for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KR20140146593A (ko) * 2012-05-16 2014-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소된 전송 리소스 블록과 전력으로 상향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무신 기기 및 기지국
JP6196758B2 (ja) * 2012-07-20 2017-09-13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JP6152252B2 (ja) * 2012-07-20 2017-06-21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
KR101449373B1 (ko) 2013-03-26 201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퓨리어스 방사를 최소화하기 위한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장치
CN105450377B (zh) * 2014-09-02 2019-01-01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物理资源分配方法及设备
US10638501B2 (en) * 2017-03-24 2020-04-28 Qualcomm Incorporated Opportunistic uplink transmission
JP7203815B2 (ja) * 2017-08-16 2023-01-13 オッポ広東移動通信有限公司 信号伝送方法及び端末デバイス
CN108418658B (zh) * 2017-09-08 2019-03-26 华为技术有限公司 编码方法及装置
US11290304B2 (en) * 2018-04-13 2022-03-29 Qualcomm Incorporated SRS carrier switching with sTTI/sPT
CN111050391B (zh) * 2019-12-11 2020-11-27 北京邮电大学 基于cr-vanet的车载雷达通信一体化系统的时间和功率联合分配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4823B2 (ja) * 2001-05-25 2007-1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通信チャネル設定方法及び通信制御装置
WO2006070551A1 (ja) * 2004-12-28 2006-07-06 Sharp Kabushiki Kaisha 無線送信機、無線受信機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6287624A (ja) * 2005-03-31 2006-10-19 Sanyo Electric Co Ltd 無線基地局、通信チャネル割当方法及び通信チャネル割当処理用プログラム
FI20055211A0 (fi) * 2005-05-06 2005-05-06 Nokia Corp Radioresurssien hallinta FDMA järjestelmässä
JP4832443B2 (ja) * 2005-08-26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ケーラブル帯域幅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EP1936900A1 (de) * 2006-12-18 2008-06-25 Nokia Siemens Networks Gmbh & Co. Kg Verfahren bzw. OFDM-Vorrichtung zur SC-FDMA-Datenübertragung
JP5014820B2 (ja) * 2007-01-09 2012-08-29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CN101690378B (zh) * 2007-05-01 2013-07-10 株式会社Ntt都科摩 移动通信系统中的用户装置、基站装置和通信控制方法
JP2008301422A (ja) * 2007-06-04 2008-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システム、端末および基地局
US8086272B2 (en) * 2007-08-06 2011-12-2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Wireless networks incorporating antenna selection based on received sounding reference signals
EP2398272B1 (en) * 2007-08-16 2013-03-20 Panasonic Corporation Signalling and mapping of measurement reports
US8867378B2 (en) * 2007-10-05 2014-10-21 Qualcomm Incorporated Triggering multi-carrier requests
US8498249B2 (en) * 2008-05-05 2013-07-30 Mediatek Inc. Method of network entry in OFDM multi-carrier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WO2010059813A1 (en) * 2008-11-21 2010-05-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ggregation of multiple component carriers
US8804631B2 (en) * 2009-03-02 2014-08-1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carrier configuration in multi-carrier OFDM systems
KR101572272B1 (ko) * 2009-04-21 2015-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무선통신의 수행장치 및 방법
JP5379912B2 (ja) * 2009-04-24 2013-12-25 聯發科技股▲ふん▼有限公司 マルチキャリアofdmシステムのキャリア割り当ての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15124A (zh) 2012-04-11
WO2010125970A1 (ja) 2010-11-04
JP5111536B2 (ja) 2013-01-09
EP2426973A1 (en) 2012-03-07
JP2010279017A (ja) 2010-12-09
BRPI1016090A2 (pt) 2016-10-18
MX2011011306A (es) 2011-12-06
US20120099527A1 (en) 201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1536B2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023170B2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11265116B2 (en) Uplink ACK resource allocation in new radio
EP3689049B1 (en) System and methods for fast power headroom reporting
JP5227938B2 (ja) ユーザ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US11160038B2 (en) Enhanced power headroom report for feeding back beamformed sounding reference source power scaling
US11751095B2 (en) Transmission of buffer status reports on multiple component carriers
JP5227936B2 (ja) 移動通信方法、移動局及び無線基地局
JP2013059041A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2124967A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22214397A1 (en) Uplink (ul)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resource configu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