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176A -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176A
KR20120004176A KR1020100064900A KR20100064900A KR20120004176A KR 20120004176 A KR20120004176 A KR 20120004176A KR 1020100064900 A KR1020100064900 A KR 1020100064900A KR 20100064900 A KR20100064900 A KR 20100064900A KR 20120004176 A KR20120004176 A KR 201200041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isplay device
application data
video display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2165B1 (ko
Inventor
임상용
남호준
김규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2165B1/ko
Priority to PCT/KR2010/009280 priority patent/WO2012005421A1/ko
Priority to EP10854492.5A priority patent/EP2592827A4/en
Priority to US13/808,434 priority patent/US9219662B2/en
Publication of KR20120004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76A/ko
Priority to US14/970,233 priority patent/US1040214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2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2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04N21/64707Control signaling between network components and server or cli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e.g.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video stream, by dropping packets, protecting content from unauthorised alteration within the network, monitoring of network load, bridging between two different networks, e.g. between IP and wireless for transferring content from a first network to a second network, e.g. between IP and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표시기기에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METHOD FOR EXTENDING APPLICATION AND A DISPLAY SYSTEM ENABLING OF THE METHOD}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표시기기에 등록된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영상표시기기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기기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종래 기술의 영상표시기기는 고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설치되어야 하거나, 하드웨어의 성능이 높아야만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어, 영상표시기기에 추가적인 비용 및 자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의 영상표시기기에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영상표시기기에 추가적으로 포함하여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 및 자원이 투입되어야만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영상표시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설치되지 않아도 고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가 개발될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영상표시기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설치되지 않아도 고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간단한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만으로, 고비용, 고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기기에서 이용가능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하드웨어 설치에서 자유로울 수 있으면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은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 고사양의 하드웨어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지 않더라도 고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간단한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만으로, 고비용, 고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기기에서 이용가능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하드웨어 설치에서 자유로울 수 있으면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별 디바이스 검색 여부를 도시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 및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디바이스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별로 연동되는 디바이스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
도 12는 도 1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영상표시기기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TV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표시기기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 디바이스(230)와 통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네트워크 서버(220)와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서버(220)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서버(220)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와 연결될 수 있는 휴대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서버(220)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기기(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외부 디바이스(230)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3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기기(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 디바이스(230)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장치 또는 재생장치 뿐아니라, 각종 가전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외부 디바이스(230)는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단말 전화기, 에어컨 등일 수 있다.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또는 외부 디바이스(230)는, 영상표시기기(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 디바이스(2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디바이스(23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210) 또는 네트워크 서버(2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국(210), 네트워크 서버(220) 및 외부 디바이스(230)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외에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영상표시기기(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230)에서 영상표시기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영상표시기기(100)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서는 영상표시기기에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한 후, 이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과정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 때, 영상표시기기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방송 수신기, 퍼스널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이 될 수 있다.
디바이스 또한, 상술한 영상표시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방송 수신기, 퍼스널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에어컨, 공기 청정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단계(S201)에서 애플리케이션 목록 출력 명령을 수신한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목록은 외부 디바이스 기기와 연동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목록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각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내는 항목만이 도시되는 것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간략 설명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계(S202)에서 영상표시기기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영상표시기기는 미리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특히, 영상표시기기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 네트워크 연결되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네트워크 연결가능한 디바이스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 범위내에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202)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단계(S203)에서 영상표시기기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가능하도록 활성화하거나,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않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항목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는 검색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App 1'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 'Dv1'이 네트워크 연결 가능하거나, 네트워크 연결된 것으로 검색되면, 애플리케이션 'App 1' 항목을 활성화하거나, 다른 항목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Dv1'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단계(S202)의 판단 결과,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않으면 단계(S211)에서 영상표시기기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불가능 하도록 비활성화하거나,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항목과 구별되도록 표시한다.
단계(S204)에서 영상표시기기는 활성화되거나,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않은 다른 항목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한 애플리케이션 항목에 대해 실행 명령이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204)의 판단 결과, 디바이스가 검색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단계(S205)에서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한다.
이 때, 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는 검색된 디바이스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요청을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요청과 함께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S206)에서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후, 단계(S207)에서 영상표시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하고, 단계(S208)에서 영상표시기기에서 요청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한다.
이 때, 영상표시기기는 디바이스와 유선 네트워크 연결되거나,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에서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생성 및 전송 외에 다른 기능들이 멀티 태스킹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계(S209)에서 영상표시기기는 디바이스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계(S210)에서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 때,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영상표시기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이용되는 정보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실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GPS 정보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인 경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GPS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기기에서 GPS 정보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App 1'이 실행될 경우, 영상표시기기는 'App 1'에서 이용하게 될 GPS 정보를 디바이스로 요청하고, 디바이스는 영상표시기기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된 후, GPS 정보를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GPS 정보를 이용하여 'App 1'을 실행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UI(Userinterfac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는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App 2'에 대한 UI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에서 애플리케이션 'App 2'에 대한 UI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웹 앨범 서비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 위치기반 서비스(LBS), 지도 서비스, 웹 검색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검색 서비스, 게임 서비스, 일정관리 서비스, 온도 또는 습도 정보 제공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이 수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이용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에서 생성되어 전송되고, 영상표시기기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사용되는 정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 별로 대응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애플리케이션(301)별로 그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302, 303)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 정보는 디바이스 식별자(302), 및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303)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303)는 영상표시기기에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할 때 사용될 수 있는 네트워크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는 복수로 설정될 수 있으며, 각각에 대한 디바이스 식별자 및 네트워크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App 1'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는 'Dv1', 및 'Dv10'으로 지정될 수 있으며, 영상표시기기는 애플리케이션 'App 1'에 대한 실행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Dv1', 및 'Dv10'로 'App 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한 후, 수신된 'App 1'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App 1'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별 디바이스 검색 여부를 도시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는 애플리케이션 목록(400)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 항목들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표시기기는 미리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부에서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판독한 후, 판독된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를 검색한다.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영상표시기기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등록된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선택가능하도록 활성화하거나,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않은 다른 항목들과 구분되도록 표시한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된 'App 1'(401)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410)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에서 검색되면, 'App 1' 항목(401)이 선택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에서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않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항목(402, 403, 405)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애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된 'App 4'(404), 'App 6'(406)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420)이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에서 검색되면, 'App 4' 항목(404) 및 'App 6' 항목(406)을 선택가능하도록 활성화시키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에서 검색되지 않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항목(402, 403, 405)와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에서 등록된 디바이스(430)가 검색되지 않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항목(402, 403, 405)은 선택가능하지 않도록 비활성화시키거나,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범위 내에서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지 않은 다른 애플리케이션 항목들과 구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501)는 디바이스(502)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디바이스(502)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면부호(503)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502)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요청을 수신하면,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여 영상표시기기(501)로 전송한다. 이 때, 디바이스(502)는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501)는 디바이스(502)로 GPS 데이터를 요청하고, 디바이스(502)로부터 GPS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면부호(503)과 같이 GPS 데이터를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501)는 네비게이션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데, 디바이스(502)로부터 수신된 GPS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502)는 영상표시기기(501)로부터 GPS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면, GPS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생성된 GPS 정보를 영상표시기기(5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디바이스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601)는 디바이스(602)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디바이스(602)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면부호(603)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기기(601)는 디바이스(602)로 응용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를 요청하고, 디바이스(602)로부터 응용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를 수신하여 도면부호(603)과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602)는 영상표시기기(601)로부터 응용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면, 응용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생성된 응용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를 영상표시기기(6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성능 CPU 또는 많은 용량의 메모리 기능을 필요로 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영상표시기기(601)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응용 프로그램 실행 데이터)은 디바이스(602)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은 영상표시기기(601)에서 수신하여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때, 디바이스(602)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화면을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 및 디바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700)는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1(701), 및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 1(702)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710)는 영상표시기기(7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받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 2(703)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2(70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각 애플리케이션들은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개별로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1(701)은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 1(70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애플리케이션 2(704)는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 2(70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700)에 애플리케이션 2(704)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애플리케이션 2(704)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영상표시기기(700)에서 획득하여 애플리케이션 1(701)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영상표시기기(700)에 추가적인 하드웨어가 설치되지 않아도 고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에서 간단한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만으로, 고비용, 고사양의 애플리케이션을 영상표시기기에서 이용가능하도록 하여 추가적인 하드웨어 설치에서 자유로울 수 있으면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디바이스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S801)에서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검색 요청을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한다. 디바이스 검색 요청의 일실시예는 도 9의 도면부호(901)과 같을 수 있다. 디바이스 검색 요청은 디바이스 식별자(UID), 애플리케이션 검색 요청(SID0), 디바이스 IP 포트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S802)에서 영상표시기기는 디바이스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한다.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응답은 도 9의 도면부호(902)와 같을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를 전송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응답은 영상표시기기의 서버 IP 포트 정보, 디바이스 IP 포트 정보, 영상표시기기 식별자(UID), 애플리케이션 검색 응답(SID(1))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S803)에서 영상표시기기는 네트워크 정보를 수신한 후, 디바이스 등록요청을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한다. 디바이스 등록 요청의 일실시예는 도 9의 도면부호(903)과 같을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요청은 영상표시기기의 서버 IP 포트 정보, 디바이스 식별자(UID), 등록 요청 정보(SID(2)), 애플리케이션 요청 정보(SID1...SIDN), 디바이스를 인증하기 위한 디바이스 인증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바이스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단계(S804)에서 영상표시기기는 해당 디바이스가 등록된 디바이스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단계(S804)의 판단 결과, 디바이스가 등록된 디바이스가 아니면, 단계(S805)에서 디바이스 등록 요청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바이스로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영상표시기기는 디바이스를 등록할지, 임시로 등록할지, 등록하지 않을 지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한 후, 사용자가 등록 또는 임시 등록을 선택한 경우, 디바이스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디바이스 인증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 등으로 정확하게 입력하는 경우에만 디바이스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등록을 선택할 경우, 디바이스 식별자(UID) 및 애플리케이션 요청 정보(SID1...SIDN)를 등록하여,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어, IP 주소)등이 바뀌더라도 등록된 디바이스 식별자 및 애플리케이션 요청 정보로 별도의 인증과정없이 계속하여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단계(S805)에서 디바이스 등록이 완료되면, 단계(S806)에서 영상표시기기는 디바이스로 등록 완료 응답을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한다. 등록 완료 응답은 도 9의 도면부호(904)와 같을 수 있다. 등록 완료 응답은 디바이스 IP 포트 정보, 영상표시기기 식별자(UID), 등록 응답 정보(SID(3)), 애플리케이션 요청 정보(SID1...SIDN)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계(S807)에서 디바이스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계(S808)에서 영상표시기기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애플리케이션 데이터(Data) 전송 포맷은 도 9의 도면부호(905)와 같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전송 포맷은 영상표시기기 IP 포트 정보, 디바이스 식별자(UID), 애플리케이션 데이터(SID(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영상표시기기가 서버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디바이스가 서버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영상표시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별로 연동되는 디바이스를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표시기기는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별로 연동되는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APP 1'(1001)을 선택하면 연동 디바이스(1002)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검색된 디바이스(1003, 1004, 1005)가 선택될 수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3, 1004, 1005) 중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도 8의 과정을 거쳐서 디바이스가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등록될 수 있다.
이 때, 영상표시기기에 설치되는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 1 이나,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 2는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서버로부터 수신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며,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 1은 영상표시기기에 미리 설치되고, 디바이스에 설치되는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 2는 영상표시기기로부터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검색(1006)을 선택할 경우, 추가적인 검색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기기(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전원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튜너(110)와 복조부(12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기기(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기기(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이 때, 제어부(170)는 상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디스플레이부(180)는 검색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한다.
이 때, 제어부(170)는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디바이스 등록 여부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저장부(14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디바이스 등록이 선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구별되도록 표시하거나, 선택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애플리케이션 항목에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선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하고, 상기 연결 설정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이 때의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영상표시기기(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기기(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1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기기(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기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영상표시기기(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영상표시기기(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레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된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영상표시기기(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영상표시기기(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영상표시기기(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영상표시기기는, 도 11에서 도시된 디스플레이부(180)와 오디오 출력부(185)가 제외된 영상표시기기로서, 무선 통신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와이어리스(wireless) 타입일 수도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영상표시기기(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기기(1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1의 도시된 튜너(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12는 도 1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기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7)

  1.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화면에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디바이스 등록 여부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디바이스 등록이 선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구별되도록 표시하거나, 선택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에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선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하고, 상기 연결 설정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 또는 상기 디바이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이동통신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12. 영상 표시 기기에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요청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영상표시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표시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이고, 상기 디바이스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퍼스널 컴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기기는 상기 영상표시기기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는 제 1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영상표시기기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 2 디바이스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17.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하고, 상기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전송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정보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디바이스 등록 요청을 수신하면, 디바이스 등록 여부를 선택받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디바이스 등록이 선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상기 선택된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출력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목록에서 상기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된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구별되도록 표시하거나, 선택 가능하도록 활성화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항목에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로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선택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등록된 디바이스가 검색되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디바이스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디바이스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연결 설정하고, 상기 연결 설정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 이동통신 단말기, 퍼스널 컴퓨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기기.
KR1020100064900A 2010-07-06 2010-07-06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KR101812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900A KR101812165B1 (ko) 2010-07-06 2010-07-06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PCT/KR2010/009280 WO2012005421A1 (ko) 2010-07-06 2010-12-23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EP10854492.5A EP2592827A4 (en) 2010-07-06 2010-12-23 PROCESS FOR APPLICATION EXPANSION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WITH
US13/808,434 US9219662B2 (en) 2010-07-06 2010-12-23 Method for application extens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US14/970,233 US10402141B2 (en) 2010-07-06 2015-12-15 Method for application extens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900A KR101812165B1 (ko) 2010-07-06 2010-07-06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76A true KR20120004176A (ko) 2012-01-12
KR101812165B1 KR101812165B1 (ko) 2017-12-26

Family

ID=4544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900A KR101812165B1 (ko) 2010-07-06 2010-07-06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9219662B2 (ko)
EP (1) EP2592827A4 (ko)
KR (1) KR101812165B1 (ko)
WO (1) WO201200542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685A (ko) * 2012-10-29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0302A (ko) * 2013-11-25 2016-07-2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작성 애플리케이션 확장판 활성화 기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99512B2 (ja) * 2011-01-31 2015-10-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833454B1 (ko) * 2011-06-14 2018-04-13 삼성전자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단말기
KR101952260B1 (ko) * 2012-04-03 2019-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동영상 썸네일을 동시에 표시하기 위한 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JP6095277B2 (ja) * 2012-04-13 2017-03-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8966521B2 (en) * 2013-03-14 2015-02-24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present supplemental media on a second screen
CN103780970B (zh) * 2013-08-20 2018-03-16 华为终端(东莞)有限公司 一种媒体播放的方法、装置和系统
WO2015130024A1 (ko) * 2014-02-26 2015-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8751B1 (ko) * 2014-02-26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0063923B2 (en) 2014-02-26 2018-08-28 Lg Electronics Inc. Digit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6646214B2 (ja) * 2016-02-10 2020-02-1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3611B1 (en) * 1998-05-08 2001-05-15 Sony Corporation Media manager for controlling autonomous media devices within a network environment and managing the flow and format of data between the devices
PL1644934T3 (pl) 2003-07-02 2011-01-31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Kojarzenie nagrań telewizji interaktywnej z aplikacjami
JP3891156B2 (ja) 2003-08-22 2007-03-14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20070120980A (ko) * 2005-03-08 2007-12-2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중 사용자 제어
US20070220009A1 (en) * 2006-03-15 2007-09-20 Morris Robert 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controlling access to application data
JP4860438B2 (ja) * 2006-11-07 2012-01-25 富士通株式会社 メッセージ表示装置、演算装置、メッセージ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演算プログラム
US20080126929A1 (en) * 2006-11-29 2008-05-29 Microsoft Corporation Remote ui for smart devices
US20090083732A1 (en) 2007-09-26 2009-03-26 Microsoft Corporation Creation and deployment of distributed, extensible applications
US9817540B2 (en) 2007-12-31 2017-11-14 Intel Corpor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composing logical computing platforms
US20100306249A1 (en) * 2009-05-27 2010-12-02 James Hill Social network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4685A (ko) * 2012-10-29 2014-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90302A (ko) * 2013-11-25 2016-07-29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작성 애플리케이션 확장판 활성화 기법
KR20210076173A (ko) * 2013-11-25 2021-06-23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작성 애플리케이션 확장판 활성화 기법
US11080104B2 (en) 2013-11-25 2021-08-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mpose application extension activ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30111023A1 (en) 2013-05-02
US9219662B2 (en) 2015-12-22
US20160098241A1 (en) 2016-04-07
WO2012005421A1 (ko) 2012-01-12
EP2592827A4 (en) 2014-10-29
US10402141B2 (en) 2019-09-03
EP2592827A1 (en) 2013-05-15
KR101812165B1 (ko)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2165B1 (ko)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KR10150786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169973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70204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메뉴 제공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KR101763593B1 (ko)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사용자 단말기
KR2012011819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101779858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60026075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4127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42086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1488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9015751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10175054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687611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시스템
KR10178962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에 따른 영상표시기기
US10222948B2 (en) Multimedia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168972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61118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226590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16410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065848A (ko)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711840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2281342B1 (ko)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91614B1 (ko) 휴대 단말기 및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