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040U - 퓨즈장착장치 - Google Patents

퓨즈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040U
KR20120004040U KR2020100012366U KR20100012366U KR20120004040U KR 20120004040 U KR20120004040 U KR 20120004040U KR 2020100012366 U KR2020100012366 U KR 2020100012366U KR 20100012366 U KR20100012366 U KR 20100012366U KR 20120004040 U KR20120004040 U KR 2012000404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partition wall
seating
main body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승현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2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040U/ko
Publication of KR201200040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4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85/2045Mounting means or insulating parts of the base, e.g. covers, casings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퓨즈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퓨즈장착장치는 메인몸체(10)에 형성된 안착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안착부(12)는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데, 주위와는 구획벽(14)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구획벽(14)에 의해 안착공간(16)이 주위와 구획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공간(16)은 구획리브(16)에 의해 두 개로 나누어진다. 상기 구획리브(16)에 의해 나누어진 안착공간(16)에는 각각 퓨즈(36)가 안착된다. 상기 안착공간(16)은 커버(20)에 의해 외부와 차폐된다. 상기 커버(20)는 차폐판(22)을 구비한다. 상기 차폐판(22)의 내면에는 다수개의 걸이후크(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차폐판(22)의 내면에는 상기 구획리브(16)가 사이에 삽입되도록 차단격벽(28) 한쌍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차단격벽(28)은 상기 구획리브(16)의 양면을 둘러싸 절연거리를 확보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퓨즈(36)가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퓨즈(36)를 메인몸체(10)의 하면에 요입된 안착부(12)에 안착시키므로 메인몸체(10)를 전체적으로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퓨즈장착장치{Fuse mounting apparatus}
본 고안은 퓨즈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제품의 일측에 퓨즈를 장착하고 커버로 차폐하여 보호하는 퓨즈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배터리 등에서 특정한 부하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서 과부하가 발생하면 전원공급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퓨즈는 최근에 전기자동차 등에서 고전압이 사용됨에 의해 그 사용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최근에 고전압이 사용되는 전원분배유니트에서는 그 내부에 퓨즈를 장착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퓨즈를 전원분배유니트의 내부에 설치하게 되면 퓨즈를 교체하는 작업이 어렵게 되고, 전원분배유니트 내부의 다른 부품들과도 간섭이 될 수 있어 전원분배유니트 내부의 설계자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전원분배유니트 내부에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주변부품과의 사이에 상대적으로 많은 공간을 유지해야 하므로 전원분배유니트의 크기가 커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분배유니트에 퓨즈를 설치하면서도 전원분배유니트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전원분배유니트에 설치된 퓨즈를 불의의 외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메인몸체의 하면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주위와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며 구획리브에 의해 안착공간이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획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퓨즈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안착공간 입구를 차폐하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의 하면에서 쌍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획리브가 그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격벽 및 상기 구획벽의 내면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구비한 걸이후크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폐판에는 다수개의 확인창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구획된 안착공간 내부의 퓨즈를 각각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차폐판의 외면에는 로케이션핀이 상기 구획격벽의 돌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구획벽보다 상기 차폐판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되어 상기 차폐판의 표면이 상기 구획벽의 상단인 메인몸체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커버의 걸이후크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턱은 상기 구획벽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데, 걸이턱의 선단에는 안내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이턱이 상기 구획벽의 상단과 구획벽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 의한 퓨즈장착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의 퓨즈장착장치는 전원분배유니트의 메인몸체의 하면에 요입되어 형성된 안착부 내에 퓨즈를 장착하고, 상기 안착부를 상기 메인몸체의 하면과 같은 평면이 되는 커버로 차폐하였으므로, 메인몸체의 내부에 위치하면서도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전원분배유니트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분배유니트의 메인몸체 외면으로 개구되는 안착공간을 커버로 차폐하였으므로, 전원분배유니트의 이동중에 외력에 의해 퓨즈가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커버의 차폐판 내면에 차단격벽이 설치되어 인접하는 안착공간에 있는 퓨즈 사이에서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착공간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으로 전원분배유니트의 메인몸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퓨즈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가 채용된 전원분배유니트의 메인몸체 부분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버를 전원분배유니트의 메인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보인 평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퓨즈장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원분배유니트의 메인몸체(10)의 하면에는 안착부(12)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2)의 형성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10)의 반대쪽 면으로는 돌출된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안착부(12)는 구획벽(14)에 의해 주변과 구획된다. 상기 구획벽(14)은 본 실시예에서 메인몸체(10)를 하면방향으로 볼 때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구획벽(14)의 내면에는 걸이요홈(15)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요홈(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20)의 걸이턱(26)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참고로 상기 걸이요홈(15) 대신에 돌출된 형태의 돌기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구획벽(14)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안착부(12)의 내부에는 안착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16)은 본 실시예에서 육면체 형태의 공간으로 된다. 상기 안착공간(16)의 중앙을 가로질러서는 구획리브(18)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공간(16)을 두 개로 구획한다. 상기 구획리브(18)의 높이는 상기 구획벽(14)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좋기로는 아래에서 설명될 커버(20)의 차폐판(22)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된다.
상기 구획리브(18)가 연장되는 방향을 상기 안착공간(16)의 길이방향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구획리브(18)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16)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안착공간(16)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36)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구획벽(14)에 의해 구획된 상기 안착공간(16)을 차폐하도록 커버(20)가 설치된다. 상기 커버(20)는 상기 안착공간(16)의 입구에 위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안착공간(16)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커버(20)에는 차폐판(22)이 구비된다. 상기 차폐판(22)은 상기 안착공간(16)의 입구를 차폐하는 것으로, 상기 구획벽(14)에 의해 구획되는 형상에 맞게 사각형의 판상으로 된다.
상기 차폐판(22)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걸이후크(24)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후크(24)는 그 선단에 각각 상기 구획벽(14)을 향하도록 걸이턱(26)이 돌출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턱(26)의 일면을 따라서는 안내경사면(24')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24')은 상기 구획벽(14)의 상단과 내면을 따라 걸이턱(26)이 안내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이후크(24)는 차폐판(22)의 네 모서리에 인접하게 4개가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그 갯수는 커버(20)가 메인몸체(10)에 결합되는 결합력을 고려하여 달리된다.
상기 차폐판(22)의 하면에는 상기 안착공간(1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차단격벽(28)이 형성된다. 상기 차단격벽(28)은 두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차단격벽(28)의 사이에는 상기 구획리브(18)가 위치된다. 상기 차단격벽(28) 사이의 간격은 상기 구획리브(18)의 두께정도가 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차단격벽(28)과 구획리브(18)의 높이는 거의 동일하게 된다. 상기 차단격벽(28)은 상기 구획리브(18)에 의해 구획된 2개의 안착공간(16)사이에서 절연거리를 길게 만드는 역할을 하여 2개의 안착공간(16)에 각각 설치된 퓨즈(36) 사이에서 절연이 보다 확실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차단격벽(28)은 상기 구획리브(18) 전체를 감쌀 수 있도록 그 크기가 설계된다.
상기 차폐판(22)의 외면에는 로케이션핀(3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로케이션핀(30)은 메인몸체(10)를 고정부위에 장착할 때, 위치를 설정하여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부위에 형성된 통공에 삽입된다.
상기 차폐판(22)에는 또한 확인창(3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확인창(32)은 상기 구획리브(18)에 의해 나누어진 각각의 안착공간(16)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안착공간(16)에 대해 2개의 확인창(3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안착공간(16)에는 퓨즈(36)가 장착된다. 상기 퓨즈(36)는 원통형으로 된 몸체관(38)의 내부에 용단부가 있고, 상기 용단부가 상기 몸체관(38)의 양단에 구비되는 단자(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이다. 상기 단자(39)는 상기 메인몸체(10)의 내부쪽에 구비되는 버스바(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퓨즈장착장치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메인몸체(10)에 전원분배장치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는데, 상기 안착부(12)는 메인몸체(10)의 하면에 형성되어 있어서, 다른 부품들과는 격리된다. 즉, 안착부(12)가 상기 메인몸체(10)의 하면에 요입되게 형성됨으로 인해, 다른 부품과의 사이의 절연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게 된다. 물론 물리적인 거리는 가깝지만 메인몸체(10)가 하나의 벽체 역할을 하여 절연거리가 길어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안착공간(16)의 내부에는 메인몸체(10)에 설치된 버스바가 양단에 각각 노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버스바에 상기 퓨즈(36)의 단자(39)가 각각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퓨즈(36)가 안착된 상기 안착공간(16)을 상기 커버(20)가 차폐한다. 상기 커버(20)를 상기 안착부(12)에 결합하는 것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커버(20)의 차단격벽(28)의 선단 사이에 상기 구획리브(18)의 상단이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구획리브(18)가 상기 차단격벽(28)의 사이로 들어가게 하면서 상기 커버(20)를 메인몸체(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이동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면 상기 걸이후크(24)의 걸이턱(26)이 상기 구획벽(14)의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 걸이턱(26)의 안내경사면(26')이 상기 구획벽(14)의 상단에 안착되어 안내되면, 상기 걸이후크(24)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커버(20)는 상기 안착공간(16)의 입구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걸이후크(24)의 걸이턱(26)이 상기 걸이요홈(15)을 만나게 되면 걸이후크(24)가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걸이턱(26)이 상기 걸이요홈(15)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20)가 메인몸체(10)에 결합된 상태가 도 2 및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커버(20)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16)이 차폐되면, 상기 안착공간(16)의 내부에 설치된 퓨즈(36)는 외부와 차폐되어 외부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게 된다. 하지만, 상기 확인창(32)을 통해서 상기 안착공간(16) 내부에 위치된 퓨즈(36)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퓨즈(36)의 용량을 퓨즈(36)에 표시된 색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창(32)은 또한 안착공간(16)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상기 커버(20)의 차폐판(22)의 외면은 상기 구획벽(14)의 상단과 같은 높이로 되어 메인몸체(10)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게 된다. 이는 상기 메인몸체(10)가 고정부위에 장착될 때, 커버(20)의 차폐판(22)을 포함하는 메인몸체(10)의 하면 전체가 고정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구획리브(18)는 상기 차폐판(22)의 두께정도만큼 구획벽(14)보다 낮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커버(20)가 메인몸체(10)의 안착부(12)에 장착되면, 상기 커버(20)는 상기 차단격벽(28)에 의해 안착공간(16)의 길이방향 및 그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에 더해 상기 걸이후크(24)가 구획벽(14)의 걸이요홈(15)에 걸어짐과 상기 차폐판(22)의 가장자리가 상기 구획벽(14)의 상단 내측에 위치됨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상기 커버(20)를 상기 메인몸체(10)에서 분리하여 퓨즈(36)를 교체하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커버(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공구를 상기 커버(20)의 차폐판(22)과 구획벽(14)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하여 상기 걸이후크(24)를 탄성변형시키면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요홈(15)을 구획벽(14)을 관통하도록 형성한 경우에는 공구를 사용하여 상기 걸이요홈(15) 내부의 걸이턱(26)을 밀어내면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안착부(12)가 전원분배유니트의 메인몸체(10)에 형성되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다양한 제품의 하우징이나 케이스 등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구획리브(18)가 하나만 있으나, 다수개가 나란히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구획리브(18)에 의해 안착공간(16)이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10: 메인몸체 12: 안착부
14: 구획벽 15: 걸이요홈
16: 안착공간 18: 구획리브
20: 커버 22: 차폐판
24: 걸이후크 26: 걸이턱
26': 안내경사면 28: 차단격벽
30: 로케이션핀 32: 확인창
36: 퓨즈 38: 몸체관
39: 단자

Claims (5)

  1. 메인몸체의 하면에 요입되게 형성되고 주위와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며 구획리브에 의해 안착공간이 적어도 두개 이상으로 구획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퓨즈가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의 안착공간 입구를 차폐하는 차폐판과 상기 차폐판의 하면에서 쌍으로 돌출되고 상기 구획리브가 그 사이에 위치되는 구획격벽 및 상기 구획벽의 내면에 걸어지는 걸이턱을 구비한 걸이후크를 포함하는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에는 다수개의 확인창이 형성되어 상기 구획리브에 의해 구획된 안착공간 내부의 퓨즈를 각각 확인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장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외면에는 로케이션핀이 상기 구획격벽의 돌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장착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리브는 상기 구획벽보다 상기 차폐판의 두께만큼 낮게 형성되어 상기 차폐판의 표면이 상기 구획벽의 상단인 메인몸체의 하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장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걸이후크의 선단에 형성된 걸이턱은 상기 구획벽의 내면을 향해 돌출되는데, 걸이턱의 선단에는 안내경사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걸이턱이 상기 구획벽의 상단과 구획벽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퓨즈장착장치.
KR2020100012366U 2010-11-30 2010-11-30 퓨즈장착장치 KR2012000404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66U KR20120004040U (ko) 2010-11-30 2010-11-30 퓨즈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366U KR20120004040U (ko) 2010-11-30 2010-11-30 퓨즈장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40U true KR20120004040U (ko) 2012-06-08

Family

ID=4661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366U KR20120004040U (ko) 2010-11-30 2010-11-30 퓨즈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04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353A1 (en) 2012-06-29 2014-01-03 Tyco Electronics Amp Korea Ltd.(Tek) Fus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79824B1 (ko) * 2016-12-28 2018-07-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3353A1 (en) 2012-06-29 2014-01-03 Tyco Electronics Amp Korea Ltd.(Tek) Fuse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879824B1 (ko) * 2016-12-28 2018-07-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블럭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5865B2 (ja) 電子部品
JP6062530B2 (ja) 電子部品の組付構造及び電気接続箱
US9425520B2 (en) Battery wiring module
JP6441112B2 (ja) 電子部品ユニット、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5779010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構造体
CN103219554A (zh) 蓄电装置
WO2015159524A1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バッテリ監視モジュールおよ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
JP5609464B2 (ja) 電気接続箱
JP6211483B2 (ja) リーク遮断構造、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ユニット
KR20120004040U (ko) 퓨즈장착장치
KR20140136152A (ko) 정션박스
KR101212056B1 (ko) 전원분배유니트
KR200470700Y1 (ko) 차량용 조인트 박스
KR100759123B1 (ko)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CN103384908B (zh) 熔断器盒
CA2916224C (en) Block for vehicle
KR101687231B1 (ko) 자동차용 블럭
KR101522270B1 (ko) 차단기
KR200477203Y1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US10462914B2 (en) Cover structure and electric connection box
KR200482382Y1 (ko) 전기적 연결장치의 수분차단구조
JP6254287B2 (ja) 携帯可能で再充電可能な直流貯蔵装置用の容器
KR101989395B1 (ko) 박스용 커버장치
KR101146498B1 (ko) 배터리분배유니트
JP6355524B2 (ja) 開閉器の端子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