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924U - 발효 막걸리병 마개 - Google Patents

발효 막걸리병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924U
KR20120003924U KR2020100012199U KR20100012199U KR20120003924U KR 20120003924 U KR20120003924 U KR 20120003924U KR 2020100012199 U KR2020100012199 U KR 2020100012199U KR 20100012199 U KR20100012199 U KR 20100012199U KR 20120003924 U KR20120003924 U KR 201200039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stopper
makgeolli
rice win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21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393Y1 (ko
Inventor
임형욱
Original Assignee
임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욱 filed Critical 임형욱
Priority to KR20201000121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393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9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9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3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3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65D51/1633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 B65D51/1661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whereby venting occurs by automatic opening of the closure, container or other element by means of a passage for the escape of gas between the closure and the lip of the container mou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발효 막걸리병의 목부 상단 주입구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병의 주입구 상부에는 마개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마개의 하단에는 절개 가능하도록 연결웨브로 연결된 실링밴드를 형성하여서 된 발효 막걸리병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내부 저면 상단에 발효 막걸리병 마개가 막걸리병의 목부에 체결 시 목부의 주입구 내주연에 밀접될 수 있도록, 외향경사면과 걸림환턱을 구비하는 돌출된 리브(22)를 형성하고;
상기 막걸리병 마개의 내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막걸리병 마개가 병의 목부에 체결 시 병의 주입구 외주연과 밀접되면서 병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스 배출홈(23,24)들을 형성하며;
상기 가스 배출홈(23,24)의 사이에는 바이패스홈(25)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에 따르면;
막걸리병의 주입구 실링 및 발효가스 배출을 위해 병의 목부 주입구 상단에 별도의 패킹을 설치할 필요없이 본 고안의 마개만을 나사결합하므로서, 하절기나 동절기 또는 막걸리의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마개의 내부 상단에 형성된 돌출된 리브와, 마개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스 배출홈에 의해 막걸리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면서 발효 가스만 외부로 가변적으로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막걸리의 현탁액이 발효가스와 함께 마개의 가스 배출홈들을 통과하면서 현탁액이 가스 배출홈들의 어느 한 부분을 막을 경우, 발효가스는 바이패스홈을 통해서 막히지 않은 다른 부분의 가스 배출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발효 막걸리병 마개{Bottle Cap of Fermentation Makgeolli}
본 고안은 발효 막걸리병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 막걸리병 마개의 발효 가스 배출구조를 개선하여서 막걸리병의 주입구에 별도의 패킹을 구성하지 않더라도 막걸리 유통 과정에서 발생되는 발효 가스를 날씨와 온도차 등 악조건하에서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면서 가변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막걸리의 현탁액이 발효가스와 함께 마개의 가스 배출홈들을 통과하면서 현탁액이 가스 배출홈들의 어느 한 부분을 막을 경우 발효가스는 바이패스홈을 통해서 막히지 않은 다른 부분의 가스 배출홈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형태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막걸리는 한국의 고유한 전통술의 하나로서, 보통 쌀이나 밀에 누룩을 첨가하여 발효시켜 만든 술로, 발효할 때 알콜 발효와 함께 유산균 발효가 이루어지며, 막걸리의 알콜 도수는 6~8%정도이다.
좋은 막걸리는 단맛, 신맛, 쓴맛, 떫은맛이 잘 어울리고 감칠맛과 맑고 시원한 맛이 있으며, 땀을 흘리면서 일하는 농부들의 갈증을 덜어주는 농주로 애용되어 왔다.
이러한 발효 막걸리는 합성수지 재질의 막걸리병에 포장되어 운반 및 보관되는 것으로서, 막걸리병의 주입구에는 운반 및 보관 과정에서 발효되는 가스를 외부로 적량 배출할 수 있도록 병의 주입구를 막는 패킹과 함께 하단에 실링밴드가 구비된 마개에 의해 실링되어 있다.
막걸리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가 유통 과정에서 외부로 배출되지 않으면 일반소비자가 막걸리 마개를 개봉할 때 병 내부에 축적된 발효 가스가 순간적으로 폭발 분출되거나, 유통 과정에서 병 내부의 발효 가스가 팽창되어 병의 바닥면이 변형되는 폐단이 있으므로,
외기의 온도변화에 따른 막걸리의 운반 및 보관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가 병 내부에 축적되지 않도록 아주 미량씩 병 외부로 배출되도록 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막걸리는 플라스틱 용기에 담겨 유통되며, 막걸리는 용기에 완전하게 포장된 상태에서도 계속 발효가 이루어짐에 따라 용기 내에서는 필연적으로 발효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발효 가스가 외부로 발산되지 못하게 되면, 용기의 형상이 변형되기도 하고 막걸리 맛이 변하게 되므로 막걸리병에 사용되는 마개에는 발효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를 형성하여만 한다.
종래 막걸리병 마개에서 알루미늄으로 제작된 병마개는 공기는 빠져나갈 수 있으나 내용물과 같은 액체는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부직포를 내삽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병목과 병마개의 잠금상태가 과도하여 병목의 상단이 상기 부직포를 강하게 누르게 되면, 최초 부직포의 기능 즉, 공기를 배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막걸리병 마개에 사용되는 패킹은 병의 상단 주입구와 마개의 내부 대응되는 면에 합성수지재의 패킹지를 삽입하여서 내, 외부의 기밀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밀폐성이 강조되고 있다.
막걸리가 담기는 병마개 구조는 내용물을 보관하기 위해 내부의 막걸리가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내부에서 발효되는 발효 가스만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부직포와 발포시트 등을 함께 삽입하여 고정시켜 사용하고 있다.
마개의 내부에 패킹을 삽입하는 병뚜껑은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93-25638호의 가스유출용 패킹에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고안은 뚜껑의 내부에 전면의 중앙부에서 가장자리까지 지름선 상으로 배출 요홈을 형성시킨 상부패킹과, 그 하부에는 링형의 탄력성 하부패킹을 접하도록 삽입시켜 상부패킹과 하부패킹을 접한 사이면에 지름선 상의 배출 요홈을 형성시켜서 된 가스 유출용 패킹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상부패킹은 부직포 등이 사용되고, 하부패킹은 PE(Polyethylene: 이하 'PE 수지'라 함)가 사용되고 있으며, 하부패킹인 PE수지의 특징으로는 유연성을 들 수 있으며 내수성과, 산과 알카리에 잘 견디며, 위생적으로 무독하며 수분을 통과시키지 않지만 탄산가스, 유기용제, 향료 등의 투과도는 상당히 크므로 해서 밀폐용기 등의 패킹의 재료로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에 따른 기술은 가는 홈선을 제조시 성형온도 및 압력에 따라 홈선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 패킹을 뚜껑의 내면에 넣고 병 개구부에 나사로 뚜껑을 체결시 가압상태에 따라 패킹의 가는 홈선의 홈 크기가 각기 상이하여 홈의 크기가 클 경우에는 내부의 액체가 누출될 수 있고 너무 작은 경우에는 발효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는 폐단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패킹과 하부패킹의 접합면을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독성이 강한 접착제가 녹아내려 사람이 식음하게 되는 문제점 또한 간과할 수 없는 것이다.
이에 한국 공개특허 제99-83745호에서는 접착제의 사용 없이 압출기에 의해 가소화된 PE수지를 압출시킴과 동시에 동일 단면을 가진 길이의 부직포지의 일측면을 맞대응시켜 압출과 동시에 용해상태로 압출된 PE 발포시트의 일측면이 부직포지의 일측면에 열융착 결합 되어진 후, 다수 개의 압출롤을 통과하게 하여서 고착 및 인취시켜 패킹지를 제조하는 병뚜껑용 패킹지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364897호에서는, 후도(thickness) 0.32?0.57㎜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폴리에틸렌 발포시트의 하부면에 압력 로울러로 열융착시켜서 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이용한 가스배출용 패킹을 개시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 등록특허 제10-716208호와 같은 탁주병 뚜껑용 패킹 및 이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326541호와 같은 가스배출구를 갖춘 막걸리병 마개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들에서 개시된 부직포는 상대적으로 너무 두꺼워 병 내부의 액체가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막걸리의 경우 음용 전에 내용물을 흔들어 마시게 되는데, 이때 병 내부의 액체가 누출되거나 또는 유통중에도 액체가 누출되어 막걸리의 선호도가 다른 주류에 비해 떨어지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유통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선호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막걸리의 경우 동절기에는 발효 가스의 발생량이 적어서 유통과정에 특별한 문제가 없으나 무더위가 시작되는 하절기에 접어들면서 병 내부의 발효 가스 발생량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기존의 가스배출용 패킹으로는 병 내부의 발효 가스 발생량에 비해 패킹과 마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량이 적어서 용기의 변형을 가져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막걸리의 맛의 변화와 유통기한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막걸리를 마실 때 흔들 경우에는 병 내부에 잔류하는 발효 가스에 의해 병이 폭발하면서 막걸리가 비산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막걸리병 마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막걸리병 마개는 막걸리병(2)의 상단 주입구에 마개(1)가 나사결합되고, 이 마개의 하단에는 실링밴드(5)가 결합되어 마개의 초기 개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병의 주입부에 실링된다.
상기 막걸리병(2)의 상단 주입구에는 발효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패킹(3)이 삽입되고, 이러한 패킹은 마개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둥근 돌출부(4)에 의해 병의 주입구 전체에 밀착되어서 패킹(3)의 전체를 가압하여서 담겨진 막걸리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면서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만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막걸리병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점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배출된다.
상기 패킹(3)은 마개(1)의 내부 저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병의 주입구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패킹(3)의 저면에는 음각이나 양각된 다수의 가스배출구를 갖도록 격자형의 부직포나 격자형 필터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부직포나 필터에 형성된 가스배출구는 바둑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가스배출구의 홀 크기는 0.01~0.1mm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므로, 종래와 같은 막걸리병 마개들은 모두 발효 가스를 배출하기 위해 패킹의 저면에 형성된 격자형 부직포나 필터의 가스배출구 상에 형성된 홀 크기에 개발의 주안점이 맞추어져 있는 것이다.
패킹의 저면에 형성된 격자형의 부직포나 필터의 가스배출구의 홀 크기를 크게 할 경우에는 병의 내부에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쉽게 배출시킬 수는 있으나 동절기에 유통과정에서 막걸리가 외부로 누출될 염려가 있다.
반대로 가스배출구의 홀 크기를 작게 할 경우에는 유통과정에서 막걸리가 외부로 누출될 염려는 없으나 하절기에 병의 내부에 발효 가스 발생량이 크게 증가할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막걸리병 마개(1)는 초봄이나 늦가을, 동절기에는 발효 가스 배출에 특별한 문제가 없으나 온도가 올라가는 하절기, 주야 온도차가 심한 계절, 운반과정에서 막걸리가 직사광선에 노출될 경우에는 병 내부에 발효 가스가 급격히 발생하게 되어 발효 가스 배출에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기존의 도 1과 같은 막걸리병의 실링 구조는 마개(1)의 저면에 형성된 둥근 돌출부(4)가 패킹(3)을 전체면을 압착하면서, 병의 주입구 전체에 걸쳐 긴밀하게 맞물려 있어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다량의 발효 가스를 외부로 적절히 배출시키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막걸리의 유통과정 중 발효 가스에 의해 막걸리병이 팽창되어 병의 바닥이 부풀어 오르는 등 용기의 변형을 가져오게 되고, 이로 인한 막걸리 맛의 변화와 유통기한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으며, 막걸리를 마실 때 흔들 경우에는 병 내부에 잔류하는 다량의 발효 가스에 의해 병이 폭발하면서 막걸리가 비산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20-2010-6663호(2010. 6. 24. 출원)와 같은 발효 막걸리병 마개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 막걸리병(100)의 목부 상단 주입구에 나사산(101)이 형성되고, 병의 주입구에는 패킹(102)이 안착되며, 이의 상부에는 하단에 실링밴드(104)를 구비하는 마개(103)를 나사결합으로 고정하여서 된 발효 막걸리병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103)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하향 돌출된 4~6개의 돌출부(105)를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105)는 상기 마개(103)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4~6개를 일정 간격마다 하향으로 형성하되, 돌출부의 돌출된 두께는 0.1~0.5mm 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발효 막걸리용 마개는 외부 온도가 올라가는 하절기, 주야 온도차가 심한 계절, 운반과정에서 막걸리가 직사광선에 노출되어 병 내부에 발효 가스가 급격히 발생하더라도 마개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4~6개의 돌출부(105)와, 이와 맞닿는 패킹(102)이 병의 주입구를 효과적으로 차폐하여서 막걸리병의 내부에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외부로 가변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위와 같은 구조를 지닌 종래의 모든 형태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발효 막걸리병(100)의 목부 상단 주입구에 패킹(102)이 안착되어 있고, 이러한 패킹(102)과 마개(103) 및 병의 주입구가 상호 연관 작용에 의해 발효 막걸리병의 내부에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 기술에 의한 모든 형태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병의 주입구 실링 및 발효가스 배출을 위해 병의 주입구에 별도의 패킹(102)을 필히 구비하여야 하므로 패킹에 대한 제품의 원가 상승을 가져오게 되고, 패킹을 추가로 조립하는데 따른 제조공정이 늘어나게 되며, 결국 막걸리병 마개의 생산비가 증가하게 되어 제품의 경쟁력이 저하되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다.
한편, 종래 기술의 단점을 더욱 개선하고자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출원 제20-2010-10049호(2010. 9. 29. 출원)와 같은 발효 막걸리병 마개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도 8,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효 막걸리병(50)의 목부(57) 상단 주입구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병의 주입구 상부에는 마개(51)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마개의 하단에는 절개 가능하도록 연결웨브로 연결된 실링밴드(52)를 형성하여서 된 발효 막걸리병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51)의 내부 저면 상단에 발효 막걸리병 마개가 막걸리병의 목부(57)에 체결 시 목부의 주입구(58) 내주연에 밀접될 수 있도록, 외향경사면(54)과 걸림환턱(55)을 구비하는 돌출된 리브(53)를 형성하고;
상기 막걸리병 마개의 내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막걸리병 마개가 병의 목부(57)에 체결 시 병의 주입구(58) 외주연과 밀접되면서 병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스 배출홈(56)을 형성하여서 것이다.
이러한 구조를 지닌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발효 막걸리병 마개가 막걸리병의 목부에 체결 시 막걸리병의 주입구 실링 및 발효가스 배출을 위해 병의 목부 주입구 상단에 별도의 패킹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서, 하절기나 동절기 또는 막걸리의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마개의 내부 상단에 형성된 돌출된 리브와, 마개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스 배출홈에 의해 막걸리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면서 발효 가스만 외부로 가변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막걸리병의 주입구 실링 및 발효가스 배출을 위해 병의 목부 주입구 상단에 별도의 패킹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막걸리병의 제조 공정을 단축시키고, 막걸리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마개(51)의 내부 저면 상단에 돌출된 리브(53)를 형성하고, 막걸리병 마개의 내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다수의 가스 배출홈(56)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므로, 막걸리의 보관 및 유통과정에서 경우에 따라 상기 가스 배출홈(56)이 막혀서 발효가스를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할 염려가 있었다.
막걸리는 곡식으로 만들기 때문에 곡분을 포함하는 현탁액으로 되어 있어 내용물을 흔들 경우 병 내부의 액체가 누출되거나 또는 유통중에도 액체가 누출되는 단점이 있는데, 이러한 막걸리 유통 과정에서 막걸리에 함유된 현탁액이 발효가스와 함께 배출되면서 상기 가스 배출홈(56)들을 막게 되어 발효가스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할 염려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막걸리병의 주입구 실링 및 발효 가스만을 배출시키기 위해 병의 목부 주입구 상단에 별도의 패킹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발효 막걸리병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하절기나 동절기 또는 막걸리의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를 마개의 내부 상단에 형성된 돌출된 리브와, 마개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스 배출홈에 의해,
막걸리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면서 막걸리에 함유된 현탁액에 의해 가스 배출홈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발효 가스만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발효 막걸리병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막걸리병의 주입구 실링 및 발효가스만을 배출시키기 위해 병의 목부 주입구 상단에 별도의 패킹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서 막걸리 병마개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막걸리의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발효 막걸리병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발효 막걸리병의 목부 상단 주입구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병의 주입구 상부에는 마개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마개의 하단에는 절개 가능하도록 연결웨브로 연결된 실링밴드를 형성하여서 된 발효 막걸리병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내부 저면 상단에 발효 막걸리병 마개가 막걸리병의 목부에 체결 시 목부의 주입구 내주연에 밀접될 수 있도록, 외향경사면과 걸림환턱을 구비하는 돌출된 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막걸리병 마개의 내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막걸리병 마개가 병의 목부에 체결 시 병의 주입구 외주연과 밀접되면서 병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스 배출홈들을 형성하며;
상기 가스 배출홈의 사이에는 바이패스홈을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가스 배출홈들 중에서, 내측의 가스 배출홈은 홈의 깊이를 깊고 넓게 형성하고; 바깥쪽 가스 배출홈은 홈의 깊이를 얕고 좁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발효 막걸리병 마개가 막걸리병의 목부에 체결 시 막걸리병의 주입구 실링 및 발효가스 배출을 위해 병의 목부 주입구 상단에 별도의 패킹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하절기나 동절기 또는 막걸리의 운반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마개의 내부 상단에 형성된 돌출된 리브와, 마개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스 배출홈에 의해 막걸리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면서 발효 가스만 외부로 가변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는 막걸리의 현탁액이 발효가스와 함께 마개의 가스 배출홈들을 통과하면서 현탁액이 가스 배출홈들의 어느 한 부분을 막을 경우, 발효가스는 바이패스홈을 통해서 막히지 않은 다른 부분의 가스 배출홈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발효 막걸리병 마개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발효 막걸리병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발효 막걸리병과 마개 및 패킹을 분리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막걸리병에서 내부의 발효 가스를 정상적으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취 작용상태 사시도
도 6은 도 3의 막걸리병에서 내부의 발효 가스가 증가할 경우, 마개의 내부 저면에 형성된 돌출부들의 사이 패킹이 발효 가스의 압력에 의해 활처럼 휘어지면서 약간 들려서 발효 가스를 가변적으로 배출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취 작용상태 사시도
도 7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발효 막걸리병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를 일부 절단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발효 막걸리병 마개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발효 막걸리병 마개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절단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11에서, 부호 20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발효 막걸리병 마개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러한 발효 막걸리병 마개(20)는 막걸리병의 목부 상단 주입구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된다.
상기 마개(20)의 하단에는, 절개 가능하도록 연결웨브로 연결되는 실링밴드(21)가 형성되어 있어 마개가 병의 주입구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시 이의 하단 실링밴드가 병의 목부에 형성된 걸림턱에 긴밀히 삽입되어 막걸리의 유통과정에서 마개(20)의 밀봉상태를 유지하며, 최종 소비자는 실링밴드(21)의 파단에 의해 마개의 초기 개봉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 구성은 발효 막걸리병 마개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일반적인 기술 구성으로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부 구성은 도 10,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마개(20)의 내부 저면 상단에 발효 막걸리병 마개가 막걸리병의 목부에 체결 시 목부의 주입구 내주연에 밀접될 수 있도록, 외향경사면과 걸림환턱을 구비하는 돌출된 리브(22)를 형성하고;
상기 막걸리병 마개의 내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막걸리병 마개가 병의 목부에 체결 시 병의 주입구 외주연과 밀접되면서 병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스 배출홈(23,24)을 형성하며;
상기 가스 배출홈(23,24)의 사이에는 바이패스홈(25)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 가스 배출홈(23,24)들 중에서 내측의 가스 배출홈(23)은 홈의 깊이를 깊고 넓게 형성하여서 막걸리병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가 쉽고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바깥쪽의 가스 배출홈(24)은 홈의 깊이를 얕고 좁게 형성하여서 상기 가스 배출홈(23)을 통과한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속도를 적절히 조절하도록 하였다.
다른 실시예로서, 계절의 변화나 막걸리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 발생량에 따라서 상기 가스 배출홈(23,24)들 중에서 내측의 가스 배출홈(23)은 홈의 깊이를 얕고 좁게 형성하고, 바깥쪽의 가스 배출홈(24)은 홈의 깊이를 깊고 넓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스 배출홈(23,24)들의 사이에는 바이패스홈(25)을 형성하여서 상기 내측의 가스 배출홈(23)을 쉽고 용이하게 통과한 발효가스가 바깥쪽에 형성된 가스 배출홈(24) 중 어느 한 부분이 막걸리의 현탁액에 의해 막혀 있을 경우, 바이패스홈(25)에 체류하면서 발효가스 압력에 의해 막히지 않은 다른 부분의 가스 배출홈(24)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였다.
또한, 막걸리는 곡식으로 만들기 때문에 곡분을 포함하는 현탁액으로 되어 있어 막걸리 유통 과정에서 막걸리에 함유된 현탁액이 발효가스와 함께 배출되면서 가스 배출홈을 막아 발효가스가 원활하게 배출시키지 못할 염려가 있는데,
본 고안은 이러한 막걸리의 현탁액이 발효가스와 함께 마개의 가스 배출홈(23,24)들을 통과하면서 현탁액이 가스 배출홈들의 어느 한 부분을 막을 경우, 발효가스는 바이패스홈(25)을 통해서 막히지 않은 다른 부분의 가스 배출홈(24)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20)는 종래와 같이 막걸리병 주입구의 실링 및 발효가스 배출을 위해 병의 목부 상단 주입구에 별도의 패킹을 설치하지 아니하더라도, 막걸리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가스의 압력에 의해 막걸리병의 주입구 내주연에 밀접된 돌출된 리브(22)가 마개의 중앙부로 약간 수축되어 발효 가스가 배출되고, 이어서 마개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스 배출홈(23,24)들과 바이패스홈(25)을 통해 막걸리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면서 발효 가스만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다.
상기 돌출된 리브(22)는 상기 마개(20)가 막걸리병의 목부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시, 막걸리병의 주입구 내주연에 맞닿아 막걸리병의 주입구를 밀폐시키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돌출된 리브(22)에 형성된 외향경사면은 마개(20)를 막걸리병의 주입구 내주연에 삽입할 때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면서 막걸리병의 유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가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때 발효 가스의 통로 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된 리브(22)에 형성된 걸림환턱은 마개가 막걸리병의 목부 나사산에 나사결합될 시, 막걸리병의 주입구 내주연에 맞닿아서 막걸리병의 주입구 밀폐력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마개(20)는 막걸리병의 목부에 나사결합되면서 이의 하단 실링밴드(21)는 막걸리병의 목부에 있는 걸림턱에 걸어 고정되고, 막걸리병의 주입구 내주연에는 마개의 저면에 형성된 돌출된 리브(22)가 삽입되어 맞닿게 되고, 상기 외향경사면과 걸림환턱을 구비하는 돌출된 리브가 막걸리병의 주입구 내주연을 중심으로 향하여 휘어지면서 고유의 탄력으로 병의 주입구 내주연에 밀착된다.
아울러, 막걸리병의 주입구 외주연은 마개(20)의 내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스 배출홈(23,24)과 밀접되면서 병의 내부를 실링하면서 병의 내부에 발생하는 발효가스 압력에 따라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발효 막걸리병 마개(20)에 따르면, 막걸리병의 목부 상단에 나사결합되면서 돌출된 리브(22)는 막걸리병의 주입구 내주연에 삽입되어 주입구를 밀폐하게 된다.
막걸리 유통과정에서 병의 내부에 발효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막걸리 유통과정에서 외부의 날씨 변화 또는 온도차에 의해 병의 내부에 발효가스 발생량이 증가할 경우 발효가스의 상승압력에 의해 막걸리병의 주입구 내주연에 밀접된 돌출된 리브(22)가 마개의 중앙부로 약간 수축되어 발효가스가 배출되고, 이어서 마개(20)의 내부 저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가스 배출홈(23,24)을 통해 발효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아울러, 막걸리의 현탁액이 발효가스와 함께 마개의 가스 배출홈(23,24)들을 통과하면서 현탁액이 가스 배출홈들의 어느 한 부분을 막을 경우, 발효가스는 바이패스홈(25)을 통해서 막히지 않은 다른 부분의 가스 배출홈(24)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발효 막걸리병 마개(20)는 막걸리병의 목부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되고, 목부의 걸림턱과, 마개의 하단 실링밴드(21) 내주연의 스커트가 맞물리는 상태로 조여지는 통상의 체결상태가 확보됨은 물론이고, 본 고안에 의한 밀봉구조에 의하여 막걸리병의 주입구 상단에 별도의 실링 패킹이 없어도 막걸리병의 충분한 밀봉상태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경우에는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20 : 막걸리병 마개 21 : 실링밴드
22 : 돌출된 리브 23 : 가스 배출홈
24 : 가스 배출홈 25 : 바이패스홈

Claims (2)

  1. 발효 막걸리병의 목부 상단 주입구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병의 주입구 상부에는 마개가 나사결합으로 고정되며, 상기 마개의 하단에는 절개 가능하도록 연결웨브로 연결된 실링밴드를 형성하여서 된 발효 막걸리병 마개에 있어서,
    상기 마개의 내부 저면 상단에 발효 막걸리병 마개가 막걸리병의 목부에 체결 시 목부의 주입구 내주연에 밀접될 수 있도록, 외향경사면과 걸림환턱을 구비하는 돌출된 리브(22)를 형성하고;
    상기 막걸리병 마개의 내부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서 막걸리병 마개가 병의 목부에 체결 시 병의 주입구 외주연과 밀접되면서 병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발효 가스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다수의 가스 배출홈(23,24)들을 형성하며;
    상기 가스 배출홈(23,24)의 사이에는 바이패스홈(25)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발효 막걸리용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배출홈(23,24)들 중에서, 내측의 가스 배출홈(23)은 홈의 깊이를 깊고 넓게 형성하고; 바깥쪽 가스 배출홈(24)은 홈의 깊이를 얕고 좁게 형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발효 막걸리용 마개.
KR2020100012199U 2010-11-26 2010-11-26 발효 막걸리병 마개 KR2004653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199U KR200465393Y1 (ko) 2010-11-26 2010-11-26 발효 막걸리병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2199U KR200465393Y1 (ko) 2010-11-26 2010-11-26 발효 막걸리병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924U true KR20120003924U (ko) 2012-06-05
KR200465393Y1 KR200465393Y1 (ko) 2013-02-15

Family

ID=46613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2199U KR200465393Y1 (ko) 2010-11-26 2010-11-26 발효 막걸리병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3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98B1 (ko) * 2014-01-08 2015-04-14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막걸리 병뚜껑에 장착되는 패킹
CN110713914A (zh) * 2018-07-13 2020-01-21 南京塑维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酵素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6935Y1 (ko) * 1998-05-28 2001-02-01 박희영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998B1 (ko) * 2014-01-08 2015-04-14 주식회사 대산에스피 막걸리 병뚜껑에 장착되는 패킹
CN110713914A (zh) * 2018-07-13 2020-01-21 南京塑维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酵素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393Y1 (ko)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318877B2 (en) Tamper-evident closure and bead on container neck
US5452818A (en) Reusable beverage can closure
US20050211579A1 (en) Bottle cap
US20080199108A1 (en) Flexible Stand-Up Pouch with Integral Fitment and Internal Straw
US20110108509A1 (en) Container closure
JP3130480U (ja) ボトルキャップ
CN101362537A (zh) 调节压力变化的食品容器及其制造方法
KR200465393Y1 (ko) 발효 막걸리병 마개
US6695160B1 (en) Top load seal protection feature
CN102834330A (zh) 用于带螺纹盖子的结合唇肩密封件
US10793326B2 (en) Closure for a package
KR20120008838U (ko) 발효 막걸리병 마개
JP2005280750A5 (ko)
KR200438848Y1 (ko) 발효가스 배출용 패킹
KR20120002423U (ko) 발효 막걸리병 마개
CN217261876U (zh) 一种挤压式储料瓶盖
KR20110012042U (ko) 발효 막걸리병 마개
KR102063614B1 (ko)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KR100944718B1 (ko) 숄더 캡 결합 구조체
CN1997561A (zh) 用于容器,尤其是用于瓶子的封盖
JP2005088997A (ja) ボトルキャップ
CN203392089U (zh) 内塞外盖组合一体奶粉罐
WO1999046176A1 (en) Plastic closure liners and closures containing liners
KR101300848B1 (ko) 막걸리 용기용 뚜껑
WO2003059769A1 (en) Screw -cap closure for a container’s mouth and manufactur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