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935Y1 -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 Google Patents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935Y1
KR200206935Y1 KR2019980009035U KR19980009035U KR200206935Y1 KR 200206935 Y1 KR200206935 Y1 KR 200206935Y1 KR 2019980009035 U KR2019980009035 U KR 2019980009035U KR 19980009035 U KR19980009035 U KR 19980009035U KR 200206935 Y1 KR200206935 Y1 KR 2002069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gas discharge
gas
protrusion
discharg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1961U (ko
Inventor
박희영
Original Assignee
박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희영 filed Critical 박희영
Priority to KR2019980009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935Y1/ko
Publication of KR199900419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9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9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935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액체 보관용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액체를 보관하는 용기(B)의 유동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대략 원형의 바닥면(8)과; 상기 바닥면(8)에 환형으로 돌출 설치된 내측 돌기부(10)와;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 가스 배출홈(16)과; 상기 바닥면(8)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채 그 하부에 형성된 외측 밀폐부(14)와, 그 하단에 형성되어서 용기(B)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4)를 포함하는 벽면(2)과; 상기 돌기부 가스 배출홈(16)과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면(8)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바닥면 가스 배출홈(17)과; 상기 바닥면 가스 배출홈(17)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측 밀폐부(14)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밀폐부 가스 배출홈(18)을 구비하여, 용기(B) 입구 상단이 상기 바닥면(8), 내측 돌기부(10) 또는 외측 밀폐부(14)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할 때 상기 연결된 가스 배출홈들(16,17,18)을 통해 용기 내부의 액체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보관 또는 이동중에 가스가 발생되는 탁주와 같은 보관 용기의 마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본 고안은 액체 보관용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보관 및 이동시에 가스가 발생되는 탁주(濁酒)와 같은 액체를 보관하는 용기의 유동시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발생되는 가스는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는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탁주와 같은 액체를 보관하기 위한 종래의 용기 마개(C')는 도1a 내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원형의 바닥면(2')이 구비된 원통형의 벽면(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면(4')의 안쪽 둘레면에는 용기(B')의 입구에 형성된 숫나사(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도록 암나사(6')가 형성되어 있으며, 용기(B')의 입구 상단과 접촉하는 마개(C')의 바닥면(2')에는 돌출 설치된 다수개의 반원형 받침편(8')이 구비되어 그 받침편(8') 사이 사이로 공간홈(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벽면(4')의 안쪽 둘레면에는 암나사(6')가 절개된채 다수의 가스 배출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4'는 마개(C')에 일정한 힘 이상의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켰을 경우에만 마개(C')의 벽면(4')으로부터 분리되는 절개편이다.
이러한 구조를 하는 종래의 용기 마개(C')는 용기(B')의 입구 상단에 그 마개(C')를 결합시킨 채 일정한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용기(B')의 입구 바깥둘레에 형성된 숫나사가 마개(C')의 벽면(4') 안쪽 둘레면에 형성된 암나사(6')와 결합되는 동시에, 상기 용기(B')의 입구 상단이 마개(C')의 바닥면(2')에 비교적 넓게 형성된 받침편(8')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용기(B')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흘러넘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상기 마개(C')의 바닥면(2')에 형성된 받침편(8') 사이의 공간홈(10') 및 벽면(4')에 형성되어 있는 가스 배출홈(12')을 통하여 액체로부터의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기 마개는 용기의 입구 상단에 그 마개의 바닥면이 과도하게 밀착되었을 경우, 용기의 입구 상단이 마개의 바닥면에 형성된 받침편뿐만 아니라 그 받침편 사이의 공간홈에까지 과도하게 밀착됨으써, 상기 공간홈 및 벽면의 안쪽 둘레면에 형성된 가스 배출홈을 통하여 액체로부터의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마개를 느슨하게 용기에 결합시켰을 경우에는, 상기 용기의 입구와 마개의 바닥면에 형성된 받침편은 어느 정도 밀착되지만, 상기 받침편 사이 사이의 공간홈 크기가 너무 커짐으로써 용기의 유동시 액체가 쉽게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구나 상기 입구 반경이 표준치보다 약간 크거나 또는 작게 제조된 경우에는, 상기 용기의 입구 상단과 마개의 바닥면에 형성된 받침편 및 공간홈과의 밀착되는 부분이 기준위치에서 변하게 됨으로서, 용기내의 가스가 배출되지 않거나 또는 용기의 유동시 내부의 액체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용기의 입구에 마개가 느슨하게 또는 과도하게 밀착되어 결합되는 경우에도, 용기의 유동시 내부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고, 가스는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킴으로서, 마개의 개봉시 액체의 흘러 넘침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표준치보다 약간 크거나 작은 크기의 입구를 갖는 용기에 마개가 결합되었을 때에도, 상기와 같이 용기의 유동시 내부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고, 가스는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킴으로서, 마개의 개봉시 액체의 흘러 넘침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a 내지 도1c는 종래의 액체 보관용 용기에 마개가 결합된 사시도, 평단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보관용 용기 마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보관용 용기 마개의 다른 실시예의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에 대한 작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C ; 마개 2 ; 벽면
4 ; 암나사 8 ; 바닥면
10 ; 내측 돌기부 12 ; 요홈
14 ; 외측 밀폐부 16,17,18 ; 가스 배출홈
20 ; 걸림턱 B ; 용기
34 ; 숫나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대략 원형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에 환형으로 돌출 설치된 내측 돌기부와; 상기 내측 돌기부의 바깥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 가스 배출홈과; 상기 바닥면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채 그 하부에 형성된 외측 밀폐부와, 그 하단부에 형성되어서 용기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를 포함하는 벽면과; 상기 돌기부 가스 배출홈과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면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바닥면 가스 배출홈과; 상기 바닥면 가스 배출홈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측 밀폐부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밀폐부 가스 배출홈으로 이루어진 마개를 구비하여, 용기 입구 상단이 상기 바닥면, 내측 돌기부 또는 외측 밀폐부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할 때 상기 서로 연결된 다수의 가스 배출홈들을 통해 용기 내부의 액체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 돌기부의 바깥둘레 바닥면에는 환형의 요홈을 더 형성하여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3은 도2의 III-III'선 단면도이며, 도4는 도3의 요부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고, 도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C)는, 용기(B)의 입구에 결합되어 액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토록 상단에 대략 원형의 바닥면(8)이 구비된 원통형의 벽면(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면(2)의 안쪽 둘레면에는 암나사(4)가 형성되어 용기(B)의 입구에 형성된 숫나사(34)와 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원형의 바닥면(8)에는 용기(B)의 입구 안쪽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환형의 내측 돌기부(10)가 돌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면에는 축방향으로 다수의 돌기부 가스 배출홈(16)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닥면(8)의 가장자리에서 벽면(2)으로 연장된 부분에는 환형의 외측 밀폐부(14)가 축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단의 벽면(2) 내측 둘레면에 암나사(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형의 내측 돌기부(10) 바깥쪽의 바닥면(8)에는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돌기부 가스 배출홈(16)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바닥면(8)의 반경방향으로 바닥면 가스 배출홈(17)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면(2)의 외측 밀폐부(14)에도 역시 축방향으로 상기 바닥면 가스 배출홈(17)과 연결된 채 밀폐부 가스 배출홈(18)이 미세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용기(B)의 입구 상단이 상기 바닥면(8), 내측 돌기부(10) 또는 외측 밀폐부(14)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할 때 상기 서로 연결된 가스 배출홈(16,17,18)을 통해 용기 내부의 액체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돌기부(10), 바닥면(8) 및 외측 밀폐부(14)에 형성된 각각의 가스 배출홈들(16,17,18)은 액체로부터 발생된 가스만 통과할 수 있도록 미세한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액체는 유출되지 않토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 둘레 바닥면(8)에는 환형의 요홈(12)을 도5와 같이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면 길이가 더 길어지게 하여, 그 내측 돌기부(10)가 탄력적으로 움직이면서 용기(B)의 입구 내측에 결합 및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때에 상기 요홈(12)은 돌기부 가스 배출홈(16)과 밀폐부 가스 배출홈(18)을 서로 연결하는 역활을 하여, 용기 내부의 액체로부터 발생된 가스가 상기 돌기부 가스 배출홈(16), 요홈(12), 바닥면 가스 배출홈(17) 및 밀폐부 가스 배출홈(18)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면에는 환형의 걸림턱(20)을 형성함으로써 용기(B)의 내측에 보다 강력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하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보관용 용기 마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B) 내부의 액체로부터 발생된 가스는 용기(B)의 입구 내측에 밀착되어 있는 환형의 내측 돌기부(10)에 형성된 돌기부 가스 배출홈(16)을 통해서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 둘레에 형성된 바닥면 가스 배출홈(17)으로 배출된다. 이어서 이 가스는 상기 바닥면 가스 배출홈(17)의 바깥 둘레에 위치된 밀폐부 가스 배출홈(18)으로 배출된후 다시 벽면(2)에 형성된 암나사(4)와 숫나사(34)쪽으로 배출된다. 상기 암나사(4)와 숫나사(34) 사이에는 소정 공간의 틈새(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가스는 그 틈새를 통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또한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면인 바닥면(8)에 환형의 요홈(12)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돌기부 가스 배출홈(16), 요홈(12), 바닥면 가스 배출홈(17) 및 밀폐부 가스 배출홈(18)을 통하여 용기(B)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된다.
한편, 용기(B)의 입구에 마개(C)가 느슨하게 또는 과도하게 밀착되어 결합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마개(C)의 바닥면(8)에 형성된 환형의 내측 돌기부(10) 및 그 돌기부(10)에 형성된 걸림턱(20)이 용기(B)의 입구 내측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용기(B)의 유동시 내부 액체의 유출을 억제함과 동시에 액체로부터 발생된 가스는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용기(B)의 입구 반경이 표준치보다 약간 크거나 작은 경우에도 그 입구의 안쪽면 또는 바깥 면중 어느 한 부분은 항상 내측 돌기부(10)의 바깥면 또는 내측 돌기부(10)에 형성된 걸림턱(20),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 둘레에 위치하는 바닥면(8) 또는 외측 밀폐부(14)에 밀착됨으로써 액체의 외부 유출은 방지되고, 가스는 용이하게 외부로 방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변형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는, 용기의 입구에 마개가 느슨하게 또는 과도하게 밀착되어 결합되거나, 용기의 입구 반경이 표준치보다 약간 크거나 작은 오차를 갖는 용기에 마개가 결합되는 경우에도, 용기의 유동시에는 내부 액체의 유출을 방지하고, 동시에 액체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는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한다.

Claims (3)

  1. 대략 원형의 바닥면(8)과;
    상기 바닥면(8)에 환형으로 돌출 설치된 내측 돌기부(10)와;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 가스 배출홈(16)과;
    상기 바닥면(8)의 가장자리에서 연장된채 그 상부에 형성된 외측 밀폐부(14)와, 그 하단부에 형성되어서 용기(B)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4)를 포함하는 벽면(2)과;
    상기 돌기부 가스 배출홈(16)과 연결되도록 상기 바닥면(8)에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바닥면 가스 배출홈(17)과;
    상기 바닥면 가스 배출홈(17)과 연결되도록 상기 외측 밀폐부(14)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밀폐부 가스 배출홈(18)을 구비하여, 용기(B) 입구 상단부가 상기 바닥면(8), 내측 돌기부(10) 또는 외측 밀폐부(14)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할 때 상기 서로 연결된 가스 배출홈들(16,17,18)을 통해 용기 내부의 액체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둘레 바닥면(8)에는 환형의 요홈(12)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돌기부(10)의 바깥면에는 환형의 걸림턱(20)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KR2019980009035U 1998-05-28 1998-05-28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KR2002069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035U KR200206935Y1 (ko) 1998-05-28 1998-05-28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035U KR200206935Y1 (ko) 1998-05-28 1998-05-28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961U KR19990041961U (ko) 1999-12-27
KR200206935Y1 true KR200206935Y1 (ko) 2001-02-01

Family

ID=69512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035U KR200206935Y1 (ko) 1998-05-28 1998-05-28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93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393Y1 (ko) * 2010-11-26 2013-02-15 임형욱 발효 막걸리병 마개
KR101497240B1 (ko) * 2013-11-08 2015-02-27 채칠순 용기내부의 일정압력을 유지하는 안전마개
KR200487903Y1 (ko) * 2017-04-05 2019-02-08 양수만 액체용기용 열기배출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961U (ko) 1999-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1470A (en) Cap for sealing a container
JP5240313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WO1999064315A1 (fr) Couvercle de recipient
US3967745A (en) Self-positioning child-resistant closure
US5862936A (en) Bung for a pressure vessel
PL177645B1 (pl) Pokrywka pojemnika, zwłaszcza butelki
US3203576A (en) Container closure
US3986626A (en) Threaded cap and neck for a liquid container
JP2018144832A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キャップ付き容器
RU23040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закупоривания, емкость, оснащенная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а закупоривания
US3613928A (en) Safety-closure device
JP3904229B2 (ja) ビンまたは類似のもののための閉鎖装置
KR200206935Y1 (ko) 액체 보관용 용기의 마개
RU2294870C2 (ru) Затвор в виде пробки
US4717033A (en) Plastic closure with safety band
US3802027A (en) Plastic closure bushing
US6471082B1 (en) Fusible pressure relieving drum closure
EP0793604B1 (en) Closure arrangements for containers
RU2141916C1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хранения таблеток
US3738523A (en) Safety closure cap
KR200311104Y1 (ko) 용기뚜껑의 결합구조
KR200142260Y1 (ko) 용기 조립체
JPS6090151A (ja) 容器、中栓及び外蓋から成る組合せ
JP7353077B2 (ja) キャップ
JP2022144787A (ja) 合成樹脂製容器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