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3614B1 -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 Google Patents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3614B1
KR102063614B1 KR1020190089996A KR20190089996A KR102063614B1 KR 102063614 B1 KR102063614 B1 KR 102063614B1 KR 1020190089996 A KR1020190089996 A KR 1020190089996A KR 20190089996 A KR20190089996 A KR 20190089996A KR 102063614 B1 KR102063614 B1 KR 102063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arrel
inner cap
skirt
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금선호
Original Assignee
우성인팩(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성인팩(주) filed Critical 우성인팩(주)
Priority to KR102019008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3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3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3614B1/ko
Priority to PCT/KR2020/003665 priority patent/WO20201900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상 제1내장체가 저장되는 본(本)저장부를 갖는 바디의 주둥이 상부에 결합되고 이종 기능성 제2내장체가 저장되는 보조저장부를 구비한 이너캡과, 이 이너캡의 보조저장부 및 바디의 주둥이를 수밀되게 밀폐하는 아웃캡으로 구성되는 이중캡을 갖되, 보조저장부의 둘레에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쉴드를 통하여 투습을 방지하여 제2내장체를 습기로부터 보호(이를 위해 제습부재를 도입할 수 있다)하는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용기는 주둥이와, 제1내장체를 위한 본(本)저장부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 주둥이의 제1체결부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갖는 외(外)스커트, 하부에 복수의 내장체 배출부와 브릿지가 교호로 형성되고 상기 외스커트와 연결된 내(內)스커트, 보조저장부를 제공하는 배럴, 그리고 배럴의 보텀 외하면에 형성된 제1커플러를 포함하는 이너캡; 상기 바디의 제1나합부에 결합되고 제1-1밀폐부를 형성하는 외(外)드럼, 이 외드럼과 연결되고 상기 이너캡의 내스커트와 배럴 사이에 삽입되고, 배럴 외벽과 제2-1밀폐부를 형성하는 내(內)드럼, 그리고 이 내드럼의 상면을 덮고 이너캡 보조저장부의 개구부를 덮는 제2탑(top)을 포함하는 아웃캡; 및 상기 이너캡의 제1커플러에 결합되어 이너캡 배럴의 보텀 하부에 제1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1쉴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CONTAINER EQUIPPED WITH DOUBLE CAP HAVING DAMPPROOF AIR-POCKET FOR ACCEPTOR}
본 발명은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청량음료, 탄산수, 물, 커피, 요거트, 우유 등의 액상 제1내장체가 저장되는 본(本)저장부를 갖는 바디의 주둥이 상부에 결합되고 비타민 등의 이종 기능성 정제, 과립 또는 분말 형태의 제2내장체가 저장되는 보조저장부를 구비한 이너캡과, 이 이너캡의 보조저장부 및 바디의 주둥이를 수밀되게 밀폐하는 아웃캡으로 구성되는 이중캡을 갖되, 보조저장부의 하부, 상부, 측면의 일부 또는 모두에 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쉴드(shield)를 통하여 투습을 방지하여 제2내장체를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단열용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습제 수용부가 보조저장부에 구비되어 있어 제2내장체의 성능 지속성을 확실히 보장하고, 또 제2내장체를 보조저장부에 투입하고 이너캡과 아웃캡을 결합하여 밀폐하는 경우 내부 공기의 팽창으로 인하여 제조시 또는 유통시 밀폐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홀을 도입한 단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료수나 물, 커피, 요거트, 우유 등의 액상 제1내장체 외에도 별도의 비타민 등의 이종 기능성 정제, 과립 또는 분말의 제2내장체를 캡에 도입한 다양한 기술이 제시된 바 있다.
일례로 특허공개 제10-2004-0017204호(공개일자 2004년02월26일) [용기의 봉지기구 및 그 기구에 사용되는 캡]이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청량음료수와 같은 복수의 원료로 구성되는 액체를 사용 시에 혼합될 수 있는 상태로 구성 원료별로 격리하여 하나의 용기에 보존할 수 있게 하는, 용기의 봉지기구 및 그 봉지기구에 사용되는 원료의 수용실을 구비한 캡에 관한 것인데,
이 기술은 양산성, 단가경쟁력, 무엇보다도 수밀성에 문제가 있어 현실성이 떨어져 상업화하지 못한 기술에 속한다.
또 특허등록 제10-0900728호(등록일자 2009년05월27일) [용기의 마개]가 있는데,
이 등록특허는 저장부재에 수용된 첨가제를 개방부재를 상승 개방시켜 저장부재의 배출구로 배출하는 용기에서, 개방부재의 개폐 기능을 하는 원통형 단부플레이트하단에 단부플레이트의 상승 개방 시 저장부재의 내측관 하단에 외면이 닿아 단부플레이트와 분리되는 이지필 필름체를 융착 결합시켜, 습기의 침투를 막고, 분리가 용이한 용기마개에 관한 것인데,
이 등록특허의 제품은 최초 개봉 전에도 부품(piece)과 부품 사이의 틈새로 습기 또는 생수가 침투하여 얼룩이 지는 등 미관상 혐오감 및 위생성에 대한 우려감으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되며,
또 원래의 내용물을 음용한 후 추가적으로 생수 등을 담아 보관하다가 음용하는 경우 사후적, 2차적으로 내외 캡의 부품 사이에 잔류하던 원 내용물로 인한 미관상 또는 위생상의 문제가 상존하고 있다.
나아가 특허공개 제10-2004-0077839호(공개일자 2004년09월07일) [배출대 작동형 뚜껑에 이종물질을 수용시키는 방법 및 그 구조]나, 특허공개 제10-2005-0090112호(공개일자 2005년09월12일) [이종물질을 수용한 배출장치의 구조]가 있는데,
이 두 공개특허는 상방의 개폐부를 통해 내용물을 내입하되, 상기한 내용물은 하방의 일정면적을 갖는 내마개 부위 까지 그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방의 개폐부를 통해 내용물을 내입하는 바, 충진성이 향상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두 공개특허 역시 양산성, 단가경쟁력, 수밀성에 문제가 있어 현실성이 떨어져 상업화하지 못한 기술에 속한다.
아울러 특허공개 제10-2011-0102134호(공개일자 2011년09월16일) [칼날보호대를 가지는 용기마개]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용기에 수용되는 저장관을 가지는 하캡과, 하캡 위에 나사 결합하는 상캡으로 이루어지며, 상캡이 저면 중앙에 아래로 연장한 내부실린더 저면에 연장한 저장관 바닥의 열림판테두리 절단홈을 절단하는 절단칼날과, 절단칼날을 보호하는 칼날보호대를 두고, 칼날보호대가 분리되었을 때는 칼날로부터의 손상을 보호하는 칼날보호대로 작용하고 칼날 작동 시에는 열림판 바닥을 눌러주어 절단홈의 절단이 용이하도록 기능하는 칼날보호대를 가지는 용기마개에 대한 것인데,
이 공개특허는 칼날에 의한 열림판의 절단 신뢰성이 검증되지 못한 기술에 해당하여 역시 상업화하지 못한 기술에 해당한다.
결국 상기 종래문헌을 비롯한 종래기술들은 용기, 특히 액상 제1내장체가 담긴 병(bottle) 형태의 용기인 경우, 통상 냉장 보관된 제품의 특성상 음용을 위하여 냉장고에서 꺼내 이동하는 경우나 유통 중 다양한 내외 온도차에 의하여 외벽에 결로현상이 발생되어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데, 이때 특히 이너캡의 보조저장부 역시 제1내장체가 담긴 본저장부와 이격되어 주둥이 근처에 머물고 있어 외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마치 음료 용기의 외벽에서처럼 물방을 맺힘 현상이 발생되고, 이는 비타민 등의 이종 기능성 정제, 과립 또는 분말 형태의 제2내장체가 담긴 보조저장부에까지 습기가 침입하는 투습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건조상태의 제2내장체의 유통기한 보다 훨씬 짧은 기간 내에 제2내장체의 변질을 일으키게 되어 식품으로써 치명적인 하자를 일으키게 되는 결정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청량음료, 탄산수, 물, 커피, 요거트, 우유 등의 액상 제1내장체가 저장되는 본(本)저장부를 갖는 바디의 주둥이 상부에 결합되고 비타민 등의 이종 기능성 정제, 과립 또는 분말의 제2내장체가 저장되는 보조저장부를 구비한 이너캡과, 이 이너캡의 보조저장부 및 바디의 주둥이를 수밀되게 밀폐하는 아웃캡으로 구성되는 이중캡을 갖되, 특히 보조저장부의 하부에 제1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1쉴드(shield)가 제1커플러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입하여 외부에 근접 배열된 보조저장부가 다양한 요인에 의한 용기 내외의 온도차에 의하여 물방울 맺힘, 즉 결로현상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보조저장부를 형성하는 이너캡의 배럴이 일종의 단열 특성 내지 보온(또는 보냉) 특성을 갖도록 하여 제2저장체를 습기로부터 보호하도록 하는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보조저장부를 형성하는 이너캡 배럴 및 바디 주둥이의 개구부를 수밀되게 밀폐하는 아웃캡 중 배럴 개구부를 덮는 제2탑의 상부에 제2커플러를 형성하고, 이 제2커플러에 제2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2쉴드를 더 도입하여 배럴의 보조저장부의 상부까지 에어포켓 구조를 형성하여 제2내장체를 결로 습기로부터 보호하여 투습방지 효과를 확대하는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아웃캡 중 이너캡의 배럴 외벽과 접하는 내드럼이 배럴 외벽에 제3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3쉴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여 습기로부터 보조저장부의 제2내장체를 보호하는 투습방지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제1쉴드 및 제2쉴드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고, 이에 각각 결합되는 배럴의 제1커플러 및 아웃캡 제2탑의 제2커플러 역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대량생산성과 단가경쟁력이 중요한 제품의 성능을 향상한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바디의 주둥이, 아웃캡, 이너캡, 제1쉴드, 제2쉴드, 제3쉴드가 각각 접하는 부분이 다양한 절곡 구조를 갖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늘려 수밀 또는 기밀 특성이 극대화되도록 한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제습제 수용부가 보조저장부에 구비되어 있어 제2내장체의 건조상태를 유지하여 성능 지속성을 확실히 보장한 제습제 수용부 및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2내장체를 보조저장부에 투입하고 이너캡과 아웃캡을 결합하여 밀폐하는 경우 내부 공기의 팽창으로 인하여 제조시 또는 유통시 밀폐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홀을 도입한 단열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는
외면 제1나합부 및 상단 제1체결부를 갖는 주둥이와, 제1내장체를 위한 본(本)저장부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 주둥이의 제1체결부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갖는 외(外)스커트,
주둥이 내벽을 따라 하향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의 내장체 배출부와 브릿지가 교호로 형성되고 상기 외스커트와 연결된 내(內)스커트,
상기 내스커트에서 상향 형성되어 제2 내장체를 위한 보조저장부를 제공하는 배럴, 그리고
상기 배럴의 보텀 외하면에 형성된 제1커플러를 포함하는 이너캡;
상기 바디의 제1나합부에 결합되는 제1나사부를 내벽에 가져 제1-1밀폐부를 형성하는 외(外)드럼,
이 외드럼과 제1탑(top)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이너캡의 내스커트와 배럴 사이에 삽입되고, 배럴 외벽과 제2-1밀폐부를 형성하는 내(內)드럼, 그리고
이 내드럼의 상면을 덮고 이너캡 보조저장부의 개구부를 덮는 제2탑(top)을 포함하는 아웃캡; 및
상기 이너캡의 제1커플러에 결합되어 이너캡 배럴의 보텀 하부에 제1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1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습기로부터 보조저장부의 제2내장체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에서
상기 아웃캡의 제2탑에는 제2커플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커플러에 결합되어 보조저장부 상면부에 해당하는 아웃캡과의 사이에 제2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2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웃캡의 제2탑은 이너캡의 개구부 상단과 제2-2밀폐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드럼의 제2-1밀폐부는 배럴 외벽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이 내드럼 내벽과 배럴 외벽 사이에는 제2-1 및 제2-2 밀폐부에 의하여 폐쇄된 제3에어포켓이 형성되어 내드럼이 제3쉴드를 구성하며,
상기 아웃캡 제2탑의 제2커플러는 상향환돌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습제 수용부 및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에서
상기 이너캡의 배럴의 보텀 또는 상기 아웃캡의 제2탑의 내면, 또는 이 둘 모두에는 제습부재 수용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이너캡의 배럴의 보텀 또는 상기 아웃캡의 제2탑, 또는 이 둘 모두에는 이너캡과 아웃캡의 조립시 보조저장부의 배기를 위한 에어홀이 구비되어 있고,
이 에어홀은 제1 또는 제2 쉴드, 또는 이 둘 모두에 구비된 플러그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는 청량음료, 탄산수, 물, 커피, 요거트, 우유 등의 액상 제1내장체가 저장되는 본(本)저장부를 갖는 바디의 주둥이 상부에 결합되고 비타민 등의 이종 기능성 정제, 과립 또는 분말의 제2내장체가 저장되는 보조저장부를 구비한 이너캡과, 이 이너캡의 보조저장부 및 바디의 주둥이를 수밀되게 밀폐하는 아웃캡으로 구성되는 이중캡을 갖되, 특히 보조저장부의 하부에 제1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1쉴드(shield)가 제1커플러에 결합되는 구조를 도입하여 외부에 근접 배열된 보조저장부가 다양한 요인에 의한 용기 내외의 온도차에 의하여 물방울 맺힘, 즉 결로현상에 의한 응축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보조저장부를 형성하는 이너캡의 배럴이 일종의 단열 특성 내지 보온(또는 보냉) 특성을 갖도록 하여 제2저장체를 습기로부터 보호하며, 또 보조저장부를 형성하는 이너캡 배럴 및 바디 주둥이의 개구부를 수밀되게 밀폐하는 아웃캡 중 배럴 개구부를 덮는 제2탑의 상부에 제2커플러를 형성하고, 이 제2커플러에 제2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2쉴드를 더 도입하여 배럴의 보조저장부의 상부까지 에어포켓 구조를 형성하여 제2내장체를 결로 습기로부터 보호하여 투습방지 효과를 확대하며, 나아가 아웃캡 중 이너캡의 배럴 외벽과 접하는 내드럼이 배럴 외벽에 제3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3쉴드의 역할을 하도록 구성하여 습기로부터 보조저장부의 제2내장체를 보호하는 투습방지 효과를 극대화하고, 다음으로 제1쉴드 및 제2쉴드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고, 이에 각각 결합되는 배럴의 제1커플러 및 아웃캡 제2탑의 제2커플러 역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대량생산성과 단가경쟁력이 중요한 제품의 성능을 향상하며, 아울러 바디의 주둥이, 아웃캡, 이너캡, 제1쉴드, 제2쉴드, 제3쉴드가 각각 접하는 부분이 다양한 절곡 구조를 갖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늘려 수밀 또는 기밀 특성이 극대화되도록 하여, 결국 용기의 내외 온도차에 취약한 위치에 배열된 이너캡의 배럴에 의하여 형성되는 보조저장부의 하부, 상부, 측면의 일부 또는 모두에 에어포켓을 도입하는 쉴드(shield)를 통하여 진정한 단열(또는 보온이나 보냉) 특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하여 보조저장부의 건조상태가 유지되어 제2내장체의 유통기한을 보장하여 식품 특유의 신뢰성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제습제 수용부 및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는본제습제 수용부가 보조저장부에 구비되어 있어 제2내장체의 건조상태를 유지하여 성능 지속성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고, 또 이너캡 또는 아웃캡, 또는 이 둘 모두에 에어홀을 도입하여 제2내장체를 보조저장부에 투입하고 이너캡과 아웃캡을 결합하여 밀폐하는 경우 내부 공기의 팽창으로 인하여 제조시 또는 유통시 밀폐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를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습제 수용부 및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의 결합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습제 수용부 및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에서 이너캡, 아웃캡 및 데코캡의 조립 순서도.
도 3은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의 결합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우열이나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Ca)을 갖는 단열용기(Co)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도시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 좌우, 전후를 나누고, 이에 따러 설명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습제(D1)(또는 제습부재(D)) 수용부(Sd) 및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Co)(도 1 및 도 2) 또는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Ca)을 갖는 단열용기(Co) 또는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도 3)는 크게 개구부 내지 주둥이(11)를 갖는 바디(10), 이중캡(Ca)을 구성하는 이너캡(20) 및 아웃캡(30)을 포함하며, 그 외 다양한 외관을 제공하는 데코캡(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광 특성 또는 불투명 특성을 갖고, PET 소재 등의 합성수지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소재로 제조될 수 있는 바디(10)는 외면 제1나합부(11b) 및 상단 제1체결부(11a)를 갖는 주둥이(11)와, 제1내장체(t1)를 위한 본(本)저장부(s10)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본저장부(s10)에 담기는 제1저장체(t1)는 주스 등의 청량음료, 탄산수, 물, 커피, 요거트, 우유 등의 액상 물질이다.
다음으로 이너캡(20)(inner cap)은 도 1 및 도 3의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 사시도 및 상부의 확대도와 같이, 외(外)스커트(21)(skirt), 내(內)스커트(23), 보조저장부(S20)를 형성하는 배럴(25), 그리고 제1에어포켓(A1)을 위한 제1커플러(27)를 포함한다.
상기 외스커트(21)는 상기 바디(10) 주둥이(11) 상단 외벽의 제1체결부(11a)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21a)를 갖는데, 제1 및 제2 체결부(11a,21a)는 암수 형태의 후크 구조를 가져 엇물림 결합시 외력에 의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는 결합력을 제공한다.
이 외스커트(21)와 상부 절곡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내스커트(23)는 주둥이 내벽을 따라 하향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의 내장체 배출부(23a)와 브릿지(23b)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이 내스커트(23)와 하부 절곡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배럴(25)은 대량 원통형 구조로, 상기 내스커트에서 상향 형성되어 보조저장부(s20)를 제공한다.
내스커트와 보조저장부 사이의 링타입 공간은 아웃캡(30) 개봉시 바디(10)의 본저장부(s10)에 담긴 액상 제1내장체(t1)가 주둥이(11)를 거쳐 배출되는 경우 내스커트(23)의 배출부(23a)를 통과하여 흐르는 통로(20w)를 제공한다.
필요에 따라 액상 제1내장체(t1)가 흐르는 통로(20w)는 내스커트(23)의 배출부(23a)에 형성되거나, 대안적으로 배럴(25)의 보컴(25c) 하부에 형성되거나(예: 제1커플러(27)를 변형하여 슬릿형 배출부를 형성하는 방법), 이 둘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액상 제1내장체의 누설 방지는 본질적으로 후술하는 아웃캡(30)의 외드럼(31)의 제1-1밀폐부(Se1) 및 제1-2밀폐부(Se2)와, 이너캡(20) 배럴(25)과 아웃캡(30)의 밀폐돌기(37b) 사이에 구비되는 제2-2밀폐부(se2)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 제2내장체(t2)를 위한 상기 보조저장부(s20)를 제공하는 배럴(25)의 보텀(25c) 외하면에는 제1커플러(27)가 구비되며, 특히 제2커플러는 원통을 뒤집은 형태가 되도록 하는 하향환돌부(27a)에 형성되어 있다.
제2내장체(t2)는 비타민 등의 이종 기능성 정제, 과립 또는 분말 형태로 다양한 영양성분이나 풍미를 제공하는 기능성 제품이다.
이어서 상기 아웃캡(20)은 외(外)드럼(31), 내(內)드럼(33), 내외 드럼(31,33)을 연결하는 제1탑(top)(35A), 배럴(25)의 개구부(25a)를 덮는 제2탑(top)(35B)을 포함하며, 그 외 제2에어포켓(A2)을 위한 제2커플러(3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외드럼(31)은 상기 바디(10)의 제1나합부(11b)인 수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인 제1나사부(31n)를 내벽에 가져 기밀 및 수밀을 위한 제1-1밀폐부(Se1)를 형성한다.
상기 내드럼(33)은 외드럼(31)과 제1탑(top)(35A)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이너캡(20)의 내스커트(23)와 배럴(25) 사이, 즉 통로(20w)에 삽입된다.
이러한 내드럼(33)은 배럴(25) 외벽과 제2-1밀폐부, 특히 배럴 외벽의 하단부에 형성에 형성되는 제2-1밀폐부(se1)를 제공한다.
상기 제1탑(35A)은 이너캡(20)의 외스커트(21)와 내스커트(23)를 연결하는 상부 절곡부를 덮는다.
상기 외드럼(31)의 하단에는 통상의 음료수 병에서 확인되는 개봉흔적 표시 스트립을 제공하는 개봉링(30r)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탑(35B)은 상기 내드럼(33)의 상면을 덮어 뒤집은 원통 형상을 제공하고, 이너캡(20) 보조저장부(s20) 내지 배럴(25)의 개구부(25a)를 덮어 보조저장부의 제2내장체(t2)를 밀폐한다.
상기 아웃캡(30) 제2탑(35B)에 형성된 제2에어포켓(A2)을 위한 제2커플러(37)는 특히 상향환돌부(37a)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캡(Ca)을 갖는 단열용기(Co)의 핵심을 이루는 에어포켓 중 제1에어포켓(A1)을 위한 제1쉴드(S1)는 상기 이너캡(20)의 제1커플러(27)에 결합되면서 이너캡(20) 배럴(25)의 보텀(25c) 하부에 이격 결합되어 제1에어포켓을 형성을 형성한다.
이 제1에어포켓(A1)은 바디(10)의 제1내장체(t1)로부터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배럴 보텀(25c)을 단열하는 기능을 하여, 습기(응결수)로부터 보조저장부의 제2내장체(t2)를 보호할 수 있다.
또 제2쉴드(S2)는 아웃캡(30)의 제2탑(35B)의 제2커플러(37)에 결합되면서 보조저장부(s20) 상면부에 해당하는 아웃캡(30)과의 사이에 이격 형성되어 제2에어포켓(A2)을 형성한다.
이 제2에어포켓(A2)을 통하여 외기로부터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보조저장부(s20) 및 제2내장체(t2)를 단열성능을 도입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제1쉴드 및 제2쉴드(S1,S2)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고, 이에 각각 결합되는 배럴(25)의 제1커플러(27) 및 아웃캡(30) 제2탑(35B)의 제2커플러(37) 역시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대량생산성과 단가경쟁력, 재고관리비용이 중요한 제품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의 차이점 중
하나는 도 1의 실시예가 제습부재(D)(또는 제습제(D1)) 수용부(Sd)가 구비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 제습부재 수용부(Sd)는 이너캡(20)의 배럴(25)의 보텀(25c) 또는 아웃캡(30)의 제2탑(35B)의 내면, 또는 이 둘 모두에 구비되어 있다는 점이다(도 1에서는 아웃캡(30)의 제2탑(35B)의 내면에 제습부재 수용부가 구비되어 있다).
이를 통하여 제2내장체의 건조상태를 유지하여 성능 지속성을 확실히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상부 확대도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부재(D)는 뒤집은 상태의 아웃캡(30)의 제2탑(35B)의 내면에 제습제(D1)
(비드(bead) 타입의 제습제를 그대로 투입하거나 포켓에 포장된 상용 제습제를 투입할 수 있다)
를 투입한 후 보조저장부(s20)에 제습제(D1)가 침입하지 않도록 하는
투습패널(D2)을 제습부재 수용부(Sd) 하단 둘레의 걸림턱(sd)에 걸리는 형태로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습부재를 도입한다.
이러한 방식은 제습부재 수용부가 이너캡(20)의 배럴(25)의 보텀(25c)에 도입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3에 도시된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의 다른 차이점은
도 1의 실시예가 제2내장체를 보조저장부에 투입하고 이너캡과 아웃캡을 결합하여 밀폐하는 경우 기밀성 및 수밀성이 확보된 보조저장부의 내부 공기의 팽창으로 인하여 제조시 또는 유통시 밀폐상태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에어홀을 도입한 점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의 상부 확대도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너캡(20)의 배럴(25)의 보텀(25c) 또는 상기 아웃캡(30)의 제2탑(35B), 또는 이 둘 모두에는 이너캡과 아웃캡의 조립시 보조저장부(s20))의 배기를 위한 에어홀(ha)이 구비되어 있고,
이 에어홀(ha)은 제1 또는 제2 쉴드(S1,S2), 또는 이 둘 모두에 구비된 플러그(hp)에 의하여 폐쇄된다는 점이다(도 1에서는 이너캡(20)의 배럴(25)의 보텀(25c)에 에어홀(ha)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hp)는 제1쉴드(S1)에 구비되어 있다).
또 에어홀(ha)의 둘레 하부에는 스커트(hs)가 연장 형성되어 에어홀에 결합된 플러그(hp)의 밀폐 구간을 늘리는 역할을 하여 기밀성에 만전을 기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은 에어홀이 이너캡(20)의 배럴(25)의 보텀(25c)에 형성되고, 플러그가 제2쉴드(S2)에 도입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과 도 3에 도시된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의 또 다른 차이점은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제2에어포켓(A1)을 형성하는 제2쉴드(S2)가 데코캡(40)의 상부 센터부(43m)에 의하여 구현됨에 비하여,
도 3의 실시예에서는 데코캡(40)의 상부 중앙에 센터홀(43)이 구비되며, 제1쉴드와 같은 형상의 제2쉴드(S2)가 별도로 아웃캡(30) 상부에 제2에어포켓(A1)을 형성하며 결합된다는 접이다.
이러한 구조의 차이는 필요성에 따라 어느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도 1과 도 3에 도시된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의 차이점은 또
도 1의 실시예에서는 도 3의 경우 보다 이너캡(20) 배럴(25)의 개구부(25a) 내면과 엇물리는 아웃캡(30)의 밀폐돌기(37b)가 더 길어 제2-2밀폐부(se2)의 구간 길이가 더 길어져 수밀성 내지 기밀성이 보다 확실하게 보장된다는 점이다.
이어서 도 1 및 도 3에서 제3에어포켓(A3)은 배럴(25)의 외측벽에 형성되는데, 이를 위하여 상기 아웃캡(30)의 제2탑(35B)은 이너캡(20)의 배럴(25)(또는 보조저장부(s20))의 개구부(25a) 상단과 제2-2밀폐부(se2)를 형성하고,
상기 내드럼(33)의 제2-1밀폐부(se1)는 배럴 외벽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이 내드럼(33) 내벽과 배럴(25) 외벽 사이에는 이격 형성된 틈새가 제2-1 및 제2-2 밀폐부에 의하여 폐쇄되어 제3에어포켓(A3)이 형성되며, 이 경우 내드럼(33)이 제3쉴드(S3)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또 바디(10)의 주둥이(11), 이너캡(20), 아웃캡(30), 제1쉴드(S1), 제2쉴드(S2), 제3쉴드(S3)가 각각 접하는 부분이 다양한 절곡 구조를 갖도록 하여 접촉면적을 늘려 수밀 또는 기밀 특성이 극대화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다른 구성요소와 가장 많이 접하는 아웃캡(30)에서 그 외드럼(31)은 상기 바디(10)의 제1나합부(11b)인 수나사에 결합되는 암나사인 제1나사부(31n)를 내벽에 가져 기밀 및 수밀을 위한 제1-1밀폐부(Se1)를 형성하면서, 제1탑(35A)이 이너캡(20) 외스커트(21)의 상면 절곡부인 '∩'형 부위를 감싸는 형태로 'ㄱ'자 하향 절곡부를 가져 상부 접면에서 제1-2밀폐부(Se2)를 추가 형성하고, 아웃캡의 내드럼(33) 외측면과 이너캡의 내스커트(23) 내측면이 접촉하여 제1-3밀폐부(Se3)가 더 형성되어 밀폐성을 향상시키며,
또 'ㄱ'자 하향 절곡에서 상향한돌부(37a)가 이격 형성되어 있어 열전도 차단 특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2탑은 함몰 구조를 가져 돌출되지 않는 구조이면서, 배럴(25)의 개구부(25a) 내면과 엇물리는 밀폐돌기(37b)를 가져, 제2-1밀폐부(se1)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기밀성을 확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2밀폐부(se2)와 관련하여 아웃캡(30)의 내드럼(33)의 내면에는 이너캡(20) 배럴(25)의 개구부(25a) 외면 상부 제2나합부(25b)와 체결되는 상응 위치의 제2나사부(33n)를 가져 상하 제2-2 및 제2-1 밀폐부(se2,se1)의 기밀성 내지 수밀성을 확고히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외 제1쉴드(S1) 및 제2쉴드(S2) 역시 하향환돌부(27a) 및 상향한돌부(37a)와 암수 결합형태로 엇물려 빠지지 않는 구조를 제공하면서도 특유의 절곡 구조로 접촉면적을 늘려 기밀 특성을 확보하게 되며, 더 나아가 제1 및 제2 쉴드 각각의 하단부 및 상단부가 외향 절곡되어 하향환돌부 및 상향환돌부의 단부와 만나 'ㄱ'자 접면구조를 가져 추가적인 기밀 특성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아웃캡(30) 외측에는 데코캡(40)이 더 결합되어 장식 특성을 확보하면서도, 어린이나 노약자도 쉽게 캡을 개방할 수 있도록 보다 큰 반경의 캡을 제공한다.
이 아웃캡(40)은 루프(41)와 센터홀(43)을 갖고, 바디(10)의 주둥이(11) 아래 어깨부와 유사한 외경을 갖는 제1실린더(45A), 중앙의 제2실린더(45B), 센터홀(43)을 둘레의 제3실린더(45C)를 포함한다.
제2실린더(45B)는 아웃캡(30) 외면과 톱니 형태로 맞물리는 치합부(G)를 가져 제1실린더(45A) 외면을 잡고 개방하기 위하여 돌리는 경우(제2실린더(45B) 하단에는 아웃캡(30)의 외드럼(31)과 분리를 방지하는 내향 걸림 후크를 갖는다),
개봉링(30r)이 파괴되면서 바디 주둥이(11)의 제1나합부(11b) 및 아웃캡(30) 외드럼(31)의 제1나사부(31n)와 이너캡(20) 배럴(25)의 개구부(25a) 외면 상부 제2나합부(25b) 및 아웃캡(30)의 내드럼(33)의 내면의 제2나사부(33n)가 풀리면서
제1내장체(t1)를 위한 이너캡(20)의 배출부(23a) 및 통로(20w)와 제2내장체(t2)를 위한 배럴(25) 보조저장부(s20)의 개구부(25a)가 각각 열리게 된다.
제2쉴드(S2)의 상향 돌출 단부를 가압하는 상기 제3실린더(45C)에 의하여 둘러싸인 데코캡(40)의 센터홀(43)을 통하여 제2내장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상기 아웃캡(30)의 제2탑(35B) 및 제2쉴드(S2)는 투광성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및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습부재(D)(또는 제습제(D1)) 수용부(Sd) 및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Ca)의 보조저장부(s20)에 제2내장체(t2)를 투입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아웃캡(30)의 수용부(Sd)가 상향 개구되도록 뒤집은 상태에서 제습부재 수용부(Sd)에 제습부재(D)의 제습제(D1)를 투입하고, 투습패널(D2)이 수용부 둘레의 걸림턱(sd)에 걸리는 형태로 조립한다.
이어서 투습패널(D2) 상부 공간
(본질적으로 보조저장부(s20)는 이너캡의 배럴(25) 내측에 아웃캡(30)의 밀폐돌기(37b)가 엇물려 결합되는 것이어서 이 투습패널 위 공간 역시 보조저장부의 일부를 구성한다)
에 태블릿 타입 등의 제2내장체(t2)를 투입한 후, 이너캡(20)을 결합한다.
이때 도 2의 두 번째 줄의 2 및 3 공정과 같이 에어홀(ha)이 없는 이너캡을 결합하는 경우 밀폐된 보조저장부에 공기가 가둬지게 되어 내부 공기의 팽창으로 인하여 제조시 또는 유통시 밀폐상태가 유지되지 않고 이너캡 및 아웃캡이 분리되어 보조저장부의 수밀성 내지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의 세 번째 줄과 같이, 이너캡(20)의 배럴(25)의 보텀(25c)에 에어홀(ha)이 형성되어 있어 아웃캡에 이너캡을 결합하는 경우 보조저장부의 공기는 이 에어홀로 빠져 나간다.
이어 제1쉴드(S1)를 이너캡(20)의 배럴(25)의 보텀(25c) 외하면에 형성된 제1커플러(27)의 하향환돌부(27a)에 결합하면 제1쉴드의 플러그(hp)가 에어홀(ha)을 폐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데코캡(40)을 뒤집은 상태에서 아웃캡 및 이너캡 결합체를 조립하여 이중캡(Ca)의 조립을 완성한다.
조립된 이중캡(Ca)은 청결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충진라인으로 공급되어 용치(Co)의 바디(10)의 본저장부(s10)에 제1내장체(t1)를 충진한 후 이중캡(Ca)을 주둥이(11)에 결합하여 출고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단열용기의 바디, 이너캡, 아웃캡, 데코캡의 구체 사양, 소재, 치수, 수밀 정도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o: 용기 Ca: 이중캡
t1,t2: 내장체 s10: 본저장부
10: 바디 11: 주둥이
20: 이너캡 21: 외스커트
23: 내스커트 25: 배럴
s20: 보조저장부 27: 제1커플러
30: 아웃캡 31: 외드럼
33: 내드럼 35A,35B: 제1탑, 제2탑
37: 제2커플러 S1,S2,S3: 쉴드
A1,A2,A3: 에어포켓 40: 데코캡

Claims (4)

  1. 외면 제1나합부 및 상단 제1체결부를 갖는 주둥이와, 제1내장체를 위한 본(本)저장부를 구비한 바디;

    상기 바디 주둥이의 제1체결부에 결합되는 제2체결부를 갖는 외(外)스커트,
    주둥이 내벽을 따라 하향 형성되고 하부에 복수의 내장체 배출부와 브릿지가 교호로 형성되고 상기 외스커트와 연결된 내(內)스커트,
    상기 내스커트에서 상향 형성되어 제2 내장체를 위한 보조저장부를 제공하는 배럴, 그리고
    상기 배럴의 보텀 외하면에 형성된 제1커플러를 포함하는 이너캡;

    상기 바디의 제1나합부에 결합되는 제1나사부를 내벽에 가져 제1-1밀폐부를 형성하는 외(外)드럼,
    이 외드럼과 제1탑(top)을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이너캡의 내스커트와 배럴 사이에 삽입되고, 배럴 외벽과 제2-1밀폐부를 형성하는 내(內)드럼, 그리고
    이 내드럼의 상면을 덮고 이너캡 보조저장부의 개구부를 덮는 제2탑(top)을 포함하는 아웃캡; 및

    상기 이너캡의 제1커플러에 결합되어 이너캡 배럴의 보텀 하부에 제1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1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습기로부터 보조저장부의 제2내장체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캡의 배럴의 보텀 또는 상기 아웃캡의 제2탑의 내면, 또는 이 둘 모두에는 제습부재 수용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캡의 제2탑에는 제2커플러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커플러에 결합되어 보조저장부 상면부에 해당하는 아웃캡과의 사이에 제2에어포켓을 형성하는 제2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캡의 배럴의 보텀 또는 상기 아웃캡의 제2탑, 또는 이 둘 모두에는 이너캡과 아웃캡의 조립시 보조저장부의 배기를 위한 에어홀이 구비되어 있고,
    이 에어홀은 제1 또는 제2 쉴드, 또는 이 둘 모두에 구비된 플러그에 의하여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단열용기.
KR1020190089996A 2019-03-18 2019-07-25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KR102063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96A KR102063614B1 (ko) 2019-07-25 2019-07-25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PCT/KR2020/003665 WO2020190013A1 (ko) 2019-03-18 2020-03-18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996A KR102063614B1 (ko) 2019-07-25 2019-07-25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3614B1 true KR102063614B1 (ko) 2020-01-08

Family

ID=69154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996A KR102063614B1 (ko) 2019-03-18 2019-07-25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3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13A1 (ko) * 2019-03-18 2020-09-24 우성인팩(주)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6174A (ja) * 2005-01-31 2006-08-10 Yoshino Kogyosho Co Ltd 2液混合容器
JP2012519631A (ja) * 2009-03-03 2012-08-30 イム,ヒョビン 容器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6174A (ja) * 2005-01-31 2006-08-10 Yoshino Kogyosho Co Ltd 2液混合容器
JP2012519631A (ja) * 2009-03-03 2012-08-30 イム,ヒョビン 容器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90013A1 (ko) * 2019-03-18 2020-09-24 우성인팩(주)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08509A1 (en) Container closure
CN104271455B (zh) 带有可拧开的闭合件的容器
CN104284840A (zh) 金属容器
KR20100085040A (ko) 안전 봉인된 저장 캡
JP2009541169A (ja) 酸素吸収物質を有するシールリング
KR102063614B1 (ko)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US7922018B2 (en) Bottle closure with improved thread
WO2008057540A3 (en) Plastic container and closure and system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70262044A1 (en) Closure cap for a container
CN105905422A (zh) 分配封盖、具有分配封盖的容器以及用于制造分配封盖的方法
KR102035082B1 (ko)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WO2004071883A3 (en) Composite closure with enhanced sealing
US3935968A (en) Packing container
WO2016151746A1 (ja) 樹脂製容器の蓋構造
KR200449757Y1 (ko) 음료 용기
KR101389114B1 (ko) 응축수 형성 방지기능을 위한 단열 공간부를 구비한 용기
KR102026062B1 (ko) 이중실링 융착된 용기마개
KR200465393Y1 (ko) 발효 막걸리병 마개
CN210635079U (zh) 一种分段式组合瓶子密封结构
WO2020190013A1 (ko) 투습방지용 에어포켓을 구비한 이중캡을 갖는 단열용기
CZ2002176A3 (en) Screw -cap closure for a container's mouth and manufacture method
CN2560586Y (zh) 茶饮料包装瓶盖
US20080251521A1 (en) Package for Two Components
KR200441434Y1 (ko) 위조방지용 뚜껑
CN202107172U (zh) 一种瓶体与瓶盖免胶粘的防伪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