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745U -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 Google Patents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745U
KR20120003745U KR2020100011967U KR20100011967U KR20120003745U KR 20120003745 U KR20120003745 U KR 20120003745U KR 2020100011967 U KR2020100011967 U KR 2020100011967U KR 20100011967 U KR20100011967 U KR 20100011967U KR 20120003745 U KR20120003745 U KR 201200037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cap
fire extinguishing
butts
cigaret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9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기
Original Assignee
김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기 filed Critical 김상기
Priority to KR20201000119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3745U/ko
Publication of KR201200037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7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81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joined to the container, e.g. coins, pens, cards,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64Ash-trays of the pocket typ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10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A24F19/14Ash-tray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extingui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Abstract

본 고안은,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뱃갑 내에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되어 담배꽁초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담배 꽁초 수거실의 용적이 점차 넓어지는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뱃불 소화용 캡의 재질은 은박지, 금박지, 셀로판지, 친환경 합성수지, 종이 혹은 이들을 합치한 형태의 원통 담뱃불 소화용 캡에, 담뱃갑 소화용 물주머니를 내장시켜 사용자가 담뱃불을 소화시키고져 할때 담뱃갑 소화용 캡에 담뱃불을 삽입시켜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로 하여금 소화용 캡의 물주머니를 터트려 담뱃불을 완전히 소화시킴으로서 담뱃불에 의한 화재예방과 소화용 물주머니에 탈취제, 방향제 등을 첨가시켜 담뱃불 소화시의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며, 미려한 소화용 캡에 포장된 담배꽁초는 담배꽁초 수거실에 수용케 하여 담배꽁초의 무단 투기 등에 의한 환경오염을 불식시키며, 또한 담배꽁초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담배꽁초 수용실의 압착된 주름막이 순차적으로 펴지면서 담배꽁초 수거실의 용적이 넓어지면서 담뱃갑 내의 잔여 담배를 가볍게 밀착시키며 직립성으로 유지시켜 담배의 원형을 양호한 상태로 보존하며 또한, 담배 소화용캡을 재털이 부근이나 재털이 자체 내에 비치하거나 사용자로 하여금 일정 용기에 넣어 휴대케하여 필요시 활용하는 방법과, 또한 담배 필터부에 덧씌운 형태로 담뱃갑 내에 보관되어 담배 필터부의 먼지등 이물질 등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특히 담배 필터부와 연초부의 연결부의 취약 부분을 보호하며 담배 개피 수량을 20개피 이하로 줄여 담뱃갑의 크기와 모양을 다 양화시켜 휴대간편, 담배의 원형 유지, 담배 흡연 욕구의 절제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 담뱃갑 소화용 캡과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담뱃갑에 관한 것이다.
담배, 담배캡, 담배꽁초, 담배꽁초 소화, 담배개피 수량

Description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omitted}
본 고안은,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담뱃불 소화용 캡 내측 바닥 부분에 탈취제 등이 함유된 담뱃불 소화용 물이 내장된 물주머니 또는 담뱃불 소화용 액상, 분말, 거품 등 여타 물질이 내장되어 담뱃불 소화시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로 하여금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를 터트리거나 소화물질에 접촉시켜 담뱃불을 완전히 소화시킴으로서 잔존 담뱃불에 의한 화재예방, 소화시 유발되는 담배 특유의 악취제거, 흉물스러울 정도의 불쾌한 담배꽁초를 깔끔하게 처리하는 등의 기능을 하는 담뱃불 소화용 캡과 소화된 담배꽁초를 청결한 상태로 담뱃갑 일측에 수용시킬 수 있는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에 관한 것으로, 이때 본 고안이 제시하는 방법에 의해 담배꽁초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비례하여 담배꽁초 수거실의 용적은 압착된 주름막이 순차적으로 펴지면서 담배꽁초 수거실의 용적은 수거실내에 구성된 점차 넓어지게 되며 다소 견고한 상태로 구성된 담배꽁초 수거실의 경계막은 담뱃갑 내의 잔존 담배를 일측으로 가볍게 밀착시켜 잔존 담배를 직립형태로 유지토록하여 구겨지거나 구부러짐 등으로 인한 폐단과 담배 부스러기 등의 유실을 막는 중요한 기능을 병행하게 되며, 또한 기존의 담뱃갑에 수용된 담배 개피의 수량을 20개피 이하로 줄여 담뱃갑의 크기와 모양 등의 다양화를 제시하며 수용자의 취향을 충족시키며, 휴대 간편, 흡연 욕구의 절제 등의 효과를 제공하는(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에 관한 것으로, 담배꽁초의 무단 투기 등을 근절시켜 담배꽁초 없는 쾌적한 친환경 조성에 기여하며, 또한 본 고안이 제시하는 담뱃불 소화용 캡은 흡연장소의 재털이 주변이나 재털이 자체 내에 비치하거나, 사용자가 별도의 케이스에 넣어, 필요시 활용하는 휴대 및 비치용 담뱃불 소화용 캡과 또는 담배의 필터부를 완전히 감싸며 필터부에 덧씌워진 채 담뱃갑 내에 보관되어 담배 필터부와 연초부의 연결부분의 취약 부분을 보호함은 물론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등으로 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필터부에 덧씌워진 형태의 담뱃불 소화용캡과, 사용시에 담배꽁초 수거실의 용적이 넓어지는 기능을 갖춘 확장식 꽁초담배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에 관한 것과 담배개피 수량에 변화를 준 담뱃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담뱃불 소화방법으로는 재털이 등을 이용해 비벼끄거나 재털이 등에 의탁해 손으로 눌러 끄거나 발로 밟아 끄는 등의 경우가 대부분이었는데 이는 불편함, 불결함 등을 초래하며 담배 꽁초 특유의 불쾌한 냄새 유발, 소화된 상태의 담배꽁초 모양 또한 미관상 썩 좋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이러한 형태의 담뱃불 소화방법으로는 완전히 소화되지 못한 상태의 잔존 불씨로 인한 화재발생의 위험으로부터 항시 노출되어 있었으며 담배꽁초 무단 투기등으로 인한 화재발생, 환경오염 및 미관을 해치며 청결함과 쾌적한 환경조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심각한 악영향을 초래하고 있으나, 별다른 대안없이 기존의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으로써 본 고안은 간결하면서도 청결한 상태로 담뱃불을 완전 소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과 청결한 상태의 담배꽁초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이제껏 시도되었던 방법 등을 살펴보면 재털이에 휴지등을 깔고 적정량의 물을 부은다음 그 위에 담배꽁초를 소화시키는 방법과 휴대용 재털이를 이용하거나 담뱃갑의 크기를 크게하여 담배꽁초 수거실을 별도로 구성한 형태의 담뱃갑 등이 있었으며 또한 형상 기억물질을 이용한 수축튜브 등에 의한 담뱃불 소화방법의 시도 등 다양한 형태의 대안이 있었으나 현재까지 그 활용 가치는 실행시 수반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 등으로 인해 여지껏 상용화 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대안들이 상용화 단계까지 이르지 못하였던 문제점 등을 알아보면, 먼저 재털이에 휴지를 깔고 적정량의 물을 부어 담뱃불을 소화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그 과정이 일차적으로 번거롭고, 소화된 상태의 담배꽁초는 물에 의해 풀어진 상태로 그 모양새가 흉물스러울 정도로 미관상 보기 흉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방법의 담배꽁초 처리 제거시 세척 등에 의한 방법으로 처리하므로서, 이들은 별다른 여과 없이 그대로 하수구로 흘러가 또다른 형태의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요인이 되어 왔으며, 휴대용 재털이의 이용 상태 또한 그 보관 상태가 매우 불결한 형태로서 몸에 지니기를 꺼려하는 성향과 재활용시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폐단이 있었으며,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의 경우 소화시 유발되는 불쾌한 냄새와 불결 한 형태의 담배꽁초를 몸에 지녀야 하는 불결함과 20개피 담배꽁초를 수용하는 용적을 별도의 공간으로 확보해야 하므로 담뱃갑의 크기가 커지는 등 휴대의 불편함이 있었다.(본 고안이 제시하는 방법은 외장이 미려한 형태의 소화캡에 포장되어 청결하고 깔끔한 형태로 담배꽁초 수거실에 수용되며 담배꽁초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비례하여 담배꽁초 수거실의 용적이 순차적으로 넓어짐)
또한, 담뱃불의 소화시 수축튜브등 형상기억물질의 성질을 이용하여 공기유입의 제한 등에 의한 밀폐성 소화방법 또한 잔존 불씨의 완전 소화를 기대하기 어렵고 소화시 발생되는 악취도 배제할 수 없으며 소화용 형상기억물질 또한 또다른 심각한 환경오염원이 되며 이런 이유 등으로 인해 상용화 단계에 이르지 못하였던 것이다. 더욱이, 문명사가 발달하고 친환경을 추구하는 현 시점에 이르러서는, 간결하면서도 깨끗한 상태의 친환경적인 담뱃불의 완전 소화방법에 대한 요구와, 담배꽁초의 무단투기 근절에 대한 요구는 더욱 절실하게 요구되는 심각한 사안이며, 특히 국제사회의 빈번한 VIP 회의장소 및 공공장소, 호텔 등 청결함을 우선으로 하는 일상생활에서 절실히 필요한 요소임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렇다할 대안 없이 기존의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담뱃갑 내의 담배개피의 수량 또한 반드시 20개피어야 된다는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담뱃갑의 크기가 고정적으로 제한되어 휴대의 불편함, 담뱃갑을 장시간 몸에 지님으로서 야기되는 담배보존상태의 불량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입구가 담배의 직경보다 다소 넓게 형성된 원통형 담뱃불 소화용 캡에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를 내장하여 담뱃불을 소화시키고져 할때 담뱃불을 소화용 캡에 삽입시켜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로 하여금 소화캡 하단에 내장된 소화용 물이 내장된 물주머니를 터트려 담뱃불을 완전히 소화시키므로서 담뱃불로 인한 화재 발생을 원천 방지하며 소화용 물이 내장된 물주머니 내에 친환경적 탈취제 혹은 방향제를 함유시켜 담뱃불 소화시에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제거와 흉물스러운 담배꽁초를 외관이 미려한 소화용 캡으로 포장하여 담배 기존 외형을 유지하며, 또한 본 고안의 소화용 캡을 흡연구역이나 재털이 혹은 재털이 부근에 비치하여 사용자가 간결하고 깔끔하게 담배꽁초를 소화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담뱃갑 일측에 담배꽁초의 수거실을 별도로 구성하여 담배꽁초의 수량이 늘어남에 비례하여 담배꽁초 수용공간이 점차 넓어지게 구성 설계하여 담뱃갑 내의 잔존 담배를 직립성으로 유지시켜 잔존 담배를 양호한 상태로 보존해주며 또한 담배꽁초의 무단투기 등의 행위를 근절시켜 쾌적한 환경조성에 이바지하며 담뱃갑에 수용되는 담배 개피수도 줄여 휴대 간편 양호한 담배보존 상태의 유지, 흡연 욕구의 절제등의 효과를 창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담뱃불 소화용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소화용 캡에 포장된 담배꽁초를 담뱃갑 일측에 내장된 담배꽁초 수거실에 수용시킬 수 있는 일체형 담뱃갑에 관한 것으로, 금박, 은박지, 셀로판지, 친환경 합성수지, 종이 혹은 이들을 합치한 형태의 불연성 및 난연성 재질로서 방수 기능을 구비하며 내구성과 접힘, 풀림 성질이 양호한 형태의 비교적 얇은 두께의 원통형 구조로서, 길이는 담배의 필터 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며 지름은 소화시키고져 하는 담뱃불이 가볍게 통과할 수 있는 내경으로 구성되며 담뱃불 삽입구 직경은 소화시키고져 하는 담뱃불이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다소 넓게 구성되며 소화된 상태의 담배꽁초를 말끔하고 깨끗한 상태로 포장시키기 위해 외장은 컬러풀한 미려한 디자인으로 구성하고 밀봉된 부분과 담뱃불 삽입부가 되는 입구까지 수개의 쐐기형 접힘 주름막을 형성시켜 필요시 담배의 필터부분 등의 움직임 등을 통해 입구가 넓혀질 수 있도록 하는 담뱃불 소화용 캡의 몸체를 구성하고 소화캡 내부의 밀봉된 바닥면에 담뱃불 1개를 충분히 소화시킬 수 있는 담뱃불 소화용 물질(물 또는 액상, 분말, 거품등 소화용 기타물질)을 수용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젤라틴, 비닐형태의 소재로 외피가 구성되며 내구성은 우수하나 열기에는 취약한 캡슐형태의 물주머니를 부착성으로 내장시켜 완성시킨 담뱃불 소화용 캡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담뱃불을 소화시키기 위하여 담뱃불을 소화용 캡에 삽입시켜 원형 또는 타원형 캡슐 형태의 물주머니에 접촉시키면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로 하여금 내장된 캡슐 형태의 물주머니를 터트려 담뱃불을 완전히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담뱃불 소화용 캡에 관한 것으로, 각기 독립된 개체는 흡연구역 재털이 부근, 또는 재털이 자체에 비치하거나 혹은 별도의 케이스에 넣어 휴대토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시 사용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담뱃불 소화용 캡의 또다른 보관 및 이용방법에 있어 담배의 필터부에 덧씌워진 상태로 담뱃갑 내에 보관되어 담배의 필터부와 연초부의 취약부분을 보완하며, 담배 필터부의 먼지등 이물질의 유입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기존의 필터 보호용 은박지 덮개가 별도로 필요치 않게 고안된 것으로, 담배의 필터부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덧씌워져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용 캡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담뱃불을 소화시키기 위하여 담뱃불을 소화용 캡에 삽입시키고져 할때 삽입시키기 용이하도록 소화용 캡의 입구가 충분히 넓어지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담배 필터부에 덧씌워져 보관되어 있는 소화캡을 사용자가 담배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담배의 필터 부분을 이용해 가벼운 좌우 움직임만으로도 입구가 손쉽게 넓혀질 수 있도록 방수구조의 밀봉부분에서부터 담뱃불 삽입부분에 해당하는 소화캡의 입구에 이르기까지 쐐기형 세로로 형성된 주름벽 형태의 접힘 부분을 형성한 구조(도면 6,7,8 참조)를 특징으로 한다.
담뱃불 소화용 캡에 내장된 원형 또는 타원형 캡슐 형태의 물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접힘과 넒힘 역할을 하는 주름막이 형성된 원통형 담뱃불 소화용 캡의 방수성으로 밀봉된 부분의 내측에 담뱃불 1개비를 완전히 소화시킬 수 있는 적정량의 물(팥알크기 내외) 또는 소화용 물질을 수용하는 물주머니를 내장하고 물주머니의 외피는 얇으면서도 질긴 비닐형태로 탄성이 우수하며 경미한 충격에도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하되 열에는 취약한 젤라틴 혹은 비닐 형태의 재질로 형성하고 물주머니 내에 수용되는 소화용 액체는 순수물이거나 담뱃불을 소화시킬 수 있는 분말, 액상, 거품 등의 여타 물질 등이 사용되며 본 소화용 액체 내에 적정량의 탈취제, 방향제 등을 첨가하여 담뱃불 소화시의 특유의 불쾌한 냄새도 차단하는 기능을 부 여한 구조로서, 또한 소화용 캡에 내장된 물주머니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물주머니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얇으면서도 견고한 원통형 보호캡을 이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담뱃불을 완전히 소화시킨 담뱃불 소화용 캡은 미려한 디자인의 소화용 캡에 청결한 상태로 포장되어 미관상 무리없이 재털이에 버려지거나 쓰레기통에 버려지게 되는데, 담배꽁초로 버릴 수 있는 여건이 마땅히 조성되지 않았을 경우 소화된 담배꽁초를 담배갑 내에 청결한 상태로 보관하며, 담배꽁초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담배꽁초 수용공간이 점차 넓어지도록 고안된, 담배갑 일측에 별도의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담배갑에 관한 것으로, 재질은 은박, 금박, 셀로판지, 친환경 합성수지, 종이 또는 이들을 합치한 형태의 불연성, 난연성 재질로서,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하부는 방수기능 구조를 갖는 밀봉된 형태로, 담뱃갑 일측에 직사각통 형태로 내장되며 담배꽁초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여 담배꽁초 수거실의 용적이 점차 넓어질 수 있도록 최초 담배꽁초 1?2개피의 수용공간을 확보한 후 담배꽁초 수용실의 넓게 마주보는 두면은 수개의 각각 압착된 주름막을 형성시켜 담배꽁초 수용량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압착된 주름막이 순차적으로 펴지면서 그 수용 공간은 점차 넓어지게 되며, 또한 다소 견고한 재질로 구성된 담뱃갑과 담배꽁초 수거실의 경계벽은, 잔존 담배를 일측으로 가볍게 밀착시키며 잔존 담배를 직립성으로 유지시켜 구부러짐, 찌그러짐, 흔들림 등에 의한 담배 부스러기 유실등의 폐단을 해결하므로서, 잔존 담배의 보관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며, 청결한 상태의 담배꽁초를 담뱃갑 내에 보관시켜 담배꽁초의 무단투기 등에 의한 환 경오염원을 줄여 쾌적한 환경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담뱃갑에 관한 것과,
또한 담뱃갑 내에 수용되는 담배개비 수효를 줄여 담뱃갑의 크기와 모양을 다양화시킨 담뱃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이 제시하는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담뱃갑은 기존의 20개비들이 담뱃갑 내에 새로이 1?2개피의 담배꽁초 수용실을 미리 확보해야 하는 관계로 기존 담뱃갑 크기의 1/10정도 크기가 커지게 되는데, 이를 감수하고 기존 담뱃갑의 20개비의 담배 수량을 고수하거나 혹은 담배개비의 수효를 파격적인 반갑 정도로(약 10개비 내외) 줄이거나 아예 2?18개피 내외로 담배개피 수량을 다양화 하므로서 휴대를 간편하게 하며, 담배보존 상태의 양호성을 도모하고 담배의 개피 수를 줄임으로서 흡연 욕구의 절제 등의 효과를 제공하며 사용자 취향에 맞는 다양한 크기의 직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개피 수량에 변화를 준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담뱃불 소화용 캡이 담배 필터부에 덧씌워진 형태로 담뱃갑 내에 보관되어 필요시 그 기능을 수행하는 담뱃갑에 있어서, 사용자가 담뱃불을 담뱃갑 소화용 캡에 삽입시켜 소화시킨 별도의 담배꽁초 수거실이 필요없이 담배를 빼왔던 자리에 다시금 소화용 캡에 포장된 청결한 상태의 담배꽁초를 빈 자리에 꽂아서 보관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갑.
또한 담뱃불 소화용캡 (1) (2)에 내장되는 소화용 물주머니 대신 방수구조를 지닌 소화캡 (1) (2) 하단에 소화용 물 또는 소화용 물질을 넣은 다음, 젤라틴, 또 는 질기면서도 접착력은 있으나 열기에 취약한 코팅재질로 코팅막을 견고하게 처리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용캡과, 또한 별도의 담배꽁초 수거실이 없이 기존의 담뱃갑에 단순히 담배 개피의 수량에만 변화를 준(2?20개피 이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갑
본 고안의 담뱃불 소화용캡은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로 하여금 담뱃불 소화용 캡에 내장된 소화용 물이 내장된 물주머니를 터트려 담뱃불을 완벽히 소화시키는 구조로서 담뱃불로 인한 화재 발생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효과와 내구성을 구비하되 열기에 취약한 젤라틴, 비닐 등의 소재로 외피가 구성된 캡슐 형태의 물주머니에 수용된 소화용 물질(순수물 또는 소화시킬 수 있는 액상, 분말상태의 여타 물질)에 탈취제, 방향제 등을 함유시켜 담뱃불 소화시 발생되는 특유의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와 아울러 이렇게 소화된 담배꽁초는 컬러풀 하면서도 미려한 외장의 소화캡 내에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로 은폐 포장되므로 미관상 불쾌감을 조성치 아니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담뱃불 소화용 캡은 흡연구역이나 재털이 등에 비치하거나 휴대용 케이스 등에 보관하여 필요시 활용할 수 있는 비치용 및 휴대용 소화캡과 담배의 필터부에 덧씌워진 상태로 담뱃갑 내에 보관되어 끽연시 그 기능을 실행하는 담뱃불 소화용 캡으로 크게 구별되는데 담배 필터부에 덧씌워져 담뱃갑내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용 캡은 담배 필터부와 연초부의 연결부분의 취약부분을 보호하며 먼지 등 이물질의 유입 등으로부터 필터부를 보호하며 기존의 필터보호용 덮개가 별도로 필요없어지므로 담배 개봉시 필터보호용 덮개로 인한 쓰레기 처리 문제도 해결해주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담배꽁초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비례하여 압착된 주름막이 순차적으로 펴지면서 담배꽁초 수용공간이 점차 넓어지는 담배꽁초 수거실의 기능에 의해 외장이 미려하면서도 깨끗한 상태의 소화용 캡에 포장된 담배꽁초를 담뱃갑 내에 수용하므로서 담배꽁초의 무단투기 등에 의한 환경오염원을 근절시켜 깨끗하고 쾌적한 환경조성에 기여하며,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로서는 담배꽁초 수용공간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담뱃갑 내에 남아있는 잔여 담배를 담뱃갑 일측으로 가볍게 밀착시키며 직립성으로 유지해 주어 잔존 담배의 찌그러짐, 구부러짐으로부터 보호해 주어 항상 원형에 가까운 양호한 담배 보존 상태를 유지해주는 잇점이 있으며 담배개비의 수량을 2?20개비 이하로 수량에 변화를 주어 담뱃갑의 크기와 모양의 다양화 및 담뱃갑의 휴대간편, 흡연욕구의 절제 등의 효과를 아울러 창출한다.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흡연구역 내의 재털이 비치용 및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용캡(1)과 담배의 필터부에 덧씌워진 상태로 담뱃갑 내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용캡(2)으로 구분되며 이들은 각기 근본적인 목적은 동일하다 볼수 있겠으나 보관되는 방법, 활용 방법에 있어 경미하지만 서로 상이한 점이 있으므로 이들과 연계되는 담뱃불 소화용캡 전용 재털이(12)와 소화용 담배꽁초의 수량이 점차 늘어 남에 따라 순차적으로 그 용적이 확장되는 담배꽁초 수거실(19)과 이를 수용하는 소화캡에 의해 소화된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담뱃갑(21) (22)으로 구성되며, 이들을 각기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재털이 비치용 및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캡(1)의 구성은 담뱃불 소화용 캡의 원통형 외피(3)와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4)와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 보호캡(6)과 입구가 다소 넓은 담뱃불 삽입구(8) 등으로 구성되며 이들을 구성하는 재질은 각기 구성요소에 따라 달라지는데 담뱃불 소화용 캡의 원통형 외피의 구성 재질은 공히 불연성, 난연성의 은박지, 금박지, 셀로판지, 종이, 친환경성 합성수지, 친환경성 전분 등의 성분으로 만든 재질 혹은 이들을 합치한 형태의 재질로서 구성되며 담뱃불 삽입구(8) 역할을 하는 소화캡의 입구는 소화시키고져 하는 담배의 직경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며 소화캡의 바닥 부분을 이루는 곳은 밀봉된 상태의 방수 구조로서 소화시키고져 하는 담뱃불이 무난히 삽입될 수 있는 내경을 확보하며 담뱃불 소화용 캡의 바닥 부분에는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4)를 부착성으로 안착시키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소화용 물주머니 보호캡(6)을 부착성으로 안착시킨 상태로 완성되며, 소화용 물주머니(4)의 외체 구성 재질은 역시 얇은 비닐이나 셀로판지, 젤라틴 혹은 이와 유사한 기능을 하는 재질로서 구성되며, 내구성이 높은 질기면서도 탄성과 복원력이 우수한 얇은 외피구조를 가진 원형, 타원형 또는 원통모양의 캡슐 형태로 구성되며 얇으면서도 내성은 강하나 열에는 매우 취약한 방수성 재질로 구성되고 소화용 물주머니(4)에 내장된 물질은 탈취제, 방향제 등이 함유된 물 또는 담뱃불을 완전히 소화시킬 수 있는 여타 물질(소화용 분말, 액상, 거품 등)(27)등으로 충만하게 채워지며 또한 소화용 물주머니(4)는 얇으면서도 견고한 종이등의 재질로 형성된 소화용 물주머니 보호캡(6)내에 부착성으로 안착되어, 여타 경미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소화용 물주머니(4)가 보호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재털이 비치용 및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용캡(1)의 활용 순서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소화시키고져 하는 담뱃불을 소화용 캡의 삽입구(8)로 통해 담뱃불을 삽입시켜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4)에 접촉시키므로서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에 의해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4)를 터트려 담뱃불 물주머니(4)내에 수용된 탈취제, 방향제 등이 함유된 물 또는 담뱃불 소화용 물질(소화용 분말등)등에 의해 순식간에 담뱃불은 완전 소화되며 이때 발생되는 불쾌한 냄새 등도 완전 해소되며, 잔여 습기등은 잔여 연초부와 필터 등에 의해 고르게 분산되어 필요 이상의 물기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게 되며, 깨끗하고 청결한 상태로 담뱃불을 처리할 수 있어 쾌적한 환경 조성에 기여한다.
또한 이렇게 소화된 담배꽁초는, 그 처리 방법에 있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담뱃불 소화용캡 전용 재털이(12)에 구비된 담뱃불 소화용캡, 소화된 담배꽁초 비치구(9)에 깨끗한 상태로 비치된 후 처리되거나 또한 본 고안이 제시하는 확장식 담배꽁초 수거실(19)이 내장된 일체형 담뱃갑(21) (22)내에 수용되거나 담뱃갑에서 담배를 빼냈던 빈자리에 다시 수용하는 방법 등이 있는 것이다.
이렇듯 소화된 담배꽁초 처리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본 고안의 담뱃갑 소화용캡(1) (2)의 기능에 의해 완전 소화된 담배꽁초(10)는 본 고안이 제 시하는 담뱃불 소화용캡 전용 재떨이(12)에 처리할 경우를 설명하면 담뱃불 소화용캡(1) (2) 및 소화된 담배꽁초 비치구(9)가 다수개 구비되고 일측에 끽연시 발생되는 담뱃재 처리구가(11) 확보되고 담뱃재 처리구 덮개(25)가 구비되며 담뱃불 소화용 캡 비치함(26)이 구비된 것으로, 모양은 직사각, 정사각, 원형,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며, 이로 인해 일일이 손으로 비벼끄던 소화방법을 불식시키며 냄새없이 깨끗하게 담배꽁초를 처리하므로서 청결한 환경조성에 기여한다.
또한 본 고안이 제시하는 방법에 의해, 소화된 담배꽁초의 또 다른 처리방법에 있어 사용자가 끽연을 위해 담뱃갑에서 담배를 빼냈던 빈자리에 수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끽연을 위해 담배 개피를 빼냈던 빈 자리에 소화된 담배꽁초 1개를 수용할 시 처음에는 다소 협소한 공간이지만 담배 1개피를 빼낸 빈 공간은, 소화캡에 저장된 깨끗한 상태의 담배꽁초의 길이는 당초 담배길이의 절반이하 길이로 상당부분 짧아지므로 1개피의 담배를 빼낸 공간에 2개의 깨끗한 담배꽁초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수용상 별다른 문제가 발생치는 않은 것이며, 이러한 방법에 의해 담배꽁초의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담뱃갑 내에서 잔존 담배의 수량은 비례하여 당연히 줄어 들게 되는 빈 공간은 깨끗하고 냄새 없는 미려한 소화캡에 포장된 담배꽁초가 채워주므로서 잔존 담배를 직립 형태로 유지시켜 흔들림, 쓰러짐 등의 고정되지 못한 유동성으로 인한 찌그러짐, 구부러짐, 담배 부스러기 등의 유실의 폐단 없이 잔존 담배의 양호한 원형보존을 유지시켜 주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담배를 빼냈던 빈자리에 소화된 담배꽁초를 수용코저 할 때 니코친이 배인 담배꽁초의 필터부를 담뱃갑 내측으로 향하게 하면 담배꽁초는의 필터부는 은폐되며 깨끗하고 청결하며 미려한 디자인의 담뱃불 소화캡이 담뱃갑 개봉시 눈에 띄게 되어 사용자의 기분을 상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제시하는 방법에 의한 담배의 필터부에 덧씌워져 담뱃갑 내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캡(2)의 활용방법과 확장식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일체형 담뱃갑(21) (22)의 활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제시하는 담배의 필터부에 덧씌워져 담뱃갑 내에 보관되는 소화캡(2)은 담배 필터부(16), 담배 연초부(15)를 연결하는 취약부(17)를 보호하며 먼지 등 이물질로부터 담배 필터부를 보호하며 기존 담배의 필터보호용 덮개가 별도로 필요치 않아 쓰레기 줄임 효과가 있는 것이며,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재털이 비치용 및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캡(1)과의 그 내용과 재질 및 구성요소는 동일하나 다만 소화캡을 담배필터부(16)에서 분리시 소화캡의 입구(8)를 넓히기 위해 형성된 압착된 상태의 접힘주름(13)이 추가된 형태로 사용자가 끽연을 위해 담뱃갑에서 담배를 빼낼 때 도면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담배의 필터부에 덧씌워진 담뱃불 소화캡(2)을 어느 한 손으로 잡고 또다른 한 손으로 담배를 담뱃불 소화캡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담배 필터부(16)를 가벼운 좌우 움직임 등으로 소화캡의 입구를 넓힌 상태의 담배 필터부(18)를 활용하면 필터의 움직임만으로 입구가 넓혀진 상태의 주름막(14)이 형성된다.
이렇게 입구가 넓어지면서 담배의 필터부에서 분리된 담뱃불 소화캡(12)의 담뱃불 소화과정까지의 활용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재털이 비치용 및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캡(1)의 활용방법과 동일하다.
이렇게 소화된 담배꽁초는 본 고안이 제시하는 확장식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일체형 담뱃갑(21) (22) 내에 수용하는 방법에 있어서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담배필터부에 덧씌워져 담뱃갑 내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캡(2)에 있어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완전하게 소화된 깨끗한 상태의 담배꽁초는 최초 1?2개피의 담배꽁초 수용공간을 확보한 확장식 담배꽁초 수거실에 수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는 담뱃갑 내의 일측에 별도의 수용공간을 확보하여 일측이 개방되고 일측이 밀봉된 상태의 담뱃갑 내경 싸이즈에 맞게 제작된 방수, 난연성, 불연성의 은박, 금박, 셀로판지, 종이 혹은 이를 합치한 형태의 재질로 구성되며 사용함에 따라 용적의 넓힘 목적으로 형성된 압착된 상태의 주름막(23)을 구비하여 담배꽁초의 수용 수량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상기에 설명된 주름막(23)은 순차적으로 펴지면서 담배꽁초 수거실(19)의 용적은 넓어지게 된다. 또한 담배꽁초 수거실(19) 일측에 형성된 잔존 담배를 직립형으로 밀착시켜주는 경계막(28)에 의해 잔존 담배는 어느 일측으로 직립형으로 밀착되게 되는데 이렇게 담뱃갑 내의 잔존 담배는 양호한 보관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제시하는 방법에 의해 확장식 담배꽁초 수거실(19) 일체형 20개피들이 담뱃갑(21)의 경우 기존의 담뱃갑 크기보다 다소 커지게 되는 관계로 기존의 담배개피에 수량을 고수하거나 혹은 본 고안이 제시하는 담배개피 수량의 변화를(1?20개피 이하) 주는 형태로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갑 형태(10개피들이)로 줄여 휴대 간편, 흡연욕구의 절제, 담배 보관상태의 양호 등의 잇점이 있는 것이며, 가령 하루 10개피(기존 담배의 반갑)의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 굳이 20개피 들이 이틀치 흡연 분량을 구태여 몸에 지니고 다닐 필요가 없는 것이다. 이렇듯 본 고안이 제시한 방법에 의해 담뱃불에 완전 소화로 인한 화재 예방, 소화시 발생하는 악취의 제거, 흉물스러운 담배꽁초의 청결한 형태로 보관, 확장식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담뱃갑의 활용으로 담배꽁초 무단투기의 근절 등으로 쾌적한 환경조성과 담뱃갑 내에 담배 개피의 수량을 줄여 휴대간편, 흡연육구의 절제 등 여러 가지 잇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재털이 비치용 및 휴대용 케이스 보관하는 담뱃불 소화캡의 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재털이 비치용 및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캡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재털이에 비치중인 담뱃불 소화캡과 소화된 담배꽁초의 처리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의한 담배 필터부에 덧씌워진 상태로 담뱃갑내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캡의 사시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담배 필터부에 덧씌워진 상태로 담뱃갑 내에 보관되는 소화캡의 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캡으로부터 담배를 분리시키며 담배 필터의 좌우 움직임으로 소화캡의 입구를 넓혀주는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에 의해 소화캡의 물주머니를 터트려 담뱃불이 소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직경이 작은 담배)
도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에 의해 소화캡의 물주머니를 터트려 담뱃불이 소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직경이 큰 담배의 경우, 주름막의 형태로 달리하는 경우)
도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함에 따라 점차 용적이 넓어지는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20개피들이 담뱃갑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함에 따라 점차 용적이 넓어지는 담배꽁초 수거실을 내장한 10개피들이 담뱃갑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담배개피 수량의 변화 2?20개피 이하)
도11은, 본 고안에 의한 (도9), (도10)의 A 부분 확대도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대한 설명]
(1) 재털이 비치용 및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되는 담뱃갑 소화용캡
(2) 담배의 필터부에 덧씌워져 담뱃갑 내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용캡
(3) 재털이 및 휴대용 케이스에 보관되는 담뱃불 소화용캡의 원통형 외피
(4) 담뱃불 소화용캡 물주머니
(5)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에 의해 터트려지는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
(6)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 보호캡
(7) 뜨거운 온도의 담뱃불
(8) 담뱃불 삽입구
(9) 담뱃불 소화캡 비치구 및 소화된 상태의 담배꽁초 비치구
(10) 소화된 상태의 담배꽁초
(11) 끽역시 발생되는 담뱃재 처리구 및 담배꽁초 처리구
(12) 담뱃불 소화용캡 전용 재털이
(13) 담뱃불 소화캡을 담배에서 분리시 소화캡의 입구를 넓히기 위해 형성된 압착된 상태의 접힘 주름
(14) 담뱃불 소화캡을 담배에서 분리시 소화캡의 입구를 넓히기 위해 형성된 압착된 상태의 접힘 주름이 담배 필터부의 움직임으로 넓혀진 형태
(15) 담배의 연초부
(16) 담배의 필터부
(17) 담배의 필터부와 연초부를 연결하는 취약부
(18) 담배의 필터를 이용해 소화캡의 입구를 넓히는 상태의 담배 필터부
(19) 확장식 담배꽁초 수거실
(20) 담뱃갑 뚜껑
(21) 확장식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20개피들이 담뱃갑
(22) 확장식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10개피들이 담뱃갑
(23) 담배꽁초 수거실의 용적 확장 목적으로 형성된 압착된 상태의 주름막
(24) 확대그림을 위한 표시(A)
(25) 담뱃재 및 담배꽁초 처리구 덮개
(26) 담뱃불 소화캡 비치함
(27) 탈취제, 방향제 등이 함유된 소화용 물 또는 담뱃불 여타 소화물질
(28) 담배꽁초 수거실에 부착된 잔존 담배를 밀착시켜주는 견고한 경계막
(29) 단조로움을 커버하는 미려한 디자인
(30) 비치함에 보관중인 소화캡

Claims (8)

  1. 담뱃불 소화용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소화용 캡에 포장된 담배꽁초를 담뱃갑 일측에 내장된 담배꽁초 수거실에 수용시킬 수 있는 일체형 담뱃갑에 관한 것으로, 금박, 은박지, 셀로판지, 친환경 합성수지, 종이 혹은 이들을 합치한 형태의 불연성 및 난연성 재질로서 방수 기능을 구비하며 내구성과 접힘, 풀림 성질이 양호한 형태의 비교적 얇은 두께의 원통형 구조로서, 길이는 담배의 필터 길이보다 다소 길게 형성되며 지름은 소화시키고져 하는 담뱃불이 가볍게 통과할 수 있는 내경으로 구성되며 담뱃불 삽입구 직경은 소화시키고져 하는 담뱃불이 원활히 삽입될 수 있도록 다소 넓게 구성되며 소화된 상태의 담배꽁초를 말끔하고 깨끗한 상태로 포장시키기 위해 외장은 컬러풀한 미려한 디자인으로 구성하고 밀봉된 부분과 담뱃불 삽입부가 되는 입구까지 수개의 쐐기형 접힘 주름막을 형성시켜 필요시 담배의 필터부분 등의 움직임 등을 통해 입구가 넓혀질 수 있도록 하는 담뱃불 소화용 캡의 몸체를 구성하고 소화캡 내부의 밀봉된 바닥면에 담뱃불 1개를 충분히 소화시킬 수 있는 담뱃불 소화용 물질(물 또는 액상, 분말, 거품등 소화용 기타물질)을 수용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의 젤라틴, 비닐 형태의 소재로 외피가 구성되며 내구성은 우수하나 열기에는 취약한 캡슐형태의 물주머니를 부착성으로 내장시켜 완성시킨 담뱃불 소화용 캡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담뱃불을 소화시키기 위하여 담뱃불을 소화용 캡에 삽입시켜 원형 또는 타원형 캡슐 형태의 물주머니에 접촉시키면 담뱃불의 뜨거운 온도로 하여금 내장된 캡슐 형태의 물주머니를 터트려 담뱃불을 완전 히 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담뱃불 소화용 캡에 관한 것으로, 각기 독립된 개체는 흡연구역 재털이 부근, 또는 재털이 자체에 비치하거나 혹은 별도의 케이스에 넣어 휴대토록 하여 사용자가 필요시 사용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용캡
  2.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담뱃불 소화용 캡의 또다른 보관 및 이용방법에 있어 담배의 필터부에 덧씌워진 상태로 담뱃갑 내에 보관되어 담배의 필터부와 연초부의 취약부분을 보완하며, 담배 필터부의 먼지등 이물질의 유입 등으로부터 보호하며, 기존의 필터 보호용 은박지 덮개가 별도로 필요치 않게 고안된 것으로, 담배의 필터부를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덧씌워져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용 캡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담뱃불을 소화시키기 위하여 담뱃불을 소화용 캡에 삽입시키고져 할때 삽입시키기 용이하도록 소화용 캡의 입구가 충분히 넓어지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담배 필터부에 덧씌워져 보관되어 있는 소화캡을 사용자가 담배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담배의 필터 부분을 이용해 가벼운 좌우 움직임만으로도 입구가 손쉽게 넓혀질 수 있도록 방수구조의 밀봉부분에서부터 담뱃불 삽입부분에 해당하는 소화캡의 입구에 이르기까지 쐐기형 세로로 형성된 주름벽 형태의 접힘 부분을 형성한 구조(도면 6,7,8 참조)를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용캡
  3. 담뱃불 소화용 캡에 내장된 원형 또는 타원형 캡슐 형태의 물주머니에 관한 것으로, 접힘과 넒힘 역할을 하는 주름막이 형성된 원통형 담뱃불 소화용 캡의 방수성으로 밀봉된 부분의 내측에 담뱃불 1개비를 완전히 소화시킬 수 있는 적정량의 물(팥알크기 내외) 또는 소화용 물질을 수용하는 물주머니를 내장하고 물주머니의 외피는 얇으면서도 질긴 비닐형태로 탄성이 우수하며 경미한 충격에도 내구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하되 열에는 취약한 젤라틴 혹은 비닐 형태의 재질로 형성하고 물주머니 내에 수용되는 소화용 액체는 순수물이거나 담뱃불을 소화시킬 수 있는 분말, 액상, 거품 등의 여타 물질 등이 사용되며 본 소화용 액체 내에 적정량의 탈취제, 방향제 등을 첨가하여 담뱃불 소화시의 특유의 불쾌한 냄새도 차단하는 기능을 부여한 구조로서, 또한 소화용 캡에 내장된 물주머니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물주머니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얇으면서도 견고한 원통형 보호캡을 이중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용 물주머니
  4. 담뱃불을 완전히 소화시킨 담뱃불 소화용 캡은 미려한 디자인의 소화용 캡에 청결한 상태로 포장되어 미관상 무리없이 재털이에 버려지거나 쓰레기통에 버려지게 되는데, 담배꽁초로 버릴 수 있는 여건이 마땅히 조성되지 않았을 경우 소화된 담배꽁초를 담배갑 내에 청결한 상태로 보관하며, 담배꽁초 수량이 늘어남에 따라 담배꽁초 수용공간이 점차 넓어지도록 고안된, 담배갑 일측에 별도의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담배갑에 관한 것으로, 재질은 은박, 금박, 셀로판지, 친환경 합성수지, 종이 또는 이들을 합치한 형태의 불연성, 난연성 재질로서, 상부는 개방된 형태로, 하부는 방수기능 구조를 갖는 밀봉된 형태로, 담뱃갑 일측에 직사각통 형태로 내장되며 담배꽁초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비례하여 담배꽁초 수거실의 용적이 점차 넓어질 수 있도록 최초 담배꽁초 1?2개피의 수용공간을 확보한 후 담배꽁초 수용실의 넓게 마주보는 두면은 수개의 각각 압착된 주름막을 형성시켜 담배꽁초 수용량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압착된 주름막이 순차적으로 펴지면서 그 수용 공간은 점차 넓어지게 되며, 또한 다소 견고한 재질로 구성된 담뱃갑과 담배꽁초 수거실의 경계벽은, 잔존 담배를 일측으로 가볍게 밀착시키며 잔존 담배를 직립성으로 유지시켜 구부러짐, 찌그러짐, 흔들림 등에 의한 담배 부스러기 유실등의 폐단을 해결하므로서, 잔존 담배의 보관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며, 청결한 상태의 담배꽁초를 담뱃갑 내에 보관시켜 담배꽁초의 무단투기 등에 의한 환경오염원을 줄여 쾌적한 환경조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고안된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담뱃갑
  5. 담뱃갑 내에 수용되는 담배개비 수효를 줄여 담뱃갑의 크기와 모양을 다양화시킨 담뱃갑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이 제시하는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배꽁초 수거실 일체형 담뱃갑은 기존의 20개비들이 담뱃갑 내에 새로이 1?2개피의 담배꽁초 수용실을 미리 확보해야 하는 관계로 기존 담뱃갑 크기의 1/10정도 크기가 커지게 되는데, 이를 감수하고 기존 담뱃갑의 20개비의 담배 수량을 고수하거나 혹은 담배개비의 수효를 파격적인 반갑 정도로(약 10개비 내외) 줄이거나 아예 2?18개피 내외로 담배개피 수량을 다양화 하므로서 휴대를 간편하게 하며, 담배보존 상태의 양호성을 도모하고 담배의 개피 수를 줄임으로서 흡연 욕구의 절제 등의 효과 를 제공하며 사용자 취향에 맞는 다양한 크기의 직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의 다양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배개피 수량에 변화를 준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6. 상기와 같은 담뱃불 소화용 캡이 담배 필터부에 덧씌워진 형태로 담뱃갑 내에 보관되어 필요시 그 기능을 수행하는 담뱃갑에 있어서, 사용자가 담뱃불을 담뱃갑 소화용 캡에 삽입시켜 소화시킨 별도의 담배꽁초 수거실이 필요없이 담배를 빼왔던 자리에 다시금 소화용 캡에 포장된 청결한 상태의 담배꽁초를 빈자리에 꽂아서 보관할 수 있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갑.
  7. 담뱃불 소화용캡 (1) (2)에 내장되는 소화용 물주머니 대신 방수구조를 지닌 소화캡 (1) (2) 하단에 소화용 물 또는 소화용 물질을 넣은 다음, 젤라틴, 또는 질기면서도 접착력은 있으나 열기에 취약한 코팅재질로 코팅막을 견고하게 처리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담뱃불 소화용캡
  8. 별도의 담배꽁초 수거실이 없이 기존의 담뱃갑에 단순히 담배 개피의 수량에만 변화를 준(2?20개피 이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담뱃갑
KR2020100011967U 2010-11-19 2010-11-19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KR201200037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67U KR20120003745U (ko) 2010-11-19 2010-11-19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967U KR20120003745U (ko) 2010-11-19 2010-11-19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745U true KR20120003745U (ko) 2012-05-30

Family

ID=46612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967U KR20120003745U (ko) 2010-11-19 2010-11-19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3745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32Y1 (ko) * 2015-10-06 2017-02-27 송용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WO2018004208A1 (ko) * 2016-06-27 2018-01-04 송용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CN109998169A (zh) * 2019-02-20 2019-07-12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随身佩戴笔型烟支密封保存管
KR20230105778A (ko) * 2022-01-04 2023-07-12 변종원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KR20230111709A (ko) * 2022-01-18 2023-07-26 변종원 화재방지를 위한 필름이 들어가 있는 연초형 담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732Y1 (ko) * 2015-10-06 2017-02-27 송용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WO2018004208A1 (ko) * 2016-06-27 2018-01-04 송용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CN109998169A (zh) * 2019-02-20 2019-07-12 红云红河烟草(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随身佩戴笔型烟支密封保存管
KR20230105778A (ko) * 2022-01-04 2023-07-12 변종원 화재방지를 위한 연초형 담배
KR20230111709A (ko) * 2022-01-18 2023-07-26 변종원 화재방지를 위한 필름이 들어가 있는 연초형 담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3745U (ko)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US5224499A (en) Pocket ashtray
WO2001047380A1 (en) Cigarette pack
JP2010528944A (ja) タバコ製品用パッケージ
JPH07194361A (ja) タバコケース
KR100816322B1 (ko) 담배 팩
KR101258194B1 (ko) 휴대용 담뱃불 소화기
KR20100072913A (ko) 담배 및 이를 위한 담배갑
WO2006092719A1 (en) Package
KR200149252Y1 (ko) 재떨이가 부설된 담뱃갑
JP3055987U (ja) 灰皿付きタバコケース
CN215945529U (zh) 一种多功能香烟盒
JP5778837B1 (ja) 煙草ケ−ス
KR200299016Y1 (ko) 담배갑
KR200166191Y1 (ko) 휴대용 재떨이
JP3238300U (ja) 携帯用灰皿
JP3144269U (ja) 灰皿
WO2006063398A1 (en) Cigarette packet with receptacle
WO2016124798A1 (es) Envase para condón
KR200262039Y1 (ko) 담뱃속 유출차단막이 설치된 담배
JP3198032B2 (ja) 煙草収納箱
JP2004035108A (ja) ポイ捨て防止のチューインガムのパッケージ
US20040237975A1 (en) Disposable unit for cigarette butts
JP3116290U (ja) 灰皿を備える煙草パッケージ
KR19990016366U (ko) 휴대용 담배 꽁초 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