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732Y1 -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 Google Patents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732Y1
KR200482732Y1 KR2020160003683U KR20160003683U KR200482732Y1 KR 200482732 Y1 KR200482732 Y1 KR 200482732Y1 KR 2020160003683 U KR2020160003683 U KR 2020160003683U KR 20160003683 U KR20160003683 U KR 20160003683U KR 200482732 Y1 KR200482732 Y1 KR 200482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garette
case body
case
present
storag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용범
Original Assignee
송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용범 filed Critical 송용범
Priority to KR2020160003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732Y1/ko
Priority to PCT/KR2017/006677 priority patent/WO20180042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14Ash-trays in one piece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9/00Ash-trays
    • A24F19/0064Ash-trays of the p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담배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담배를 소각하며 수용하는 담배 수용부와, 상기 담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담배의 담뱃재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담배의 필터부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담배가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담뱃재를 수납하는 담뱃재 수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STORAGE BINS FOR A CIGARETTE BUTT}
본 고안은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우던 담배를 산소공급을 차단하여 순간 소각하고, 재 흡연을 위해 안전하고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담뱃값 인상으로 금연하는 인구가 많아지는 추세이지만 애연가들은 여전히 담배를 끊지 못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와서는 지하철입구 주변, 버스정류장, 대부분의 건물과 음식점등 금연구역이 확장되고 꽁초를 버릴 경우 과태료가 부과되는 등, 애연가들의 설자리가 없어져가는 추세에 있다.
더욱이, 정부의 금연정책으로 담뱃값이 크게 인상되어, 특히 지갑이 얇은 흡연가들에게 경제적 부담이 더욱 크게 되었다.
지금까지는 흡연도중 흡연을 중지하고자 할 때, 재떨이 등에 소등 후, 재 흡연을 위해서는 담뱃갑에 꽁초를 그냥 임시 보관하였는데, 이 방법은 담배꽁초 냄새로 본인과 주변에 불쾌감을 유발하게 되었었다,
한편, 종래에는 외부에서 흡연을 하는 경우 담뱃재나 담배꽁초를 무단 투기하지 않고 휴대하기 위한 휴대용 재떨이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459호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휴대용 재떨이는, 담뱃재와 담배꽁초를 수용하는 저장부가 형성된 본체와, 개방된 본체의 저장부 상부에 삽입되어 저장부를 개폐하는 뚜껑과, 본체에 장착되어 담뱃갑이나 호주머니에 걸칠 수 있는 일정한 탄성을 갖는 탄성체로 형성된 걸이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흡연자가 담배를 분할 흡연하기 위해 종래의 휴대용 재떨이를 사용하는 경우, 종래의 휴대용 재떨이는 담배꽁초의 필터부까지 본체에 완전히 수납한 상태에서 뚜껑을 닫아 보관하므로, 수납된 담배꽁초를 재 흡연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피우던 담배를 본체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필터부가 오염되기 쉬워 청결하지 않고, 담배의 필터부가 본체에 폐쇄된 상태에서 수납됨에 따라 니코틴 및 타르의 연소에 따른 악취가 본체에 수납된 담배꽁초의 필터부에 배여, 재 흡연시 흡연자에게 불쾌감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6459호(고안의 명칭: 휴대용 재떨이, 공고일: 2004.03.30.)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재 흡연을 위해 피우던 담배를 순간적으로 소각하며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고, 니코틴 및 타르의 연소에 따른 악취가 피우던 담배의 필터부에 흡착되는 것을 줄이며, 재 흡연시 흡연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피우던 담배의 길이에 대응하며 보관할 수 있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담배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담배를 소각하며 수용하는 담배 수용부와, 상기 담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담배의 담뱃재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담배의 필터부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담배가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담뱃재를 수납하는 담뱃재 수납부를 포함하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담배 수용부는 상기 삽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구의 내경은 상기 담배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배출구의 내경은 상기 담배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담뱃재 수납부는 속이 빈 반구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상기 담뱃재 수납부의 각 외주는 단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인너 케이스 본체와, 상기 인너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 제1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인너 케이스 본체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아우터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담뱃재 수납부는 인너 담뱃재 수납부와, 상기 인너 담뱃재 수납부와의 사이에 제2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인너 담뱃재 수납부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아우터 담뱃재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에는 각각, 단열재가 충진될 수 있다.
상기 담뱃재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담배 수용부와 연통하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주에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통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신장 및 축소하는 신축 주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담배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담배를 소각하며 수용하는 담배 수용부와, 상기 담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담배의 담뱃재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담배의 필터부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담배가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케이스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캡을 포함하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재 흡연을 위해 피우던 담배를 순간적으로 소각하며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고, 니코틴 및 타르의 연소에 따른 악취가 피우던 담배의 필터부에 흡착되는 것을 줄이며, 재 흡연시 흡연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피우던 담배의 길이에 대응하며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에 담배가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의 종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사용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에 담배가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의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며,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a)는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1)는 양측이 개구된 속이 빈 원형 단면의 통 형상을 가진다.
케이스 본체(11)의 일측 개구는 담배(1)가 삽입되는 삽입구(13)를 형성하고, 케이스 본체(11)의 타측 개구는 담배(1)의 담뱃재(7)가 배출되는 배출구(17)를 형성한다.
케이스 본체(11)의 삽입구(13)와 배출구(17) 사이에는 담배 수용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담배 수용부(19)는 삽입구(13) 및 배출구(17)와 연통하며, 삽입구(13)로 삽입되는 담배(1)를 소각하며 수용한다.
담배 수용부(19)는 삽입구(13)로부터 배출구(17)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단면 형상 예컨대, 케이스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또한, 삽입구(13)의 내경은 담배(1)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담배 수용부(19)로 담배(1)의 삽입이 용이하고, 담배(1)의 삽입시 삽입구(13)가 오염되는 것을 줄여, 담배(1)를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재 흡연시 필터부(5)의 오염으로 인한 흡연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배출구(17)의 내경은 담배(1)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담배 수용부(19)로 삽입되는 담배(1)의 궐련부(3)가 담배 수용부(19)의 내주에 밀착하면서 산소가 차단되어 궐련부(3)는 순간 소각된다. 아울러, 담배 수용부(19)에 수용된 담배(1)가 케이스 본체(11)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a)의 담배 수용부(19)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담배 수용부(19)는 담배(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11)에는 담배(1)의 필터부(5)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수용된다. 이로써, 담배(1)의 필터부(5)의 단부가 노출하며 케이스 본체(11)에 수용됨에 따라, 니코틴 및 타르의 연소에 따른 악취가 피우던 담배(1)의 필터부(5) 예컨대, 담배꽁초의 필터부(5)에 흡착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재 흡연시 필터부(5)의 악취로 인한 흡연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담뱃재 수납부(31)는 속이 빈 반구형의 형상을 가진다. 담뱃재 수납부(31)는 케이스 본체(11)의 배출구(17)를 폐쇄하도록 마련되어, 배출구(17)로부터 배출되는 담뱃재(7)를 수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담뱃재 수납부(31)가 케이스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 본체(11) 및 담뱃재 수납부(31)의 각 외주는 단열 코팅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열 코팅 처리함으로써, 담배(1)의 보관시 담배(1)의 소각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a)의 표면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흡연자가 담배(1)를 피우던 중에 분할 흡연을 원할 경우, 피우던 담배(1)를 케이스 본체(11)의 삽입구(13)를 통해 담배 수용부(19)로 삽입한다. 이 때, 필터부(5)의 단부는 노출된다.
연소되는 담배(1)가 담배 수용부(19)로 삽입됨에 따라, 담배 수용부(19)로 삽입되는 담배(1)의 궐련부(3)는 담배 수용부(19)의 내주에 밀착하면서 산소가 차단되어, 순간 소각된다.
담배(1)가 소각되며 발생되는 담뱃재(7)는 담뱃재 수납부(31)로 수납되고, 피우던 담배(1)의 필터부(5)의 단부는 노출되면서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a)에 보관된다. 한편, 담배(1)의 필터부(5)의 단부가 노출되며 보관됨에 따라, 니코틴 및 타르의 연소에 따른 악취가 보관되는 담배(1)의 필터부(5)에 흡착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보관하고자 하는 담배(1)의 길이가 과도하게 짧은 경우, 담배 수용부(19)로 삽입되는 담배(1)는 담배 수용부(19)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산소가 희박해짐에 따라 자연 소각된다.
한편, 흡연자가 재 흡연을 원할 경우, 케이스 본체(11)를 잡고 보관된 담배(1)의 필터부(5)를 잡고 빼내어, 궐련부(3)에 불을 점화하여 재 흡연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a)는 피우던 담배(1)를 순간적으로 소각하며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니코틴 및 타르의 연소에 따른 악취가 피우던 담배(1)의 필터부(5)에 흡착되는 것을 줄여, 재 흡연시 흡연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케이스 본체(11) 및 담뱃재 수납부(31)의 구조가 상이하다.
즉,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b)의 케이스 본체(11)는 인너 케이스 본체(11a)와, 아우터 케이스 본체(11b)를 포함한다.
인너 케이스 본체(11a)와 아우터 케이스 본체(11b)는 직경이 상이한 파이프 형상을 가진다. 인너 케이스 본체(11a)의 내측에는 담배 수용부(19)가 형성되며, 담배 수용부(19)는 케이스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테이퍼지게 형성된 단면 형상을 가진다. 아우터 케이스 본체(11b)는 인너 케이스 본체(11a)와의 사이에 제1공간부(21)를 형성하며, 인너 케이스 본체(11a)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b)의 담배 수용부(19)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담배 수용부(19)는 담배(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담뱃재 수납부(31)는 인너 담뱃재 수납부(31a)와, 아우터 담뱃재 수납부(31b)를 포함한다.
인너 담뱃재 수납부(31a)와 아우터 담뱃재 수납부(31b)는 직경이 상이한 반구형의 형상을 가진다.
아우터 담뱃재 수납부(31b)는 인너 담뱃재 수납부(31a)와의 사이에 제2공간부(33)를 형성하며, 인너 담뱃재 수납부(31a)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된다. 제2공간부(33)는 제1공간부(21)와 연통한다.
한편, 제1공간부(21)와 제2공간부(33)에는 각각, 담배 수용부(19)에서 소각되는 담배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각각 단열재가 충진된다.
여기서, 제1공간부(21) 및 제2공간부(33)에 단열재를 충진하지 않고 진공을 형성하여 단열을 도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b)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단열재를 구비한 이중관의 구조를 가지므로, 담배의 보관시 담배의 소각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b)의 표면 온도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에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c)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 달리,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가 상호 분리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즉,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c)는, 케이스 본체(11)의 배출구(17)의 외주에 수나사(23)가 형성되고, 담뱃재 수납부(31)의 내주에 암나사(35)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는 분리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가 암수 끼움 결합되도록,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의 어느 하나의 내경을 다른 하나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c)의 담배 수용부(19)는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담배 수용부(19)는 담배(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c)는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를 조립하여, 피우던 담배 예컨대, 담배꽁초를 수납하며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담뱃재 수납부(31)를 케이스 본체(11)로부터 분리하여 담뱃재 수납부(31)에 수납된 담뱃재(7)를 폐기하고 나서 세척한 후, 담뱃재 수납부(31)를 케이스 본체(11)에 조립함으로써, 청결하게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c)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b)와 같이, 제1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본체(11)를 이중관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제2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담뱃재 수납부(31)를 이중관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에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d)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담배 수용부(19)가 테이퍼지게 형성되지 않고 담배(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케이스 본체(11)의 외주에는 한 쌍의 연통공(25)이 형성되어 있다.
각 연통공(25)은 장공의 단면 형상을 가지며, 담배 수용부(19)와 연통하도록 케이스 본체(11)의 외주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통공(25)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연통공(25)은 장공 이외에, 원형, 타원형,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 본체(11)의 삽입구(13)의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된 돌출턱(15)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턱(15)의 내주에는 담배(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모따기(15a) 가공되어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d)의 담배 수용부(19)가 담배(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담배 수용부(19)는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d)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된 담배(1)의 보관 상태를 연통공(25)을 통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d)에 보관되는 담배(1)의 길이가 케이스 본체(11)의 길이보다 짧을 때 연통공(25)을 통해 담배(1)의 길이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담배(1)의 인출시 연통공(25)을 통해 담배(1)의 측면을 밀어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d)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b)와 같이, 제1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본체(11)를 이중관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제2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담뱃재 수납부(31)를 이중관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d)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c)와 같이,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가 분리가능하도록,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가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암수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e)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케이스 본체(11)에 형성된 신축 주름부(29)를 더 포함한다.
신축 주름부(29)는 케이스 본체(11)의 일 영역에 연속적인 파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신장 및 축소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담배 수용부(19)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담배 수용부(19)는 담배(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e)는 보관하고자 하는 담배(1)의 길이에 대응하여 케이스 본체(11)의 길이를 가변 조절하며, 피우던 담배(1)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우던 담배(1)의 길이가 짧은 경우, 그 길이에 맞추어 신축 주름부(29)를 길이 축소하여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e)에 피우던 담배(1)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우던 담배(1)의 길이가 긴 경우, 그 길이에 맞추어 신축 주름부(29)를 길이 신장하여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e)에 피우던 담배(1)를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e)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b)와 같이, 제1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본체(11)를 이중관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제2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담뱃재 수납부(31)를 이중관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5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e)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c)와 같이,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가 분리가능하도록,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가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암수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2에는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f)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달리, 케이스 본체(11)의 배출구(17)에 담뱃재 수납부(31) 대신에 캡(41)이 마련되어 있다.
캡(41)은 케이스 본체(11)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케이스 본체(11)의 배출구(17)를 개폐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담배 수용부(19)가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담배 수용부(19)는 담배(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f)는 캡(41)을 닫음에 따라 피우던 담배를 수납하며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41)을 개방함에 따라 케이스 본체(11)의 저부 영역에 모인 담뱃재를 케이스 본체(11)로부터 간편하게 배출하며 청결하게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f)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2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b)와 같이, 제1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케이스 본체(11)를 이중관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제2공간부를 형성하도록 담뱃재 수납부(31)를 이중관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f)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3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c)와 같이,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가 분리가능하도록, 케이스 본체(11)와 담뱃재 수납부(31)가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암수 끼움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f)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4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d)와 같이, 케이스 본체(11)의 외주에 하나 이상의 연통공을 관통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제6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f)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술한 제5실시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10e)와 같이, 케이스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신장 및 축소하는 신축 주름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흡연자가 한 개의 담배를 나누어 흡연할 수 있음으로써, 경제적인 비용 절감은 물론, 불필요한 흡연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재 흡연을 위해 피우던 담배를 순간적으로 소각하며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고, 니코틴 및 타르의 연소에 따른 악취가 피우던 담배의 필터부에 흡착되는 것을 줄이며, 재 흡연시 흡연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피우던 담배의 길이에 대응하며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는 단열성이 우수한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 담배 10a∼10f :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11 : 케이스 본체 13 : 삽입구
17 : 배출구 19 : 담배 수용부
21 : 제1공간부 25 : 연통공
29 : 신축 주름부 31 : 담뱃재 수납부
33 : 제2공간부 41 : 캡

Claims (12)

  1. 담배가 삽입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로 삽입되는 담배를 소각하며 수용하는 담배 수용부와, 상기 담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담배의 담뱃재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가지며, 상기 담배가 수용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의 배출구를 폐쇄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담뱃재를 수납하는 담뱃재 수납부; 및
    상기 담배 수용부에 수용된 담배를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 본체의 외주에 장공의 단면형상으로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담배 수용부는 상기 삽입구로부터 상기 배출구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축소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삽입구의 내경은 상기 담배의 직경보다 큰 크기를 가지며, 상기 배출구의 내경은 상기 담배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상기 담뱃재 수납부는 속이 빈 반구형의 형상을 갖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및 상기 담뱃재 수납부의 각 외주는 단열 코팅된,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인너 케이스 본체와, 상기 인너 케이스 본체와의 사이에 제1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인너 케이스 본체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아우터 케이스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담뱃재 수납부는 인너 담뱃재 수납부와, 상기 인너 담뱃재 수납부와의 사이에 제2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인너 담뱃재 수납부의 외주를 둘러싸며 배치되는 아우터 담뱃재 수납부를 포함하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간부와 상기 제2공간부에는 각각, 단열재가 충진되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뱃재 수납부는 상기 케이스 본체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는 상기 케이스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이 신장 및 축소하는 신축 주름부를 더 포함하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공은 한 쌍으로 마련되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KR2020160003683U 2015-10-06 2016-06-27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KR200482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683U KR200482732Y1 (ko) 2015-10-06 2016-06-27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PCT/KR2017/006677 WO2018004208A1 (ko) 2016-06-27 2017-06-26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567 2015-10-06
KR20150006567 2015-10-06
KR2020160003683U KR200482732Y1 (ko) 2015-10-06 2016-06-27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870U Division KR20170001312U (ko) 2015-10-06 2017-02-21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732Y1 true KR200482732Y1 (ko) 2017-02-27

Family

ID=582647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683U KR200482732Y1 (ko) 2015-10-06 2016-06-27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KR2020170000870U KR20170001312U (ko) 2015-10-06 2017-02-21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0870U KR20170001312U (ko) 2015-10-06 2017-02-21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4827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4208A1 (ko) * 2016-06-27 2018-01-04 송용범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740A (ja) * 1992-08-28 1994-03-15 Nekusuto One:Kk 消火機能付吸殻入れ兼用タバコケース
KR200166191Y1 (ko) * 1999-08-18 2000-02-15 김영주 휴대용 재떨이
KR200346459Y1 (ko) 2003-12-30 2004-03-30 이현윤 휴대용 재떨이
KR20120003745U (ko) * 2010-11-19 2012-05-30 김상기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KR101532626B1 (ko) * 2013-08-30 2015-06-30 최시몬 흡연용 담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740A (ja) * 1992-08-28 1994-03-15 Nekusuto One:Kk 消火機能付吸殻入れ兼用タバコケース
KR200166191Y1 (ko) * 1999-08-18 2000-02-15 김영주 휴대용 재떨이
KR200346459Y1 (ko) 2003-12-30 2004-03-30 이현윤 휴대용 재떨이
KR20120003745U (ko) * 2010-11-19 2012-05-30 김상기 담뱃불 소화용 캡과 이를 수용하는 재떨이 및 담배꽁초 수거실이 내장된 담뱃갑
KR101532626B1 (ko) * 2013-08-30 2015-06-30 최시몬 흡연용 담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312U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2955A (en) Cigarette with insulating shell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90145448A1 (en) Smoking cylinder with cleanout
EA200701330A1 (ru) Сигарета с фильтром и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игареты с фильтром электрической курительной системы
US20160287816A1 (en) Vaporizer
US20200170294A1 (en) Smoking Apparatus With Embedded Glass Mouth Tip
US20200397047A1 (en) Herbal cigarette
JPH08942U (ja) エチケットパイプ
KR200482732Y1 (ko)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US20050236005A1 (en) Caddy for smoking accessories
US4209026A (en) Method of securing a filtering mass for tobacco smoke within a housing encompassing said mass
CA2091600C (en) Cigarette extinguishing storage device
KR102130148B1 (ko) 흡연도구
US20190142061A1 (en) Suction member for a hookah and method for mounting such a member
US3303849A (en) Smoking apparatus
JP3206970U (ja) タバコの吸殻保管ケース
US2100051A (en) Smoke filter for smoking devices
KR100650159B1 (ko) 휴대용 담배 파이프 겸용 재떨이
US2070831A (en) Smoking tube
CN207075552U (zh) 一种便携式吸烟器
CN107616549B (zh) 一种便携式吸烟器
WO2018004208A1 (ko) 담배꽁초 보관 케이스
US3143206A (en) Disposable ash tray
RU27534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влечения из пачки стиков для системы нагрева табака и/или сигарет
JP6978747B2 (ja) 携帯用吸いかけタバコ収納ケース
KR101179619B1 (ko) 휴대용 담배꽁초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