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391U - 유동방지샤워기 - Google Patents

유동방지샤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391U
KR20120003391U KR2020100011479U KR20100011479U KR20120003391U KR 20120003391 U KR20120003391 U KR 20120003391U KR 2020100011479 U KR2020100011479 U KR 2020100011479U KR 20100011479 U KR20100011479 U KR 20100011479U KR 20120003391 U KR20120003391 U KR 2012000339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water
flow
handl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868Y1 (ko
Inventor
배선규
Original Assignee
배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선규 filed Critical 배선규
Priority to KR2020100011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868Y1/ko
Priority to PCT/KR2011/008455 priority patent/WO2012064075A2/ko
Publication of KR20120003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8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2Arrangements for supporting spraying apparatus, e.g. suction cu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03C1/0409Showe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6Devices for suspending or supporting the supply pipe or supply hose of a shower-ba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10)는, 수전금구로부터 연결되는 호스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호스연결부(11)와; 상기 호스연결부(11)와 연통되며,내부의 유로를 통해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일측에 마련되고, 타부품에 걸어지도록 하는 걸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일단에 마련되고, 타원형상의 전면부에 다수의 분사공이 관통형성되어, 물을 토출시키는 헤드부(13)와; 상기 헤드부(13)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13)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수압(水壓)에 의한 샤워기의 유동을 방지하고, 타부품(세숫대야, 용기)에 샤워기를 걸어서 사용함으로써, 타부품 내부로 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동방지샤워기{shower flow prevention}
본 고안은 유동방지샤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워기를 통해 분사되는 수압(水壓)에 의해 샤워기의 헤드가 유동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고, 세수, 세탁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시 용기에 물을 용이하게 담수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동방지샤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샤워기는, 각 가정의 욕실이나, 대중의 목욕탕에 냉.온수밸브가 설치된 수도꼭지에 연결되어 수도꼭지로 이동된 물이 샤워기로 분사되며, 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머리를 감거나, 샤워를 하는데 사용되고 있고, 또한 목욕 탕이나 욕실에 앉아 샤워기로 분사되는 물을 용기의 내부에 담수시켜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샤워기는 물이 분사되는 헤드가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야에서 머리를 감는 경우에는 한 손으로 샤워기를 파지한 후 다른 한 손으로 머리를 감아야 하는데 한 손만을 사용하여 머리를 감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두 손을 사용하여 머리를 감거나 기타 동작을 하기 위하여 샤워기를 대야 외의 바닥면에 놓거나 기타 위치에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물의 수압(水壓)에 의하여 샤워기가 고정되지 않으며,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통하여 분사되는 물이 사방으로 튀거나 이로 인해 사용자의 의복이 물에 젖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각 가정마다 욕실에서 샤워만 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손빨래나 아기 목욕시키기 등 여러 용도로 샤워기를 사용할 때, 세숫대야나 그외 물 받는 용기에 샤워기를 내려놓으면 샤워기의 방향이 윗 쪽으로 향하게 되므로 강한 물줄기가 용기 밖으로 튀거나 옷을 적시게 되어, 용기에 물을 다 받을 때까지 샤워기를 잡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샤워기의 헤드부 일측에 지지수단을 마련하여, 바닥면에 놓았을 경우 수압(水壓)에 의해서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샤워기의 손잡이부 일측에 걸이부를 마련하여, 세수, 세탁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시 용기 모서리부에 걸어서 용기 내부로 용이하게 물을 담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동방지샤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는, 수전금구로부터 연결되는 호스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호스연결부와; 상기 호스연결부와 연통되며, 내부의 유로를 통해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마련되어, 타부품에 걸어지도록 하는 걸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단에 마련되고, 타원형상의 전면부에 다수의 분사공이 관통형성되어, 물을 토출시키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헤드부와 밀착되는 제 1부재와, 상기 제 1부재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 2부재와, 상기 제 1부재와 제 2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부재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의 일단에는,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이부와 상기 지지수단의 이격거리(L1)는 상기 걸이부와 상기 호스연결부의 이격거리(L2)보다 더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에 따르면, 욕조나 바닥에 샤워기를 놓았을 때, 지지수단이 바닥면으로부터 샤워기를 지지함으로써, 수압(水壓)에 의한 샤워기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이부에 의해 타부품 즉, 세숫대야, 용기 등에 샤워기를 걸어서 사용함으로써 세수, 세탁 등과 같은 작업시 용기 내부로 물을 용이하게 담수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유동방지샤워기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방지샤워기(10)는, 수전금구로부터 연결되는 호스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호스연결부(11)와, 상기 호스연결부(11)와 연통되며, 내부의 유로를 통해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일측에 마련되어, 타부품에 걸어지도록 하는 걸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일단에 마련되고, 타원형상의 전면부에 다수의 분사공이 관통형성되어, 물을 토출시키는 헤드부(13)와, 상기 헤드부(13)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13)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지지수단(30) 등으로 구성된다.
호스연결부(11)는, 수전금구로부터 연결되는 호스(H)의 선단에 결합된다. 상기 호스연결부(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외측에는 나사선이 형성된다.
상기 호스연결부(11)는, 호스(H)와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부(12)를 연결시켜주고, 물이 상기 호스(H)에서 손잡이부(12) 내부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스연결부(11)에는 손잡이부(12)가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12)는, 상기 호스연결부(11)와 연통되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할 수 있도록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12)는, 내측에 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호스연결부(11)를 통해 유입되는 물이 아래에서 설명할 헤드부(13)로 유동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손잡이부(12)의 일측에는, 걸이부(20)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20)는, 'ㄴ'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걸이부(20)는, 도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토출되는 좌측(도1 에서)으로 돌출되고, 상측(도 1에서)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이격거리는, 구체적으로 5~10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는, 샤워기를 바닥에 놓았을 때, 상기 걸이부(20)가 바닥면에 닿아서 걸리지 않도록 함이다.
상기 걸이부(20)의 일단에는 이탈방지돌기(2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21)는, 상기 걸이부(20)의 절곡된 끝단에서 상기 손잡이부측으로, 즉 도 1에서의 우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20) 및 상기 이탈방지돌기(21)는, 타부품(세숫대야, 용기 등)의 돌출형성된 모서리에 걸려, 샤워기가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2)의 일단에는 헤드부(13)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13)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되며, 전면에는 다수의 분사공(13a)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헤드부(13)는 상기 분사공(13a)을 통해 물을 외부로 토출시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헤드부(13)의 일측에는 지지수단(30)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헤드부(13)의 측면을 감싸고, 상기 헤드부의 전면보다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헤드부(13)의 측면에 밀착되는 제 1부재(31)와, 제 1부재(31)와 이격 설치되는 제 2부재(32)로 구성된다.
상기 제 1부재(31)는, 사각프레임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면이 상기 헤드부(13)의 측면에 밀착되어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 1부재(31)의 전방에는 제 2부재(32)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제 1부재(31)와 상기 제 2부재(32)의 이격된 틈에는 연결대(3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 1부재(31)와 상기 제 2부재(32)의 각 모서리에 연결대(33)가 구비되어, 상기 제 1부재(31)로부터 상기 제 2부재(32)가 이격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걸이부(20)와 상기 지지수단(30)의 이격거리(L1)는, 상기 걸이부(20)와 상기 호스연결부(11)의 이격거리(L2)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헤드부(13)의 무게에 의해 샤워기의 무게중심이 상기 헤드부(13) 측에 가까우므로, 상기 걸이부(20)를 타부품에 걸었을 경우에 샤워기가 헤드부(13)측으로 기울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부재(32)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부(13)의 전면이 바닥을 향하도록 놓았을때 상기 제 2부재(32)의 전면이 바닥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부재(32)의 전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부재(31)와 제 2부재(32) 및 상기 연결대(33)는, 측면분출구(34)를 형성한다. 즉, 상기 측면분출구(34)는, 상기 제 1부재(31)와 제 2부재(32) 및 상기 연결대(33)가 이루는 이격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측면분출구(34)는, 상기 제 2부재(32)의 전면이 바닥에 밀착되었을 경우, 상기 헤드부(13)로부터 토출되는 물이 측방으로 토출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헤드부(13)와 나사체결되어, 선택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유동방지샤워기의 작용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유동방지샤워기(10)를 통한 급수를 위해, 수도꼭지를 조작한다. 수도꼭지를 조작하여 밸브를 개방하면, 물이 호스(H)를 따라 유동하여 유동방지샤워기(10)의 헤드부(13)를 통해 전면으로 토출된다.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세숫대야에 상기 유동방지샤워기(10)를 고정해야 하는 경우, 손잡이부(12)의 일측에 형성된 걸이부(20)를 세숫대야의 가장자리에 건다. 즉,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12)와 상기 걸이부(20)사이의 틈에 세숫대야의 가장자리를 삽입한다.
상기 손잡이부(12)는, 상기 유동방지샤워기(10)의 무게중심에 위치하므로, 상기 유동방지샤워기(10)가 세숫대야의 가장자리에 걸린채로 수평을 이루어 지지,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세숫대야에 필요한 물을 급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2)에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21)가 세숫대야의 가장자리 하측에 형성되는 돌기에 걸려, 수압의 작용에도 샤워기가 세숫대야에서 이탈되지 않고, 세수, 손빨래 등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상기 유동방지샤워기(10)를 바닥에 내려 놓아야 하는 경우, 지지수단(30)이 바닥에 밀착되도록 상기 유동방지샤워기(10)를 놓는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수단(30)의 제 2부재(32)가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놓는다.
상기 제 2부재(32)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샤워기를 바닥에 내려 놓았을 경우에 상기 제 2부재(32)가 바닥에 완전히 밀착된다.
상기 제 2부재(32)가 바닥에 밀착되면, 상기 헤드부(13)의 전면으로 토출되는 물이 상기 지지수단(30)을 구성하는 제 1부재(31)와 제 2부재(32) 사이의 측면분출구(34)로 토출된다.
즉, 평소 유동방지샤워기(10)의 사용시에 상기 헤드부(13)의 전면으로 물이 토출되다가, 상기 유동방지샤워기(10)를 바닥에 내려놓아 물의 토출 방향과 바닥면이 수직이 되는 경우에 물이 상기 측면분출구(34)를 따라 측면으로 토출되도록 가이드된다.
따라서, 물이 샤워기의 전면으로 토출되어 그 수압으로 인해 샤워기가 뒤집어지는 문제가 방지되고, 물이 상기 측면분출구(34)를 따라 유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 2부재(32)가 바닥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샤워기가 뒤집어져 불필요한 곳으로 물이 분출되거나 사용자의 옷이 젖는 문제가 방지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유동방지샤워기 11. 호스연결부
12. 손잡이부 13. 헤드부
20. 걸이부 21. 이탈방지돌기
30. 지지수단 31. 제 1부재
32. 제 2부재 33. 연결대
34. 측면분출구

Claims (5)

  1. 수전금구로부터 연결되는 호스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물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호스연결부(11)와;
    상기 호스연결부(11)와 연통되며, 내부의 유로를 통해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손잡이부(12)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일측에 마련되어, 타부품에 걸어지도록 하는 걸이부(20)와;
    상기 손잡이부(12)의 일단에 마련되고, 타원형상의 전면부에 다수의 분사공이 관통형성되어, 물을 토출시키는 헤드부(13)와;
    상기 헤드부(13)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헤드부(13)의 전도(顚倒)를 방지하는 지지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동방지샤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30)은, 상기 헤드부(13)와 밀착되는 제 1부재(31)와, 상기 제 1부재(31)와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제 2부재(32)와, 상기 제 1부재(31)와 제 2부재(32)를 연결하는 연결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동방지샤워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부재(32)는, 일측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샤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0)의 일단에는,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2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동방지샤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20)와 상기 지지수단(30)의 이격거리(L1)는 상기 걸이부(20)와 상기 호스연결부(11)의 이격거리(L2)보다 더 작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방지샤워기.
KR2020100011479U 2010-11-08 2010-11-08 유동방지샤워기 KR200464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79U KR200464868Y1 (ko) 2010-11-08 2010-11-08 유동방지샤워기
PCT/KR2011/008455 WO2012064075A2 (ko) 2010-11-08 2011-11-08 유동방지샤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479U KR200464868Y1 (ko) 2010-11-08 2010-11-08 유동방지샤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391U true KR20120003391U (ko) 2012-05-16
KR200464868Y1 KR200464868Y1 (ko) 2013-01-25

Family

ID=46051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479U KR200464868Y1 (ko) 2010-11-08 2010-11-08 유동방지샤워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64868Y1 (ko)
WO (1) WO2012064075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155B1 (ko) * 2013-11-26 2015-01-08 배선규 샤워기 헤드 홀더
WO2016089116A1 (ko) * 2014-12-03 2016-06-09 신복인 다용도 일체형 거치대
KR20190007164A (ko) * 2017-07-12 2019-01-22 김기옥 전도 방지 기능이 구비된 샤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01569A (ja) * 2013-10-11 2016-01-21 ギュ ペ,ソン シャワーヘッド用ホルダ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791Y1 (ko) * 1989-06-28 1992-05-01 우영동 샤워기 헤드
JP4031095B2 (ja) 1997-11-12 2008-01-09 リコーエレメックス株式会社 フード付きシャワーノズル
KR200274315Y1 (ko) * 2002-02-06 2002-05-04 전철균 샤워기
KR200440468Y1 (ko) 2008-01-18 2008-06-13 김진국 세움대가 설치된 샤워기 헤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155B1 (ko) * 2013-11-26 2015-01-08 배선규 샤워기 헤드 홀더
WO2016089116A1 (ko) * 2014-12-03 2016-06-09 신복인 다용도 일체형 거치대
KR20190007164A (ko) * 2017-07-12 2019-01-22 김기옥 전도 방지 기능이 구비된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868Y1 (ko) 2013-01-25
WO2012064075A3 (ko) 2012-09-20
WO2012064075A2 (ko) 201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010B1 (ko) 세면대 설치 겸용 선반유닛
KR200464868Y1 (ko) 유동방지샤워기
KR200437713Y1 (ko) 샤워기 고정구가 구비된 대야
JP4079629B2 (ja) 洗面化粧台の洗面器
JP2016501569A (ja) シャワーヘッド用ホルダー
KR20150103492A (ko) 벽걸이식 세안장치
JP3736326B2 (ja) シャワーヘッド取付装置
JP2009153552A (ja) 洗面化粧台
KR101114176B1 (ko) 발 세척용 수전
KR20110114397A (ko) 세면대를 구비한 욕조
JP7255776B2 (ja) 浴室トイレ
CN217517726U (zh) 用于洗手台盆的置物支架及洗手台盆
KR200338348Y1 (ko) 스팀 욕조
KR200432920Y1 (ko) 발 세척 겸용 세탁장치
KR20110008963U (ko) 세면기 걸이 기능이 있는 샤워기
JP2002058609A (ja) 浴室内設備
KR200443751Y1 (ko) 세면대
JP2007319480A (ja) 浴室
JP3460014B2 (ja) シャワーホース保持具を取付けた浴室
KR20110011626U (ko) 이동식 샤워헤드 고정스탠드
JP4725299B2 (ja) 浴室ユニット
JP2507529Y2 (ja) シャワ―ル―ムユニット
JP2809099B2 (ja) 洗面化粧台
JP2553930Y2 (ja) シャワー装置
JP2003328410A (ja) シャワーフ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