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819U -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 Google Patents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819U
KR20120002819U KR2020100010594U KR20100010594U KR20120002819U KR 20120002819 U KR20120002819 U KR 20120002819U KR 2020100010594 U KR2020100010594 U KR 2020100010594U KR 20100010594 U KR20100010594 U KR 20100010594U KR 20120002819 U KR20120002819 U KR 2012000281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orting
particle size
tra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8274Y1 (ko
Inventor
이장근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27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2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27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트라프와, 길고 납작한 ‘ㄱ’자 형태의 스크린 바가 상기 트라프의 내부 양 측면을 가로질러 다단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선별 스크린과, 상기 선별 스크린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선별 스크린을 통과한 폐기물 등이 수거되는 호퍼와, 상기 트라프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입도 선별기는 폐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Vibration Type Multi-Stage Particle Size Seperator}
본 고안은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고 납작한 ‘ㄱ’자 형태의 스크린 바가 다수개 다단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진 선별 스크린의 진동에 의해 폐기물 등을 크기별로 선별하는 다단 진동식 폐기물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업소, 및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은 수거용 비닐봉투에 담겨져 배출된 후 매립이나 소각방식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 특히 가연성 폐기물의 경우 소각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폐기물 처리방법 중 하나이나, 가연성 폐기물의 크기 및 성질이 불균일하여 연소과정이 안정적이지 못하고 또한 소각로를 포함한 소각처리 시설의 대형화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연성 폐기물을 반복되는 선별, 파쇄 및 건조 과정을 거친 후에 일정 크기로 성형하여 재생 연료로 사용하는 방법이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재생 연료의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는 균일한 크기의 가연성 연료를 공급하여 주는 것이고, 따라서 전체 공정 중에서 선별 과정이 중요한 핵심 공정중의 하나이다.
한편 이러한 폐기물을 선별하는 장치로는, 드럼 형상의 스크린이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선별하는 트로멜과 다수개의 구동축이 회전하면서 폐기물을 선별하는 디스크 선별기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트로멜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로멜은 드럼 형상으로 이루어진 트로멜 스크린(10)을 포함하는데, 이 트로멜 스크린(10)은 그 좌우 양단에 각각 투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된다. 또한, 트로멜 스크린(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물 모양이나 또는 다른 형상의 선별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며, 마운팅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동력원(30)으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한다.
그러나 이러한 트로멜에서는 뭉치거나 엉켜 덩어리진 상태로 투입되는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작은 폐기물이 선별되지 못하고 배출구로 그대로 배출되었다. 또한 폐기물이 선별 구멍에 끼이거나 선별 구멍을 덮어 선별 구멍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었다. 따라서 선별 작업이 원활하지 못하였고 효과적인 선별을 위하여는 트로멜 스크린의 직경이 크고 길이가 길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디스크 스크린은 통상적으로 회전 가능한 다수개의 구동축과, 구동축에 격자로 배열되어 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다각형의 디스크 판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디스크 스크린은 트로멜에 비해 시간당 처리 용량이 많으며 선별 구멍의 막힘 현상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디스크 스크린 역시 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선별하기 위하여는 디스크 스크린의 길이가 길어야 하며, 특히 디스크 판에 폐기물이 감기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크기에 따른 폐기물 등의 선별 효율이 높으며 선별기의 부피가 작아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하나의 양상은,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트라프(trough)와, 길고 납작한 ‘ㄱ’자 형태의 스크린 바가 상기 트라프의 내부 양 측면을 가로질러 다단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선별 스크린과, 상기 선별 스크린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선별 스크린을 통과한 폐기물이 수거되는 호퍼와, 상기 트라프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단 진동식 폐기물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바는 길이 방향으로 ‘凹’자 형상의 선별 구멍이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선별 스크린은 스크린 바와 스크린 바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모터와, 상기 트라프의 일 측면에 구비된 풀리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과, 상기 풀리의 회전 운동을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선별 스크린이 다단으로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기존의 폐기물 선별 장치에 비하여 선별 효율이 높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기물 선별 장치인 트로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입도 선별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따른 입도 선별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별 스크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별 스크린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입도 선별기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따른 입도 선별기의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에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스프링(440)에 의하여 지지되는 트라프(200)와, 길고 납작한 ‘ㄱ’자 형태의 스크린 바(310)가 상기 트라프(200)의 내부 양 측면(230)을 가로질러 다단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선별 스크린(300)과, 상기 선별 스크린(300)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선별 스크린(300)을 통과한 폐기물 등이 수거되는 호퍼(210)와, 상기 트라프(200)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트라프(200)의 뒤쪽에는 투입구(A)가, 앞쪽에는 배출구(B)가 구비되며, 아래쪽에는 호퍼(210)가 구비된다.
1차 파쇄된 가연성 폐기물 등은 투입구(A)로 투입되어 선별 스크린(300) 위를 통과하면서 일정 크기 이하의 폐기물 등은 선별 스크린(300)을 통과하여 아래쪽의 호퍼(210)에서 수거된 후, 벨트 콘베이어 등의 이송 수단(220)에 의해 이송된다. 또한 일정 크기 이상의 폐기물 등은 선별 스크린 위를 통과하여 배출구로 배출된 후, 또 다른 이송 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이송되어 추가적인 파쇄 공정을 거치게 된다.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에 있어서, 상기 트라프(200)의 일 측면(230)에는 풀리(420)가 구비되며, 트라프(200)의 양쪽 측면(230) 외측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각각 스프링(440)이 구비된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410)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벨트 등의 동력 전달 수단(430)을 통하여 모터(410)의 회전력이 풀리(420)에 전달되게 되며, 상기 풀리(420)의 회전 운동은 트라프(200)의 양쪽 모서리에 구비된 스프링(440)에 의해 진동 운동으로 변환되어, 트라프(200)는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입도 선별기는, 다수개의 스크린 바(310)가 트라프(200)의 내부에 다단으로 장착되어 선별 스크린(300)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린 바(310)는 기다란 형태의 철판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모양의 ‘ㄱ’자 형상으로 절곡하여 제조하며, 그 길이 방향으로는 ‘凹’자 형상의 선별 구멍(311)이 다수개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 바(310)의 후면에는 보강용 보조 바(3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크린 바(310)의 선별 구멍(311) 크기 및 모양은 처리되는 폐기물 등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다수개의 스크린 바(310)는 트라프(200)의 양쪽 측판(230)을 가로질러 연속적으로 장착되어 선별 스크린(300)을 구성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별 스크린의 실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선별 스크린은 4단의 스크린 바를 한 세트로 제작하여 이와 같이 구성된 스크린 바 세트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스크린 바의 양 측면이 트라프와 맞닫는 부위를 볼트로 체결하여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별 스크린(300)의 경사는 기본적으로 트라프(200)의 기울어짐에 의하여 결정되며, 선별 스크린(300)의 경사에 의하여 폐기물 등의 이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선별 스크린(300)의 경사는 폐기물 등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는데, 선별 스크린(300)의 경사가 너무 완만한 경우 진동에 의한 선별 작업은 양호하게 이루어지나 폐기물 등의 이송이 더디게 되어 전체 공정의 흐름을 방해하고, 기울기가 너무 가파른 경우에는 선별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폐기물 등이 지나가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적인 종래 기술의 진동식 폐기물 선별기에 있어서는 선별 스크린이 하나의 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본 고안에 따른 입도 선별기에 있어서는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선별 스크린(300)이 다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폐기물 등의 선별 작업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의 폐기물 선별기에 있어서는 폐기물이 선별 스크린 위를 그대로 미끄러져 통과하게 되나, 본 고안에 따른 선별기 있어서는 투입구(A) 측으로 투입된 폐기물 등이 위쪽의 스크린 바(310)에서부터 아래쪽의 스크린 바(310)까지 순차적으로 낙하하면서 통과하기 때문에 폐기물 등이 더욱 효과적으로 선별되게 된다. 또한 중력에 의한 자유 낙하에 추가하여 선별 스크린(300)의 진동에 의한 관성력이 작용하여 폐기물 등이 더욱 효과적으로 선별 스크린(300)의 아래쪽으로 낙하할 수 있게 되며 서로 엉겨 붙어있던 폐기물 등도 서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도 선별기는 폐기물 등의 선별 효율이 높으며, 종래의 선별기에 비하여 단위 시간 당 처리량을 높일 수 있으며, 작은 부피의 선별기로도 많은 양의 폐기물 등을 처리할 수 있어 좁은 설치 공간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선별 스크린의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 구현예에서는 스크린 바(310)의 한쪽 끝(312)이 인접하는 스크린 바(310)의 다른쪽 끝(313)과 거의 일치하는 정도로 장착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 바(310)와 스크린 바(310) 사이의 거리는 처리되는 폐기물 등의 종류 및 성질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입도 선별기는 여러 종류의 입자 크기를 가지는 폐기물 등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고안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베이스 프레임
200 : 트라프
210 : 호퍼
220 : 이송 수단
300 : 선별 스크린
310 : 스크린 바
311 : 선별 구멍
320 : 보조 바
400 : 진동 수단
410 : 모터
420 : 풀리
430 : 동력 전달 수단
440 : 스프링

Claims (4)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스프링에 의하여 지지되는 트라프와, 길고 납작한 ‘ㄱ’자 형태의 스크린 바가 상기 트라프의 내부 양 측면을 가로질러 다단으로 장착되어 이루어지는 선별 스크린과, 상기 선별 스크린의 아래쪽에 설치되며 선별 스크린을 통과한 폐기물이 수거되는 호퍼와, 상기 트라프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바는 길이 방향으로 ‘凹’자 형상의 선별 구멍이 연속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스크린은 스크린 바와 스크린 바 사이의 간격이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수단은 모터와, 상기 트라프의 일 측면에 구비된 풀리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풀리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수단과, 상기 풀리의 회전 운동을 진동으로 변환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KR2020100010594U 2010-10-15 2010-10-15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KR2004682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94U KR200468274Y1 (ko) 2010-10-15 2010-10-15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94U KR200468274Y1 (ko) 2010-10-15 2010-10-15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819U true KR20120002819U (ko) 2012-04-25
KR200468274Y1 KR200468274Y1 (ko) 2013-08-02

Family

ID=4660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594U KR200468274Y1 (ko) 2010-10-15 2010-10-15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2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305A (ko) * 2020-08-13 2022-02-22 에이브이씨 주식회사 진동선별기의 선별하우징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4469B2 (ja) * 1995-05-31 2005-03-02 神鋼電機株式会社 振動選別装置
KR100652225B1 (ko) * 2003-09-19 2006-11-30 김윤호 선별기
KR100468630B1 (ko) 2004-08-12 2005-01-31 동신산업(주)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1305A (ko) * 2020-08-13 2022-02-22 에이브이씨 주식회사 진동선별기의 선별하우징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274Y1 (ko) 2013-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CN209985480U (zh) 一种建筑工程用废料处理回收装置
KR20140098352A (ko) 매립쓰레기에서 선별된 가연성의 고순도 연료화 제조장치
KR101049235B1 (ko)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장치
CN210079794U (zh) 一种磁性材料生产用废料回收装置
CN209476806U (zh) 新型矿石筛分装置
KR101071464B1 (ko) 퇴비용 이물질 선별장치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KR100863605B1 (ko) 다단 각도변화를 갖는 순환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이용하여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KR101437854B1 (ko) 톱밥 또는 목재 칩 선별기
CN107583854A (zh) 一种多级筛分装置
KR200468274Y1 (ko)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KR101372912B1 (ko) 알루미늄 그래뉼 입도 및 정전선별장치
KR100703028B1 (ko) 골재 선별장치
KR100395132B1 (ko) 재생골재 선별기
KR100641400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27828A (ko) 선별기
KR200441624Y1 (ko) 진동식 폐기물 선별기
KR101294416B1 (ko) 폐기물 선별기 및 이것을 포함하는 고형재생연료 생산설비 및 생산방법
CN210045577U (zh) 一种固体垃圾分拣机装置
KR20100019765A (ko) 요동식 생활폐기물 선별분리기
KR200370561Y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CN106076852A (zh) 生活垃圾网链振动分选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