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716A -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716A
KR20120002716A KR1020100063369A KR20100063369A KR20120002716A KR 20120002716 A KR20120002716 A KR 20120002716A KR 1020100063369 A KR1020100063369 A KR 1020100063369A KR 20100063369 A KR20100063369 A KR 20100063369A KR 20120002716 A KR20120002716 A KR 20120002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ection
information
providing server
play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1114B1 (ko
Inventor
채상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1114B1/ko
Priority to JP2013518217A priority patent/JP5303079B2/ja
Priority to MYPI2012005582A priority patent/MY159350A/en
Priority to PCT/KR2011/002459 priority patent/WO2012002637A2/ko
Priority to CN201180042061.9A priority patent/CN103080935B/zh
Publication of KR20120002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16A/ko
Priority to US13/732,633 priority patent/US2013025418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1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5Query execution
    • G06F16/24553Query execution of query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정 포털 서비스의 한정된 범주가 아닌 웹 환경 전체에서의 각 컨텐츠에 대한 조회수를 기반으로 한 인기도를 검색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특히 컨텐츠의 재생구간 별 인기도 및 구체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고 보다 세밀한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호 연동하며,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고, 단말장치가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면,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CONTENTS SEARCHING SERVICE SYSTEM AND CONTENTS SEARCHING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포털 서비스의 한정된 범주가 아닌 웹 환경 전체에서의 각 컨텐츠에 대한 조회수를 기반으로 한 인기도를 검색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특히 컨텐츠의 재생구간 별 인기도 및 구체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고 보다 세밀하며 효율적인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및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PC 뿐 만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 고정형 또는 이동형 단말을 통해 비디오를 재생할 수 있는 환경이 보편화되면서,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방식을 통해 원하는 방송, 동영상, UCC와 같은 비디오컨텐츠를 확보하여 이를 재생/시청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들은 보다 다양한 종류의 비디오컨텐츠를 원하는 욕구가 지속적으로 커지게 되고, 따라서 현재는 다양한 종류의 방대한 양의 컨텐츠들이 웹 상에 공급/존재하며 사용자들은 웹 환경에서 원하는 비디오컨텐츠를 검색/획득하여 이를 재생/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웹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종류의 방대한 양의 비디오컨텐츠들 중에서 자신이 원하는 인기의 비디오컨텐츠를 빠르고 간편하게 검색하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게 되었다.
이에, 이러한 사용자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컨텐츠 검색 시 비디오컨텐츠의 조회수를 기반으로 하는 인기도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자신이 원하는 인기 비디오컨텐츠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검색 방법이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의 검색 방법은, 컨텐츠 검색을 수행하는 해당 포털 서비스의 한정 범주 내에서의 조회수를 기반으로 인기도를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신뢰도 높은 인기도를 제공하는데 한계를 가지며, 또한, 비디오컨텐츠 자체의 조회수 만을 고려하기 때문에 비디오컨텐츠의 각 재생구간 중 어떤 재생구간에서 특히 인기도가 높은지 등의 구체적이고 세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호 연동하며,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고, 단말장치가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면,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고 보다 세밀하며 효율적인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고, 외부의 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및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고 보다 세밀하며 효율적인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는,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상기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와, 해당 컨텐츠의 메타정보 및 기 설정된 상기 각 재생구간에 대한 추가글정보 및 상기 각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하고,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각 컨텐츠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및 컨텐츠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는 조회수정보관리부; 및 외부의 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검색결과제공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결과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해당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 결과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회수정보관리부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하여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의 전체조회수 및 재생구간수 및 평균조회수를 인지하고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상기 인지한 평균조회수를 토대로 표준화(normalization)함으로써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대응되는 해당 재생구간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추가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하는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결과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상기 인기도표시바 상의 특정 재생구간이 지시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 중 상기 지시된 특정 재생구간에 해당되는 구간컨텐츠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해당 재생구간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구간컨텐츠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결과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 표시 시 각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할 수 잇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이 선택되면, 재생이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시각정보를 인지하고 내부의 컨텐츠저장부에 상기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를 상기 인지한 재생시각정보에 동기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이 선택되면, 상기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시각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컨텐츠저장부에 상기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 결과의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컨텐츠 관련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의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가 해당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호 연동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는 단계; 단말장치가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는 조회수정보 관리단계; 외부의 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및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검색결과 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결과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해당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 결과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회수정보 관리단계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하여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의 전체조회수 및 재생구간수 및 평균조회수를 인지하고,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상기 인지한 평균조회수를 토대로 표준화(normalization)함으로써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을 표준화하는 단계와, 표준화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대응되는 해당 재생구간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추가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하는 구간컨텐츠정보 관리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상기 인기도표시바 상의 특정 재생구간이 지시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 중 상기 지시된 특정 재생구간에 해당되는 구간컨텐츠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해당 재생구간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구간컨텐츠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색결과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 표시 시 각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이 선택되면,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시각정보를 인지하는 단계; 내부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내부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를 상기 인지한 재생시각정보에 동기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 결과의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컨텐츠 관련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의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가 해당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웹 상에 위치한 모든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관리하고, 단말장치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 시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와 함께 해당되는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포털 서비스의 한정된 범주가 아닌 웹 환경 전체에서의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 즉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단말장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에 의하면, 특정 포털 서비스의 한정된 범주가 아닌 웹 환경 전체에서의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컨텐츠 검색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재생구간 별로 해당 재생구간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고 보다 세밀하며 효율적인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단말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검색 요청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획득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재생장치이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방송컨텐츠 또는 VOD컨텐츠 또는 UCC컨텐츠 등과 같은 비디오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형태를 갖는 이동단말, PDA, 노트북, PC, 인터넷TV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어(예 : XX 드라마 3회)를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로 제공함으로써, 검색어(예 : XX 드라마 3회)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관리한다.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중 컨텐츠제공서버A(300A)를 언급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텐츠제공서버A(300A)는 여러 사용자 또는 컨텐츠사업자에 의해 등록된 다양한 컨텐츠를 저장/보유하며, 자신에 보유된 다양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어떤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소정 사용자에 의해 선택/재생되는지, 선택/재생 시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의 기 설정된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1,2,3,4,5) 중 어떤 재생구간이 재생(예 : 재생구간3,4 재생)되는지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각 컨텐츠에 대응하여 각 재생구간의 재생횟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제공서버A(300A)는,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뿐 아니라,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메타정보 및 기 설정된 상기 각 재생구간에 대한 추가글정보 및 상기 각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할 수 있다.
즉, 컨텐츠제공서버A(300A)는, 자신에 보유된 다양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등록된 메타정보(예 : 컨텐츠식별정보, 컨텐츠제목, 총 재생시간, 재생구간 별 재생시각정보(재생시작, 재생종료), 장르정보, 주제정보, 등장인물정보, 전체줄거리 등)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제공서버A(300A)는, 자신에 보유된 컨텐츠 중 소정 사용자에 의해 선택/재생되는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하여 또는 컨텐츠사업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하여 소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에 동기되어 등록되는 추가글정보(예 : 댓글, 비평글, 질문 등) 및 재생구간제목정보(예 : 구간제목, 구간줄거리 등)를 수집/저장할 수 있다.
이에, 컨텐츠제공서버A(300A)는,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메타정보, 각 재생구간 별 추가글정보, 각 재생구간 별 구간제목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이에,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는, 자신이 보유한 각 컨텐츠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및 컨텐츠정보를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와의 연동을 통해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로 제공할 수 있다.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는, 주기적 또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예 :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에 보유된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한다.
그리고,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검색이 요청되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상기 검색 요청된 컨텐츠를 검색하고, 이에 따른 검색 결과 및 검색된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는 조회수정보관리부(210)와, 외부의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검색 요청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검색 결과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는 검색결과제공부(240)를 포함한다.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주기적 또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예 :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에 보유된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한다.
즉,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각각으로부터 컨텐츠제공서버 자신이 보유한 각 컨텐츠에 대응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컨텐츠제공서버A(300A) 및 컨텐츠제공서버N(300N)가 동일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보유한 경우라면,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를 컨텐츠제공서버A(300A)로부터 수집하고,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N을 컨텐츠제공서버N(300N)로부터 수집하게 될 것이다.
이에,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각각에 보유된 다양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어떤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해서는 유일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어떤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해서는 여럿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한다.
예를 들어,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응하여 유일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수집한 경우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로써 상기의 유일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적용하여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여럿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를 수집한 경우 여럿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를 토대로 대응되는 해당 재생구간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수집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는 재생구간1 - 조회수4000, 재생구간2 - 조회수2000, 재생구간3 - 조회수1000, 재생구간4 - 조회수5000, 재생구간5 - 조회수5000이고,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B는 재생구간1 - 조회수40, 재생구간2 - 조회수20, 재생구간3 - 조회수50, 재생구간4 - 조회수60, 재생구간5 - 조회수60이고, 조회수정보N은 재생구간1 - 조회수60, 재생구간2 - 조회수80, 재생구간3 - 조회수50, 재생구간4 - 조회수140, 재생구간5 - 조회수240이라고 가정하면,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재생구간 각각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재생구간1 - 조회수4100, 재생구간2 - 조회수2100, 재생구간3 - 조회수1100, 재생구간4 - 조회수5200, 재생구간5 - 조회수5300)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의 사용자가 타 서버에 비해 월등히 많아 컨텐츠제공서버A(300A)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조회수가 특히 높을 경우, 모든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로부터 수집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표준화(normalization)를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을 표준화하고, 각 컨텐츠에 대응하여 표준화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대응되는 해당 재생구간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의 전체조회수 및 재생구간수 및 평균조회수를 인지하고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상기 인지한 평균조회수를 토대로 표준화한다.
즉,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수집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는 재생구간1 - 조회수4000, 재생구간2 - 조회수2000, 재생구간3 - 조회수1000, 재생구간4 - 조회수5000, 재생구간5 - 조회수5000이라고 가정하면,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에 대응하여 전제조회수 - 17000(4000+2000+1000+5000+5000), 재생구간수 - 5, 평균조회수 - 3400(17000/5)를 인지하고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 상기 인지한 평균조회수(3400)으로 나누어 표준화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재생구간1 - 조회수1.2, 재생구간2 - 조회수0.6, 재생구간3 - 조회수0.3, 재생구간4 - 조회수1.5, 재생구간5 - 조회수1.5)를 도출할 수 있고(예 : 소수 두번째 자리 반올림),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B,N 역시 표준화할 수 있다.
이에,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표준화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 각각에 대응하여, 재생구간 각각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재생구간1 - 조회수X1, 재생구간2 - 조회수 X2, 재생구간3 - 조회수X3, 재생구간4 - 조회수X4, 재생구간5 - 조회수X5)을 생성할 수 있다.
검색결과제공부(24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검색어(예 : XX 드라마 3회)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각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검색 요청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검색 결과 및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여기서, 클러스터링을 통해 컨텐츠를 웹 상에서 검색하는 방식은 기존의 클러스터링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즉, 검색결과제공부(24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한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해당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해당 컨텐츠 관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와,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조회수정보관리부(210)에서 관리되는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단말장치(100)에서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를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컨텐츠제공서버A(300A) 및 컨텐츠제공서버N(300N)가 검색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한 경우,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는, 컨텐츠제공서버A(300A) 및 컨텐츠제공서버N(300N)의 서비스명칭정보, 접속주소정보, 해당 서버를 나타내는 이미지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관련정보는, 해당하는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300A, 300N) 내의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 저장위치정보, 컨텐츠식별정보, 컨텐츠제목, 썸네일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검색 요청에 따라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특히 검색결과제공부(240)로부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가 제공되면, 검색 결과에 따라 어떤 컨텐츠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며,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될 것이다. 이때, 인기도표시바는, 기 설정된 종합 조회수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상이한 표시색을 할당되어, 각 재생구간 별로 해당 종합 조회수가 속하는 수치 범위에 따른 표시색을 갖도록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종합 조회수의 수치 범위에 따라 할당되는 표시색은, 종합 조회수가 클수록 즉 인기도가 높을수록 표시색인 진하고 종합 조회수가 작을수록 즉 인기도가 낮을수록 표시색이 흐리게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검색 요청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한 컨텐츠제공서버들을 인지하고, 특히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는,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추가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한다.
즉,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는, 주기적 또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예 :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각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에 보유된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한다.
예를 들어,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각각으로부터 컨텐츠제공서버 자신이 보유한 각 컨텐츠에 대응된 컨텐츠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컨텐츠정보는, 상기에서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설명 시 언급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의 메타정보(예 : 컨텐츠식별정보, 컨텐츠제목, 총 재생시간, 재생구간 별 재생시각정보(재생시작, 재생종료), 장르정보, 주제정보, 등장인물정보, 전체줄거리 등) 및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의 각 재생구간 별 추가글정보(예 : 댓글, 비평글, 질문 등) 및 각 재생구간 별 재생구간제목정보(예 : 구간제목, 구간줄거리 등)를 포함할 것이다.
이때, 컨텐츠제공서버A(300A) 및 컨텐츠제공서버N(300N)가 동일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보유한 경우라면,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는,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컨텐츠정보A를 컨텐츠제공서버A(300A)로부터 수집하고,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컨텐츠정보N을 컨텐츠제공서버N(300N)로부터 수집하게 될 것이다.
이에,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는,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각각에 보유된 다양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어떤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해서는 유일한 컨텐츠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어떤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해서는 여럿의 컨텐츠정보(예 : 컨텐츠정보A,B,N)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는,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한다.
예를 들어,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는,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응하여 유일한 컨텐츠정보를 수집한 경우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한 컨텐츠정보(예 : 메타정보, 각 재생구간 별 추가글정보, 각 재생구간 별 재생구간제목정보)를 토대로, 각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1,2,3,4,5)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1)의 구간제목, 추가글(예 : 댓글, 비평글, 질문),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는,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여럿의 컨텐츠정보(예 : 컨텐츠정보A,B,N)를 수집한 경우 여럿의 컨텐츠정보(예 : 컨텐츠정보A,B,N)를 토대로, 각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1,2,3,4,5)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1)의 구간제목, 추가글(예 : 댓글, 비평글, 질문),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전술과 같이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 검색 요청에 따라 제공된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인기도표시바 상의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이 지시될 수 있다.
이처럼,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인기도표시바 상의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이 지시되면, 검색결과제공부(240)는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는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의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 중 지시된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에 해당되는 구간컨텐츠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해당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간컨텐츠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검색 결과에 따라 어떤 컨텐츠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고,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 즉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재생구간을 지시하여 특정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 및 간략한 구간줄거리와 해당 재생구간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추가글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검색결과제공부(24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 및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때,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제공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상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 표시 시 각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검색결과제공부(240)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검색 요청에 따라, 전술과 같은 검색 결과 및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함에 있어서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220)에서 관리되는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검색 요청에 따라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특히 검색결과제공부(240)로부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 및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가 제공되면, 검색 결과에 따라 어떤 컨텐츠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며,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되며,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간컨텐츠정보가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검색 요청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한 컨텐츠제공서버들을 인지하고, 특히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 인기도와, 재생구간 별로 구간제목 및 간략한 구간줄거리와 해당 재생구간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추가글을 한눈에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전술에서 언급한 인기도표시바는, 일반적으로 컨텐츠의 재생위치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바(progress-bar)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는 컨텐츠저장부(230)를 더 포함하여,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가 서비스할 수 있는 컨텐츠를 컨텐츠저장부(230)에서 저장/관리하고, 컨텐츠저장부(230) 또는 별도의 기능부(미도시)가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 같이 자신 즉 컨텐츠저장부(230)에 보유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회수정보관리부(210)는 전술과 같이 각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 생성할 때, 각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로부터 수집한 각 컨텐츠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뿐 아니라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 측 자신에서 관리되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 생성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는 컨텐츠제공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제공부(25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에 게시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이 선택되면,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시각정보를 인지하고 내부 컨텐츠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저장부(230)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상기 인지한 재생시각정보에 동기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컨텐츠제공부(250)는, 단말장치(100)에서 전술과 같이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에 게시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인기도표시바 상에서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표시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 중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구간컨텐츠정보가 재생 선택되면, 단말장치(100)에서의 재생 선택에 따른 재생시각정보(예 : 재생구간2 - 10분~20분까지)을 인지하고, 컨텐츠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컨텐츠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는 경우, 컨텐츠제공부(250)는, 컨텐츠저장부(230)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인지한 재생시각정보(예 : 재생시작(10분00초), 재생종료(20분00초))에 동기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저장부(230)에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컨텐츠제공부(250)는, 검색결과제공부(240)에 의해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검색 결과(현재 단말장치(100)에서 표시 중인 결과)에 포함된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컨텐츠 관련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단말장치(100)가 해당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컨텐츠제공부(250)는, 검색 결과를 토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에 게시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이 선택되면, 곧바로 단말장치(100)에 해당 컨텐츠제공서버A(300A)로의 연결을 유도하지 않고,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에 보유된 동일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면 보유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의해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을 단말장치(100)에서 재생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검색 결과에 따라 어떤 컨텐츠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고,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 즉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의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을 재생 선택하면, 사용자는 재생 선택한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2을 손쉽게 재생/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웹 상에 위치한 모든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관리하고,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 시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와 함께 해당되는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포털 서비스의 한정된 범주가 아닌 웹 환경 전체에서의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 즉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단말장치(100)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은, 특정 포털 서비스의 한정된 범주가 아닌 웹 환경 전체에서의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컨텐츠 검색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재생구간 별로 해당 재생구간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고 보다 세밀하며 효율적인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 및 도 2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에서는,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가 상호 연동한다(S10).
이에,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는, S10단계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로부터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한다(S20).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검색어(예 : XX 드라마 3회)를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로 제공함으로써, 검색어(예 : XX 드라마 3회)에 대응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S30).
이처럼 단말장치(100)로부터 컨텐츠 검색이 요청되면,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검색 요청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검색한다(S40).
이에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는, S40단계를 통한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50).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제공된 검색 결과에 따라 어떤 컨텐츠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며, 제공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예 : 인기도표시바 형태)할 것이다.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검색 요청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한 컨텐츠제공서버들을 인지하고, 특히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기적 또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예 :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에 보유된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한다(S110).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각각으로부터 컨텐츠제공서버 자신이 보유한 각 컨텐츠에 대응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수집한다.
이때, 컨텐츠제공서버A(300A) 및 컨텐츠제공서버N(300N)가 동일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보유한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를 컨텐츠제공서버A(300A)로부터 수집하고,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N을 컨텐츠제공서버N(300N)로부터 수집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각각에 보유된 다양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어떤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해서는 유일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어떤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해서는 여럿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응하여 유일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수집한 경우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로써 상기의 유일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적용하여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여럿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를 수집한 경우 여럿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를 토대로 대응되는 해당 재생구간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의 사용자가 타 서버에 비해 월등히 많아 컨텐츠제공서버A(300A)에서의 컨텐츠에 대한 조회수가 특히 높을 경우, 모든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로부터 수집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표준화(normalization)를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전술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하는 S110단계의 수행에 있어서,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을 표준화하고, 각 컨텐츠에 대응하여 표준화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대응되는 해당 재생구간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의 전체조회수 및 재생구간수 및 평균조회수를 인지하고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상기 인지한 평균조회수를 토대로 표준화한다.
즉,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수집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는 재생구간1 - 조회수4000, 재생구간2 - 조회수2000, 재생구간3 - 조회수1000, 재생구간4 - 조회수5000, 재생구간5 - 조회수5000이라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에 대응하여 전제조회수 - 17000(4000+2000+1000+5000+5000), 재생구간수 - 5, 평균조회수 - 3400(17000/5)를 인지하고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 상기 인지한 평균조회수(3400)으로 나누어 표준화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재생구간1 - 조회수1.2, 재생구간2 - 조회수0.6, 재생구간3 - 조회수0.3, 재생구간4 - 조회수1.5, 재생구간5 - 조회수1.5)를 도출할 수 있고(예 : 소수 두번째 자리 반올림),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B,N 역시 표준화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표준화된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예 :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A,B,N) 각각에 대응하여, 재생구간 각각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재생구간1 - 조회수X1, 재생구간2 - 조회수 X2, 재생구간3 - 조회수X3, 재생구간4 - 조회수X4, 재생구간5 - 조회수X5)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주기적 또는 소정의 이벤트 발생(예 :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각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에 보유된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한다(S12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각각으로부터 컨텐츠제공서버 자신이 보유한 각 컨텐츠에 대응된 컨텐츠정보를 수집한다. 여기서, 컨텐츠정보는, 상기에서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설명 시 언급한 바와 같이,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의 메타정보(예 : 컨텐츠식별정보, 컨텐츠제목, 총 재생시간, 재생구간 별 재생시각정보(재생시작, 재생종료), 장르정보, 주제정보, 등장인물정보, 전체줄거리 등) 및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의 각 재생구간 별 추가글정보(예 : 댓글, 비평글, 질문 등) 및 각 재생구간 별 재생구간제목정보(예 : 구간제목, 구간줄거리 등)를 포함할 것이다.
이때, 컨텐츠제공서버A(300A) 및 컨텐츠제공서버N(300N)가 동일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보유한 경우라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컨텐츠정보A를 컨텐츠제공서버A(300A)로부터 수집하고,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컨텐츠정보N을 컨텐츠제공서버N(300N)로부터 수집하게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 각각에 보유된 다양한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어떤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해서는 유일한 컨텐츠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어떤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해서는 여럿의 컨텐츠정보(예 : 컨텐츠정보A,B,N)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응하여 유일한 컨텐츠정보를 수집한 경우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3)에 대한 컨텐츠정보(예 : 메타정보, 각 재생구간 별 추가글정보, 각 재생구간 별 재생구간제목정보)를 토대로, 각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1,2,3,4,5)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1)의 구간제목, 추가글(예 : 댓글, 비평글, 질문),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소정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여럿의 컨텐츠정보(예 : 컨텐츠정보A,B,N)를 수집한 경우 여럿의 컨텐츠정보(예 : 컨텐츠정보A,B,N)를 토대로, 각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1,2,3,4,5)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1)의 구간제목, 추가글(예 : 댓글, 비평글, 질문),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소정 검색어(예 : XX 드라마 3회)에 대응하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S130), 각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검색 요청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검색한다(S140). 여기서, 클러스터링을 통해 컨텐츠를 웹 상에서 검색하는 방식은 기존의 클러스터링 방식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40단계의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S150).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한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해당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해당 컨텐츠 관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검색 결과와,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S110단계를 통해 관리되는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단말장치(100)에서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를 표시하도록 한다.
여기서, 컨텐츠제공서버A(300A) 및 컨텐츠제공서버N(300N)가 검색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한 경우,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는, 컨텐츠제공서버A(300A) 및 컨텐츠제공서버N(300N)의 서비스명칭정보, 접속주소정보, 해당 서버를 나타내는 이미지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관련정보는, 해당하는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300A, 300N) 내의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 저장위치정보, 컨텐츠식별정보, 컨텐츠제목, 썸네일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검색 요청에 따라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로부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가 제공되면, 검색 결과에 따라 어떤 컨텐츠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며,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될 것이다. 이때, 인기도표시바는, 기 설정된 종합 조회수의 수치 범위에 따라 상이한 표시색을 할당되어, 각 재생구간 별로 해당 종합 조회수가 속하는 수치 범위에 따른 표시색을 갖도록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종합 조회수의 수치 범위에 따라 할당되는 표시색은, 종합 조회수가 클수록 즉 인기도가 높을수록 표시색인 진하고 종합 조회수가 작을수록 즉 인기도가 낮을수록 표시색이 흐리게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검색 요청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한 컨텐츠제공서버들을 인지하고, 특히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50단계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검색 요청에 따른 검색 결과 및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때,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제공하여, 단말장치(100)에서 상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 표시 시, 각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검색 요청에 따라, 전술과 같은 검색 결과 및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함에 있어서, S120단계를 통해 관리되는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검색 요청에 따라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로부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 및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가 제공되면, 검색 결과에 따라 어떤 컨텐츠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며,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되며,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간컨텐츠정보가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검색 요청한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한 컨텐츠제공서버들을 인지하고, 특히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 인기도와, 재생구간 별로 구간제목 및 간략한 구간줄거리와 해당 재생구간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추가글을 한눈에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과 같이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 검색 요청에 따라 제공된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된 단말장치(100)로부터 인기도표시바 상의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이 지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인기도표시바 상의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이 지시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0),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이 지시되면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S120단계를 통해 관리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 중 지시된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에 해당되는 구간컨텐츠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S170), 해당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구간컨텐츠정보를 표시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검색 결과에 따라 어떤 컨텐츠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고,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 즉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재생구간을 지시하여 특정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 및 간략한 구간줄거리와 해당 재생구간에 대한 타 사용자들의 추가글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전술과 같이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에 게시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이 선택되면,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시각정보를 인지하고 내부에 저장/보유된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는 경우 저장된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상기 인지한 재생시각정보에 동기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100)에서 전술과 같이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에 게시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인기도표시바 상에서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이 선택되거나 또는 표시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 중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구간컨텐츠정보가 재생 선택되는지 여부를 인지하여,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80).
이에,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이 선택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장치(100)에서의 재생 선택에 따른 재생시각정보(예 : 재생구간2 - 10분~20분까지)을 인지하고,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 측 내부에 저장/보유된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90).
이에,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 측 내부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내부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인지한 재생시각정보(예 : 재생시작(10분00초), 재생종료(20분00초))에 동기하여 단말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S200).
한편, 내부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S150단계에 의해 단말장치(100)로 제공된 검색 결과(현재 단말장치(100)에서 표시 중인 결과)에 포함된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컨텐츠 관련정보를 단말장치(100)로 제공하여,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를 단말장치(100)가 해당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S21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의 서비스 제공 방법은, 검색 결과를 토대로 단말장치(100)로부터 특정 컨텐츠제공서버(예 : 컨텐츠제공서버A(300A))에 게시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의 재생이 선택되면, 곧바로 단말장치(100)에 해당 컨텐츠제공서버A(300A)로의 연결을 유도하지 않고,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200)에 보유된 동일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가 존재하면 보유된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에 의해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을 단말장치(100)에서 재생하도록 한다.
이에, 단말장치(100)에서는, 검색 결과에 따라 어떤 컨텐츠제공서버에서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를 제공/보유하고 있는지가 표시되고,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에 따라 해당 컨텐츠(예 : XX 드라마 3회 -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 별로 종합 조회수 즉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식별 가능하도록 표시한 인기도표시바가 표시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특정 컨텐츠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컨텐츠(예 : 비디오컨텐츠1)의 특정 재생구간(예 : 재생구간2)을 재생 선택하면, 사용자는 재생 선택한 비디오컨텐츠1의 재생구간2을 손쉽게 재생/시청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은, 웹 상에 위치한 모든 컨텐츠제공서버(300A...300N)와의 연동을 통해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관리하고,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 시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와 함께 해당되는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포털 서비스의 한정된 범주가 아닌 웹 환경 전체에서의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 즉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단말장치(100)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은, 특정 포털 서비스의 한정된 범주가 아닌 웹 환경 전체에서의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컨텐츠 검색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재생구간 별로 해당 재생구간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신뢰도 높고 보다 세밀하며 효율적인 컨텐츠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웹 상에 위치한 모든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관리하고, 단말장치로부터의 컨텐츠 검색 요청 시 해당 컨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와 함께 해당되는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단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특정 포털 서비스의 한정된 범주가 아닌 웹 환경 전체에서의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인기도를 컨텐츠 검색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더 나아가 재생구간 별로 해당 재생구간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등의 구체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을 적용할 경우, 컨텐츠 검색 서비스의 검색 효율 및 신뢰도에 대한 향상, 사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 : 단말장치 200 :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300A...300B :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

Claims (19)

  1.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단말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는,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상기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와, 해당 컨텐츠의 메타정보 및 기 설정된 상기 각 재생구간에 대한 추가글정보 및 상기 각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하고,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각 컨텐츠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및 컨텐츠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3. 적어도 하나의 외부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는 조회수정보관리부; 및
    외부의 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여, 이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검색결과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해당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 결과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수정보관리부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하여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의 전체조회수 및 재생구간수 및 평균조회수를 인지하고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상기 인지한 평균조회수를 토대로 표준화(normalization)함으로써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을 표준화하고, 표준화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대응되는 해당 재생구간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추가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하는 구간컨텐츠정보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상기 인기도표시바 상의 특정 재생구간이 지시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 중 상기 지시된 특정 재생구간에 해당되는 구간컨텐츠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해당 재생구간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구간컨텐츠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 표시 시 각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9. 제 4 항 또는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이 선택되면, 재생이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시각정보를 인지하고 내부의 컨텐츠저장부에 상기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컨텐츠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를 상기 인지한 재생시각정보에 동기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컨텐츠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이 선택되면, 재생이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시각정보를 인지하고 상기 컨텐츠저장부에 상기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 결과의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컨텐츠 관련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의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가 해당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
  11. 보유하고 있는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컨텐츠의 기 설정된 각 재생구간에 대한 조회수를 나타내는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관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호 연동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는 단계;
    단말장치가 소정의 컨텐츠에 대한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가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12. 적어도 하나의 외부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관리하는 조회수정보 관리단계;
    외부의 단말장치로부터 소정 컨텐츠에 대한 검색이 요청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에 따른 클러스터링(clustering)을 통해 검색 요청된 상기 컨텐츠를 검색하는 검색 단계; 및
    검색에 따른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검색결과 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검색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해당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 관련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검색 결과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검색 결과를 표시하고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를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회수정보 관리단계는,
    소정 컨텐츠에 대응하여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에 대응하여,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의 전체조회수 및 재생구간수 및 평균조회수를 인지하고, 해당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상기 인지한 평균조회수를 토대로 표준화(normalization)함으로써 상기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 각각을 표준화하는 단계와,
    표준화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생구간 별 조회수정보를 토대로 대응되는 해당 재생구간의 조회수를 합산하여 상기 소정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제공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수집되는 각 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추가글정보 및 각 재생구간에 대한 구간제목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정보를 토대로 각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생성/관리하는 구간컨텐츠정보 관리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상기 인기도표시바 상의 특정 재생구간이 지시되면,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 중 상기 지시된 특정 재생구간에 해당되는 구간컨텐츠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해당 재생구간의 구간제목, 추가글, 구간줄거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구간컨텐츠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결과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로부터의 검색 요청에 따라 상기 검색 결과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재생구간 별 종합 조회수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할 때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는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제공하여, 상기 단말장치에서 상기 검색 결과 및 재생구간 별로 해당되는 종합 조회수를 식별 가능한 인기도표시바 표시 시 각 재생구간 별 구간컨텐츠정보를 더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3 항 또는 제 16 항 또는 제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표시된 검색 결과를 토대로 소정 컨텐츠제공서버에 게시된 상기 컨텐츠에 대응하여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이 선택되면,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의 재생시각정보를 인지하는 단계;
    내부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 내부에 저장된 해당 컨텐츠를 상기 인지한 재생시각정보에 동기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내부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검색 결과의 해당 컨텐츠제공서버 관련정보 및 컨텐츠 관련정보를 상기 단말장치로 제공하여 재생 선택된 특정 재생구간의 컨텐츠를 상기 단말장치가 해당 컨텐츠제공서버로부터 제공받도록 유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검색서비스제공서버의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00063369A 2010-07-01 2010-07-01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KR10143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369A KR101431114B1 (ko) 2010-07-01 2010-07-01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JP2013518217A JP5303079B2 (ja) 2010-07-01 2011-04-07 コンテンツ検索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検索サービス方法
MYPI2012005582A MY159350A (en) 2010-07-01 2011-04-07 Contents search service system and contents search service method
PCT/KR2011/002459 WO2012002637A2 (ko) 2010-07-01 2011-04-07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CN201180042061.9A CN103080935B (zh) 2010-07-01 2011-04-07 内容搜索服务系统和内容搜索服务方法
US13/732,633 US20130254185A1 (en) 2010-07-01 2013-01-02 Contents search service system and contents search servi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369A KR101431114B1 (ko) 2010-07-01 2010-07-01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16A true KR20120002716A (ko) 2012-01-09
KR101431114B1 KR101431114B1 (ko) 2014-08-18

Family

ID=45402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369A KR101431114B1 (ko) 2010-07-01 2010-07-01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54185A1 (ko)
JP (1) JP5303079B2 (ko)
KR (1) KR101431114B1 (ko)
CN (1) CN103080935B (ko)
MY (1) MY159350A (ko)
WO (1) WO201200263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555A1 (ko) * 2016-08-09 2018-02-15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의 인기구간 검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0773B (zh) * 2014-09-23 2019-12-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流媒体处理方法、装置、终端及服务器
JP7059674B2 (ja) * 2018-02-15 2022-04-2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6645A (ko) * 2001-02-13 2002-08-21 박왕근 사용자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전자메일 기반의 컨텐츠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4350092A (ja) * 2003-05-23 2004-12-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映像視聴システム、および当該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映像再生端末、および当該映像再生端末における処理方法、および当該処理方法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当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185543B1 (en) * 2004-11-10 2012-05-22 Google Inc. Video image-based querying for video content
JP2007267173A (ja) * 2006-03-29 2007-10-11 Toshiba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方法
KR100822108B1 (ko) * 2006-06-19 2008-04-15 김정훈 검색 결과 문서에 대한 유저의 선호도 예측 시스템 및 그예측방법
CN100507920C (zh) * 2007-05-25 2009-07-01 清华大学 一种基于用户行为信息的搜索引擎检索结果重排序方法
KR100908890B1 (ko) * 2007-07-18 2009-07-23 (주)엔써즈 동영상 데이터 클러스터를 이용한 동영상 데이터 검색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90016042A (ko) * 2007-08-10 2009-02-13 진병욱 평균 유효 재생시간을 이용한 동영상 컨텐츠의 조회내역표시방법
KR100928042B1 (ko) * 2007-08-29 2009-11-24 박대령 메타데이터 태그를 이용한 맞춤형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장치
CN101207807B (zh) * 2007-12-18 2013-01-02 孟智平 一种处理视频的方法及其系统
CN101566990A (zh) * 2008-04-25 2009-10-28 李奕 一种嵌入于视频的搜索方法及其系统
US20090287645A1 (en) * 2008-05-15 2009-11-19 Yahoo! Inc. Search results with most clicked next objects
US8190594B2 (en) * 2008-06-09 2012-05-29 Brightedge Technologies, Inc. Collecting and scoring online references
CN101320375B (zh) * 2008-07-04 2010-09-22 浙江大学 基于用户点击行为的数字图书搜索方法
US8666993B2 (en) * 2010-02-22 2014-03-04 Onepatont Software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networking for managing multidimensional life stream related active note(s) and associated multidimensional active resources and actio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555A1 (ko) * 2016-08-09 2018-02-15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영상의 인기구간 검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03079B2 (ja) 2013-10-02
CN103080935A (zh) 2013-05-01
KR101431114B1 (ko) 2014-08-18
CN103080935B (zh) 2015-07-08
MY159350A (en) 2016-12-30
WO2012002637A3 (ko) 2012-02-23
WO2012002637A2 (ko) 2012-01-05
JP2013531854A (ja) 2013-08-08
US20130254185A1 (en) 201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110B2 (en) Aiding discovery of program content by providing deeplinks into most interesting moments via social media
CN105230035B (zh) 用于选择的时移多媒体内容的社交媒体的处理
US9117374B2 (en) Automatically generating quiz questions based on displayed media content
US2007030025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media assets over a network
US20110145847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presenting enriched video viewing analytics
US201400686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raction packages to users based on metadata associated with content
EP1842372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constructing virtual video channel
JP2011519541A (ja) ユーザアクセス可能なコンテンツ内のメタデータ可用性の表示の円滑化
ES2475965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identificar contenido de audio utilizando una aplicación interactiva de guía de medios
KR20110135178A (ko) 컨텐츠 서비스 방법
CN104685899A (zh) 动态媒体片段定价
US20090328103A1 (en) Genre-based segment collections
KR20120002716A (ko) 컨텐츠 검색 서비스 시스템 및 컨텐츠 검색 서비스 방법
JP4962985B2 (ja) 情報提供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KR20090128251A (ko)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내용에 기반하는 광고 제공 시스템 및그 광고 제공 방법
JP2013142906A (ja) イベント評価装置及びイベント評価方法
JP7110471B1 (ja) レコメンド装置、レコメンド方法、及びレコメンド用プログラム
KR100996024B1 (ko) 리치 미디어에 대한 이력 정보 수집 방법 및 시스템
KR20090060574A (ko) 리치 미디어 이용 패턴 분석 방법 및 시스템
JP6627042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719151A (zh) 伴唱广告销售系统
KR101631271B1 (ko) 순환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316253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70127390A (ko) 컨텐츠 서비스 방법
JP2016163140A (ja) 情報収集システム及び情報収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