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941A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1941A KR20120001941A KR1020100062580A KR20100062580A KR20120001941A KR 20120001941 A KR20120001941 A KR 20120001941A KR 1020100062580 A KR1020100062580 A KR 1020100062580A KR 20100062580 A KR20100062580 A KR 20100062580A KR 20120001941 A KR20120001941 A KR 2012000194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touch
- user
- hand
-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ingle or a set of motion sensors for pointer control or gesture input obtained by sensing movements of the portable comput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을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이동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영역 크기를 획득하고, 이를 토대로 이동 단말기의 화면 구성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주 사용 손을 획득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주 사용 손을 획득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잡을 때 사용하는 손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기울어짐 상태가 달라지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사용 손을 토대로 화면 구성을 제어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영역의 크기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의 표시 크기를 가변하는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 화면을 스크롤하는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0)
- 터치 스크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획득하는 센싱부; 및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해 입력되는 터치 입력 또는 상기 기울어짐 상태를 토대로 오른 손 및 왼 손 중 사용자의 사용 손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 손을 토대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한 손 사용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획득한 사용 손을 토대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모드에서 입력되는 터치 제스처의 움직임 경로를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사용 손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손에 따라 구분되는 복수의 움직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를 통해 획득되는 움직임을 상기 복수의 움직임과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의 사용 손을 획득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상기 터치 스크린의 특정 지점을 터치 시 접촉 터치되는 영역과 근접 터치되는 영역 간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터치 패턴을 토대로, 상기 사용자의 사용 손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에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객체의 표시 위치, 표시 형태 및 배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면 구성을 상기 사용자의 사용 손을 토대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터치 스크린; 및
터치 스크린에서 터치되는 터치 영역의 크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터치 영역의 크기를 토대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객체의 표시 크기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상기 객체의 표시 크기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는 아이콘, 버튼, 메뉴 및 키 패드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영역의 크기가 기 설정된 크기 이상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화면에 상기 키 패드의 일부분이 표시되도록 상기 키 패드의 표시 크기를 가변하고, 상기 키 패드가 표시된 영역에 대한 드래그 입력을 토대로 상기 키 패드를 스크롤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2580A KR101694787B1 (ko) | 2010-06-30 | 2010-06-30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2580A KR101694787B1 (ko) | 2010-06-30 | 2010-06-30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1941A true KR20120001941A (ko) | 2012-01-05 |
KR101694787B1 KR101694787B1 (ko) | 2017-01-10 |
Family
ID=4560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258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4787B1 (ko) | 2010-06-30 | 2010-06-30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4787B1 (ko)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09205A (zh) * | 2012-02-07 | 2012-07-25 |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 一种移动终端屏幕全方位滑动的方法 |
KR20130111087A (ko) * | 2012-03-30 | 2013-10-10 | 인포뱅크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
KR20140007658A (ko) * | 2012-07-10 | 2014-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 패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
KR20140051590A (ko) * | 2012-10-23 | 2014-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
KR20140068426A (ko) * | 2012-11-28 | 2014-06-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WO2014123261A1 (ko) * | 2013-02-07 | 2014-08-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CN104035697A (zh) * | 2013-03-04 | 2014-09-10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
KR20150011246A (ko) * | 2013-07-22 | 2015-0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KR20160136446A (ko) * | 2014-03-31 | 2016-11-29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
US9665260B2 (en) | 2013-09-03 | 2017-05-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of mobile device |
KR20180054999A (ko) * | 2016-11-15 | 2018-05-25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페블릿 폰, 태블릿, 전자책 리더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US10268302B2 (en) | 2013-08-13 | 2019-04-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grip state in electronic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28421A (ja) * | 2006-06-06 | 2007-12-20 | Canon Inc | タッチパネル、及び該装置制御方法 |
JP2009294725A (ja) * | 2008-06-02 | 2009-12-17 | Toshiba Corp | 携帯端末 |
KR20100023637A (ko) * | 2008-08-22 | 2010-03-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
KR20100059698A (ko) * | 2008-11-25 | 2010-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제공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
2010
- 2010-06-30 KR KR1020100062580A patent/KR101694787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328421A (ja) * | 2006-06-06 | 2007-12-20 | Canon Inc | タッチパネル、及び該装置制御方法 |
JP2009294725A (ja) * | 2008-06-02 | 2009-12-17 | Toshiba Corp | 携帯端末 |
KR20100023637A (ko) * | 2008-08-22 | 2010-03-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메뉴 표시 방법 |
KR20100059698A (ko) * | 2008-11-25 | 2010-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유저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제공방법, 및 이를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Cited B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09205A (zh) * | 2012-02-07 | 2012-07-25 | 深圳桑菲消费通信有限公司 | 一种移动终端屏幕全方位滑动的方法 |
KR20130111087A (ko) * | 2012-03-30 | 2013-10-10 | 인포뱅크 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메뉴 구성 방법 |
KR20140007658A (ko) * | 2012-07-10 | 2014-01-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키 패드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
KR20140051590A (ko) * | 2012-10-23 | 2014-05-02 | 삼성전자주식회사 | 터치 디바이스의 ui 표시방법 및 장치 |
KR20140068426A (ko) * | 2012-11-28 | 2014-06-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US9874999B2 (en) | 2013-02-07 | 2018-01-23 | Lg Electronics Inc.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WO2014123261A1 (ko) * | 2013-02-07 | 2014-08-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
CN104035697A (zh) * | 2013-03-04 | 2014-09-10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
CN104035697B (zh) * | 2013-03-04 | 2018-02-27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控制方法及电子设备 |
KR20150011246A (ko) * | 2013-07-22 | 2015-01-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US10268302B2 (en) | 2013-08-13 | 2019-04-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grip state in electronic device |
US9665260B2 (en) | 2013-09-03 | 2017-05-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creen of mobile device |
KR20160136446A (ko) * | 2014-03-31 | 2016-11-29 |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 핸드헬드형 기기 상의 사용자 조작 모드를 식별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기기 |
US10444951B2 (en) | 2014-03-31 | 2019-10-15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 left-hand or a right-hand mode of operation on a user handheld device |
KR20180054999A (ko) * | 2016-11-15 | 2018-05-25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페블릿 폰, 태블릿, 전자책 리더를 포함하는 단말 기기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4787B1 (ko) | 2017-0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6790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169478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2080742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2073827B1 (ko) | 전자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2044460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2006035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00094754A (ko) | 문자 입력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
KR20100028699A (ko) | 식별모듈 전환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
KR20120070786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2015009160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US20170351335A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 |
KR2011005505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20038692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20100123336A (ko) | 유저 인터페이스 모드 전환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 |
KR20120070666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 |
KR20110125725A (ko) |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컨텐츠 공유 방법 | |
KR102026946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786513B1 (ko) | 이동 단말기의 화면 조작 방법 | |
KR20130006777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1779504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2046462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101642809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5004191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070679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00041933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3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6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015 |